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563B1 - 노즐체크밸브 - Google Patents

노즐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563B1
KR102603563B1 KR1020220011481A KR20220011481A KR102603563B1 KR 102603563 B1 KR102603563 B1 KR 102603563B1 KR 1020220011481 A KR1020220011481 A KR 1020220011481A KR 20220011481 A KR20220011481 A KR 20220011481A KR 102603563 B1 KR102603563 B1 KR 10260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nozzle body
fluid
nozz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5017A (ko
Inventor
오찬세
동와룡
Original Assignee
우성밸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밸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밸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563B1/ko
Publication of KR2023011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200/00Details of valves
    • F16K2200/30Sp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입구 중심에 노즐동체가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유속에 의해 개방되었을 때는 상기 노즐동체와 함께 상기 밸브몸체 내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에서의 유체의 유입이 멈춰 폐쇄되었을 때는 상기 유로를 막으면서도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가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일측에 디퓨저가 일체로 위치하는 디스크를 이용하여 지지대가 디스크에만 연결되므로, 디스크가 회전되어도 지지대가 엇배열되지 않고 유로를 일정한 넓이로 유지해 유로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디스크가 회전되어도 유체의 수압이 유지되어 유체의 수압상승으로 인한 디스크의 떨림을 줄일 수 있고, 디스크가 개방되었을 때 디스크가 디퓨저에 부딛히지 않게 되어 디스크의 떨림이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노즐체크밸브{Nozzle Check Valve}
본 발명은 노즐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의 유로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유체를 확산시켜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디퓨저를 일체로 형성하여, 밸브 내부의 디스크의 떨림 및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노즐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즐체크밸브는 내부 구조가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압력손실과 유량손실이 적고, 유체가 역류하기 전에 디스크를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즐체크밸브는 최근 들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그 하나의 예로 도 1에 도시된 노즐체크밸브(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9717호)를 들 수 있다. 이 노즐체크밸브는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노즐체크밸브와 마찬가지로 노즐동체(103)와 디스크축(105)이 일체로 되어 있고, 노즐동체(103)와 디퓨저(109) 사이에서 링 형태의 디스크(107)가 유입되는 유체 유량에 따라 디스크축(105) 위를 미끄럼 이동하면서 시트(111)와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밸브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7)는 디스크축(105)의 외둘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허브(121)와, 허브(121)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대(122)와, 복수의 지지대(122)의 선단에 연결되어 밸브의 유로를 개폐하는 디스크판(123)으로 구성돼 전체적으로 디스크축(105)에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밸브의 유로를 개폐가능하도록 되어있고, 디퓨저(109)는 디스크축(105)의 후단에 고정되는 고정부(141)와, 고정부(141)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대(142)와, 복수의 지지대(142)의 선단에 연결되는 디퓨저몸체(143)로 구성돼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디스크(107)와 디퓨저(109)를 포함하는 종래의 노즐체크밸브(101)는 디스크(105)가 미끄럼 이동되어 유체가 유입될 때, 디스크(107) 전체가 디스크축(105)에 미끄럼 이동되면서 유체가 디스크판(123)이나 지지대(122)에 부딛혀 디스크축(105)의 축선상에서 회전되는데, 이로인해 디스크(107)의 지지대(122)가 디퓨저(109)의 지지대(142)와 정렬되지 않고 엇갈리게 되어 유로가 두 지지대(122,142)의 엇갈림에 의해 좁아지게 되고, 좁아진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압에 의해 유체가 두 지지대(122,142)에 함께 부딛혀 디스크(107)에 가해지는 충격이 더욱 강해지게 되며, 따라서 디스크(107)와 디퓨저(109)가 서로 접한 상태로 유체가 가하는 강한 충격으로 인한 디스크(107) 자체의 떨림이나 디스크(107)와 디퓨저(109)가 서로 부딛치는 충격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체가 