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177Y1 - 주름관의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주름관의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177Y1
KR200357177Y1 KR20-2004-0006779U KR20040006779U KR200357177Y1 KR 200357177 Y1 KR200357177 Y1 KR 200357177Y1 KR 20040006779 U KR20040006779 U KR 20040006779U KR 200357177 Y1 KR200357177 Y1 KR 200357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rrugated pipe
conduit
pres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경
Original Assignee
문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경 filed Critical 문희경
Priority to KR20-2004-0006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54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specially shaped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 및 굴신이 자유로운 주름관을 도관에 연결시켜 주기 위해 암소켓에 숫소켓을 나사 조임하여 사용하는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암소켓의 내부로 개재된 연질소재의 패킹링이 암소켓 내부로 나사조임되는 숫소켓의 나사조임력에 의해 압착 팽창되면서 액체나 기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도관에 연결된 주름관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로이 액체나 기체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주름관의 연결소켓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주름관의 연결소켓{Joint socket of flexible hose}
본 고안은 신축(伸縮)과 굴신(屈伸)작용이 자유로운 주름관(Flexible hose)을 도관(導管=Pipe)에 연결하기 위한 주름관의 연결소켓(Joint socke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관(Pipe)은 여러 분야에서 많은 종류의 것이 선택적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기체나 액체를 필요한 곳으로 안전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해 설치되는 도관의 연결구들은 대부분이 직선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워져 있으며, 또 굴곡(屈曲) 및 분기(分岐)상태로의 설치를 요하는 연결부분에는 엘보(Elbow)나 분기관(分岐管=Branch Pipe)을 이용하고 있어서, 간혹 연결부분에서 도관속을 통해 흐르는 액체나 기체가 누출(漏出)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보일러와 같이 단위체(單位體)로 구성된 좁은 기기 내에는 여러 기능을 가지는 도관이 각기 필요한 방향으로 굴곡 또는 분기상태로 복잡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많은 수(數)의 연결구나 이음쇠 및 엘보와 분기관등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부분에서 기체나 액체의 누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점검수리를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불편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P. V. C나 금속재에 의한 도관의 연결은 상기와 같은 이음쇠나 연결구 및 엘보와 분기관으로 연결이 가능하였지만 이들 도관에 신축 및 굴신작용이 자유로운 주름관을 연결하기에는 이들이 가지는 구조로 보아 전혀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임의의 소망하는 방향으로 기존의 도관(pipe)에 간단한 방법으로 주름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소켓(Joint socket)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소켓에 의해 연결된 부분으로 액체나 기체가 누출(漏出)되지 않도록 연결소켓 내부에 연질소재(軟質素材)의 누출방지용(漏出防止用)패킹링(Packing ring)을 개재시켜 연결되게 한 구성의 연결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목적달성에 현저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통공부를 통해 깊숙이 내삽된 주름관의 선단으로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연질소재의 패킹링을 끼움한 구성의 암소켓과, 도관(Pipe)의 일단이 암숫나사부에 의해 조임 연결되어진 숫소켓의 나사부를 암소켓의 나사부를 이용하여 조임 결합시켜 줄 때 상기 암소켓의 통공부내에 일측으로 형성한 경사턱과 숫소켓의 통공부 선단주연에 형성된 일측으로 형성된 경사턱 사이에 위치하는 패킹링이 이들의 조임력에 의해 압착팽창되면서 주름관의 외벽과 암소켓의 나사부로 밀착되어짐에 따라 액체나 기체의 누출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신축 및 굴신작용이 자유로운 주름관을 도관에 간편히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주름관의 연결소켓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1의 구성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소켓(Socket) 12,12'-통공부 14-주름관
14'-선단 16-패킹링(Packing ring) 18-암소켓
20- 도관 24-숫소켓18', 22, 22', 24'-숫소켓 26,26'-경사턱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 연결소켓(10)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통공부(12)를 통해 내삽된 주름관(14)의 선단(14')으로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패킹링(16)을 끼움한 구성의 암소켓(socket)(18)과 도관(pipe)(20)의 일단이 암숫나사부(22)(22')에 의해 연결된 숫소켓(socket)(24)을 각각의 나사부(18')(24')에 의해 상기 암소켓(18)의 통공부(12)내에 일측으로 형성한 경사턱(26)과 숫소켓(24)의 통공부(12') 일측으로 형성된 경사턱(26') 사이에 위치한 상기의 패킹링(16)이 압착 팽창되는 상태로 나사조임되게 한 구조이다.
