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394A -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394A
KR20190136394A KR1020180062047A KR20180062047A KR20190136394A KR 20190136394 A KR20190136394 A KR 20190136394A KR 1020180062047 A KR1020180062047 A KR 1020180062047A KR 20180062047 A KR20180062047 A KR 20180062047A KR 20190136394 A KR20190136394 A KR 20190136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ngle
support
wal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258B1 (ko
Inventor
한선아
Original Assignee
승보세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보세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승보세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25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의 건축물 공사현장에서 추락사고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절감하여 추락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에 관한 것으로, 나선형상으로 된 와이어 고리의 측면을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앵글과 2개소 이상 용접하여 고정하고, 건축물 외벽 내부에 고정되는 볼트부재에 다격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앵글고정부가 형성된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앵글을 고정함으로써, 낙하물 추락방망에 발생하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리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하고, 앵글의 단면이 「ㄴ」자 형상을 이루도록 단순화함으로써, 고정구에 의한 앵글 고정시 공구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앵글의 설치 용이성 및 생산단가를 절감을 이루게 하며, 공구를 통해 고정구의 결합을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구의 분리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Damage Prevention Structure for Wire-Connection Part of Safety Net}
본 발명은 고층의 건축물 공사현장에서 작업자나 건축재료 등의 추락사고 발생시 낙하물이 추락방망에 걸리면서 낙하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절감하여 추락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구를 통해 건축물의 외벽 상부와 하부에 앵글을 고정하고, 추락방망이 연결된 지지대를 하부의 앵글에 설치한 뒤, 상부의 앵글 및 지지대에 부착된 와이어 고리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지지대를 고정하되, 와이어 고리가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한 와이어 고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축물 공사현장에서는 작업자나 건축재료 또는 공구 등이 추락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낙하물 추락방망을 설치하게 되며, 낙하물 추락방망은 재료운반 또는 작업자의 통로 및 발판 역할을 하는 비계를 겸하게 되므로 연결부의 내구성이 매우 중요시된다.
이러한 낙하물 추락방망은 추락방망이 고정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내측면을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벽면과 지지대의 외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452호에서는 다수의 파이프가 클램프에 연결되어 형성된 안전망 구조물과, 안전망 구조물에 연결되는 낙하물 방지망과, 안전망 구조물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일반적인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낙하물 추락방망에서 와이어를 벽면에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고정수단은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끝단에 고리가 형성된 볼트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고정수단은 낙하물 추락방망에 하중이나 충격이 작용하면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 끝단의 고리가 펴지거나, 고정수단의 형상적 특성상 체결시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기 어려워 작업자가 손으로 체결함에 따라 체결력이 부족하여 도 1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 자체가 벽면에서 이탈이 발생하거나, 반복되는 하중과 충격에 의해 도 1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이 파손되면서 와이어가 분리되어 낙하물 추락방망의 한쪽면이 무너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7681호에서는 벽면에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 브라켓과, 브라켓에 연결되는 지지바, 지지바에 설치되는 추락방망 및 지지바를 고정하는 지지파이프 및 연결구로 구성되는 낙하물 추락방망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추락방망은 창문 등의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벽면에는 브라켓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낙하물 추락방망을 설치할 수 없고,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5119호에서는 벽면에 설치되는 장착브라켓과, 장착브라켓의 클램프에 고정되는 I자형 지지봉과, 지지봉의 반대편과 연결되는 와이어와, 와이어를 벽면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고리 및 턴버클로 구성되는 낙하물 추락방망이 제시되어 있으나, 낙하물 추락방망에 하중이나 충격이 작용하면 상기 고리가 형성된 볼트와 마찬가지로 턴버클의 고리가 펴지면서 와이어가 분리되어 낙하물 추락방망의 한쪽면이 무너지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452호 (2005.07.0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7681호 (2006.07.2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5110호 (2009.02.16. 