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309B1 -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09B1
KR101912309B1 KR1020170002879A KR20170002879A KR101912309B1 KR 101912309 B1 KR101912309 B1 KR 101912309B1 KR 1020170002879 A KR1020170002879 A KR 1020170002879A KR 20170002879 A KR20170002879 A KR 20170002879A KR 101912309 B1 KR101912309 B1 KR 10191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opening
closing valv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941A (ko
Inventor
신현오
Original Assignee
신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오 filed Critical 신현오
Priority to KR102017000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상으로 내측의 이격되는 위치에 제1,2나사산이 각각 구비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밸브 및 상기 바디에 삽입되면서 세면대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토수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는 벽체에 매립되는 공급관에 연결되는 나사결합부가 구비되면서 축소되는 직경의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는 제1나사산에 제1이송나사 조립된 후 전,후진시 유입구를 폐쇄 또는 개방토록 설치되고, 상기 토수구는 관형상으로 바디의 내경에 밀착토록 하나 이상의 오링이 구비되면서 제2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이송나사가 구비되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수밸브{feed water valve}
본 발명은 관형상으로 내측의 이격되는 위치에 제1,2나사산이 각각 구비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개폐밸브 및 상기 바디에 삽입되면서 세면대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토수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는 벽체에 매립되는 공급관에 연결되는 나사결합부가 구비되면서 축소되는 직경의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밸브는 제1나사산에 제1이송나사 조립된 후 전,후진시 유입구를 폐쇄 또는 개방토록 설치되고, 상기 토수구는 관형상으로 바디의 내경에 밀착토록 하나 이상의 오링이 구비되면서 제2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이송나사가 구비되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등과 같이 벽에 부착되는 용기의 용수 공급은, 벽 내부에배관된 용수 공급관과 세면대에 설치된 수도꼭지, 이 수도꼭지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공급관을 연결하는 앵글밸브 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이 체결되는 앵글밸브와, 상기 앵글밸브와 공급관에 연결되는 연장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글밸브 및 연장관을 연결시킬시에는 누수를 차단하도록 연장관 단부 둘레에 테이프를 감은 후 앵글밸브에 체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공개실용신안 제1998-8791호에 앵글밸브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세면대(1) 상에 수도꼭지(2)가 설치되고 그 하측으로 연결관(3)이 결합되어 있으며, 벽체(4)에는 용수 공급관(5)이 매입설치되고, 상기 연결관(3)과 용수 공급관(5) 사이에는 앵글밸브(16)와 이 앵글밸브(16)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연장관(17)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앵글밸브는, 연장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앵글밸브(6)의 구성으로 앵글밸브와 공급관(5) 사이의 거리 조정이 불가능하게 되고, 돌출되는 손잡이가 결합되면서 연장관이 구비된 앵글밸브가 용수 공급관(5)에 곧바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타일등의 시공작업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앵글밸브(6)와 연결관(3)의 결합을 위하여 앵글밸브의 각도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여 견고한 결합이 힘들게 되고, 상기 앵글밸브와 연결관이 직격으로 연결되어 물의 공급시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대나 수전등에 사용되는 토수구의 길이 및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토록 하며, 연결관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개폐밸브의 개방시에도 온냉수 수압차로 인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물의 흐름이 원활하여 물의 공급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밸브의 잠금 및 결합작업을 단순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급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형상으로 내측의 이격되는 위치에 제1,2나사산이 각각 구비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개폐밸브 및 상기 바디에 삽입되면서 세면대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토수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는 벽체에 매립되는 공급관에 연결되는 나사결합부가 구비되면서 축소되는 직경의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밸브는 제1나사산에 제1이송나사 조립된 후 전,후진시 유입구를 폐쇄 또는 개방토록 설치되고, 상기 토수구는 관형상으로 바디의 내경에 밀착토록 하나 이상의 오링이 구비되면서 제2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이송나사가 구비되는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는, 제1이송나사의 일측에 제1나사산 사이에서 유격을 갖도록 이송홈이 구비되는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 및 토수구는 상호 대응토록 요부 및 철부가 각각 구비되는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서 개폐밸브의 전,후진시 유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토록 T형상 단면의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상기 토수구는, 오링이 장착토록 장착홈이 형성되면서 바디에 대하여 둔각을 갖도록 절곡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구의 외면에 체결면이 일체로 구비되는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수구의 길이 및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하며, 연결관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연결하고, 앵글밸브의 개방시에도 온냉수 수압차로 인한 역류를 방지하며, 물의 흐름이 원활하여 물의 공급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고, 밸브의 잠금 및 결합작업을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앵글밸브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앵글밸브의 설치상태도이다.
