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676B1 -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676B1
KR101143676B1 KR1020090071980A KR20090071980A KR101143676B1 KR 101143676 B1 KR101143676 B1 KR 101143676B1 KR 1020090071980 A KR1020090071980 A KR 1020090071980A KR 20090071980 A KR20090071980 A KR 20090071980A KR 101143676 B1 KR101143676 B1 KR 101143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ain body
building
open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357A (ko
Inventor
금병엽
Original Assignee
금병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병엽 filed Critical 금병엽
Priority to KR102009007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6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개구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양측이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막으로 이루어져 개구부를 보호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20)를 구비하여, 상기 길이조절부(120)에 의한 길이 조절로 상부와 하부가 건축물에 접촉 가압되어 설치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에 관한 것으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의하면, 개구부의 높이나 폭에 맞추어 보호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구조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견고하게 설치되며, 차단막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설치와 분리가 간단하며, 재활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구조의 개구부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축물, 개구부, 보호

Description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A Protecting Device of The Open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시공 중 베란다, 창문 등의 용도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임시 보호하여 시공 중에 개구부를 통하여 공사 자재, 인명, 소음, 먼지 등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용 빌딩, 아파트, 단독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의 창문이나, 베란다 등으로 되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시공 작업 중 건축 자재가 외부로 추락하여 행인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건축 요원이 추락하거나, 건축 중에 발생한 오염 물질이나 먼지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어 안전 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건축 단계에서 개구부를 임시로 막아 보호하는 개구부 보호기구가 사용된다.
도 1은 건축물 건축 과정 중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구부(S) 주위로, 개구부(S)와 천정(U) 사이에, 개구부(S)와 바닥면(B) 사이에, 개구부(S)와 측벽(W) 사이에 형성 되는 내벽면에 복수의 앵커 볼트(11)를 삽입 고정 설치하고, 상기 앵커 볼트(11)를 연결하여 와이어(13)를 개구부(S) 둘레를 따라 설치한다. 그리고 주위를 따라 아일렛(21)을 구비한 차단막(20)을 상기 와이어(13)에 연결하여 설치하였다. 차단막(20)의 설치에 있어서 아일렛(21)에 고정끈(23)을 관통시켜 와이어(13)에 고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앵커 볼트(11)를 삽입 설치한 벽면에 또 다른 복수의 앵커 볼트(17)를 개구부(S)의 좌우의 상하에 설치하고, 상기 앵커 볼트(17)에 결속끈(19)으로 복수의 가로봉(33)을 결속하고, 상기 가로봉(33)에 하나 이상의 세로봉(31)을 결속하여 보강하였다.
도 2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는 복수의 앵커 볼트(11, 13)를 건축물 벽면에 삽입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와 분리가 까다롭고, 장시간 소요되며, 건축물 벽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개구부(S)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다른 크기의 차단막(20)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지고, 사용된 자재들을 재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 10과 같이 개구부(S)가 상하로 천정(U)이나 바닥면(B)까지 연장되고 좌우로 측벽(W)까지 연장되어 내측벽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높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개구부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와 분리가 간단하며, 건축물이 손상이 최소화 되며, 재활용이 가능하며, 차단막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양측이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막으로 이루어져 개구부를 보호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에 의한 길이 조절로 상부와 하부가 건축물에 접촉 가압되어 설치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길이조절부는 제1 본체부에 고정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회전지지부재와, 볼트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형성된 나사공에 치합하여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져; 볼트부재를 회전시키면 회전지지부재와 받침부재 사이의 거리가 변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본체부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의 제1 본체와, 양단이 상기 제1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차단막이 연결되는 봉 형상의 제1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제1 본체에 구비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본체부에는 제1 로드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고정 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제1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 로드와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휠과, 상기 래치휠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제1 본체에 구비되며 래치휠을 향하여 가이드부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풀로드와, 상기 래치휠과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래치휠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래치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며 풀로드를 래치휠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로드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로드로 연결되는 차단막이 회전하는 제1 로드에 감기도록 작용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보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보호부는 제1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1 볼트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 본체부에 고정되며 제1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제1 본체부를 향한 단부에 상기 제1 볼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삽입너트를 구비하는 가로봉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면이 사각형이며 개구부의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는 고정부재에 걸리도록 실내 측으로 위치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의하면, 개구부의 높 이나 폭에 맞추어 보호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구조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견고하게 설치되며, 차단막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설치와 분리가 간단하며, 재활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구조의 개구부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구비되는 차단막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구비되는 차단막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차단막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서 차단막의 다른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0 및 도 12는 건축물 건축 과정 중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다른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구비되는 회전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구비되는 길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 내지 도 19는 가로보호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도 18은 도 3, 도 11 및 도 1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9 및 도 20은 도 3, 도 11 및 도 13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21 및 도 22는 도 3의 A부로서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는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에는 도 5 및 도 6에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은 차단막(190)이 연결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개구부(S)를 보호하여 가리게 된다. 