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어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와이어 고리가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해 파손 및 이탈되어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리 및 와이어 고리 연결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결부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낙하물 추락방망의 안전성 향상 및 생산비용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와이어 고리와 앵글을 일체화하여 제작함으로써 낙하물 추락방망 설치공정의 단순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낙하물 추락방망을 벽면에 고정하는 앵글의 고정구 결합력을 향상시켜 고정구의 분리에 의한 낙하물 추락방망의 파손방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나선형상으로 된 제1 와이어 고리의 측면이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2개소 이상 용접되고,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상부앵글과, 상부앵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하부앵글과,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가 지지대 브라켓을 통해 교차하여 결합되어 다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하되, 제1 지지대는 하부앵글에 고정되고, 제2 지지대의 측면 상부에는 하부앵글(20)의 반대방향으로 제2 와이어 고리가 형성된 지지대와, 주변부 끝단이 지지대에 감아져 펼쳐지는 추락방망과, 양쪽 끝단이 각각 제1 와이어 고리와, 제2 와이어 고리에 연결되어 지지대를 고정하는 와이어 및 상부앵글 및 하부앵글을 건축물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앵글에는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이 나선이 권취된 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하부앵글과 2개소 이상 용접되는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가 장착되되, 제1 지지대가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앵글에는 1개 이상의 링(ring)이 하부앵글과 용접되어 형성된 링 파이프 고정구가 장착되되, 제1 지지대가 링 파이프 고정구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앵글에 장착된 클램프 파이프 고정구가 제1 지지대를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구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가 건축물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너트부재가 볼트부재에 체결되며, 너트부재의 한쪽 말단에 다각기둥 형상으로 된 앵글고정부가 형성되어 상부앵글 및 하부앵글을 건축물 외벽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구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너트부재가 건축물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가 너트부재에 체결되며, 볼트부재의 한쪽 말단에 다각기둥 형상으로 된 앵글고정부가 형성되어 상부앵글 및 하부앵글을 건축물 외벽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구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가 건축물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볼트의 한쪽 말단이 볼트부재의 말단과 접촉하도록 연결되어 고정볼트의 반대쪽 말단이 건축물 외벽 외부로 돌출되며, 볼트부재와 고정볼트의 연결부에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너트부재가 체결되어 볼트부재와 고정볼트를 서로 고정하되, 고정볼트에 체결된 고정너트에 의해 상부앵글 및 하부앵글이 건축물 외벽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와이어 고리는 나선형상을 이루되, 제2 와이어 고리의 측면이 나선이 권취된 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제2 지지대와 2개소 이상 용접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앵글과 하부앵글은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와이어 고리는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피치(pitch)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와이어 결합시 와이어의 고리가 제1 와이어 고리의 좁은 피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양쪽 끝단이 제1 와이어 고리 및 제2 와이어 고리의 나선 내부를 통과하고, 제1 와이어 고리 및 제2 와이어 고리를 통과한 와이어 끝단이 휘어져 형성된 고리가 와이어 클립으로 고정되어 지지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추락방망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와이어가 나선형상을 이루는 고리에 걸려 연결되고, 고리는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2개소 이상 앵글과 용접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추락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리가 펴지거나 결합부가 파손되면서 와이어가 이탈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축물 벽면에 고정되는 앵글의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고정구에 의한 앵글 고정시 공구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앵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앵글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나선형상을 이루는 와이어 고리의 한쪽 방향 피치 간격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와이어가 와이어 고리의 좁은 피치 부위에 끼워진 상태로 걸려 고정됨에 따라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축물 벽면에 앵글을 고정할 때 공구를 통해 고정구의 결합을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구가 분리되면서 낙하물 추락방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상부 및 하부앵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추락방망의 측면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가 적용된 낙하물 추락방망의 측면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가 적용된 낙하물 추락방망의 지지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 파이프 고정구가 적용된 낙하물 추락방망의 측면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 파이프 고정구가 적용된 낙하물 추락방망의 지지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파이프 고정구가 적용된 낙하물 추락방망의 측면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파이프 고정구가 적용된 낙하물 추락방망의 지지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추락방망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쪽 방향의 피치 간격이 좁게 형성된 제1 와이어 고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가 나선형상의 제1 와이어 고리 및 제2 와이어 고리의 내부를 통과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건축물의 외벽 표면에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이 위아래로 배치되도록 장착되는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에 형성된 고정구홀(12,22)를 통과하는 고정구(60)에 의해 건축물 외벽에 고정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앵글(10)에는 나선형상으로 된 제1 와이어 고리(11)가 용접되어 고정되는데,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고리(11)의 한쪽 측면이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상부앵글(10)과 2개소 이상 용접되면서 고정되며, 상부앵글(10)과 제1 와이어 고리(11) 사이에는 2개소 이상의 용접에 의한 접합부(W)가 형성된다.
