KR200204278Y1 -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278Y1
KR200204278Y1 KR2020000017913U KR20000017913U KR200204278Y1 KR 200204278 Y1 KR200204278 Y1 KR 200204278Y1 KR 2020000017913 U KR2020000017913 U KR 2020000017913U KR 20000017913 U KR20000017913 U KR 20000017913U KR 200204278 Y1 KR200204278 Y1 KR 200204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heck valve
casing
flow
clo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이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헌 filed Critical 이정헌
Priority to KR2020000017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방향으로만 유체를 이동시키도록 유로가 제어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쇄체가 볼타입이 아닌 피스톤타입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으로 인한 원활한 제어가 이루어지며, 유량흐름이 극대화되며,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체크밸브는 유로가 형성된 입구케이싱과 출구케이싱이 결합된 밸브몸체와, 상기 출구케이싱의 유로에 구비되어 유체의 역류를 제한하는 폐쇄체, 및 상기 폐쇄체를 탄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패쇄체(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입구케이싱(21)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원추형의 선단부(31)와, 출구케이싱(22)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단에 스프링 설치 단턱(32a)이 형성된 다수의 날개부(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압이 발생되면 폐쇄체가 케이싱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져 충격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유체는 폐쇄체의 날개와 날개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직진흐름이 이루어져 저항을 받지 않게 됨과 함께 날개형성에 따른 폐쇄체 단면적이 최소화되어 유량흐름이 극대화된다.

Description

체크밸브 {CHECK VALVE}
본 고안은 일방향으로만 유체를 이동시키도록 유로가 제어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쇄체가 볼타입이 아닌 피스톤타입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으로 인한 원활한 제어가 이루어지며, 유량흐름이 극대화되며,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일러나 정수기 등에는 배관상에 체크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체크밸브의 구성중 흔히 사용되고 있는 볼타입 체크밸브가 있는 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그러한 볼타입 체크밸브를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볼타입 체크밸브(10)는 유로가 형성된 입구케이싱(11)과 출구케이싱(12)이 결합된 밸브몸체와, 상기 출구케이싱(12)의 유로에 구비되어 유체의 역류를 제한하는 볼(13), 및 상기 볼(13)을 탄지시키는 스프링(14)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입구케이싱(11)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해 볼(13)이 스프링(14)력을 극복하면서 후퇴됨으로써 입구케이싱(11)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반대로 유체의 유입이 없거나 수압이 저하될 경우 볼(13)은 스프링(14)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입구케이싱(11)의 유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이미 유입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유로의 개폐정도는 수압 또는 스프링력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그런데 이러한 볼타입 체크밸브는 볼 자체로서 유량흐름을 제어하는 관계로 볼의 단면적 저항으로 인한 유량흐름이 적게 되고, 볼(13)은 패스유로(P)를 사이에 두고 떠있는 상태가 되어 작동시 케이싱 벽과의 충격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유체의 흐름이 직선적 흐름이 아닌 볼의 단면적을 피해 패스유로(P)를 통해 돌아 넘어 흐르게 되어 저항이 발생하게 되며, 볼(13)이 떠있는 상태가 되어 볼의 고정위치가 수시로 변하게 되어 유로가 불규칙하게 형성되며, 특히 스프링이 압축되면 유로가 거의 폐쇄되는 상태가 되어 유체의 흐름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폐쇄체가 볼타입이 아닌 피스톤타입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으로 인한 원활한 제어가 이루어지며, 유량흐름에 대한 단면적이 최소화되여 유량흐름이 극대화되며, 폐쇄체가 케이싱벽에 밀착 슬라이딩 작동되어져 충격으로 인한 소음발생이 없으며, 스프링의 압축에 관계없이 유로가 그대로 유지되어져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게 되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체크밸브는, 유로가 형성된 입구케이싱과 출구케이싱이 결합된 밸브몸체와, 상기 출구케이싱의 유로에 구비되어 유체의 역류를 제한하는 폐쇄체, 및 상기 폐쇄체를 탄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는 입구케이싱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원추형의 선단부와, 출구케이싱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부와, 상기 원추형 선단부에 설치되는 패킹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압이 발생되면 폐쇄체가 케이싱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져 충격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유체는 폐쇄체의 날개와 날개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직진흐름이 이루어져 저항을 받지 않게 됨과 함께 날개형성에 따른 폐쇄체 단면적이 최소화되어 유량흐름이 극대화되며, 또한 스프링의 압축에도 불구하고 폐쇄체의 날개사이의 유로가 스프링 외경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지장을 전혀 초래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볼타입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선B-B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쇄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체크밸브 21: 입구케이싱
22: 출구케이싱 24: 스프링
30: 폐쇄체 31: 선단부
32: 날개부 32a: 단턱
33: 패킹링 p1: 패스유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선B-B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쇄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크밸브(20)는, 유로가 형성된 입구케이싱(21)과 출구케이싱(22)이 결합된 밸브몸체와, 상기 출구케이싱(22)의 유로에 구비되어 유체의 역류를 제한하는 폐쇄체, 및 상기 폐쇄체를 탄지시키는 스프링(24)을 포함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의 구조를 변경하였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패쇄체(30)는 입구케이싱(21)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원추형의 선단부(31)와, 출구케이싱(22)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단에 스프링 설치 단턱(32a)이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부(32)와, 상기 원추형 선단부(31)에 설치되는 패킹링(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쇄체(3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그 날개부(32)는 3~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출구케이싱(22)의 유로에 스프링(24) 및 폐쇄체(30)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후 입구케이싱(21)을 결합시키게 되면, 폐쇄체(30)의 후단은 그 단턱(32a)으로 스프링(24)이 끼워져 지지되고, 선단은 그 패킹링(33)이 입구케이싱(21)의 유로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구케이싱(21)을 통해 유체가 소정압력으로 유입되면 폐쇄체(30)가 스프링(24)력을 극복하면서 후퇴됨으로써 입구케이싱(21)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반대로 유체의 유입이 없거나 수압이 저하될 경우 폐쇄체(30)는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입구케이싱(21)의 유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이미 유입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폐쇄체(30)는 그 날개부(32)가 케이싱의 내벽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어져 슬라이딩 이동되어져 충격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페쇄체(30)는 유량흐름에 대한 단면적이 최소화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 보다 확장된 패스유로(P')를 통해 유량흐름이 극대화됨과 아울러 직진흐름이 이루어진다.
즉 스프링(24)의 압축에도 불구하고 폐쇄체의 날개사이의 패스유로(P')가 스프링 외경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유량흐름이 극대화된다.
또한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패킹링(33)의 작용으로 정밀한 수밀유지가 되어 역류현상을 완전 차단하게 된다.
또한 폐쇄체(30)는 그 날개부(32)에 의해 케이싱에 밀착 지지된 상태가 되어 그 설치위치가 변동되는 일이 없이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체는 일정한 패스유로(P1')를 통해 일정하게 흐르게 되어 저항을 받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크밸브는, 폐쇄체가 볼타입이 아닌 피스톤타입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으로 인한 원활한 제어가 이루어지며, 유량흐름이 극대화되며,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유로가 형성된 입구케이싱과 출구케이싱이 결합된 밸브몸체와, 상기 출구케이싱의 유로에 구비되어 유체의 역류를 제한하는 폐쇄체, 및 상기 폐쇄체를 탄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패쇄체(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입구케이싱(21)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원추형의 선단부(31)와, 출구케이싱(22)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단에 스프링 설치 단턱(32a)이 형성된 다수의 날개부(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2)는 3~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선단부(31)에 별도의 패킹링(3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KR2020000017913U 2000-06-23 2000-06-23 체크밸브 KR200204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13U KR200204278Y1 (ko) 2000-06-23 2000-06-23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13U KR200204278Y1 (ko) 2000-06-23 2000-06-23 체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278Y1 true KR200204278Y1 (ko) 2000-11-15

