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191B1 - 자폐식 수도밸브 - Google Patents

자폐식 수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191B1
KR101128191B1 KR1020090074810A KR20090074810A KR101128191B1 KR 101128191 B1 KR101128191 B1 KR 101128191B1 KR 1020090074810 A KR1020090074810 A KR 1020090074810A KR 20090074810 A KR20090074810 A KR 20090074810A KR 101128191 B1 KR101128191 B1 KR 10112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p
shaft member
coupl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242A (ko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김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형 filed Critical 김진형
Priority to KR1020090074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1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8Mechanical actuating means actuated by mechanical timing-device, e.g. with dash-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효과를 높이면서도 장기간 사용에도 누수 및 고장의 우려가 없는 새로운 구조의 자폐식 수도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유로(1a)가 형성되고 압력실(4)이 구비되며 입구(2)와 출구(3) 내측에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차단벽(2a,3a)이 구비된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벽(2a,3a) 사이에 위치되며 선단에는 밸브시트(5c)가 형성된 캡(5)과, 메인유로(1a)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체(6)와, 선단부가 피스톤밸브체(6)에 결합되며 캡(5)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는 축부재(12)와, 축부재(12)의 후단에 결합되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며 수로를 개방하는 푸셔(7)와, 캡(5)과 푸셔(7)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8)과, 하우징(1) 내에 구비되어 입구(2)와 압력실(4)을 연통시켜 입구(2)의 물이 압력실(4)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유로(9a,9b)와, 하우징(1)에 나사결합되어 보조유로(9a,9b)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된 압력조절나사(9c)를 포함하는 자폐식 수도밸브에 있어서, 상기 캡(5)과 축부재(12) 사이에는 축부재(12) 둘레부에 끼워지며 양단부가 각각 캡(5)과 축부재(12)에 수밀하게 결합되는 신축주름관(10)이 더 구비된 자폐식 수도밸브가 제공된다.
자폐식, 수도, 신축주름관, 압력실, 오링

