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553U -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 Google Patents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553U
KR20080002553U KR2020070000293U KR20070000293U KR20080002553U KR 20080002553 U KR20080002553 U KR 20080002553U KR 2020070000293 U KR2020070000293 U KR 2020070000293U KR 20070000293 U KR20070000293 U KR 20070000293U KR 20080002553 U KR20080002553 U KR 200800025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hook frame
connecting member
join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안
Original Assignee
이순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안 filed Critical 이순안
Priority to KR2020070000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553U/ko
Publication of KR20080002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5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이음에서 나사결합 유니온 대신 이탈이 견고하게 방지되고 간단한 구조의 걸림테가 부여됨으로써 자재비 및 조립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관연결부재의 체적을 줄여 원자재 및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아울러 취급관리가 용이하고 설치공간 제약을 완화하도록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관연결부재 일측에 이음너트가 결합설치되며 상기 이음너트는 일단에 걸림단이 내향 돌출형성되는 관이음구에 있어서, 일측 외주연 선단부에 상기 이음너트의 걸림단이 통과가능한 단턱부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제1관구를 구비하는 관연결부재; 및 내경이 상기 관연결부재의 단턱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턱부에 걸림 결합되며 외경이 상기 이음너트의 걸림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소경부와 상기 걸림단과 상호 엇걸려 이음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링형태로 되고 주면 일 지점이 절단되어 일시 벌어짐이 가능한 걸림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A PIPE CONNECTOR WITH HOLDING FLANG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설치상태도
도 5는 종래기술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10: 관연결부재 11∼13: 제1관구∼제3관구 15: 단턱부
16: 메인관로 17: 분기관 30: 이음너트
31: 걸림단 50: 걸림테 51: 소경부
53: 플랜지부 55: 절단부 2: 앵글밸브
본 고안은 관이음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이음에서 나사결합 유니온 대신 이탈이 견고하게 방지되고 간단한 구조의 걸림테가 부여됨으로써 자재비 및 조립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관연결부재의 체적을 줄여 원자재 및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아울러 취급관리가 용이하고 설치공간 제약을 완화하도록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과 관을 잇거나 관과 밸브를 연결하는데 수반되는 관이음은 유체의 누출이 견고하게 차단됨은 물론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원가 및 생산성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종래 기술의 관이음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연결부재(110) 및 일측에 걸림단이 형성된 이음너트(130)를 이용하되, 관연결부재(110)의 일측 관구(管口)의 내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주면 나사부에 상기 이음너트(130)가 끼워진 상태로 유니온(150)이 체결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타측 관부재가 상기 이음너트(130)에 체결 연결된다.
상기 유니온(150)은 이음너트(130)가 상기 관연결부재(110)로부터 회전이 자유롭도록 잡아주기 위한 걸림 플랜지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관열결부재(110)와 유니온(150)의 접속부에는 오(O)링이 부여되고 유니온(150)과 타측 관부재 사이에는 패킹(160)이 부여되어 누수 등의 기밀누설을 방지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유니온(150)이 필수적으로 구비됨으로써 그 조립, 특히 유니온(150)의 나사체결작업에 공수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조립작 업성을 저하시키는 비효율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이음이 일측 관부재(110), 유니온(150), 타측 관부재 순으로 연결되어 이음부가 2개소로 됨으로써 향후 오링 마모시 누수가 발생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니온을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관경을 크게 형성할 수밖에 없어 불필요하게 재료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서, 스냅링이 걸림테로 기능하도록 설치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기도 하나 이 경우에는 이음너트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스냅링이 그대로 탈거되어 제기능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이음에서 나사결합 유니온 대신 이탈이 견고하게 방지되고 간단한 구조의 걸림테가 부여됨으로써 자재비 및 조립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관연결부재에 걸림테 고정용 단턱부가 돌출형성되어 메인관로의 내ㆍ외경 및 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원자재 및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아울러 취급관리가 용이하고 설치공간 제약이 완화되도록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는