또한, 도 5 및 도 1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30)는 제1 지지대(31)와 제2 지지대(32)가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2개의 클램프로 구성되는 지지대 브라켓(33)을 통해 결합되어 프레임을 형성하고, 제1 지지대(31)는 하부앵글(20)에 고정되는데, 지지대(30)의 프레임에 추락방망(40)의 주변부 끝단이 감아진 상태로 지지대 브라켓(33) 및 하부앵글(20)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추락방망(40)이 지지대(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지지대(32)에는 하부앵글(20) 반대편 끝단부 측면 상부방향으로 제2 와이어 고리(34)가 형성되고, 와이어 클립(51)에 의해 고정되어 고리가 형성된 와이어(50)의 양쪽 말단이 각각 제1 와이어 고리(11)와 제2 와이어 고리(34)에 끼워져 지지대(30)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형상으로 된 제1 와이어 고리(11)의 한쪽 끝단에 와이어(50)의 고리를 끼우면 와이어(50)가 제1 와이어 고리(11)의 나선을 따라 제1 와이어 고리(11)의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며, 제1 와이어 고리(11)와 와이어(50)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와이어(50)의 고리가 끼워지는 제1 와이어 고리(11)의 끝단은 용접에 의한 접합부(W) 바깥방향으로 36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연장하여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형상으로 된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21A)의 측면이 나선이 권취된 방향을 따라 360° 회전된 간격으로 하부앵글(20)과 2개소 이상 용접되며, 추락방망(40)의 주변부 끝단이 지지대(30)의 프레임 표면에 감아진 상태로 제1 지지대(31)가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21A)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된 1개 이상의 링 파이프 고정구(21B)가 하부앵글(20)에 용접되어 고정되고, 지지대(30)의 프레임에 추락방망(40)의 주변부 끝단이 감아진 상태로 제1 지지대(31)가 링 파이프 고정구(21B) 내측 공간을 통과도록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앵글(20)에 클램프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클램프 파이프 고정구(21C)가 제1 지지대(31)를 고정하게 되는데, 지지대(30)의 프레임에 추락방망(40)의 주변부 끝단이 감아진 상태로 제1 지지대(31)와 클램프 파이프 고정구(21C)가 서로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60)는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61)와, 내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한쪽 말단에 다각기둥 형상으로 된 앵글고정부(63)가 형성된 너트부재(62)로 구성되되, 상기 볼트부재(61)는 건축물의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너트부재(62)와 볼트부재(61)가 나사산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60)는 내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너트부재(62)와,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한쪽 말단에 다각기둥 형상으로 된 앵글고정부(63A)가 형성된 볼트부재(61)로 구성되되, 상기 너트부재(62)는 건축물의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볼트부재(61)와 너트부재(62)가 나사산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3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60)는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61)의 말단이 고정볼트(64)의 한쪽 말단과 접촉하도록 연결되는데, 고정볼트(64)는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볼트부재(61)와 접촉하는 반대쪽 말단이 건축물 외벽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너트부재(62)가 볼트부재(61)와 고정볼트(64)의 연결부에 체결되고, 고정볼트(64)의 외부로 돌출된 부위에는 고정너트(65)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1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2 와이어 고리(34)가 나선형상으로 되고, 제1 와이어 고리(11)와 마찬가지로 제2 와이어 고리(34)의 측면이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지지대(30)의 표면과 2개소 이상 용접되어 고정되는데, 나선형상으로 된 제2 와이어 고리(34)의 끝단에 와이어(50)의 고리를 끼우면 와이어(50)가 제2 와이어 고리(34)의 나선을 따라 제2 와이어 고리(34)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와이어 고리(34)와 와이어(50)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와이어(50)의 고리가 끼워지는 제2 와이어 고리(34)의 끝단은 용접에 의한 접합부 바깥방향으로 36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연장하여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하며,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상부앵글(10)과 하부앵글(20)이 「ㄴ」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고리(11)는 한쪽 방향의 피치(pitch) 간격이 더욱 좁게 형성되는데,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와이어 고리(11)에 형성된 좁은 피치 간격이 제1 와이어 고리(11)가 이루는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구간마다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는 제8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50)의 양쪽 끝단이 각각 제1 와이어 고리(11) 및 제2 와이어 고리(34)의 나선 내부를 통과하고, 제1 와이어 고리(11) 및 제2 와이어 고리(34)의 나선 내부를 통과한 와이어(50) 끝단이 휘어져 형성된 고리가 와이어 클립(51)으로 고정되어 지지대(30)를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건축물의 외벽에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밀착시킨 뒤 고정구(60)를 고정구홀(12,22)에 