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464B1 - 배관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464B1
KR101397464B1 KR1020120138052A KR20120138052A KR101397464B1 KR 101397464 B1 KR101397464 B1 KR 101397464B1 KR 1020120138052 A KR1020120138052 A KR 1020120138052A KR 20120138052 A KR20120138052 A KR 20120138052A KR 101397464 B1 KR101397464 B1 KR 10139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threaded portion
screw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웅
Original Assignee
이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웅 filed Critical 이래웅
Priority to KR102012013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간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배관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제1배관체결나사(111)가 형성된 제1배관(110)과 제2배관체결나사(102)가 형성된 제2배관(1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상기 제1배관체결나사(111)에 체결될 수 있는 제1수나사부(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렌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몸체부(12)가 형성되며 내벽 하부에는 왼나사로 된 제1암나사부(13)가 형성되는 상부소켓(10); 상부에는 상기 제1암나사부(13)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2수나사부(2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2수나사부(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커서 상방향으로 안착턱(22)이 마련되도록 하는 확장부(23)를 갖는 센터니플(20); 상기 제2수나사부(21)는 통과하되 상기 확장부(23)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내부 중심부를 향해 절곡되어 걸림턱(32)을 형성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2배관체결나사(102)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암나사부(31)가 형성되는 하부소켓(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기구{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배관 연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 사이가 떨어져 있는 경우 이를 연결하거나 벽에 인접해 있는 가스공급 배관에 가스렌지를 설치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배관 사이를 연결할 수 있게 하는 배관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배관작업을 하다 보면 연결하고자 하는 두 배관 간에 거리가 생겨 이 사이를 보충하여야 할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 경우 단관을 준비하여 용접으로 배관을 연장시키거나 니플이라 일컫는 단관을 사용하여야 한다. 길이가 조금 못미친다는 이유로 배관을 용접한다는 것은 여러모로 무모하기도 하며, 단관 형태의 니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에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어렵다. 한쪽을 나사체결한 다음 다른 쪽을 체결하고자 하면 먼저 체결한 쪽의 나사가 이완되기 때문이다.
배관을 연결하는 하는 작업은 가정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주방에 가스렌지를 설치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가스렌지에서 연장되는 플렉시블 호스로 된 제2배관(120)을 가스공급 배관인 제1배관(110)에 연결하여야 하는데 그 사이에는 밸브(101)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밸브(101)는 사용자가 가스렌지로 향하는 가스를 차단하는 수단이다. 한편 일정한 시간이 지날 경우 자동으로 가스렌지로 향하는 가스를 차단하는 밸브차단장치가 제공되기도 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밸브몸체(100)는 가스자동차단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제1배관(110)이 벽에 인접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배관을 연결하기가 쉽지 않다. 벽에 걸려서 이 밸브몸체(100)를 회전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밸브몸체(100)를 분해한 다음 밸브(101)를 체결하고 장치를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시중에 유통되는 밸브 연결용 소켓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소켓을 사용할 경우 가스의 누출이 생겨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국내 특허출원 제10-2008-0062512호, 제10-2005-0124194호가 본 발명의 기술분야와 유사한 기술분야라 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목적하는 바가 본 발명과는 다르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과 배관 사이를 손쉽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배관 연결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가스공급배관에 가스렌지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제1배관체결나사가 형성된 제1배관과 제2배관체결나사가 형성된 제2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상기 제1배관체결나사에 체결될 수 있는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렌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몸체부가 형성되며 내벽 하부에는 왼나사로 된 제1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상부소켓; 상부에는 상기 제1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2수나사부가 마련되고 하부는 상기 제2수나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커서 상방향으로 안착턱이 마련되도록 하는 확장부를 갖는 센터니플; 상기 제2수나사부는 통과하되 상기 