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180B1 -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180B1
KR101238180B1 KR1020100083646A KR20100083646A KR101238180B1 KR 101238180 B1 KR101238180 B1 KR 101238180B1 KR 1020100083646 A KR1020100083646 A KR 1020100083646A KR 20100083646 A KR20100083646 A KR 20100083646A KR 101238180 B1 KR101238180 B1 KR 10123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pening
flow
check valv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981A (ko
Inventor
신광섭
안범용
Original Assignee
태성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정밀(주) filed Critical 태성정밀(주)
Priority to KR102010008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1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8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는 공급관과 결합되는 결합부(10); 배출관과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된 제 1 유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로(21) 상에 안내부(22)가 형성되며 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된 밸브본체(20); 내부가 중공된 제 2 유로(31)가 형성되고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결합부(10)와 상기 밸브본체(20)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하는 어댑터(30); 및 상기 밸브본체(20)의 안내부(22)에 수용되고 유체의 압력변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제 2 유로(31)를 개폐하며, 돔형 돌출부(41)와 제 1 유로(21)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42)이 형성된 개폐디스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체크밸브{Check Valve}
본 발명은 유체가 유체흐름의 반대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본체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개폐디스크가 유체의 압력변동에 따라 작동되도록 하며, 개폐작동을 신속하게 하고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체크 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로서, 배관계에 직렬로 연결되어 배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유체의 역류에 의해 공급측으로 오염된 유체의 흐름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체크 밸브는 일반적으로 스윙타입(Swing Type)의 체크 밸브와 버터플라이 타입(Butterfly Type) 체크 밸브로 구분되며, 개폐변의 동작 형상에 따라 개폐변이 직선 운동되는 리프트형(lift type)과, 개폐변이 회전운동되는 스윙형(swing type)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상기 리프트형은 개폐변의 형상에 따라 판형(plate type) 및 볼형(ball type)으로 세분된다.
기본적으로 체크 밸브는 흡입측의 유체압력이 토출측의 유체 압력보다 높아서 밸브의 디스크가 개방되어 유체가 흐르게 되며, 펌프의 정지 등으로 인하여 흡입측의 유체압력이 저하되면 흡입측보다 토출측의 유체압력이 높아지는데, 이때 밸브의 디스크가 폐쇄되도록 동작하여 역류현상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체크밸브들은 통상적으로 폐쇄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스윙 타입 체크 밸브는 디스크의 자중을 이용하고 버터플라이 타입 체크 밸브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고 있는데, 펌프가 정지되면 순간적으로 흡입측보다 토출측의 유체 압력이 높아서 디스크가 닫힐때 상당한 충격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크 및 스윙 암이 파손되며, 디스크 고정용 너트가 풀리는 등과 같은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윙타입 체크 밸브에서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충격 방지용 실린더를 설치해야 하지만, 이로 인하여 체크 밸브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른 제작비의 상승 및 고장 요인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복되는 작동으로 인하여 스윙 타입 체크 밸브에서는 로드와 몸체의 구멍 조립부가 마모되어 디스크가 처지게 되어 밀폐 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버터플라이 체크 밸브에서는 스프링과 지지핀이 마모되어 파손되는 현상과 스프링에 이물질 걸림, 압력손실에 의한 저압에서의 유량감소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작동상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08-2862호(고안의 명칭: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에서는 유체가 흐르는 다수의 슬롯 및 포펫을 차단하는 스톱퍼가 형성된 체크밸브의 내부에 유체의 수압에 의해 동작가능한 포펫을 내장하여, 역류 발생시 포펫이 자체 부력으로 부상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는 역류방지를 위해 스프링과 같은 강압적인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체크밸브 자체의 피로도를 낮추어 장기간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체크 밸브는 그 내부에 다수의 슬롯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밸브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가공이 곤란하게 되며, 이는 결국 체크밸브의 제작비 상승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상기 체크밸브는 역류 발생시 포펫이 자체 부력으로 부상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오직 수직으로 설치된 유체 이송 파이프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직을 벗어난 각도로 형성된 유체 이송 파이프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공보 제20-0204689호에서는 덮개의 입수공의 입구면에 유체통과용 유수공을 가진 밀착관과 개폐면, 원형봉체를 일체로 형성한 개폐변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개폐변을 경량, 경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역류시 자체 부력에 의해 개폐변이 작동되는 워터젯트 직기용 체크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워터젯트 직기용 체크밸브는 역류방지를 위해 스프링과 같은 강압적인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체크밸브 자체의 피로도를 낮추어 장기간 실뢰성을 유지할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체크밸브는 그 개폐변이 유체통과용 유수공을 가진 밀착판과 개폐면, 원형봉체를 일체로 성형해야 하고, 본체 역시 복수의 출수공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개폐변과 본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가공이 곤란하게 되며, 이는 결국 체크밸브의 제작비 상승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개폐변의 유체통과용 유수공과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이 복잡하여 