도3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토수구에 의해 밸브의 회전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유입구 폐쇄 및 밸브 전,후진상태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 급수밸브의 역류방지상태, 토수구 전,후진 및 회전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앵글밸브의 설치상태도이고, 도3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토수구에 의해 밸브의 회전상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유입구 폐쇄 및 밸브 전,후진상태도이며,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 급수밸브의 역류방지상태, 토수구 전,후진 및 회전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급수밸브(V)는, 세면대나 욕조 화장실, 수전, 싱크대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관형상으로 내측의 이격되는 위치에 제1,2나사산(110)(130)이 각각 구비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개폐밸브(200) 및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면서 세면대(400)의 연결관(410)에 연결되는 토수구(30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은 세면대(400)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욕조, 화장실, 싱크대등의 다양한 장소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는, 벽체(500)에 매립되는 공급관(510)에 연결되는 나사결합부(150)가 외측에 구비되면서 축소되는 직경의 유입구(170)가 일단에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개폐밸브(200)는, 제1나사산(110)에 외경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나사(210) 조립된 후 전,후진시 유입구(170)를 폐쇄 또는 개방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토수구(300)는, 관형상으로 바디의 내경에 밀착토록 하나 이상의 제1오링(310)이 구비되면서 제2나사산(130)에 대응되는 제2이송나사(330)가 외경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오링(310)은 토수구의 일단부 외경측에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에 각각 장착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200)는, 제1이송나사(210)의 일측에 제1나사산 사이에서 유격을 갖도록 이송홈(21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200) 및 토수구(300)는 상호 대응토록 요부(257) 및 철부(255)가 각각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개폐밸브(200)는, 관통홀(270)이 형성되어 이에 대응토록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서 개폐밸브의 전,후진시 유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토록 T형상 단면의 실링부재(27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를 공급관에 연결시 누수를 방지하는 테프론재의 실테잎등을 감은 후 결합하거나 결합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오링(105)을 통하여 밀착 결합한다.
계속하여, 상기 토수구(300)는, 바디에 대하여 둔각을 갖도록 절곡되는 유출구(370)를 구비하면서 상기 유출구의 외면에 손잡이의 역활이나 공구를 통한 지지가 가능한 체결면(375)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8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급수밸브(V)는, 관형상으로 내측의 이격되는 위치에 제1,2나사산(110)(130)이 각각 구비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개폐밸브(200) 및 상기 바디(100)에 삽입되면서 세면대(400)의 연결관(410)에 연결되는 토수구(300)가 일체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디(100)를 공급관에 연결시 누수를 방지하는 테프론재의 실테잎등을 감은 후 결합하거나 일체로 구비되는 제2오링(105)을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토록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밸브가 공급관(510)에 연결될 상태로 벽체(500)에 타일등의 작업을 수행하여도 되며, 상기 앵글밸브에서 토수구(300)를 제거한 후 타일등의 부착작업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토수구(300)가 제거된 앵글밸브에는 시멘트등의 유입을 방지토록 별도의 캡(570)이 장착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급수밸브는 바디(100)의 일측에 돌출되면서 세면대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토수구(300)가 둔각을 갖도록 절곡되는 형상으로 타일등의 부착 작업시 토수구를 제거하지 않아도 작업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밸브의 조립작업은 먼저, 상기 바디의 내측에 개폐밸브(200)를 삽입한 후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토수구(300)를 통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밸브는 제1,2나사산을 순차로 타고 넘어 유입구(170)에 밀착되어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급수밸브를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하여, 상기 바디(100)에 다시금 토수구(300)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토수구(300)의 외경측에 형성되는 제2이송나사(330)가 제2나사산을 타고 넘어 걸리도록 되어 압력에 의한 후진이 방지토록 된다.