유속에 의해 디스크(107)가 개방될 때, 디스크(107)가 완전히 개방되어 디퓨저(109)와 접할 때까지 디스크(107)가 미끄럼 이동되는데, 미끄럼 이동하는 도중에 디스크(107)와 디퓨저(109)가 아직 접하지 않을 때는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디스크판(123)과 디퓨저몸체(143)의 사이에 유입되어 유동하게 되고, 따라서 디스크(107)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보다 유체의 유동을 저지하는 면이 넓어져 더 큰 저항을 받게 되므로, 디스크(107)가 개방될 때 마다 디퓨저(109)에 가해지는 유압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의해 디퓨저(109) 자체나 디퓨저(109)를 고정하는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어 자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노즐체크밸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체의 유입에 의해 디스크가 개방되면서 회전되었을 때 디스크의 지지대와 디퓨저의 지지대의 엇갈림으로 인해 유로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체가 디스크에 가하는 충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디스크의 떨림이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노즐체크밸브 내의 유체의 이동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유체를 저지하는 부분을 최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즐체크밸브는, 입구 중심에 노즐동체가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유속에 의해 개방되었을 때는 상기 노즐동체와 함께 상기 밸브몸체 내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에서의 유체의 유입이 멈춰 폐쇄되었을 때는 상기 유로를 막으면서도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가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는, 상기 노즐동체의 일측 외둘레에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되고, 상기 노즐동체 상에서 일측에 상기 스프링이 끼워져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허브; 상기 허브와 함께 이동하여 노즐동체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몸체의 내주면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개방 방향에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위치하고,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어 상기 밸브몸체 내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디퓨저부; 및 상기 개폐부와 상기 디퓨저부를 상기 허브에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동체의 출구 방향에 상기 밸브몸체와 동축 상으로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노즐동체의 출구 방향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몸체; 및 상기 가이드몸체의 외둘레와 상기 노즐동체의 일측 외둘레를 감싸고, 상기 디스크가 외둘레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가 상기 노즐동체의 일측 외둘레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외둘레에 모두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부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동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노즐동체에 밀착시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노즐동체에 고정하고, 상기 노즐동체에서 탈거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노즐동체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노즐동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노즐체크밸브에 따르면, 일측에 디퓨저가 일체로 위치하는 디스크를 이용하여 지지대가 디스크에만 연결되므로, 디스크가 회전되어도 지지대가 엇배열되지 않고 유로를 일정한 넓이로 유지해 유로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디스크가 회전되어도 유체의 수압이 유지되어 유체의 수압상승으로 인한 디스크의 떨림을 줄일 수 있고, 디스크가 개방되었을 때 디스크가 디퓨저에 부딛히지 않게 되어 디스크의 떨림이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크의 개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도 기존의 디스크와 디퓨저가 일체로 이루어져 디스크와 디퓨저 사이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고 유체의 유동경로가 일정하게 되므로, 유체가 유입될 때 디스크나 디퓨저의 내부에 충격을 가하지 않아 디스크의 수명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노즐체크밸브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노즐체크밸브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노즐체크밸브의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체크밸브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노즐체크밸브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10), 디스크(20) 및 스프링(30)을 포함한다.
