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983A - 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983A
KR20200023983A KR1020180100565A KR20180100565A KR20200023983A KR 20200023983 A KR20200023983 A KR 20200023983A KR 1020180100565 A KR1020180100565 A KR 1020180100565A KR 20180100565 A KR20180100565 A KR 20180100565A KR 20200023983 A KR20200023983 A KR 20200023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ut
tube
connection structur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정웅성
심은경
Original Assignee
이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경 filed Critical 이도경
Priority to KR102018010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983A/ko
Publication of KR2020002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4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additional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측 관체(10) 입구에 체결되는 너트(30)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30) 내부에 타측 관체(20)가 관통하는 연결관(32)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32)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타측 관체(20) 외주에는 상기 연결관(32)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타측 관체(20)가 연결관(32)을 관통하여 나사결합 됨으로써 두 관체를 서로 연결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 연결구조{pip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를 포함한 각종 밸브 등을 용수를 공급하는 관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는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급수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용수를 배출하고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용수가 공급되는 관에 직접 연결되게 설치되거나 용수가 공급되는 관에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연결바디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그리고 용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앵글밸브 등이 그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8030호(2005.1.21.)
본 발명은 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두 관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얻고, 그러한 구조를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를 포함한 각종 밸브 등의 설치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측 관체 입구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 내부에 타측 관체가 관통하는 연결관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타측 관체 외주에는 상기 연결관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타측 관체가 연결관을 관통하여 나사결합 됨으로써 두 관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유의 너트를 매개로 어느 하나의 관체를 다른 관체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두 관체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다양한 응용도 가능한바, 어느 하나의 관체에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 등을 연결하거나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급수 시스템을 구성할 때 관련 부속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2는 두 관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두 관체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가 적용된 실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두 관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얻고, 그러한 구조를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를 포함한 각종 밸브등의 설치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얻기 위해,
일측 관체 입구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 내부에 타측 관체가 관통하는 연결관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타측 관체 외주에는 상기 연결관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타측 관체가 연결관을 관통하여 나사결합 됨으로써 두 관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2는 두 관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두 관체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는 두 관체를 연결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두 관체는 관 형상을 이루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한바, 수도꼭지가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관체와 급수 파이프와 상기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연결바디일 수 있다. 유사한 예로 상기 수도꼭지가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관체 대신 스프링클러가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관체, 앵글밸브가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관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는 두 관체에 해당되는 일측 관체(10)와 타측 관체(20) 및 상기 일측 관체(10)에 체결되어 일측 관체(10)와 타측 관체(2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너트(30)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30)는 일측 관체(10)의 입구에 체결된다. 내부 지름이 상기 입구 외주에 딱 맞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를 감싸며 체결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너트(30)의 내주와 상기 입구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은 통상적인 나사결합 방식과 마찬가지로 오른 나사결합을 이루게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30) 내부에 타측 관체(20)가 관통하는 연결관(3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32)은 내부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너트(30)의 입구에서부터 형성되어 타측 관체(20)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32) 내주에는 나사산(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 관체(20) 외주에는 상기 연결관(32)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34)과 대응되는 나사산(24)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라 상기 타측 관체(20)가 연결관(32)을 관통하면서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게 되는바, 일측 관체(10)와 타측 관체(20)가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일측 관체(10) 입구에 너트(30)를 체결해 둔 상태에서 타측 관체(20)를 너트(30) 내부 연결관(32)에 체결하여 주는 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일측 관체(10)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라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타측 관체(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관체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기밀 유지가 필요할 경우 상기 일측 관체(10) 내부에는 오링(40)이 설치된다. 오링(40) 외에도 와셔와 같은 부속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일측 관체(10) 내부에는 상기 오링(40)을 지지하는 턱이 형성됨으로써 오링(40)이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측 관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오링(40)은 상기 연결관(32)의 끝단에 의해 압박될 수 있다. 연결관(32)의 길이가 너트(30)를 일측 관체(10)에 체결하였을 때 오링(40)을 압박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달성되는바, 상기 타측 관체(20)가 오링(40)을 관통하면서 연결관(32)에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측 관체(20)와 연결관(32) 내부 나사산(24)(34)은 오른 나사결합을 이루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너트(30)를 일측 관체(10) 입구에 느슨하게 조여서 체결한 상태에서 타측 관체(20)를 연결관(32)에 관통시키면 타측 관체(20)의 끝단이 오링(40)을 관통한 상태가 되는데, 이후 타측 관체(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끝까지 조여주게 되면 느슨하게 조여 있던 너트(30)가 타측 관체(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조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너트(30)가 조여지면서 연결관(32)의 끝단이 오링(40)을 압박하게 되고, 너트(30)가 끝까지 조여지면 오링(40)을 강하게 압박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일측 관체(10)와 타측 관체(20)의 연결이 완료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가 적용된 실시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 연결구조는 타측 관체(20)에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를 일체로 또는 조립식으로 형성하여서 급수 시스템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 관체(10)는 용수가 공급되는 관 또는 용수가 공급되는 관과 용수가 배출되는 수전을 연결하는 엘보 형상의 연결바디와 같은 별도의 부속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유의 너트(30)를 매개로 어느 하나의 관체를 다른 관체에 삽입하여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두 관체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급수 시스템을 구성할 때 응용하게 되면 수도꼭지나 스프링클러 및 앵글밸브 등을 용수가 공급되는 관에 쉽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고, 분리시에도 손으로 수도꼭지 등을 잡고 회전시켜서 쉽게 분리하여 줄 수 있게 되는바,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관 연결구조가 달성된다.
10 : 일측 관체, 20 : 타측 관체,
24, 34 : 나사산, 30 : 너트,
32 : 연결관, 40 : 오링.