유체역학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체크밸브 역시 역류 발생시 자체 부력에 의해 개폐변이 부상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오직 수직으로 설치된 유체 이송파이프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직을 벗어난 각도로 형성된 유체 이송파이프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밸브 본체의 관통유로에 가이드되어 양방향 슬라이드되는 개폐 디스크의 유체통과공에서 단방향성 유로를 형성하여 압력변동에 의한 개폐디스크의 차단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유체 이송 파이프 뿐만 아니라 수직을 벗어난 각도로 설치되는 유체 이송 파이프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류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개폐 디스크의 신속한 차단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 디스크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최소압력에 상응하는 압력변화에도 개폐 디스크의 차단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으로 역류를 차단하여 체크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는 내부가 중공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부(10);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나사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된 제 1 유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로(21) 상에 상기 제 1 유로(21)보다 직경이 큰 안내부(22)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 결합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부(22)의 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된 밸브본체(20); 상기 안내부(22)보다 직경이 작으며 내부가 중공된 제 2 유로(31)가 형성되고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결합부(10)와 상기 밸브본체(20)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어댑터(30); 및 상기 밸브본체(20)의 안내부(22)에 수용되고 유체의 압력변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상기 밸브본체(20) 측에 결합되는 어댑터(3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 2 유로(31)를 개폐하며, 상기 제 2 유로(31)와 인접하는 일측 중앙부위에는 상기 제 2 유로(31)를 통과한 유체를 외곽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돔형 돌출부(41)가 형성되고, 외곽부위에는 상기 돔형 돌출부(41)에 의해 외곽방향으로 유도된 유체를 유체배출측에 위치한 제 1 유로(21)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42)이 형성되되 상기 유체통과공(42)의 전체 종단면적이 상기 유체통과공이 형성되지 않는 종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개폐디스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31)의 단부에는 상기 돔형 돌출부(41)의 외곽부위가 안착되도록 하는 환형 안착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밸브본체(20)는, 상기 안내부(22)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 1 유로(21)에 돌출형성되며 역류되는 유체가 상기 제 1 유로(21)와 인접하는 상기 개폐디스크(40)의 타측 중앙부위로 유도되도록 돌출부위가 내측으로 만곡된 유선형 돌기부(24)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폐디스크(40)는, 상기 제 1 유로(21)와 인접하는 타측 중앙부위에 상기 유선형 돌기부(24)에 의해 유도된 유체가 충돌하여 상기 개폐디스크의 외곽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는 돔형 요홈(4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정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개폐디스크(40)를 상기 안내부(22)의 걸림턱(23)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역방향으로 흐르는 유체가 통과되는 것을 억제하여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개폐디스크(40)를 상기 어댑터(3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 2 유로(31)와 인접하도록 하는 상기 개폐디스크(40)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통과공(42)은 정방향 유체흐름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20)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어댑터(30)의 후단부에는 역방향 유체흐름시 상기 개폐디스크(40)에 의한 제 2 유로(31)의 폐쇄시 상기 유체통과공(42)에 삽입되어 역방향 유체흐름을 1차 차단되도록 하는 삽입돌기(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디스크(40) 외주연 및 상기 안내부(22) 내주연의 종단면형상은 상기 개폐디스크(40)가 상기 안내부(2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공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는 밸브의 구조가 단순하여 가공이 용이하며, 개폐디스크의 자체 부력이 아닌 밸브본체의 관통 유로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폐 디스크가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역류를 방지하므로 모든 각도에 형성된 유체 이송파이프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 역류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제어하여 개폐 디스크가 중앙으로 쏠리도록 함으로써 개폐 디스크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신속한 역류 유체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개폐 디스크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최소압력에 상응하는 압력변화에도 개폐 디스크의 역류 차단작동이 가능하며, 역류차단을 이중으로 하게 되므로 체크 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개폐디스크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개폐디스크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정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정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역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역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개폐디스크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개폐디스크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정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정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역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체크밸브의 역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방지용 체크밸브는 공급관과 결합되는 결합부(10); 배출관과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된 제 1 유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로(21) 상에 안내부(22)가 형성되며 