밸브몸체(10)는 밸브(1)의 케이스를 이루는 하나의 짧은 관체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3)로부터 출구(14)까지 밸브(1)의 전장을 결정한다. 또한, 밸브몸체(10)는 입구(13)를 환형으로 만들기 위해 입구 중심 부분에 노즐동체(11)가 형성되며, 입구(13)는 이 노즐동체(11)에 의해 단면 상 안쪽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노즐 모양을 만들게 된다. 이때, 노즐동체(11)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리브(12)를 통해 밸브몸체(10)와 이어진다. 이에 따라, 노즐동체(11)는 출구(14) 측 후단의 둘레부분에 내측시트(16)를 형성하며, 밸브몸체(10) 내주면의 내측시트(16)와 호응하는 위치에 외측시트(15)가 형성된다. 또한, 노즐동체(11)는 출구(14) 측에 돌출부(11a)가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술하는 디스크(20)의 일부분이 노즐동체(11)의 출구(14) 측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돌출부(11a)는 밸브(1)의 내부에서 출구(14) 측 까지 연속되어 연장될 수도 있지만, 유체의 유입으로 인해 디스크(20)가 회전되거나 디스크(20)가 유체로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회전축에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a)의 출구(14) 방향 단부에 디스크(20)가 일정길이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4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0)는 노즐동체(11)의 출구(14) 방향에 밸브몸체(10)와 동축 상으로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20)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디스크(20)가 외둘레에 가이드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41) 및 부시(42)를 포함하여 밸브(1) 내부의 파손 상태에 따라 일부 부품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가이드몸체(41)는 가이드부재(4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동체(11)의 출구(14) 방향 단부 즉, 돌출부(11a)의 단부에 밸브몸체(10)와 동축 상에 위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며, 돌출부(11a)의 후단이 연장되도록 한다.
부시(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41)의 외둘레와 돌출부(11a)의 외둘레를 감싸 돌출부(11a) 및 가이드몸체(41)의 외둘레와 디스크(20)의 사이를 채우는 것으로서, 외둘레에 디스크(2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크(20)가 돌출부(11a)와 가이드몸체(41)의 외둘레에 모두 가이드되어 일정길이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동체(11)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디스크(20)의 이동으로 인한 부시(42)나 가이드몸체(41)의 마모 및 파손이 발생했을 때, 노즐동체(11)로부터 분해하여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40)를 노즐동체(11)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가이드몸체(41)에 노즐동체(11) 방향으로 숫나사부를 돌출시키고 노즐동체(11)의 돌출부(11a)에 숫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거나, 노즐동체(11)의 돌출부(11a)로부터 가이드몸체(41) 방향으로 숫나사부를 돌출시키고 가이드몸체(41)에 숫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체결할 수도 있지만, 밸브(1)내에서 유체가 유동할 때 디스크(20)가 회전하게 되면 디스크(20)의 회전에 의해 체결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와 같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부재(50)를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재(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41)를 관통하여 노즐동체(11)의 돌출부(11a)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헤드(51) 부분이 가이드몸체(41)를 노즐동체(11)의 돌출부(11a)에 밀착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 체결하여 결합하면, 체결부재(50)가 가이드몸체(41)를 두 부분 이상 지지하여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므로, 디스크(20)가 회전되어도 가이드몸체(41)가 회전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5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a)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므로, 가이드몸체(41)를 노즐동체(11)에서 쉽게 착탈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디스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를 개폐하는 부분으로서, 밸브(1)의 내부에서 노즐동체(11)와 동축으로 입구(13) 또는 출구(14)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21), 개폐부(22), 디퓨저부(23) 및 지지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허브(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41)의 외둘레 즉, 가이드몸체(41)의 외둘레에 결합된 부시(42)의 외둘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가이드되는 부분이다.
개폐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21)와 연결돼 함께 이동하여 노즐동체(11)의 외주면과 밸브몸체(10)의 내주면 사이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유체가 밸브몸체(10)의 입구(13)로부터 유입돼 그 유속으로 개폐부(22)를 밀어내면, 개폐부(22)와 연결된 허브(21)가 가이드부재(40)의 외둘레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밸브몸체(10)의 내측시트(16)와 외측시트(15)와 접해있던 개폐부(22)가 허브(21)와 함께 노즐동체(11)와 동축상을 따라 밀려나 외측시트(15)와의 사이에는 외측유로(OF)를 형성하고, 내측시트(16)와의 사이에는 내측유로(IF)를 형성한다.
또한, 유체의 유입이 멈추거나, 출구(14) 방향으로부터 유체가 역류하게 되면, 가이드부재(40)에 탄력적으로 가이드되는 허브(21)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개폐부(22)가 외측시트(15) 및 내측시트(16)와 접한 상태가 되고, 따라서 외측유로(OF)와 내측유로(IF)를 막으면서 내측시트(16)와 외측시트(15)와 접한 상태로 유체의 역류가 불가능하도록 한다.