Family

ID=1966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913U KR200204278Y1 (ko) 2000-06-23 2000-06-23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27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44B1 (ko) * 2009-01-09 2011-10-14 유기철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등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43869B1 (ko) 2011-12-08 2012-05-14 임연정 수도전 푸시밸브
KR101535560B1 (ko) * 2009-03-25 2015-07-10 코웨이 주식회사 역류방지장치
CN108708996A (zh) * 2018-07-02 2018-10-26 上海银轮热交换系统有限公司 内隐式单向阀
KR20190048054A (ko) * 2017-10-30 2019-05-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44B1 (ko) * 2009-01-09 2011-10-14 유기철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등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35560B1 (ko) * 2009-03-25 2015-07-10 코웨이 주식회사 역류방지장치
KR101143869B1 (ko) 2011-12-08 2012-05-14 임연정 수도전 푸시밸브
WO2013085159A1 (ko) * 2011-12-08 2013-06-13 주식회사 삼진텍 수도전 푸시밸브
KR20190048054A (ko) * 2017-10-30 2019-05-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021128B1 (ko) * 2017-10-30 2019-09-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CN108708996A (zh) * 2018-07-02 2018-10-26 上海银轮热交换系统有限公司 内隐式单向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0933Y2 (ko)
EP1869351B1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CA2302454A1 (en) Backwater valve
KR950009037A (ko) 수압밸브
KR200204278Y1 (ko) 체크밸브
US4592382A (en) Anti-siphon nozzle
EP0302583A3 (en) Controllable fluid damper assembly
DK1588083T3 (da) Tilbagelöbsspærre
ATE475748T1 (de) Verkehrsberuhiger mit ventilvorrichtung
KR101238180B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WO2005010363A3 (en) Pump valve with controlled stroke
JP3738289B2 (ja)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三方切換弁
US3120854A (en) Automatic fluid pressure equalizing assembly
CN111379882B (zh) 止回阀结构
CN216519609U (zh) 一种用于抗颗粒可变减压级数调节阀的内件结构
KR200198805Y1 (ko) 첵크밸브
JPH0514833B2 (ko)
CN108757984A (zh) 自压力密封球阀
CA2249128A1 (en) Fluid injection tubing assembly and method
CN219994422U (zh) 一种节流截止阀
CN220286539U (zh) 一种阀杆组件及截止阀
CN220102106U (zh) 排水阀
KR200322105Y1 (ko) 수온유지용 자동압력조절밸브
KR200141352Y1 (ko) 첵크밸브
RU1807276C (ru) Дроссельный шиберный клап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