이때, 상기 토수구(300)를 더욱 회전시키면서 이송하면 제2이송나사(330)가 제2나사산을 타고넘어 제1오링을 통하여 밀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전, 후진 이송이 가능한 상태에 되어 회전및 노출정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토수구(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오링(310)이 바디의 내경측에 밀착되어 누수는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200) 및 토수구(300)는 상호 대응토록 요부(257) 및 철부(255)가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토수구의 회전시 밸브가 동시에 회전되어 토수구를 통한 밸브의 장착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200)는, 제1이송나사(210)의 일측에 제1나사산 사이에서 유격을 갖도록 이송홈(215)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밸브가 후진되어 유입구가 개방시 이송홈(215)을 통한 물의 공급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개폐밸브(200)는, 관통홀(270)이 형성되어 이에 대응토록 T형상 단면의 실링부재(275)가 장착되어 개폐밸브의 전진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부재가 유입구를 막아 물의 공급을 억제토록 하고, 상기 개폐밸브의 후진시 유입구를 개방하여 물의 공급이 가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275)는 관통홀(270)에서 자유롭게 이송토록 되어 냉온수의 수압차에 의한 물의 역류시 물의 압력에 의해 유입구 측으로 이동하여 유입구를 막게 됨으로써 물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토수구(300)는, 바디와 동일하게 직선상으로 형성되거나, 직각이나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디에 대하여 둔각을 갖도록 절곡되는 유출구(370)를 구비하여 물의 흐름이 원활하여 물의 공급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토수구는 체결면(375)이 구비되어 손을 통한 회전이나 공구를 통한 회전이 가능토록 되고, 상기 토수구에 장착되는 제1오링은 장착홈을 통하여 장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0...바디 110...제1나사산
170...유입구 200...개폐밸브
275...실링부재 300...토수구
400...세면대 410...연결관
510...공급관

Claims (5)

  1. 관형상으로 내측의 이격되는 위치에 제1,2나사산이 각각 구비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개폐밸브 및 상기 바디에 삽입되면서 세면대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토수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는 벽체에 매립되는 공급관에 연결되는 나사결합부가 구비되면서 축소되는 직경의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밸브는 제1나사산에 제1이송나사가 조립된 후 전,후진시 유입구를 폐쇄 또는 개방토록 설치되고,
    상기 토수구는, 관형상으로 바디의 내경에 밀착토록 하나 이상의 제1오링이 구비되면서 제2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이송나사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급수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제1이송나사의 일측에 제1나사산 사이에서 유격을 갖도록 이송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 및 토수구는 상호 대응토록 요부 및 철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서 개폐밸브의 전,후진시 유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토록 T형상 단면의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는, 제1오링이 장착되는 장착홈에 외경측에 구비되면서 바디에 대하여 둔각을 갖도록 절곡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면서 상기 유출구의 외면에 체결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밸브.
KR1020170002879A 2017-01-09 2017-01-09 급수밸브 KR10191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79A KR101912309B1 (ko) 2017-01-09 2017-01-09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79A KR101912309B1 (ko) 2017-01-09 2017-01-09 급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41A KR20180081941A (ko) 2018-07-18
KR101912309B1 true KR101912309B1 (ko) 2018-10-26

Family

ID=6304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879A KR101912309B1 (ko) 2017-01-09 2017-01-09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3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69B1 (ko) 2011-12-08 2012-05-14 임연정 수도전 푸시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89B1 (ko) * 2008-10-08 2010-05-13 김석진 출수방향 및 출수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
KR20090006082U (ko) * 2009-03-31 2009-06-19 대림통상 주식회사 지수전
KR101186039B1 (ko) * 2010-05-20 2012-09-26 방병민 단수 앵글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69B1 (ko) 2011-12-08 2012-05-14 임연정 수도전 푸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41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112B1 (en) Shower assembly kit with multiple functions
US7293302B2 (en) Showerhead holder
US5608928A (en) Faucet of a sink
US20050127211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conversion of a standard showerhead to a spray bar
US7373674B1 (en) Tub spout installation system
US5056562A (en) Convertible faucet/hand-shower fitting
KR200434950Y1 (ko) 수전금구 구조
KR101912309B1 (ko) 급수밸브
KR20140023093A (ko) 세면대용 정수기 출수장치
US6941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plugged pipes
US20150211218A1 (en) Combined inflow and overflow bathtub plumbing device
JPS59170513A (ja) 壁に装着可能なバキユ−ムブレ−カ
US11274424B2 (en) Detachable faucet connector
KR101119580B1 (ko) 수전금구용 밸브
US3095001A (en) Flushing device
KR101950155B1 (ko) 밸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앵글밸브
CN201406707Y (zh) 方便调节安装的免钻升降杆
WO2010012134A1 (zh) 一种新型免钻淋浴系统
KR20210050770A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461990Y1 (ko) 이중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KR101932090B1 (ko) 관 붙이용 밸브
JPH0414532Y2 (ko)
KR100884103B1 (ko) 토수구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토수밸브구조
US11774019B2 (en) Connection system for distributing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