디퓨저부(23)는 외측유로(OF) 내측유로(IF)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2)와 일체로 위치하여 개폐부(22)와 함께 이동하며, 개폐부(22)의 출구(14) 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바, 노즐동체(11), 개폐부(22)와 함께 밸브몸체(10) 내에 외측유로(OF) 및 내측유로(IF)를 형성한다.
또한, 디퓨저부(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2)와 함께 내측유로(IF) 및 외측유로(OF)를 형성하는 부분이 개폐부(22)의 외부몸체와 연속되어 형성되어 유체가 이동될 때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출구(14) 방향으로 갈 수록 유로(OF,IF)가 넓어지도록 해 유체가 더 넓은 공간을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유속이 감속되도록 한다.
지지대(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2)와 디퓨저부(23)를 허브(21)에 일체로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허브(21)로부터 적어도 2개 이상 돌출되어 개폐부(22)와 디퓨저부(23)를 허브에 일체로 연결하며, 단면을 판이나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하면 유체가 유로(OF,IF)를 따라 이동할 때 지지대(24)에 부딛혀도 유체가 자연스럽게 외면을 타고 흐르게 되어 유체의 유속에 의해 받는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형성되는 디스크(20)는 일측에 개폐부(22)와 디퓨저부(23)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대(24)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부(22)와 디퓨저부(23)에만 연결되므로, 디스크(20)가 유체의 충격에 의해 회전되어도 지지대(24)가 엇배열되지 않고 유로(OF,IF)를 일정한 넓이로 유지해 유로(OF,IF)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디스크(20)가 회전되어도 유체의 수압이 유지되어 유체의 수압상승으로 인한 디스크(20)의 떨림을 줄일 수 있고, 디스크(20)가 개방되었을 때 디스크(20)가 디퓨저에 부딛히지 않게 되어 디스크(20)의 떨림이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크(20)의 개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도 개폐부(22)와 디퓨저부(23)가 일체로 이루어져 개폐부(22)와 디퓨저부(23) 사이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고 유체의 유동경로가 일정하게 되므로, 유체가 유입될 때 개폐부(22)나 디퓨저부(23)의 내부에 충격을 가하지 않아 디스크(20)의 수명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30)은 디스크(20)가 탄력적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허브(21)의 출구(14) 측 단부에 접하고, 타단은 스프링(30)을 허브(21)와의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40)의 출구(14) 측 단부에 고정된 커버(60)에 접한다.
따라서, 스프링(30)은 일단이 커버(60)에 접한상태로 유지되고, 디스크(20)가 유체의 유속에 의해 밀려날 때 허브(21)가 미끄럼 이동 함으로써 출구(14) 방향 즉, 커버(60)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스프링(30)이 줄어들게 되며, 유체의 유입이 멈추게 되면 스프링(30)이 탄력적으로 늘어나 허브(21)를 다시 입구(13)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개폐부(22)가 외측시트(15)와 내측시트(16)에 다시 접하여 밸브(1)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노즐체크밸브 10 : 밸브몸체
11 : 노즐동체 13 : 입구
14 : 출구 20 : 디스크
30 : 스프링

Claims (4)

  1. 삭제
  2. 입구(13) 중심에 노즐동체(11)가 형성된 밸브몸체(10);
    상기 밸브몸체(10)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구(13)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유속에 의해 개방되었을 때는 상기 노즐동체(11)와 함께 상기 밸브몸체(10) 내에 유로(OF,IF)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13)에서의 유체의 유입이 멈춰 폐쇄되었을 때는 상기 유로(OF,IF)를 막으면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디스크(20); 및
    상기 디스크(20)가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30);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20)는,
    상기 노즐동체(11)의 일측 외둘레에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되고, 상기 노즐동체(11) 상에서 일측에 상기 스프링(30)이 끼워져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허브(21);
    상기 허브(21)와 함께 이동하여 노즐동체(11)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몸체(10)의 내주면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부(22);