Description

자폐식 수도밸브 {Automatic closing water valve}
본 발명은 자폐식 수도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절수효과를 높이면서도 장기간 사용에도 누수 및 고장의 우려가 없는 새로운 구조의 자폐식 수도밸브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대중 목욕탕의 샤워기나 수도꼭지 등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개방되어 물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자폐식 수도밸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되어 실용신안등록된 자폐식 수도밸브를 보여주는데, 내부에 입구(2)와 출구(3)를 연결하는 메인유로(1a)가 형성되며 내부 일측에는 압력실(4)이 구비되며, 입구(2)와 출구(3) 내측에 서로 어긋나게 차단벽(2a,3a)이 형성된 하우징(1)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하우징(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벽(2a,3a) 사이에 위치되며 둘레벽과 내부 중공부에 각각 유로(5a,5b)가 형성되며 선단에는 밸브시트(5c)가 형성된 캡(5)과, 하우징(1) 내부에 수밀하게 결합되어 메인유로(1a)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체(6)를 구비한다.
이 피스톤밸브체(6)는 상기 캡(5)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는 축부재(12)의 선단에 결합되며, 이 축부재(12)와 캡(5) 사이에는 오링(13)이 끼워져서 누수를 방지한다. 이 축부재(12)의 후단에는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며 피스톤밸브체(6)를 밸브시트(5c)로부터 이격시켜 수로를 개방하는 푸셔(7)가 결합되고, 하우징(1)과 푸셔(7) 사이에 개재되어 푸셔(7)를 하우징(1)의 외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8)이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1) 내에 구비되어 입구(2)와 압력실(4)을 연통시켜 입구(2)의 물이 압력실(4)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유로(9a,9b)와, 하우징(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유로(9a,9b)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도록 된 압력조절나사(9c)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푸셔(7)를 눌렀다 놓으면, 이 푸셔(7)에 연결된 피스톤밸브체(6)가 밸브시트(5c)에서 이격되어 수로통과공(5a,5b)을 개방하면 입구(2)로 유입된 물이 수로통과공(5a,5b)을 통해 출구(3)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이 때 입구(2)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보조유로(9a,9b)를 통해 압력실(4)로 서서히 공급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피스톤밸브체(6)가 압력실의 수압에 의해 밸브시트(5c)에 밀착되어 수로를 차단하게 되어, 자동적으로 수도가 폐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폐식 수도밸브는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캡(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운동하는 축부재(12) 사이에 개재된 오링(13)이 마모되어, 하우징(1) 내부의 물이 하우징(1)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수돗물 속에 함유된 이물질이 축부재(12)와 캡(5) 사이에 축적되게 되면, 푸셔(7)의 원활한 작동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 수도밸브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절수효과를 높이면서도 장기간 사용에도 누수 및 고장의 우려가 없는 새로운 구조의 자폐식 수도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내부에 입구(2)와 출구(3)를 연결하는 메인유로(1a)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압력실(4)이 구비되며 입구(2)와 출구(3) 내측에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차단벽(2a,3a)이 구비된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벽(2a,3a) 사이에 위치되며 유로(5a,5b)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밸브시트(5c)가 형성된 캡(5)과, 하우징(1) 내부에 수밀하게 결합되어 메인유로(1a)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체(6)와, 선단부가 이 피스톤밸브체(6)에 결합되며 상기 캡(5)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는 축부재(12)와, 이 축부재(12)의 후단에 결합되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며 피스톤밸브체(6)를 밸브시트(5c)로부터 이격시켜 수로를 개방하는 푸셔(7)와, 캡(5)과 푸셔(7) 사이에 개재되어 푸셔(7)를 하우징(1) 외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8)과, 하우징(1) 내에 구비되어 입구(2)와 압력실(4)을 연통시켜 입구(2)의 물이 압력실(4)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유로(9a,9b)와, 하우징(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유로(9a,9b)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도록 된 압력조절나사(9c)를 포함하는 자폐식 수도밸브에 있어서, 상기 캡(5)과 축부재(12) 사이에는 축부재(12) 둘레부에 끼워지며 양단부가 각각 캡(5)과 축부재(12)에 체결밴드(23)에 의해 수밀하게 결합되는 신축주름관(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주름관(10)의 피스톤밸브체(6)측의 축부재(12) 둘레부에는 수압으로부터 신축주름관(10)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컵부재(11)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주름관(10) 또는 컵부재(11)에 면하는 캡(5)의 둘레부에는 통공(32)이 형성되고, 이 통공(32)은 하우징(1)에 형성된 배출공(34)을 통해 출구(3)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유로(9a,9b)의 일측에는 입구(2)와 압력실(4)를 강제로 연통시키는 강제유로(13a,13b)와, 스프링(16)에 탄지되어 이 강제유로(13a,13b)를 차단하는 보조밸브체(15)와,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밸브체(15)를 밀어서 강제유로(13a,13b)를 개방하는 보조푸셔(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밸브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도밸브의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 압력실(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밸브시트(5c)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로(5a,5b)가 형성된 캡(5)이 결합되며, 이 캡(5)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왕복운동하는 축부재(12)의 선단에 피스톤밸브체(6)가 결합되고 후단에는 푸셔(7)가 장착되는 수도밸브에서, 캡(5)과 축부재(12) 사이에 축부재(12)의 둘레부에 끼워지며 양단부가 각각 캡(5)과 축부재(12)에 수밀하게 결합되는 신축주름관(10)을 구비함으로써 캡(5)과 축부재(12) 사이를 수밀하게 밀봉하면서도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와 같이 오링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반복사용에 의해 오링이 마모되거나 이물질이 끼어서 작동불량이 되는 일이 방지된다. 