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144B1 -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6144B1 KR101266144B1 KR1020120107390A KR20120107390A KR101266144B1 KR 101266144 B1 KR101266144 B1 KR 101266144B1 KR 1020120107390 A KR1020120107390 A KR 1020120107390A KR 20120107390 A KR20120107390 A KR 20120107390A KR 101266144 B1 KR101266144 B1 KR 101266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pipe
- clamp
- locking
- inner body
- large diamet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7 radioactive fall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5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PVC 파이프와 같은 각종 플렉시블 파이프를 금속 배관에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에 나사를 형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클램프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는, 금속 배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둘 이상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내부 몸체와,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안쪽에 반경 방향의 걸림편이 형성된 플렉시블 파이프와, 상기 내부 몸체와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가 관통 삽입되는 소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가 관통 삽입되는 대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에 형성된 둘 이상의 체결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대경부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록킹 홈과, 상기 록킹 홈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용 지그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그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는, 금속 배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둘 이상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내부 몸체와,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안쪽에 반경 방향의 걸림편이 형성된 플렉시블 파이프와, 상기 내부 몸체와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가 관통 삽입되는 소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가 관통 삽입되는 대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에 형성된 둘 이상의 체결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대경부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록킹 홈과, 상기 록킹 홈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용 지그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그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PVC 파이프와 같은 각종 플렉시블 파이프를 금속 배관에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에 나사(Screw)를 형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물 분배기나 물 배관용 파이프 및 수도 배관 파이프 등에서는 금속 파이프끼리 연결하는 경우도 많지만 경우에 따라 금속 파이프에 PVC 파이프와 같은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통상 금속 파이프끼리 연결할 경우에는 일측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서로 나사 체결하는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지만 PVC 파이프와 같은 각종 플렉시블 파이프에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이들 플렉시블 파이프는 금속 파이프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금속 배관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클램프와 오 링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 배관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나사산(11')이 형성된 금속 파이프(11)와,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안쪽에 반경 방향의 걸림편(12')이 형성된 플렉시블 파이프(12)와, 일측에는 상기 금속 파이프(11)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가 빠지지 않도록 걸림부(13')가 구비된 클램프(13)와,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의 단부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금속 파이프(11)와 플렉시블 파이프(12) 및 걸림부(13')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하는 오 링(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는 클램프와 오 링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파이프를 금속 파이프에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클램프(13)의 개구부를 통해 플렉시블 파이프(12)를 삽입하여 상기 클램프(13)의 걸림부(13')에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의 걸림편(12')이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의 단부 외측에는 오 링(14)이 삽입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 상태에서 금속 배관에 연결된 금속 파이프(11)의 단부에 상기 클램프(13)를 나사 체결하여 상기 금속 파이프(11)와 플렉시블 파이프(12)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오 링(14)은 상기 금속 파이프(11)의 끝단부와 클램프(13)의 걸림부(13') 사이에 위치되어 둘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금속 배관으로부터 플렉시블 파이프(12)로 공급되는 물이나 기름 등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는 클램프와 금속 파이프의 연결을 위하여 클램프의 내주면 및 금속 파이프의 단부 외주면에 각각 나사를 가공해야 함과 아울러 이들의 체결을 위한 작업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에 나사를 가공하지 않고도 금속 배관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는, 금속 배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둘 이상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내부 몸체와,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안쪽에 반경 방향의 걸림편이 형성된 플렉시블 파이프와, 상기 내부 몸체와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가 관통 삽입되는 소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가 관통 삽입되는 대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대경부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록킹 홈과, 상기 록킹 홈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용 지그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그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몸체와 플렉시블 파이프 및 클램프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하는 오 링이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의 단부 외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 홈은 상기 대경부의 끝단에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끼워지는 도입부와, 상기 대경부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록킹부와, 상기 도입부와 록킹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는 