Claims (3)

  1. 일측 관체(10) 입구에 체결되는 너트(30)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30) 내부에 타측 관체(20)가 관통하는 연결관(32)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32)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타측 관체(20) 외주에는 상기 연결관(32)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30)가 일측 관체(10) 입구에 체결된 상태에서 타측 관체(20)가 연결관(32)을 관통하여 나사결합 됨으로써 두 관체가 서로 연결되게 되는 관 연결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30)는 상기 일측 관체(10)의 입구를 감싸며 체결되는 한편,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일측 관체(10)의 입구로 삽입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관 연결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관체(10) 내부에는 오링(40)이 설치되어 타측 관체(20)가 오링(40)을 관통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관 연결구조.
KR1020180100565A 2018-08-27 2018-08-27 관 연결구조 KR20200023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65A KR20200023983A (ko) 2018-08-27 2018-08-27 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65A KR20200023983A (ko) 2018-08-27 2018-08-27 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83A true KR20200023983A (ko) 2020-03-06

Family

ID=6980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65A KR20200023983A (ko) 2018-08-27 2018-08-27 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9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030A (ko) 2003-07-14 2005-01-21 오승근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030A (ko) 2003-07-14 2005-01-21 오승근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80818A (en) Connector for conduits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US20170044746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Outlet Pipe of Faucet
JP2010101432A (ja) 管継手
KR100779516B1 (ko)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US9964246B2 (en) Hose crimp fitting or hydraulic adaptors that utilize a reverse threaded lock nut that engages to a JIC nut or similar swivel nut to prevent the nut from loosening
KR101742264B1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US8408240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KR20200023983A (ko) 관 연결구조
CN203671070U (zh) 一种水龙头与墙壁预埋管道接头之间的连接管
US3376888A (en) Adjustable mounting plates for valves
US3630548A (en) Hose-fitting system
US11333283B2 (en) No-crimp valve assembly
KR20200023981A (ko) 관 연결구조
CN202756806U (zh) 一种快速双连接口装置
KR20070000842U (ko) 파이프 분기용 조인트
US8408241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EP1208271B1 (en) Connection for a water meter
JPS5852117B2 (ja) カイリカノウナセツゾクブザイ
JP7237724B2 (ja) 偏心管の連結構造
US20180223510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upling a tubular member to a threaded tubular port, in particular for washing machines
KR100873844B1 (ko) 새들 분수전의 결합구조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JP5606605B2 (ja) 配管部材
CN102797924A (zh) 一种快速双连接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