    상기 개폐부(22)의 개방 방향에 상기 개폐부(22)와 일체로 위치하고, 상기 개폐부(22)가 개방되어 상기 밸브몸체(10) 내에 상기 유로(OF,IF)가 형성되었을 때, 상기 유로(OF,IF)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디퓨저부(23); 및
    상기 개폐부(22)와 상기 디퓨저부(23)를 상기 허브(21)에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체크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동체(11)의 출구(14) 방향에 상기 밸브몸체(10)와 동축 상으로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상기 노즐동체(11)의 출구(14) 방향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몸체(41); 및
    상기 가이드몸체(41)의 외둘레와 상기 노즐동체(11)의 일측 외둘레를 감싸고, 상기 디스크(20)가 외둘레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20)가 상기 노즐동체(11)의 일측 외둘레와 상기 가이드몸체(41)의 외둘레에 모두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부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체크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즐동체(11)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40)를 상기 노즐동체(11)에 밀착시켜 상기 가이드부재(40)를 상기 노즐동체(11)에 고정하고, 상기 노즐동체(11)에서 탈거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40)가 상기 노즐동체(11)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재(40)를 상기 노즐동체(11)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체크밸브.
KR1020220011481A 2022-01-26 2022-01-26 노즐체크밸브 KR10260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81A KR102603563B1 (ko) 2022-01-26 2022-01-26 노즐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81A KR102603563B1 (ko) 2022-01-26 2022-01-26 노즐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017A KR20230115017A (ko) 2023-08-02
KR102603563B1 true KR102603563B1 (ko) 2023-11-17

Family

ID=8756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481A KR102603563B1 (ko) 2022-01-26 2022-01-26 노즐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5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5409A1 (en) 1984-05-11 1985-12-05 Montgomery, Peter, Ross Pump valves
KR102348726B1 (ko) 2020-08-07 2022-01-10 우성밸브 주식회사 노즐체크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5715B (en) * 2015-02-24 2017-02-15 Goodwin Plc Nozzle check valve
KR102039184B1 (ko) * 2017-12-27 2019-10-31 이의호 체크밸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5409A1 (en) 1984-05-11 1985-12-05 Montgomery, Peter, Ross Pump valves
KR102348726B1 (ko) 2020-08-07 2022-01-10 우성밸브 주식회사 노즐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017A (ko)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934B2 (en) Diaphragm valve for irrigation systems
US4196745A (en) Flap valve
KR102489572B1 (ko) 노즐 체크 밸브
RU2354807C1 (ru) Узел створчатого клапана с урав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случаях захлопывания шарнирной заслонки с высокой скоростью
US3036594A (en) Universal position check valve
US20170108131A1 (en) Check valve
CN101737533B (zh) 一种防水锤静音止回阀
KR20160072556A (ko) 스토퍼 체크 밸브
KR102603563B1 (ko) 노즐체크밸브
KR102039184B1 (ko) 체크밸브 장치
KR101238180B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JP2534203B2 (ja) 加圧水形原子炉用の逆流防止弁装置
KR200449160Y1 (ko) 구형 디스크 체크밸브
KR102348726B1 (ko) 노즐체크밸브
KR102056217B1 (ko) 노즐 체크밸브용 디스크의 최적 운동속도 가변 조절장치
KR20160024651A (ko) 체크밸브
KR20180089664A (ko) 디스크에서 힌지축이 분리된 체크밸브
KR200198805Y1 (ko) 첵크밸브
JP2853050B2 (ja) 逆止弁
CN112081966A (zh) 一种旋启式止回阀
JP5643586B2 (ja) 逆止弁
CN218207976U (zh) 一种具有止回功能的球阀
KR100911933B1 (ko) 역류방지밸브
KR200482924Y1 (ko) 오토 드립 밸브
CN220706496U (zh) 一种带有缓开结构的止回阀及水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