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된 밸브본체(20); 내부가 중공된 제 2 유로(31)가 형성되고,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결합부(10)와 상기 밸브본체(20)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하는 어댑터(30); 및 상기 밸브본체(20)의 안내부(22)에 수용되고 유체의 압력변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제 2 유로(31)를 개폐하며, 돔형 돌출부(41)와 제 1 유로(21)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42)이 형성된 개폐디스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1)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0)는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상기 어댑터(30)의 제 2 유로(31)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밸브본체(20)는, 도 1에서와 같이,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2)과 나사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된 제 1 유로(21)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본체(20)에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유로(21) 상에 상기 제 1 유로(21)보다 직경이 큰 안내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22)에는 상기 개폐디스크(40)가 삽입되며, 상기 개폐디스크(40)는 상기 안내부(22)의 내주연을 따라 안내되어 유체의 정방향 흐름 및 유체의 역방향 흐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배출관 결합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부(22)의 단부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3)은 유체의 정방향 흐름시에 상기 안내부(22)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개폐디스크(40)를 걸리도록 하여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상기 어댑터(30)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부(22)보다 직경이 작으며 내부가 중공된 제 2 유로(31)가 형성되고,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결합부(10)와 상기 밸브본체(20)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또한, 유체의 역류시 상기 어댑터(30)의 후단부는 상기 개폐디스크(4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접하게 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디스크(40)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밸브본체(20)의 안내부(22)에 수용되고 유체의 압력변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상기 밸브본체(20) 측에 결합되는 어댑터(3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 2 유로(31)를 개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디스크(40)는 상기 제 2 유로(31)와 인접하는 일측 중앙부위에는 상기 제 2 유로(31)를 통과한 유체를 외곽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돔형 돌출부(41)가 도 2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어댑터(30)의 상기 제 2 유로(31)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돔형 돌출부(41)에 충돌하게 된다. 유체가 충돌하게 되면 상기 어댑터(30)의 후단부에 접하여 제 2 유로(31)를 폐쇄하고 있던 개폐디스크(40)를 상기 안내부(22)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안내부(22)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3)에 걸리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유체가 상기 돔형 돌출부(41)에 충돌한 후에는 상기 돔형 돌출부(41)의 외형을 따라 외측으로 흐르면서 외곽방향으로 유도되게 된다(도 4 참조).
상기 개폐디스크(40)의 외곽부위에는 상기 돔형 돌출부(41)에 의해 유도된 유체를 유체배출측에 위치한 제 1 유로(21)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42)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곽방향으로 유도된 유체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디스크(40)의 외곽부위에 형성된 유체통과공(42)으로 배출되어 상기 제 1 유로(21)로 이동되게 된다.
역류시에 유체가 개폐디스크(40)에 압력이 작용하게 될 때 상기 유체통과공(42)과 개폐디스크(40)의 유체통과공(42)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유체의 압력이 모두 작용하게 되므로 이 압력차를 이용하여 개폐디스크가 폐쇄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통과공(42)의 전체 종단면적은 상기 유체통과공(42)이 형성되지 않는 종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역류시에 상기 제 1 유로(21)에 있는 유체에 의해 상기 개폐디스크(40)에 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유체통과공(42)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상기 유체통과공(42)이 형성되지 않는 개폐디스크(40)의 면에 작용하는 압력이 더 크게 되므로 개폐디스크(40)는 상기 어댑터(30) 방향으로 점점 이동되게 되며, 결국 상기 개폐디스크(40)에 의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 2 유로(31)가 폐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체통과공(42)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개폐디스크(40) 종단면적에 대한 개폐디스크(40)에 형성된 상기 유체통과공(42)의 전체 종단면적의 비율이 너무 크면 역류시 개폐디스크(40)의 폐쇄시간이 너무 길게 되어 체크밸브의 역할수행이 어렵게 되며, 너무 작으면 정류시 유체가 개폐디스크(40)의 유체통과공(42)으로 통과될 때 통과되는 유체의 압력이 너무 크게 작용되어 개폐디스크(40)의 슬라이드 이동시 소음을 발생되게 되며 개폐디스크(40)의 마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적당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비율은 30~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디스크(40)의 슬라이드 작동에 의한 제 2 유로(31)의 더욱 효과적인 폐쇄를 이루기 위해서는 역류시에 유체통과공(42)으로 흐르는 유체를 줄여주는 것이다.
역류시에 유체통과공(42)으로 흐르는 유체를 줄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는 상기 제 1 유로(21)에 형성되는 유선형 돌기부(24)와 상기 개폐디스크(40)의 상기 제 1 유로(21)와 인접하는 타측 중앙부위에는 형성되는 돔형 요홈(43)이 도 3,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유선형 돌기부(24)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부(22)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 1 유로(21)에 돌출형성된다. 역류되는 유체가 상기 제 1 유로(21)와 인접하는 상기 개폐디스크(40)의 타측 중앙부위로 유도되도록 유체 배출측에 위치한 상기 유선형 돌기부(24)는 돌출부위 내측으로 만곡된다. 유체가 상기 제 1 유로(21)로 유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유선형 돌기부(24)는 유선형상으로 외향 돌출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도록 한다.