상기 제1 본체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본체부가 길이조절부(120)를 구비함으로써 길이조절부(120)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어 제1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를 건축물에 접촉 압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는 천정(U)이나 개구부(S)의 상면(S1)에 접촉시켜 가압되도록 할 수 있고, 하부는 바닥면(B)이나 개구부(S)의 하면(S2)에 접촉시켜 가압되도록 하여 압착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제1 본체부에 고정되며 나사공(1211)이 형성된 회전지지부재(121)와, 외경면에 상기 나사공(1211)에 치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부재(12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받침부재(129)와, 상기 회전지지부재(121)에 형성된 나사공(1211)에 치합하여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129)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재(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부재(123)를 회전시키면 회전지지부재(121)와 받침부재(129) 사이의 거리가 변하여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볼트부재(123)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볼트부재(123)에 외면이 육각으로 형성된 너트부재(125)를 고정시켜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서 1291은 받침부재(129)에 형성된 통공 또는 오목부를, 1231은 상기 통공 또는 오목부에 대응하여 볼트부재(123)에 형성된 요홈부를, 127은 상기 볼트부재(123)에 체결되어 받침부재(129)로 가압하여 길이 조절 후 볼트부재(123)를 고정시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부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의 제1 본체(141)와, 양단이 상기 제1 본체(1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본체(14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차단막이 연결되는 봉 형상의 제1 로드(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제1 본체(141)에 구비되며, 길이조절부(120)를 이루는 회전지지부재(121)는 상기 제1 본체(141)에 고정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141)의 단면은 'ㄱ'자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43은 개구부(S)의 측면(S3)과 접하는 제1 본체(141)의 외측으로, 제1 본체(141)의 상단에 고정 구비되며, 'ㄱ'자로 형성되어 상부를 향하는 평면을 가지는 제1 접촉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145는 개구부(S)의 측면(S3)으로 연결되는 건축물의 내측벽과 접하는 제1 본체(141)의 외측으로 제1 본체(141)의 상단에 고정 구비되며, 'ㄱ'자로 형성되어 상부를 향하는 평면을 가지는 제1 지지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접촉부재(143)는 제1 본체(141)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1 본체(14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가 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145)는 제1 본체(141)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1 본체(14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접촉부재(143)와 제1 지지부재(145)는 'ㄱ'자 형태의 브라켓을 제1 본체(141)의 상부에 용접 연결 등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1 본체(141)의 상단을 각각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재(145)에 상하 방향으로 통공(1451)을 형성하고 제1 로드(110)를 삽입하여 상기 제1 로드(110)의 상단이 제1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145)에 하향하는 돌기를 형성하고 중공의 제1 로드(11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구부(S)를 가지는 경우, 제1 본체(141)의 상부는 상면(S1)에 접촉되며, 받침부재(129)는 하면(S2)에 접촉되면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1 본체(141)는 개구부(S)의 측면(S3)과 상기 측면(S3)으로 연결되는 건축물의 내측벽과 접촉하게 되며, 2면에 접촉하는 안정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제1 본체(14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 접촉부재(143)는 개구부(S)의 상면(S1)에 접촉하게 되며, 제1 로드(110)는 건축물의 실내로 위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141)의 하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145)에 대향하는 평면을 가지는 제2 지지부재(149)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로드(11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149)에 통 공을 형성하거나, 제1 지지부재(145)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로드(11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110)는 제1 본체(141)와 평행하게 구비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본체부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의 제2 본체(171)와, 양단이 상기 제2 본체(171)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본체(17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차단막이 연결되는 봉 형상의 제2 로드(150)로 이루어진다. 제2 본체부에 구비되는 상기 길이조절부(160)는 제2 본체(171)에 구비되며, 길이조절부(160)를 이루는 회전지지부재(161)는 상기 제2 본체(171)에 고정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본체(171)의 단면도 2면에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ㄱ'자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본체(171)의 상부에는 제1 본체부와 같이 'ㄱ'자 형태의 제2 접촉부재(173)와 상부 브라켓(175)을 구비하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175)과 마주하는 'ㄱ'자 형태의 하부 브라켓(179)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접촉부재(173)와 상부 브라켓(175)은 평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제2 본체(171)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접촉부재(173)의 평면은 제2 본체(17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거나 제2 본체(171)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175)의 평면은 제2 본체(17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 브라켓(175)에는 통공(1751)이 형성되고, 하부 브라켓(179)에는 상부 브라켓(175)을 향하여 돌기부가 형성되어, 제2 로드(150)의 상단은 상부 브라켓(175)의 통공(1751)에 삽입되고, 제2 로드(150)의 하단으로 하부 브라켓(179)의 돌기부가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150)는 제2 본체(171)와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 브라켓(175)에 하부 브라켓(179)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제2 로드(150)의 상단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접촉부재(173), 상부 브라켓(175) 및 하부 브라켓(179)은 제2 본체(171)에 용접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2 본체(171)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구부(S)를 가지는 경우, 제2 본체(171)의 상부는 상면(S1)에 접촉되며, 받침부재(169)는 하면(S2)에 접촉되면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2 본체(171)는 개구부(S)의 측면(S3)과 상기 측면(S3)으로 연결되는 건축물의 내측벽과 접촉하게 되며, 2면에 접촉하는 안정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제2 본체(17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 접촉부재(173)는 개구부(S)의 상면(S1)에 접촉하게 되며, 제2 로드(150)는 건축물의 실내로 위치하게 된다.