여기서 설명하지 아니한 미설명부호 12"는 통공부(12')의 내벽부를 표시하고, 14"는 주름관(14)의 외벽부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주름관(14)이 끼움되는 암소켓(18)의 통공부(12)는 주름관(14)의 굵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되어짐은 물론 상기의 통공부(12)를 통해 내삽되는 주름관(14)의 선단(14')은 이후에 설명될 숫소켓(24)의 통공부(12')의 내벽부(12'') 내로 깊숙이 안내되면서 주름부(14)의 외벽부(14")는 통공부(12')의 내벽부(1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주름관(14)의 외벽부(14'')에는 선단(14')으로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패킹링(16)이 끼움된다. 상기 패킹링(16)은 나사부(18')(24')에 의해 나사조임되는 조임력에 의해 암소켓(18)의 통공부(12) 내에 일측으로 형성한 경사턱(26)과 숫소켓(24)의 통공부(12')선단 주연에 일측으로 형성한 경사턱(26')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상기와 같은 압착력에 따른 팽창작용이 주름관(14)의 외벽부(14")와 나사부(18')을 향해 이루어짐에 따라 액체나 기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한 주름관(14)의 선단(14')은 통공부(12')의 내벽부(12'')로 깊숙이 내삽 안내되어져 있으므로 주름관(14)의 외벽부(14'')의 상당 부분이 통공부(12')의 내벽부(12")로 밀착된 구성에 의해서도 누출방지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소켓(10)으로 연결된 주름관(14)은 기존의 도관(20)에서 전혀 실시가 불가능하였던 신축 및 굴신작용을 자유로이 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방향으로의 연결작업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주름관이나 도관의 교체도 손쉽게 하는 등의 설치비용의 경감을 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고안의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켓은 내부로 개재되는 연질소재(軟質素材)의 패킹링이 암소켓 내부로 나사 조임되는 숫소켓의 조임력에 의해 압착 팽창되고, 암소켓의 통공부로 안내되어진 주름관이 나사부로 연결된 도관을 가지는 숫소켓에 의해 도관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도관을 통하는 기체나 액체를 소망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연결하는 효과가 있고, 또 상기의 패킹링에 의해 연결부에서 액체나 기체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로 인해 보다 많은 신축 및 굴신을 요하는 기기 들의 연결부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공지한 도관(20)에 주름관(14)을 연결하는 소켓(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의 소켓(10)은 암소켓(socket)(18)과 숫소켓(socket)(24)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소켓(18)의 통공부(12)로 내삽된 주름관(14)의 선단(14')으로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패킹링(16)을 끼움하고 도관(20)이 암숫나사부(22)(22')로 연결된 숫소켓(24)을 각각의 나사부(18')(24')에 의해 상기 암소켓(18)의 통공부(12)내에 일측으로 형성한 경사턱(26)과 숫소켓(24)의 통공부(12')선단주연에 일측으로 형성된 경사턱(26') 사이에 위치하는 패킹링(16)을 압착 팽창되는 상태로 나사조임하여 연결되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의 연결소켓.
KR20-2004-0006779U 2004-03-12 2004-03-12 주름관의 연결소켓 KR200357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779U KR200357177Y1 (ko) 2004-03-12 2004-03-12 주름관의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779U KR200357177Y1 (ko) 2004-03-12 2004-03-12 주름관의 연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177Y1 true KR200357177Y1 (ko) 2004-07-23

Family

ID=4943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779U KR200357177Y1 (ko) 2004-03-12 2004-03-12 주름관의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1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849Y1 (ko) * 2010-11-02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맞춤형 벌크헤드 유니온
KR101231970B1 (ko) 2012-09-14 2013-02-08 장창수 메탈 전기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849Y1 (ko) * 2010-11-02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맞춤형 벌크헤드 유니온
KR101231970B1 (ko) 2012-09-14 2013-02-08 장창수 메탈 전기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7716A (en) Corrugated flexible hose coupling system
US20110272888A1 (en) Slip joint with clamp
CN100342091C (zh) 流体连接组件
KR200357177Y1 (ko) 주름관의 연결소켓
KR200376324Y1 (ko) 복합 케이블 커넥터
CN1232933A (zh) 将软管固定在硬管上的方法
US7914052B1 (en) Splined connector for a position-sensitive device such as a showerhead
ATE478296T1 (de) Kupplungskörper für polymerrohre mit einer rohrstossfläche
GB2455444A (en) A plumbing pipe component
KR101040230B1 (ko) 배관용 연결기구
CA2509751C (en) Meter bar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KR100831560B1 (ko) 배관용 관이음 장치
ATE414868T1 (de) Verbindung einer sanitärarmatur mit einer leitung
CN210637632U (zh) 一种活接式管路过渡连接件
KR200269996Y1 (ko) 배관용 결속장치
KR200310138Y1 (ko) 배관용연결구
CN219588390U (zh) 给水管弯头连接件
CN2512970Y (zh) 一种管接头
JP3210612B2 (ja) 管路長調整装置
JP2005213788A (ja) 配管装置
JP3052852U (ja) フレキ管接続装置
JPH11132378A (ja) 螺旋波付管継手用パッキン及び螺旋波付管の継手構造
WO1995024581A1 (en) Pipe fitting, particularly between plastic pipe and metal pipe
WO2021206667A3 (en) A hose connec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