상기 돔형 요홈(43)은 상기 개폐디스크(40)의 상기 제 1 유로(21)와 인접하는 타측 중앙부위에는 상기 유선형 돌기부(24)에 의해 유도된 유체가 충돌하여 상기 개폐디스크의 외곽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선형 돌기부(24)와 상기 돔형 요홈(43)을 구비하게 되면 역류되는 유체의 많은 부분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돔형 요홈(43)에 흐르게 되어 개폐디스크(40)의 유체통과공(42)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가 적게 되므로 개폐디스크(40)의 폐쇄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역류시에 유체통과공(42)으로 흐르는 유체를 줄이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유체통과공(42)을 정방향 유체흐름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정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개폐디스크(40)를 상기 안내부(22)의 걸림턱(23)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역방향으로 흐르는 유체가 통과되는 것을 억제하여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개폐디스크(40)를 상기 어댑터(3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 2 유로(31)와 인접하도록 하는 상기 개폐디스크(40)의 원활한 개폐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압력변동에 의한 개폐디스크의 차단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유체 이송 파이프 뿐만 아니라 수직을 벗어난 각도로 설치되는 유체 이송 파이프에도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역류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개폐디스크의 신속한 차단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개폐 디스크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최소압력에 상응하는 압력변화에도 개폐 디스크의 차단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로(31)의 단부에는 상기 돔형 돌출부(41)의 외곽부위가 안착되도록 하는 환형 안착부(3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형 안착부(32)는 유체 역류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돔형 돌출부(41)의 외곽부위가 안착되도록 하여 제 2 유로(31)가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돔형 돌출부(41)의 외곽부위가 상기 환형 안착부(32)에 안착됨으로써 역류되는 유체의 최종적인 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돔형 돌출부(41)의 외곽부위가 상기 환형 안착부(32)에 안착됨으로써 역류되는 유체의 최종적인 차단이 이루어지나, 진동 등에 의해 유체통과공(42)에 존재하는 유체가 상기 돔형 돌출부(41)와 환형 안착부(32)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 2 유로(31)로 역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본체(20)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어댑터(30)의 후단부에는 역방향 유체흐름시 상기 개폐디스크(40)에 의한 제 2 유로(31)의 폐쇄시 상기 유체통과공(42)에 삽입되어 역방향 유체흐름을 1차 차단되도록 하는 삽입돌기(3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삽입돌기(33)를 구비하게 되면 이 삽입돌기(33)가 도 6에서와 같이 유체통과공(42)에 삽입되어 1차 유체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돔형 돌출부(41)의 외곽부위가 상기 환형 안착부(32)에 안착됨으로써 역류되는 유체의 최종적인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역류차단을 이중으로 하게 되므로 체크 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디스크(4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삽입돌기(33)가 상기 유체통과공(42)에 삽입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개폐디스크(40) 외주연 및 상기 안내부(22) 내주연의 종단면형상을 장공형이 되도록 하여(도시되지 않음) 상기 개폐디스크(40)가 상기 안내부(2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공급관 2 : 배출관
10: 결합부 20: 밸브본체
21: 제 1 유로 22: 안내부
23: 걸림턱 24: 유선형 돌기부
30: 어댑터 31: 제 2 유로
32: 환형 안착부 33: 삽입돌기
40: 개폐디스크 41: 돔형 돌출부
42: 유체통과공 43: 돔형 요홈

Claims (6)

  1. 내부가 중공되고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부(10);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나사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된 제 1 유로(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로(21) 상에 상기 제 1 유로(21)보다 직경이 큰 안내부(22)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 결합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부(22)의 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된 밸브본체(20);
    상기 안내부(22)보다 직경이 작으며 내부가 중공된 제 2 유로(31)가 형성되고 전단부와 후단부가 상기 결합부(10)와 상기 밸브본체(20)에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어댑터(30); 및