통과시키면, 고정구(60)가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의 벽면 고정이 완료되면 지지대(30)와 추락방망(40)을 결합하게 되는데, 제1 지지대(31)를 하부앵글(20)에 고정한 뒤, 클램프로 이루어진 지지대 브라켓(33)으로 제2 지지대(32)를 제1 지지대(31)와 연결 및 고정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지지대(30)의 프레임에 추락방망(40)을 연결하되, 추락방망(40)의 주변부 끝단이 지지대(30)의 프레임에 감아진 상태로 하부앵글(20) 및 지지대 브라켓(33)에 연결함으로써 추락방망(40)이 지지대(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30)와 추락방망(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와이어(50)의 양쪽 끝단이 휘어진 상태로 와이어 클립(51)으로 고정하여 형성된 고리를 제1 와이어 고리(11)와 제2 와이어 고리(34)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대(30)를 고정하는데, 지지대(30)와 벽면이 이루는 경사가 안전규정 등에 부합하도록 와이어(50)의 길이를 조절하여 나선형상으로 된 제1 와이어 고리(11)의 끝단에 와이어(50)의 고리를 끼우면 와이어(50)가 제1 와이어 고리(11)의 나선을 따라 제1 와이어 고리(11)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와이어(50)와 제1 와이어 고리(11)가 고정되도록 하고, 특히 용접에 의한 접합부(W)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 고리(11)의 끝단의 나선이 용접에 의한 접합부(W) 바깥방향으로 36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권취함으로써, 중량체가 추락하여 추락방망(40)에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와이어(50)가 제1 와이어 고리(11)로부터 이탈하거나 제1 와이어 고리(11)가 변형되면서 펼쳐져 와이어(50)가 제1 와이어 고리(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나선형상으로 된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21A)의 내측 공간에 제1 지지대(31)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21A)와 제1 지지대(31)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제1 지지대(3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고,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21A)와 하부앵글(20)이 서로 2개소 이상 용접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 지지대(31)를 통해 하중이나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21A)와 하부앵글(20)의 연결부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며, 지지대(30)와 추락방망(40)을 결합할 때, 1개 이상의 링으로 이루어진 링 파이프 고정구(21B) 내부로 제1 지지대(31)를 통과시키게 되는데, 링 파이프 고정구(21B)를 2개 이상 형성하는 경우 링 파이프 고정구(21B)와 제1 지지대(31)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면서 제1 지지대(3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여 링 파이프 고정구(21B)와 하부앵글(20)의 연결부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며, 지지대(30)와 추락방망(40)을 결합할 때 클램프 파이프 고정구(21C)에 제1 지지대(31)를 체결시킴으로써, 제1 지지대(31)의 체결을 더욱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하며, 건축물 외벽에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고정장착할 때, 너트부재(62)의 몸체가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의 고정구홀(12,22)을 통과하면 너트부재(62)의 말단에 형성된 앵글고정부(63)가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 외벽에 밀착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앵글고정부(63)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공구를 이용하여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의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구(60)의 이탈에 의한 추락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하며, 건축물 외벽에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고정장착할 때, 볼트부재(61)의 몸체가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의 고정구홀(12,22)을 통과하면 볼트부재(61)의 말단에 형성된 앵글고정부(63A)가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 외벽에 밀착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앵글고정부(63A)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공구를 이용하여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의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구(60)의 이탈에 의한 추락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하며, 건축물 외벽에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고정장착할 때, 고정너트(65)가 체결된 상태의 고정볼트(64)에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의 고정구홀(12,22)을 통과시킨 뒤 고정볼트(64)를 너트부재(62)에 체결하면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이 건축물의 외벽에 연결되고, 고정너트(65)를 조절하여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의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64)의 돌출된 말단부와 고정너트(65)의 측면은 공구를 통해 더욱 견고하게 체결 또는 고정할 수 있도록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동일하며, 와이어(50)를 제1 와이어 고리(11)와 제2 와이어 고리(34)에 연결할 때, 나선형상으로 된 제2 와이어 고리(34)의 한쪽 끝단에 와이어(50)의 고리를 끼워 연결하게 되는데, 와이어(50)가 제2 와이어 고리(34)의 나선을 따라 제2 와이어 고리(34)의 중앙부로 이동하면서 와이어(50)와 제2 와이어 고리(34)가 고정된다.