도 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본체부도 제1 본체부와 같이 길이조절부(160)를 구비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에서 도면부호 161은 제2 본체부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부재를, 1611은 회전지지부재(161)에 형성된 나사공을, 163은 회전지지부재(161)의 나사공(1611)에 치합 삽입되는 볼트부재를, 169는 상기 볼트부재(16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받침부재(169)를, 167은 잠금부재를, 1691은 통공을, 1631은 요홈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전지지부재(161)는 제2 본체(171)에 고정 설치된다.
도 3, 도 11 및 도 13에서 도면부호 147은 상기 제1 본체(141)에 설치되어 제1 로드(110)와 제2 본체부 사이로 연장되는 보조브라켓을, 177은 상기 제2 본체(171)에 설치되어 제2 로드(150)와 제1 본체부 사이로 연장되는 보조브라켓을 도시한 것으로, 제1 로드(110)와 제2 로드(150)에 연결되며, 긴장된 상태로 제1 본체부와 2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여 개구부를 보호하는 차단막에 의하여 제1 로드(110)와 제2 로드(1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3, 도 11 및 도 13에서 도면부호 180은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가로보호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로보호부(180)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상기 제1 본체(141) 또는 제2 본체(171)의 측방으로 고정 연결되는 가로부재(181)와, 상기 가로부재(181)의 타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삽입너트(183)와, 상기 삽입너트(183)에 나사 체결되어 가로부재(18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회전부(187)를 구비하고 요홈(185a)이 형성된 제1 볼트부재(185)와, 상기 요홈(185a)에 삽입되어 제1 볼트부재(18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볼트부재(185)의 끝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본체(141) 또는 제2 본체(171)의 측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회전지지부재(189)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부재(181)는 중공체로서 상기 삽입너트(183)는 가로부재(181)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에서 제1 본체(141)는 '측방'은 제2 본체(171)를 향하는 방향을, 제2 본체(171)는 '측방'은 제1 본체(141)를 향하 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가로보호부(180)는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서 차단막(190)에 의하여 가려지게 된다. 상기 제3 회전부(187)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볼트부재(185)에 너트를 체결하고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제1 볼트부재(185)의 양측면에 평면을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3 회전부(187)를 구비하는 경우 스패너 등으로 제3 회전부(187)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제1 볼트부재(185)를 회전시켜 가로보호부(18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에서 도면부호 1713은 상기 가로부재(181)로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1713)는 제1 본체(141) 또는 제2 본체(171)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회전부(187)를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로보호부(18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되어 상기 제1 본체(141)와 제2 본체(171)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로보호부(180)에 의하여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며, 중량물이 차단막을 파손하거나 작업자가 차단막을 파손하면서 개구부(S)를 통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부에는 제1 로드(110)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허용하는 회전고정부(130)가 더 구비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재(149)에 통공(1491)이 형성되어, 제1 로드(11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 로드(110)는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이격하여 통공(1491)에 걸리는 단면을 가지는 걸림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통공(1491)을 관 통하여 하부로 노출된 제1 로드(110)의 단부에는 래치휠(131)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고정부(130)는 상기 제1 로드(1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 로드(110)와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휠(131)과, 상기 래치휠(131)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제1 본체(141)에 구비되며 래치휠(131)을 향하여 가이드부(133a)가 형성된 가이드(133)와, 상기 가이드부(133a)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풀로드(135)와, 상기 래치휠(131)과 가이드(133) 사이에 구비되어 래치휠(131)의 회전을 일 방향으로만 허용하는 래치(137)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133)에 접촉하며 풀로드(135)를 래치휠(131)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39)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133)는 제2 지지부재(149)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133a)는 통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길이를 가지는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래치(137)는 풀로드(135)의 단부에 구비되어 풀로드(135)와 일체로 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체(139)의 타측은 래치(137)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래치(137)는 제2 지지부재(149)의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체(139)의 타측은 풀로드(135)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풀로드(135)의 단부에는 탄성체(139)의 타측이 접촉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래치(137)가 래치휠(131)에 가압된 상태에서는 래치(137)와 래치휠(131)의 작용에 의하여 래치휠(131)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12)를 제1 로드(110)와 분리된 구 조로서, 걸림부(112)가 제1 로드(110)에 삽입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로드(110)에 