내측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은 상기 도입부 및 록킹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경부의 일측에 일반 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 형상의 공구 결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금속 배관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할 때 금속 배관에 연결된 내부 몸체 및 클램프에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클램프를 약간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플렉시블 파이프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클램프에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클램프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내부 몸체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클램프의 록킹 홈에 체결되어 클램프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됨은 물론 록킹 홈의 경사부로 인해 클램프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오링이 압축되어 실링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지그 홈에 결합되는 특정 형상의 전용 지그를 사용하여 내부 몸체와 클램프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구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패너 등의 일반 공구를 이용해서도 클램프를 내부 몸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클램프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클램프의 다른 예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결용 지그가 도시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클램프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클램프의 다른 예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결용 지그가 도시된 참고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배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둘 이상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내부 몸체와,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안쪽에 반경 방향의 걸림편이 형성된 플렉시블 파이프와, 상기 내부 몸체와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가 관통 삽입되는 소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가 관통 삽입되는 대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대경부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록킹 홈과, 상기 록킹 홈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용 지그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그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해결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클램프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클램프의 다른 예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결용 지그가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는, 금속 배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2~4개의 체결 돌기(115)가 형성된 내부 몸체(110)와,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안쪽에 반경 방향의 걸림편(125)이 형성된 플렉시블 파이프(120)와, 상기 내부 몸체(110)와 플렉시블 파이프(120)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클램프(130)와,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0)의 단부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몸체(110)와 플렉시블 파이프(120) 및 클램프(130)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하는 오링(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130)는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0)가 관통 삽입되는 소경부(132)와 상기 내부 몸체(110)가 관통 삽입되는 대경부(131)와, 상기 내부 몸체(110)에 형성된 체결 돌기(115)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대경부(131)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돌기(115)와 동수의 록킹 홈(134)과, 상기 록킹 홈(134)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용 지그(150)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그 홈(1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 홈(134)은,상기 대경부(131)의 끝단에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115)가 끼워지는 도입부(134a)와, 상기 대경부(131)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록킹부(134b)와, 상기 도입부(134a)와 록킹부(134b)를 연결하는 연결부(134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134c)는 내측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은 상기 도입부(134a) 및 록킹부(134b)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경부(131)의 일측에 스패너나 렌치와 같은 일반인 체결용 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 형상의 공구 결합부(135)가 더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공구 결합부(135)가 형성될 경우 상기 지그 홈(133)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는 내부 몸체 및 클램프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도 내부 몸체와 클램프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파이프를 금속 배관에 연결하게 된다.
클램프(130)의 대경부(131)를 통해 플렉시블 파이프(120)를 삽입한 후 소경부(132)측으로 빼내게 되면,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0)의 걸림편(125)이 상기 클램프(130)의 대경부(131)와 소경부(132) 사이의 단차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0)의 단부에는 오링(140)이 삽입되어 있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금속 배관에 설치된 내부 몸체(110)가 상기 클램프(130)의 대경부(131)를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클램프(130)를 일정 정도 회전시켜 상기 내부 몸체(110)와 클램프(130)가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클램프(130)에 형성된 록킹 홈(134)의 도입부(134a)에 상기 내부 몸체(110)의 체결 돌기(115)가 삽입되도록 상기 클램프(130)를 밀어 넣고, 도 8에 도시된 체결용 지그(150)의 선단부가 상기 클램프(130)의 지그 홈(133)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용 지그(150)를 회전시킨다. 물론, 상기 클램프(130)에 공구 결합부(135)가 구비된 경우에는 스패너나 렌치와 같은 통상적인 체결용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프(13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130)를 회전시키면 상기 클램프(130)에 형성된 록킹 홈(134)의 연결부(134c)를 구성하는 경사면에 접하는 체결 돌기(115)로 인해 상기 클램프(130)는 회전과 동시에 일정 정도 전진하게 되며, 상기 체결 돌기(115)가 록킹 홈(134)의 록킹부(134b) 끝단까지 삽입되면 상기 클램프(130)의 회전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130)가 회전하면서 전진함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120)에 삽입된 오 링(140)은 상기 내부 몸체(110)의 끝단과 상기 클램프(130)의 단차부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내부 몸체(110)와 클램프(130) 및 플렉시블 파이프(120) 사이의 실링 성능이 좋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록킹부(134b)에 삽입된 상기 체결 돌기(115)로 인해 클램프(130)와 내부 몸체(110)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되어 내부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상기 클램프(13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금속 배관에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플렉시블 파이프 대신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기 어려울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갖거나 강도가 약한 동관 등의 금속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내부 몸체 115: 체결돌기