이때, 하부앵글(20)과의 용접에 의한 접합부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2 와이어 고리(34)의 끝단의 나선이 용접에 의한 접합부 바깥방향으로 360°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권취함으로써, 중량체가 추락하여 추락방망(40)에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와이어(50)가 제2 와이어 고리(34)로부터 이탈하거나 제2 와이어 고리(34)가 변형되면서 펼쳐져 와이어(50)가 제2 와이어 고리(3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의 작동방법과 동일하며,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이 「ㄴ」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단면을 가지게 됨으로써, 상부앵글(10)과 하부앵글(20)을 벽면에 고정할 때 앵글의 개방부를 통해 공구를 이용한 고정구(60)의 결합 및 고정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하고, 앵글의 형상을 단순화시켜 생산비용 절감 및 낙하물 추락방망의 무게 감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의 작동방법과 동일하며, 제1 와이어 고리(11)에 와이어(50)의 고리를 연결할 때 와이어(50)가 제1 와이어 고리(11)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의 피치가 P2에서 P1만큼 좁아지면서 와이어(50)의 고리가 제1 와이어 고리(11)에 끼워진 상태로 걸려 고정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50)가 제1 와이어 고리(11)로부터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의 작동방법은 제8 실시 예와 동일하며, 와이어(50)를 제1 와이어 고리(11)와 제2 와이어 고리(34)에 연결할 때, 제1 와이어 고리(11)와 제2 와이어 고리(34)가 이루는 나선 내부를 통과시킨 다음 와이어(50) 끝단을 구부려 와이어 클립(50)으로 고정하게 되는데, 와이어(50)의 고리 사이로 제1 와이어 고리(11) 및 제2 와이어 고리(34)가 이루는 나선이 여러 번 통과하게 됨으로써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와이어 고리(11) 및 제2 와이어 고리(34)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와이어 고리(11) 및 제2 와이어 고리(34)가 각각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과 2개소 이상 용접되어 고정됨으로써 낙하물 추락방망에 충격 또는 하중 작용시 와이어 고리와 앵글 사이의 결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부앵글 11: 제1 와이어 고리
12: 고정구홀 20: 하부앵글
21A: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 21B: 링 파이프 고정구
21C: 클램프 파이프 고정구 22: 고정구홀
30: 지지대 31: 제1 지지대
32: 제2 지지대 33: 지지대 브라켓
34: 제2 와이어 고리 40: 추락방망
50: 와이어 51: 와이어 클립
60: 고정구 61: 볼트부재
62: 너트부재 63, 63A: 앵글고정부
64: 고정볼트 65: 고정너트

Claims (11)

  1. 낙하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 시공현장의 외벽에 설치되는 낙하물 추락방망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된 제1 와이어 고리(11)의 측면이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2개소 이상 용접되고,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상부앵글(10)과;
    상부앵글(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하부앵글(20)과;
    제1 지지대(31) 및 제2 지지대(32)가 지지대 브라켓(33)을 통해 교차하여 결합되어 다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하되, 제1 지지대(31)는 하부앵글(20)에 고정되고, 제2 지지대(32)의 측면 상부에는 하부앵글(20)의 반대방향으로 제2 와이어 고리(34)가 형성된 지지대(30)와;
    주변부 끝단이 지지대(30)에 감아져 펼쳐지는 추락방망(40)과;
    양쪽 끝단이 각각 제1 와이어 고리(11) 및 제2 와이어 고리(34)에 연결되어 지지대(30)를 고정하는 와이어(50); 및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앵글(20)에는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이 나선이 권취된 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하부앵글(20)과 2개소 이상 용접되는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21A)가 장착되되, 제1 지지대(31)가 나선형 파이프 고정구(21A)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앵글(20)에는 1개 이상의 링(ring)이 하부앵글(20)과 용접되어 형성된 링 파이프 고정구(21B)가 장착되되, 제1 지지대(31)가 링 파이프 고정구(21B)의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앵글(20)에 장착된 클램프 파이프 고정구(21C)가 제1 지지대(31)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정구(60)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61)가 건축물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너트부재(62)가 볼트부재(61)에 체결되며, 너트부재(62)의 한쪽 말단에 다각기둥 형상으로 된 앵글고정부(63)가 형성되어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 외벽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정구(60)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너트부재(62)가 건축물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61)가 너트부재(61)에 체결되며, 볼트부재(61)의 한쪽 말단에 다각기둥 형상으로 된 앵글고정부(63A)가 형성되어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을 건축물 외벽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정구(60)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재(61)가 건축물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볼트(64)의 한쪽 말단이 볼트부재(61)의 말단과 접촉하도록 