확장부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내부 중심부를 향해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2배관체결나사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암나사부가 형성되는 하부소켓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부소켓을 상기 제1배관에 체결한 다음 상기 하부소켓을 상기 제2배관에 체결하면, 상기 제1암나사부와 상기 제2수나사부가 왼나사결합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소켓과 상기 제1배관이 더욱 강하게 체결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니플의 제2수나사부의 중심에는 렌치를 결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터니플의 확장부의 상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제1패킹이 끼워지고, 상기 센터니플의 확장부의 하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제2패킹이 끼워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부소켓을 제2배관에 나사체결하고, 상부소켓은 제1배관에 나사체결하게 되면 왼나사로 된 제1암나사부와 제2수나사부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부소켓을 제1배관에 체결한 다음, 하부소켓을 제2배관에 체결하면 상부소켓과 제1배관이 더욱 강하게 체결되게 된다. 결국 제1,2배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며 도 1에서와 같이 밸브몸체(100)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 연결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 연결기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 연결기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 연결기구의 다른 적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밸브 연결기구(1)는 상부소켓(10), 센터니플(20) 및 하부소켓(30)이라는 3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조립된 상태로 소비자 측에 제공된다. 상부소켓(10)은 제1배관(110)에 연결되고, 하부소켓(20)에 각각 나사체결된다. 센터니플(20)은 상부소켓(10)과 하부소켓(20) 사이에서 본 발명에서의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관 연결기구(1)는 우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렌지를 설치하는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이 설치환경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배관(120)의 단부에 밸브몸체(100)가 설치된다. 밸브몸체(100)에는 제1배관(1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2배관체결나사(102)가 설치된다. 밸브몸체(100)에는 밸브손잡이(101)와 자동차단장치(10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단장치(104)는 선택적 구성요소로서 다른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브몸체(100)를 제1배관(110)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곤란한 상황에서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밸브몸체(100)의 하부에는 통상 니플(103)이라는 관이음수단이 설치되는데, 이 니플(103)에는 플렉시블 호스로 되어 있는 제2배관(120)이 끼워질 수 있다. 소정의 클램프(121)가 제2배관(120)의 외주에 끼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제2배관(120)은 다양한 매개수단을 거쳐 제1배관(110)에 나사체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 매개수단이 밸브몸체(100)인 것이다.
제1배관(110)의 단부에는 암나사 형태로 된 제1배관체결나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배관의 단부에는 수나사 형태로 된 제2배관체결나사(102)가 형성된다.
상부소켓(10)과 하부소켓(30)은 서로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센터니플(20)이 이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있다. 상부소켓(10), 센터니플(20) 및 하부소켓(30)은 기본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유체가 관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소켓(10)의 상부에는 제1배관체결나사(111)에 나사체결될 수 있는 제1수나사부(11)가 형성된다. 상부소켓(10)의 하부에는 렌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 몸체부(12)가 형성된다. 상부소켓(10)의 내벽 하부에는 왼나사로 된 제1암나사부(13)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암나사부(13)가 왼쪽(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야 체결될 수 있는 왼나사로 되어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센터니플(20)의 상부에는 제1암나사부(13)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2수나사부(21)가 마련되고 하부는 제2수나사부(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커서 상방향으로 안착턱(22)이 마련되도록 하는 확장부(23)가 마련된다. 따라서 센터니플(20)은 전체적으로 "凸"과 유사한 단면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센터니플(20)의 제2수나사부(21)의 중심에는 렌치(미도시됨)를 결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홈 형태의 렌치홈(24)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센터니플(20)이 강하게 결합되었을 때 이를 렌치를 이용하여 해체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센터니플(20)의 확장부(23)의 상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제1패킹(25)이 끼워지고, 센터니플(20)의 확장부(23)의 하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제2패킹(26)이 끼워질 수 있다. 제2패킹(26)이 안정되게 끼워져 있도록 확장부(23)의 하단에는 패킹안착대(27)가 링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소켓(10)의 저면에는 제1패킹(25)이 안착될 수 있는 제1패킹안착홈(15)이 마련될 수 있다.