    상기 밸브본체(20)의 안내부(22)에 수용되고 유체의 압력변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상기 밸브본체(20) 측에 결합되는 어댑터(3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 2 유로(31)를 개폐하며, 상기 제 2 유로(31)와 인접하는 일측 중앙부위에는 상기 제 2 유로(31)를 통과한 유체를 외곽방향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돔형 돌출부(41)가 형성되고, 외곽부위에는 상기 돔형 돌출부(41)에 의해 외곽방향으로 유도된 유체를 유체배출측에 위치한 제 1 유로(21)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유체통과공(42)이 형성되되 상기 유체통과공(42)의 전체 종단면적이 상기 유체통과공이 형성되지 않는 종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개폐디스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31)의 단부에는 상기 돔형 돌출부(41)의 외곽부위가 안착되도록 하는 환형 안착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20)는, 상기 안내부(22)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 1 유로(21)에 돌출형성되며 역류되는 유체가 상기 제 1 유로(21)와 인접하는 상기 개폐디스크(40)의 타측 중앙부위로 유도되도록 돌출부위가 내측으로 만곡된 유선형 돌기부(24)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폐디스크(40)는, 상기 제 1 유로(21)와 인접하는 타측 중앙부위에 상기 유선형 돌기부(24)에 의해 유도된 유체가 충돌하여 상기 개폐디스크의 외곽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는 돔형 요홈(4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정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개폐디스크(40)를 상기 안내부(22)의 걸림턱(23)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역방향으로 흐르는 유체가 통과되는 것을 억제하여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켜 상기 개폐디스크(40)를 상기 어댑터(3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 2 유로(31)와 인접하도록 하는 상기 개폐디스크(40)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통과공(42)은 정방향 유체흐름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20)와 결합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어댑터(30)의 후단부에는 역방향 유체흐름시 상기 개폐디스크(40)에 의한 제 2 유로(31)의 폐쇄시 상기 유체통과공(42)에 삽입되어 역방향 유체흐름을 1차 차단되도록 하는 삽입돌기(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디스크(40) 외주연 및 상기 안내부(22) 내주연의 종단면형상은 상기 개폐디스크(40)가 상기 안내부(2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공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KR1020100083646A 2010-08-27 2010-08-27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KR10123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646A KR101238180B1 (ko) 2010-08-27 2010-08-27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646A KR101238180B1 (ko) 2010-08-27 2010-08-27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981A KR20120019981A (ko) 2012-03-07
KR101238180B1 true KR101238180B1 (ko) 2013-02-28

Family

ID=4612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646A KR101238180B1 (ko) 2010-08-27 2010-08-27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1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0352A (zh) * 2016-06-01 2016-11-0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单向活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396B1 (ko) * 2016-12-28 2017-03-02 (주)에스지유테크 반도체공정설비의 압력배관에 사용되는 역압방지밸브
KR102163629B1 (ko) * 2018-12-31 2020-10-08 주식회사 디쌤 커플러
KR102348676B1 (ko) * 2020-03-10 2022-01-07 홍춘강 체크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010A (ja) * 1995-12-26 1997-07-11 Tsudakoma Corp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の逆止弁
KR200204689Y1 (ko) 2000-06-05 2000-12-01 방해규 워터젯트 직기용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010A (ja) * 1995-12-26 1997-07-11 Tsudakoma Corp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の逆止弁
KR200204689Y1 (ko) 2000-06-05 2000-12-01 방해규 워터젯트 직기용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0352A (zh) * 2016-06-01 2016-11-0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单向活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981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955B1 (ko) 스토퍼 체크 밸브
KR101238180B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US20180245582A1 (en) Pipe device including slam mitigating means
US20050121084A1 (en) Ball check valve
CN205260931U (zh) 一种仿生低压降轴流式止回阀
JP6469406B2 (ja) 逆止弁および逆止弁セット
CN102865389B (zh) 抗水锤倒流防止器
CN201487322U (zh) 一种具有阀板缓闭功能的止回阀
US4069840A (en) Ball check valve
KR20170099511A (ko) 역류방지 체크밸브
KR101610711B1 (ko) 체크밸브
CN103411004B (zh) 文丘里管型低阻力倒流防止器
KR101203049B1 (ko) 역류 방지 밸브
CN105587949A (zh) 一种防止泄漏的止回阀
KR200204278Y1 (ko) 체크밸브
KR200415262Y1 (ko) 역지변 일체형 수도용 밸브
ES2218740T3 (es) Servovalvula, especialmente vvalvula de cierre automatica o lavador a presion.
CN218207976U (zh) 一种具有止回功能的球阀
KR101018023B1 (ko) 디스크 고정형 플로트밸브
CN219221365U (zh) 一种大口径静音止回阀
JP3490242B2 (ja) ボール逆止め弁
CN219712439U (zh) 鼠笼式消能逆止阀
KR102603563B1 (ko) 노즐체크밸브
KR20080002862U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US20140069530A1 (en) Check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