아울러 축부재(12)의 일단에는 신축주름관(10)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컵부재(11)가 장착되므로, 하우징(1)의 메인유로로부터의 수압이나 물의 흐름이 직접적으로 신축주름관(10)에 급격하게 가해지지 않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입구(2)로부터 압력실(4)로 물이 유입되는 보조유로(9a,9b)와 별도로, 입구(2)로부터 압력실(4)로 물이 유입되는 강제유로(13a,13b)를 구비하고, 이 강제유로(13a,13b)에는 스프링(16)에 의해 탄지되는 보조밸브체(15)가 구비되고, 이 보조밸브체(15)를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는 보조푸셔(14)에 의해 강제로 개방시킴으로써, 이 강제유로(13a,133b)를 통해 압력실(4) 내부로 물을 급격하게 유입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메인유로(1a)를 신속히 폐쇄할 수 있어서 물의 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삭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도이고, 도 4는 같은 실시예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도이다. 여기서 하우징(1) 내부에 입구(2)와 출구(3)를 연결하는 메인유로(1a)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압력실(4)이 형성되며, 하우징(1)의 타측에 결합되어 어긋나게 배치된 차단벽(2a,3a) 사이에 위치되며 유로(5a,5b)가 형성되는 캡(5)과, 하우징(1) 내에 수밀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밸브체(6)와, 캡(5)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며 선단에는 상기 피스톤밸브체(6)가 결합되고 후단에는 푸셔(7)가 결합되는 축부재(12)와, 압력실(4)로 유입되는 보조유로(9a,9b) 및 이 보조유로(9a,9b)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나사(9c) 등을 포함하는 것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여기서 하우징(1)의 입구(2)에는 필요에 따라 냉수라인과 온수라인이 함께 설치되어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상기 캡(5)의 슬라이드공(21) 둘레에는 단관형태의 연장부(22)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22)에는 축부재(12)의 둘레부에 끼워지는 신축주름관(10)의 일단이 결합되어 체결밴드(23)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이 신축주름관(10)의 타단은 축부재(12)의 타측에 역시 체결밴드(25)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되는 캡(5)과 축부재(12) 사이에 종래와 같은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밀하게 밀봉처리될 수 있고, 이 신축주름관(10)에 의해 캡(5)과 축부재(12)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방지되므로, 장시간 사용에도 밀봉이 파쇄되거나 작동불량이 되는 일이 방지된다. 아울러, 이 신축주름관(10)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컵부재(11)가 축부재(12)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7)에 나사체결된다. 따라서 하우징(1)의 메인유로(1a)로부터 가해지는 수압이나 물의 급격한 흐름에 의해 신축주름관(10)이 충격을 받아서 손상되는 일이 억제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주름관(10) 또는 컵부재(11)에 면하는 캡(5)의 둘레부에는 통공(32)이 형성되고, 이 통공(32)은 하우징(1)에 형성된 배출공(34)을 통해 출구(3)와 연통된다. 여기서, 통공(32)이 형성된 캡(5)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확장부(31)가 형성되고, 통공(32)이 형성된 캡(5)의 외주면 양측에는 밀봉을 위한 오링(35,36)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수도관을 흐르는 물의 압력 또는 푸셔(7)의 작동시에 가압된 높은 수압이 캡(5)의 내주면을 따라 컵부재(11) 외측을 통해 신축주름관(10)에 가해지려고 할 때, 신축주름관(10)에 가해지는 수압이 캡(5) 둘레에 형성된 통공(32)과 이에 연통되는 하우징(1)의 배출공(34)을 통해 출구(3)로 바이패스되어 배출되므로, 신축주름관(10)이 수압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유로(9a,9b) 상에 형성되어 그 개폐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나사(9c)를 구비함으로써, 메인유로(1a)의 자동적인 차단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압력조절나사(9c)로 보조유로(9a,9b)를 좁게 조이면 압력실(4)로 물이 유입하여 압력실(4)을 채우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므로 피스톤밸브체(6)를 밀어서 메인유로(1a)를 차단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수돗물의 자동차단 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역으로 압력조절나사(9c)를 후퇴시켜서 보조유로(9a,9b)를 넓히면 자동차단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입구(2)로부터 압력실(4)로 물이 유입되는 보조유로(9a,9b)와 별도로, 입구(2)로부터 압력실(4)로 물이 유입되는 강제유로(13a,13b)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 강제유로(13a,13b)에는 스프링(16)에 의해 탄지되는 보조밸브체(15)가 구비되고, 이 보조밸브체(15)의 전방에는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는 보조푸셔(14)가 봉부재(28)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평소에는 이 강제유로(13a,13b)를 보조밸브체(15)에 의해 차단하고 있지만, 수도밸브의 신속한 차단을 요하는 경우에는 보조푸셔(14)를 밀어서 봉부재(28)가 보조밸브체(15)를 후퇴시킴으로써 강제유로(13a,13b)를 강제로 개방시킴으로써, 이 강제유로(13a,133b)를 통해 압력실(4) 내부로 물을 급격하게 유입되어 메인유로(1a)와 압력실(4)의 수압이 신속하게 균일해 짐으로써, 피스톤밸브체(6)가 급격하게 후퇴하여 메인유로(1a)를 신속히 폐쇄할 수 있어서 물의 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절수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자폐식 수도밸브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로개방 및 유로차단 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유로개방 및 유로차단 상태도