육각 너트 형상을 가지는 하부소켓(30)은 제2배관(120)의 제2배관체결나사(102)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부소켓(30)의 내주면에는 제2암나사부(31)가 형성된다. 하부소켓(30)의 구멍을 통해 센터니플(20)의 제2수나사부(21)는 통과하되 확장부(23)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부소켓(30)에는 내부 중심부를 향해 절곡되어 걸림턱(32)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밸브 연결기구의 조립순서 및 그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조립순서는 상황에 따라 조금씩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아래에 적힌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센터니플(20)의 상하부에 제1,2패킹(25,26)을 끼운다. 그리고 센터니플(20)을 하부소켓(30)의 아래에서 위로 끼워 제2수나사부(21)가 하부소켓(30)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한다.
제1배관(110)의 하단부에 센터니플(20)을 위치시키고 제1배관(110)과 센터니플(20) 사이에 상부소켓(10)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부소켓(10)을 제1배관(110)과 센터니플(20)에 동시에 맞춰 회전시킨다. 상부소켓(10)의 회전방향(W, 도 3 참조)은 제1배관(110)을 기준으로 하여 오른손 나사방향이 된다(기본적으로 제1배관은 오른손 나사방향으로 탭이 가공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후, 하부소켓(30)을 제2배관체결나사(102)에 나사체결한다. 그러면 상부소켓(10)의 제1암나사부(13)와 센터니플(20)의 제2수나사부(21)가 왼나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소켓(10)과 센터니플(20)이 오히려 나사체결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될 것이다.
통상 제1배관(110)과 상부소켓(10) 사이에는 기밀을 위해 테프론테잎(미도시됨)이 감겨지게 되므로 이 양자 사이의 누설의 문제는 없다. 상부소켓(10)과 센터니플(20) 사이에는 제1패킹(25)이 개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 양자 사이에도 누설의 문제가 없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 연결기구(1)의 다른 적용례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2배관(110,120)이 서로 직결될 수 있는 동일한 직경의 배관으로 되어 있다. 제1,2배관(110,120)은 틈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관 연결기구(1)는 제1,2배관(110,120) 사이에 설치된다. 상부소켓(10)을 제1배관(110)에 먼저 체결한 다음, 하부소켓(30)을 제2배관(110)에 체결하게 되면 상부소켓(10)은 나사체결되는 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힘을 받게 되어 제1,2배관(110,120)의 연결작업이 매우 편리해게 되며 기밀성 또한 담보될 수 있게 된다.
언급된 것처럼 제1,2배관(110,120)은 서로 직결될 수 있는 동일한 배관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직경 또는 다른 성질의 배관이어도 무관하다. 상부소켓(10)과 하부소켓(30)을 각 배관에 맞추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관 연결기구(1)는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 및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기구는 반드시 제1배관용으로 제한되어 사용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위한 배관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1 : 배관 연결기구 10 : 상부소켓
11, 21 : 제1,2수나사부 12 : 육각몸체부
13 : 제1암나사부 20 : 센터니플
22 : 안착턱 23 : 확장부
24 : 렌치홈 25,26 : 제1,2패킹
27 : 패킹안착대 30 : 하부소켓
31 : 제2암나사부 32 : 걸림턱
100 : 밸브몸체 102 : 제2배관체결나사
110 : 제1배관 111 : 제1배관체결나사
120 : 제2배관

Claims (3)

  1. 제1배관체결나사(111)가 형성된 제1배관(110)과 제2배관체결나사(102)가 형성된 제2배관(1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상기 제1배관체결나사(111)에 체결될 수 있는 제1수나사부(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렌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몸체부(12)가 형성되며 내벽 하부에는 왼나사로 된 제1암나사부(13)가 형성되는 상부소켓(10);
    상부에는 상기 제1암나사부(13)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2수나사부(2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2수나사부(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커서 상방향으로 안착턱(22)이 마련되도록 하는 확장부(23)를 갖는 센터니플(20);
    상기 제2수나사부(21)는 통과하되 상기 확장부(23)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내부 중심부를 향해 절곡되어 걸림턱(32)을 형성하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2배관체결나사(102)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암나사부(31)가 형성되는 하부소켓(3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부소켓(10)을 상기 제1배관(110)에 체결한 다음 상기 하부소켓(30)을 상기 제2배관(120)에 체결하면, 상기 제1암나사부(13)와 상기 제2수나사부(21)가 왼나사결합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소켓(10)과 상기 제1배관(110)이 더욱 강하게 체결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니플(21)의 제2수나사부(21)의 중심에는 렌치를 결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홈 형태의 렌치홈(2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니플(20)의 확장부(23)의 상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제1패킹(25)이 끼워지고, 상기 센터니플(20)의 확장부(23)의 하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제2패킹(26)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기구.