연결되어 고정볼트(64)의 반대쪽 말단이 건축물 외벽 외부로 돌출되며, 볼트부재(61)와 고정볼트(64)의 연결부에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너트부재(62)가 체결되어 볼트부재(61)와 고정볼트(64)를 서로 고정하되, 고정볼트(64)에 체결된 고정너트(65)에 의해 상부앵글(10) 및 하부앵글(20)이 건축물 외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 와이어 고리(34)는 나선형상을 이루되, 제2 와이어 고리(34)의 측면이 나선이 권취된 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제2 지지대(32)와 2개소 이상 용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부앵글(10)과 하부앵글(20)은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와이어 고리(11)는 나선의 권취방향을 따라 360°회전된 간격으로 피치(pitch)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와이어(50) 결합시 와이어(50)의 고리가 제1 와이어 고리(11)의 좁은 피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11. 제8항에 있어서,
    와이어(50)의 양쪽 끝단이 제1 와이어 고리(11) 및 제2 와이어 고리(34)의 나선 내부를 통과하고, 제1 와이어 고리(11) 및 제2 와이어 고리(34)를 통과한 와이어(50) 끝단이 휘어져 형성된 고리가 와이어 클립(51)으로 고정되어 지지대(3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KR1020180062047A 2018-05-30 2018-05-30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KR102106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47A KR102106258B1 (ko) 2018-05-30 2018-05-30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47A KR102106258B1 (ko) 2018-05-30 2018-05-30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94A true KR20190136394A (ko) 2019-12-10
KR102106258B1 KR102106258B1 (ko) 2020-05-04

Family

ID=6900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047A KR102106258B1 (ko) 2018-05-30 2018-05-30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2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628A (zh) * 2021-05-18 2021-08-06 江西木之歌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施工用工具安全防坠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452Y1 (ko) 2005-04-19 2005-07-18 최천호 건축공사용 안전망
KR100607681B1 (ko) 2004-09-21 2006-08-02 주식회사 이산세이프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0885110B1 (ko) 2008-03-17 2009-02-20 김성민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140118722A (ko) * 2014-02-12 2014-10-08 주식회사 조아세이프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JP2016211252A (ja) * 2015-05-11 2016-12-15 株式会社伊藤製作所 ネット張設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81B1 (ko) 2004-09-21 2006-08-02 주식회사 이산세이프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200389452Y1 (ko) 2005-04-19 2005-07-18 최천호 건축공사용 안전망
KR100885110B1 (ko) 2008-03-17 2009-02-20 김성민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140118722A (ko) * 2014-02-12 2014-10-08 주식회사 조아세이프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JP2016211252A (ja) * 2015-05-11 2016-12-15 株式会社伊藤製作所 ネット張設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6628A (zh) * 2021-05-18 2021-08-06 江西木之歌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施工用工具安全防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258B1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87386B (zh) 一种用于钢筋部品化施工的机械连接装置及钢筋连接方法
JP6644975B2 (ja) 防護柵
KR200473181Y1 (ko)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구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CN208777751U (zh) 一种用于钢结构屋面安装的安全绳支架
KR101049437B1 (ko) 당김구가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구조물
US20110315474A1 (en) Post anchor extension for a horizontal lifeline system
KR20190136394A (ko)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US1996894A (en) Anticlimbing device
CN205637555U (zh) 一种用于盘扣式脚手架外挂安全网的固定装置
KR200397951Y1 (ko) 비계 파이프 구조물
CN110984603A (zh) 一种安全网
CN215055226U (zh) 一种脚手架对接扣件
KR101894235B1 (ko) 가드레일의 지주 지지력 보강구조
CN215167928U (zh) 可拆卸式脚手架连墙系统及连墙机构
JP3164853U (ja) 落下物防護ネット張設装置
JP6856949B2 (ja) 足場の支持装置
JP4879819B2 (ja) フェンス
KR200417973Y1 (ko) 비계용 파이프 결속구
CN211923605U (zh) 一种安全网
JP6348403B2 (ja) 高架用防音壁の施工方法
KR20120133013A (ko) 건축물 공사용 안전 난간대
JP6313553B2 (ja) 屋根用仮設てすり及び屋根用仮設てすりの取付方法
KR101143676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CN215669068U (zh) 一种用于临时支撑与固有结构的固定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