관연결부재 일측에 이음너트가 결합설치되며 상기 이음너트는 일단에 걸림단이 내향 돌출형성되는 관이음구에 있어서,
일측 외주연 선단부에 상기 이음너트의 걸림단이 통과가능한 단턱부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제1관구를 구비하는 관연결부재; 및
내경이 상기 관연결부재의 단턱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턱부에 걸림 결합되며 외경이 상기 이음너트의 걸림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소경부와 상기 걸림단과 상호 엇걸려 이음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링형태로 되고 주면 일 지점이 절단되어 일시 벌어짐이 가능한 걸림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1)는 관연결부재(10) 일측에 이음너트(30)가 결합설치되며 상기 이음너트(30)는 일단에 걸림단(31)이 내향 돌출형성되는 관이음구에 있어서, 일측 외주연 선단부에 상기 이음너트의 걸림단(31)이 통과가능한 단턱부(15)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제1관구(11)를 구비하는 관연결부재(10) 및 걸림테(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테(50)는 내경이 상기 관연결부재의 단턱부(15)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턱부(15)에 걸림 결합되며 외경이 상기 이음너트(30)의 걸림단(31) 내주면에 삽입되는 소경부(51)와 상기 걸림단(31)과 상호 엇걸려 이음너트(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53)로 이루어지는 링형태로 되고 둘레의 일 지점이 절단되어 일시 벌어짐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테(50)는 소경부(51)의 외경이 플랜지부(53)를 향하여 점차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테(5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중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CM), 폴리카보네이트(PC) 등으로서, 인장강도, 굴곡탄성, 내열성, 강인성, 성형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여 구조용 및 기계부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지재이다,
상기 관연결부재(10)는 상기 제1관구(11)와 직선상에 위치되며 외주연에 나사(s)가 형성되는 제2관구(12)와, 상기 제1관구(11)와 제2관구(12) 사이인 메인관 로(16)에서 분기된 분기관(17) 선단에 위치되며 외주연에 나사(s)가 형성되는 제3관구(13)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T" 또는 "Y"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연결부재(10)는 상기 메인관로(16) 및 분기관(17)의 내경(16a)(17a)이 상기 제2관구(12) 및 제3관구(13)의 내경(12a)(13a)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55'는 걸림테(50)의 절단부이다.
미설명 부호 '61'은 패킹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1)의 조립 및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관연결부재(10) 제1관구(11)에 상기 이음너트(30)를 끼워 관연결부재의 단턱부(15) 이후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밀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테(50)를 절단부(55)를 벌려 단턱부(15) 후방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이음너트(30)를 다시 당겨내면 그 걸림단(31)이 걸림테(50)의 소경부(51) 위에 끼워지고 플랜지부(53)에 걸려 관연결부재 제1관구(1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림테의 소경부(51) 외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형태로 형성되어 이음너트의 걸림단(31)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시공현장에서는 상기 이음너트(30)를 연결대상 파이프의 나사부에 체결하는 것으로 관이음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테(50)는 이음너트(30)가 체결됨에 따라 절단되기 이전과 같이 완 전한 링형태로 밀착 복원되어 이음너트에 강한 힘이 가해져도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테(50)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로 이루어져 패킹부재를 별도로 부여하지 않아도 기밀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 매립 설치된 배관(3)과 세면대 또는 양변기를 연결하는 관붙이 앵글밸브(2)에 제1관구(11)를 연결하여 예를 들면, 제2관구(12)는 세면대 또는 양변기와 연결하고, 제3관구(13)는 비데와 연결하여 비데 설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나사결합 유니온이 배제되는 대신 간단한 구조의 걸림테(50)가 부여됨으로써 자재비 및 조립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비용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유니온 체결을 위하여 일측관구에서 타측 관구에 이르기까지 평관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유체흐름을 출분히 수용하는 조건으로 메인관로와 지관을 잘룩하게 축경 형성하고 걸림테 고정용 단턱부(15)가 돌출형성됨으로써 메인관로(16) 및 지관의 내ㆍ외경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체적이 작아져 원자재가 현저히 절감되므로 제조원가를 감축시키며 취급 관리가 용이하고 설치공간 제약을 완화해 준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는 관이음에서 나사결합 유니온 대신 이탈이 견고하게 방지되고 간단한 구조의 걸림테가 부여됨으로써 자재비 및 조립시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연결부재에 걸림테 고정용 단턱부가 돌출형성되어 메인관로의 내ㆍ외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부피가 작게 형성되어 원자재 및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아울러 취급관리가 용이하고 설치공간 제약을 완화해 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관연결부재(10) 일측에 이음너트(30)가 결합설치되며 상기 이음너트(30)는 일단에 걸림단(31)이 내향 돌출형성되는 관이음구에 있어서,