KR1020120138052A 2012-11-30 2012-11-30 배관 연결기구 KR10139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052A KR101397464B1 (ko) 2012-11-30 2012-11-30 배관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052A KR101397464B1 (ko) 2012-11-30 2012-11-30 배관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464B1 true KR101397464B1 (ko) 2014-05-20

Family

ID=5089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052A KR101397464B1 (ko) 2012-11-30 2012-11-30 배관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911B1 (ko) * 2015-02-17 2015-12-24 주식회사 피디케이 맨손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고속 시험교정용 피팅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77U (ja) * 1991-07-17 1993-02-05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高圧ホースアセンブリ用継手金具
JP2004092679A (ja) * 2002-08-29 2004-03-25 Nitta Moore Co 管継手
KR100715711B1 (ko) 2004-06-17 2007-05-08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내연 기관용 연료 레일에 있어서의 분기 지관의 조인트구조와 분기 지관 및 그 분기 지관의 제조 방법
KR100966045B1 (ko) * 2007-12-05 2010-06-28 엔엔사이언스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배관 분기용 어댑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77U (ja) * 1991-07-17 1993-02-05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高圧ホースアセンブリ用継手金具
JP2004092679A (ja) * 2002-08-29 2004-03-25 Nitta Moore Co 管継手
KR100715711B1 (ko) 2004-06-17 2007-05-08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내연 기관용 연료 레일에 있어서의 분기 지관의 조인트구조와 분기 지관 및 그 분기 지관의 제조 방법
KR100966045B1 (ko) * 2007-12-05 2010-06-28 엔엔사이언스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배관 분기용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911B1 (ko) * 2015-02-17 2015-12-24 주식회사 피디케이 맨손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고속 시험교정용 피팅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3685B2 (en) Plumbing fitting assemblies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JP2010101432A (ja) 管継手
JP5915918B2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TW201619538A (zh) 配件、用於連接波形管至配件之方法以及配件之使用
KR101266144B1 (ko)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JP5361240B2 (ja) フランジ結合ボルト
CN106795986A (zh) 软管管道及软管管道的制造方法
JP2011220404A (ja) 配管の連結構造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WO2015188730A1 (zh) 易安装的水龙头结构
KR20160079880A (ko) 2개의 파이프라인을 동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배열체
TWI624612B (zh) 管接頭
JP2007247855A (ja) 管継手
KR101232319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8045598A (ja) 管継手
JP5917198B2 (ja) 伸縮可撓式継手とこれを用いたサドル付分水栓
AU2013242783B2 (en) A Gas or Water Valve
US20110272942A1 (en) Tube coupling device
CN201964060U (zh) 一种高温高压活接头
KR200357177Y1 (ko) 주름관의 연결소켓
KR101208671B1 (ko) 파이프 고정기구
JP4621520B2 (ja) 水道用継手及び水栓
KR200414884Y1 (ko) 결합 클램프
JP3161279U7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