걸림부(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핀을 삽입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112)의 상부에 제1 로드(110)에 삽입되는 부분을 다각형으로 형성한 삽입부(1121)를 구비하고, 이에 삽입되는 제1 로드(110)의 하단 내측을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이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로 연결되는 차단막(190)은 양측으로 서로 겹쳐서 박음질하여 형성한 삽입공(19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93) 사이에 차단부(19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막(190)은 천막 등을 제조하는 합성수지 복합체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합성 수지 망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는 삽입공(193)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간격을 가지고 아일렛으로 삽입통공(197)이 형성된 형태로 할 수도 있으며, 양측 모두 아일렛으로 삽입통공(197)이 형성된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차단막(190)의 경우, 양측에 형성된 통공(193)으로 제1 로드(110)와 제2 로드(150)가 삽입되어, 제1 본체(141)와 제2 본체(171)에 각각 설치된다. 제1 본체(141)를 개구부(S)의 일측으로 측면(S3)에 접촉되도록 하고 길이조절부(120)를 조절하여 제1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가 개구부(S)의 상면(S1)과 하면(S2)에 접촉 가압되도록 설치하며, 가로보호부(18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 본체(171)를 개구부(S)의 타측으로 측면(S3)에 접촉되도록 하고 길이조절부(160)를 조절하여 제2 본체부의 상부와 하부가 개구부(S)의 상면(S1)과 하면(S2)에 접촉 가 압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제1 로드(1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차단막(190)이 제1 로드(110)에 감기면서 차단막(190)은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사이에서 팽팽한 긴장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1 로드(110)는 회전고정부(130)에 연결되어 제1 로드(11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차단막(190)의 긴장 상태가 유지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도면부호 111는 제1 로드(110)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111)는 제1 로드(11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의 걸림부재(111)는 하향 절곡되며, 하부의 걸림부재(111)는 상향 절곡된다. 상기 제1 로드(110)에 삽입된 차단막(19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걸림부재(111)와 제1 로드(11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로드(110)가 회전하면 차단막(190)이 제1 로드(110)에 감기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111)는 도 3,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핀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1 로드(110)에 삽입된 차단막(190)으로 핀이 관통하면서 제1 로드(110)가 회전할 때 차단막(190)이 제1 로드(110)에 감기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삽입통공(197)을 형성하는 경우 삽입통공(197)에 핀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 로드(110)를 회전시켜 차단막(190)이 제1 로드(110)에 감기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부재(111)가 금속 핀으로 형성되는 경우 차단막(190)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삽입통공(197)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막(190)의 일측에 삽입공(193) 대신에 아일렛(192)로 통공을 형성하고 고정끈(194)으로 제2 로드(150)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단막(190)의 상하 방향의 폭을 제1 로드(110)의 길이보다 길게 하고, 제1 로드(110)에 감기는 부분의 하부로 일부가 연장되도록 하고 연장된 부분은 회전고정부(120)의 볼트부재(123)에 끈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제2 로드(150)의 하부로 연장된 부분은 회전고정부(160)의 볼트부재(163)에 끈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끈으로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장된 부분이 아일렛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다른 구조로 형성된 개구부(S)를 도시한 것으로, 도 10에 도시한 개구부(S)의 상부는 천정(U)까지 연장되어 있고, 하부는 바닥면(B)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개구부(S)의 좌우가 측벽(W)까지 연장되어 개구부(S)의 주위로 내측벽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개구부(S)가 형성된 경우, 제1 본체(141)의 상단이 제1 지지부재(145)의 평면부보다 상부로 돌출된 구조로 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145)에 통공(1451)이 형성되고 제1 로드(110)의 상부가 통공(1451)으로 삽입되어 제1 지지부재(145)의 평면부로부터 돌출된 경우, 제1 본체(141)의 상단은 제1 로드(110)의 상부 끝단보다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본체(141)의 상부로 제1 접촉부재(143)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재(143)의 평면부는 제1 로드(110)의 상부 끝단보다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다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도 11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S)의 양측을 이루는 측벽(W)에 서로 마주 보는 고정부재(101)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101)의 단면을 사각형으로 하고, 상기 고정부재(101)의 서로 마주보는 면과 건축물의 실내로 향하는 면에 제1 본체(141)와 제2 본체(171)가 접촉되도록 하여, 제1 본체(141)와 제2 본체(171)가 고정부재(101)와 2면에서 접촉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S)의 양측으로 단면이 사각형이며 상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장공(1011)이 관통 형성된 고정부재(101)를 벽체에 삽입 고정된 고정볼트(104)로 고정한다. 