    일측 외주연 선단부에 상기 이음너트의 걸림단(31)이 통과가능한 단턱부(15)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제1관구(11)를 구비하는 관연결부재(10); 및
    내경이 상기 관연결부재의 단턱부(15)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턱부(15)에 걸림 결합되며 외경이 상기 이음너트(30)의 걸림단(31) 내주면에 삽입되는 소경부(51)와 상기 걸림단(31)과 상호 엇걸려 이음너트(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53)로 이루어지는 링형태로 되고 둘레의 일 지점이 절단되어 일시 벌어짐이 가능한 걸림테(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부재(10)는 상기 제1관구(11)와 직선상에 위치되며 외주연에 나사(s)가 형성되는 제2관구(12)와, 상기 제1관구(11)와 제2관구(12) 사이인 메인관로(16)에서 분기된 분기관(17) 선단에 위치되며 외주연에 나사(s)가 형성되는 제3관구(13)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T" 또는 "Y"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부재(10)는 상기 메인관로(16) 및 분기관(17)의 내경(16a)(17a)이 상기 제2관구(12) 및 제3관구(13)의 내경(12a)(13a)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테(50)는 소경부(51)의 외경이 플랜지부(53)를 향하여 점차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테(5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수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KR2020070000293U 2007-01-08 2007-01-08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KR200800025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293U KR20080002553U (ko) 2007-01-08 2007-01-08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293U KR20080002553U (ko) 2007-01-08 2007-01-08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553U true KR20080002553U (ko) 2008-07-11

Family

ID=4132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293U KR20080002553U (ko) 2007-01-08 2007-01-08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5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655B1 (ko) * 2011-07-25 2013-07-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분기 연결구
CN104343174A (zh) * 2013-07-24 2015-02-11 科勒诺维达株式会社 温水洁身器的分支接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655B1 (ko) * 2011-07-25 2013-07-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분기 연결구
CN104343174A (zh) * 2013-07-24 2015-02-11 科勒诺维达株式会社 温水洁身器的分支接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9485B2 (en) Flexible drainage trap
KR102304858B1 (ko) 꼬임방지 기능을 갖는 수도배관용 고압호스 연결구
CN202402874U (zh) 自攻螺纹式同径管接头
KR200381579Y1 (ko) 분기관 이음 소켓
KR20080002553U (ko)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100854469B1 (ko) 급수 분기구
US20110089688A1 (en) Thread-lockable pipe coupling assembly
CA2576666A1 (en) Faucet structure
KR100840148B1 (ko) 분기밸브
KR100532193B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070000842U (ko) 파이프 분기용 조인트
ITMI20061109A1 (it) Raccordo a stringere particolarmente per tubi in polietilene a collegamento semplificato
KR101002249B1 (ko)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US9052036B2 (en) Extension assembly for faucets
KR100425788B1 (ko) 볼 밸브
ATE414868T1 (de) Verbindung einer sanitärarmatur mit einer leitung
US11352771B2 (en) Faucet structure
KR200227410Y1 (ko) 농업용 급수관
KR200385731Y1 (ko) 관체 접속구조
KR200388731Y1 (ko) 밸브용 캡구조
KR200393539Y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JPH051750Y2 (ko)
KR200422531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JP5207453B2 (ja) 配管接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