120: 플렉시블 파이프 125: 걸림편
130: 클램프 131: 대경부
132: 소경부 133: 지그 홈
134: 록킹 홈 134a: 도입부
134b: 록킹부 134c: 연결부
135: 공구 결합부 140: 오 링
120: 플렉시블 파이프 125: 걸림편
130: 클램프 131: 대경부
132: 소경부 133: 지그 홈
134: 록킹 홈 134a: 도입부
134b: 록킹부 134c: 연결부
135: 공구 결합부 140: 오 링
Claims (5)
- 금속 배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둘 이상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내부 몸체와,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안쪽에 반경 방향의 걸림편이 형성된 플렉시블 파이프와, 상기 내부 몸체와 플렉시블 파이프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가 관통 삽입되는 소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가 관통 삽입되는 대경부와, 상기 내부 몸체에 형성된 둘 이상의 체결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대경부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록킹 홈과, 상기 록킹 홈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용 지그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그 홈과,
상기 내부 몸체와 플렉시블 파이프 및 클램프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하는 오링이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의 단부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록킹 홈은, 상기 대경부의 끝단에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끼워지는 도입부와, 상기 대경부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록킹부와, 상기 도입부와 록킹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측은 상기 도입부 및 록킹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의 일측에 일반 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 형상의 공구 결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7390A KR101266144B1 (ko) | 2012-09-26 | 2012-09-26 |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7390A KR101266144B1 (ko) | 2012-09-26 | 2012-09-26 |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6144B1 true KR101266144B1 (ko) | 2013-05-21 |
Family
ID=4866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7390A KR101266144B1 (ko) | 2012-09-26 | 2012-09-26 |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614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9933A (ko) * | 2015-05-29 | 2016-12-07 | 경성정밀주식회사 | 플러그인 방식의 호스연결체 |
KR101739008B1 (ko) | 2016-11-21 | 2017-05-23 | 김덕한 |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
KR20170004412U (ko) | 2016-06-20 | 2017-12-29 | 주식회사 디엠에스 | 플렉시블 배관 연결 시스템 |
KR20200000641U (ko) | 2018-09-13 | 2020-03-23 | 조경호 | 배관용 파이프 |
KR20210031815A (ko) * | 2019-09-12 | 2021-03-23 | 쿠안-룽 린 | 내장형 화재 차단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3186B1 (ko) | 2004-12-16 | 2005-04-14 | 라기천 |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장치 |
JP2009092170A (ja) * | 2007-10-10 | 2009-04-30 | Kubota Corp | 管継手部構造 |
KR200451709Y1 (ko) * | 2008-07-29 | 2011-01-07 | 나기천 | 원터치 커플링 |
-
2012
- 2012-09-26 KR KR1020120107390A patent/KR1012661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3186B1 (ko) | 2004-12-16 | 2005-04-14 | 라기천 |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장치 |
JP2009092170A (ja) * | 2007-10-10 | 2009-04-30 | Kubota Corp | 管継手部構造 |
KR200451709Y1 (ko) * | 2008-07-29 | 2011-01-07 | 나기천 | 원터치 커플링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9933A (ko) * | 2015-05-29 | 2016-12-07 | 경성정밀주식회사 | 플러그인 방식의 호스연결체 |
KR102250811B1 (ko) | 2015-05-29 | 2021-05-11 | 경성정밀주식회사 | 플러그인 방식의 호스연결체 |
KR20170004412U (ko) | 2016-06-20 | 2017-12-29 | 주식회사 디엠에스 | 플렉시블 배관 연결 시스템 |
KR101739008B1 (ko) | 2016-11-21 | 2017-05-23 | 김덕한 |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
WO2018093066A1 (ko) * | 2016-11-21 | 2018-05-24 | (주)래피딧 |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
KR20200000641U (ko) | 2018-09-13 | 2020-03-23 | 조경호 | 배관용 파이프 |
KR20210031815A (ko) * | 2019-09-12 | 2021-03-23 | 쿠안-룽 린 | 내장형 화재 차단 장치 |
KR102447318B1 (ko) * | 2019-09-12 | 2022-09-23 | 쿠안-룽 린 | 내장형 화재 차단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6144B1 (ko) |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 |
TWI612249B (zh) | 合成樹脂製管接頭 | |
EP2574834A1 (en) | Pipe connector | |
KR101295175B1 (ko) | 상수관의 연결 구조 | |
KR101626968B1 (ko) | 파이프 연결구 | |
EP3153749A1 (en) | Easy-to-install tap structure | |
CN105829787A (zh) | 狭窄空间配管用接头 | |
KR200409053Y1 (ko) | 파이프 이음구조 | |
KR101612778B1 (ko) | 반도체 가스배관용 피팅 고정장치 | |
CN106795986A (zh) | 软管管道及软管管道的制造方法 | |
CN210484898U (zh) | 一种可靠的管件连接结构 | |
KR101264320B1 (ko) | 산업용배관 연결용 피팅구 | |
KR20160095571A (ko) |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 |
KR20170001915U (ko) |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 |
TW202032054A (zh) | 連接結構 | |
CN205716171U (zh) | 一种异径三通管接头 | |
KR101397464B1 (ko) | 배관 연결기구 | |
JP4376583B2 (ja) | 回転ヘッダー | |
JP2014003789A (ja) | 防爆形ケーブルグランドのケーブルクランプ装置 | |
KR101300623B1 (ko) | 파이프 연결구 | |
CN205806777U (zh) | 一种45°弯通管接头 | |
KR101186550B1 (ko) | 관이음 조립체 | |
CN105697820B (zh) | 球阀 | |
CN105805344B (zh) | 一种球阀 | |
JP5917198B2 (ja) | 伸縮可撓式継手とこれを用いたサドル付分水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