Claims (4)

  1. 내부에 입구(2)와 출구(3)를 연결하는 메인유로(1a)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압력실(4)이 구비되며 입구(2)와 출구(3) 내측에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차단벽(2a,3a)이 구비된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벽(2a,3a) 사이에 위치되며 유로(5a,5b)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밸브시트(5c)가 형성된 캡(5)과, 하우징(1) 내부에 수밀하게 결합되어 메인유로(1a)를 개폐하는 피스톤밸브체(6)와, 선단부가 이 피스톤밸브체(6)에 결합되며 상기 캡(5)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는 축부재(12)와, 이 축부재(12)의 후단에 결합되어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되며 피스톤밸브체(6)를 밸브시트(5c)로부터 이격시켜 수로를 개방하는 푸셔(7)와, 캡(5)과 푸셔(7) 사이에 개재되어 푸셔(7)를 하우징(1) 외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8)과, 하우징(1) 내에 구비되어 입구(2)와 압력실(4)을 연통시켜 입구(2)의 물이 압력실(4)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유로(9a,9b)와, 하우징(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유로(9a,9b)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도록 된 압력조절나사(9c)를 포함하는 자폐식 수도밸브에 있어서, 상기 캡(5)과 축부재(12) 사이에는 축부재(12) 둘레부에 끼워지며 양단부가 각각 캡(5)과 축부재(12)에 체결밴드(23)에 의해 수밀하게 결합되는 신축주름관(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주름관(10)의 피스톤밸브체(6)측의 축부재(12) 둘레부에는 수압으로부터 신축주름관(10)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컵부재(11)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주름관(10) 또는 컵부재(11)에 면 하는 캡(5)의 둘레부에는 통공(32)이 형성되고, 이 통공(32)은 하우징(1)에 형성된 배출공(34)을 통해 출구(3)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밸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9a,9b)의 일측에는 입구(2)와 압력실(4)를 강제로 연통시키는 강제유로(13a,13b)와, 스프링(16)에 탄지되어 이 강제유로(13a,13b)를 차단하는 보조밸브체(15)와,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밸브체(15)를 밀어서 강제유로(13a,13b)를 개방하는 보조푸셔(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밸브.
KR1020090074810A 2009-08-13 2009-08-13 자폐식 수도밸브 KR10112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10A KR101128191B1 (ko) 2009-08-13 2009-08-13 자폐식 수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10A KR101128191B1 (ko) 2009-08-13 2009-08-13 자폐식 수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42A KR20110017242A (ko) 2011-02-21
KR101128191B1 true KR101128191B1 (ko) 2012-03-23

Family

ID=4377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810A KR101128191B1 (ko) 2009-08-13 2009-08-13 자폐식 수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092B1 (ko) * 2020-06-04 2021-11-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계량기용 다단 유량 제어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7351A (en) 1993-07-10 1995-06-27 Freidrich Grohe Aktiengesellschaft Autoclosing flow-control valve
KR200234018Y1 (ko) * 2001-03-07 2001-10-18 강성호 절수형 밸브
KR200338578Y1 (ko) 2003-10-20 2004-01-16 주식회사 돈블 밸브 밸브 구조
KR20040076494A (ko) * 2003-02-26 2004-09-01 김윤규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7351A (en) 1993-07-10 1995-06-27 Freidrich Grohe Aktiengesellschaft Autoclosing flow-control valve
KR200234018Y1 (ko) * 2001-03-07 2001-10-18 강성호 절수형 밸브
KR20040076494A (ko) * 2003-02-26 2004-09-01 김윤규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
KR200338578Y1 (ko) 2003-10-20 2004-01-16 주식회사 돈블 밸브 밸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42A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704B2 (ja) 圧力制御弁
AU2006202799B2 (en) System Disconnector
JP4290200B2 (ja) 減圧弁
DK200301541A (da) Trykforstærker
CA2601074A1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CA2541692C (en) Yard hydrant with drain port check valve
WO2009044703A1 (ja) 節水器具
US20080277612A1 (en) Pressure compensating flush valve with self-cleaning piston
KR101128191B1 (ko) 자폐식 수도밸브
US5372157A (en) Automatic bypass valve
US20080047612A1 (en) Automatic draining double check vacuum breaker
ATE453887T1 (de) Ventileinstelleinrichtung für feuerlöschsysteme
AU2006222658B2 (en) Pipe Disconnector with Increased Sealing Power
JP2004263868A (ja) 圧力制限弁
MX2008015075A (es) Reten de control y sistema de descarga.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AU672115B2 (en) A high pressure fluid release device
JP5344610B2 (ja) 減圧弁
AU2021104671A4 (en) Water pressure control apparatus
CN113833904A (zh) 电磁阀
KR200327576Y1 (ko) 흡기밸브
JP2554389Y2 (ja) 安全弁
CN211082201U (zh) 一种空压机用低噪音常闭式进气阀
KR200314046Y1 (ko) 자폐식 밸브
KR20090008586U (ko) 관붙이 앵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