상기 고정볼트(104)를 장공(1011)에 삽입하고 고정부재(101)를 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고정너트(106)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101)는 고정 설치하며, 고정부재(101)의 길이는 천정(U)부터 바닥면(B)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1)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를 설치하는 경우, 고정부재(101)를 고정하는 고정볼트(104)가 돌출된 부분으로 제1 본체(141)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1411)을 형성하고, 제2 본체(171)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1711)을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 한 후 고정부재(101)에 제1 본체(141)와 제2 본체(171)를 각각 너트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S)는 상부로 천정(U)으로 이루어지고, 좌 우로 측벽(W)으로 이루어지며, 바닥면(B)에서 상부로 돌출된 턱부(T)를 구비하는 경우, 고정부재(101)의 길이는 제1 본체(141)나 제2 본체(171)의 길이보다 짧게 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 지지부재(145)의 상부로 제1 지지부재(145)의 통공(1451)을 관통하여 노출된 제1 로드(110)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이격하여 평면부를 형성하는 제3 접촉부재(1453)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브라켓(175)의 상부로 제2 로드(150)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이격하여 평면부를 형성하는 제4 접촉부재(1753)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3 접촉부재(1453)와 제4 접촉부재(1753)가 구비되는 경우, 길이 조절에 의하여 제3 접촉부재(1453)와 제4 접촉부재(1753)가 건축물에 접촉하여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도 1은 건축물 건축 과정 중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구비되는 차단막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구비되는 차단막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차단막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차단막의 다른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2는 건축물 건축 과정 중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다른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구비되는 회전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구비되는 회전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3, 도 11 및 도 1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3, 도 11 및 도 13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3의 A부로서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7)

  1. 건축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양측이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막으로 이루어져 개구부를 보호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20)를 구비하여, 상기 길이조절부(120)에 의한 길이 조절로 상부와 하부가 건축물에 접촉 가압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의 제1 본체(141)와, 양단이 상기 제1 본체(1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본체(141)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차단막이 연결되는 봉 형상의 제1 로드(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제1 본체(141)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제1 본체부에 고정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회전지지부재(121)와, 볼트부재(12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받침부재(129)와, 상기 회전지지부재(121)에 형성된 나사공(1211)에 치합하여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받침부재(129)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재(123)로 이루어져; 볼트부재(123)를 회전시키면 회전지지부재(121)와 받침부재(129) 사이의 거리가 변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에는 제1 로드(110)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고정부(1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고정부(130)는 상기 제1 로드(1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 로드(110)와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휠(131)과, 상기 래치휠(131)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제1 본체(141)에 구비되며 래치휠(131)을 향하여 가이드부(133a)가 형성된 가이드(133)와, 상기 가이드부(133a)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풀로드(135)와, 상기 래치휠(131)과 가이드(133) 사이에 구비되어 래치휠(131)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치(137)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133)에 접촉하며 풀로드(135)를 래치휠(131)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3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110)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로드(110)로 연결되는 차단막이 회전하는 제1 로드(110)에 감기도록 작용하는 걸림부재(1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보호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보호부(180)는 제1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1 볼트부재(185)와, 일단이 상기 제2 본체부에 고정되며 제1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제1 본체부를 향한 단 부에 상기 제1 볼트부재(185)와 나사 결합되는 삽입너트(183)를 구비하는 가로봉(18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
  7. 제1 항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개구부의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1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141)는 고정부재(101)에 걸리도록 실내 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00).
KR1020090071980A 2009-08-05 2009-08-05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114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980A KR101143676B1 (ko) 2009-08-05 2009-08-05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980A KR101143676B1 (ko) 2009-08-05 2009-08-05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357A KR20110014357A (ko) 2011-02-11
KR101143676B1 true KR101143676B1 (ko) 2012-05-09

Family

ID=4377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980A KR101143676B1 (ko) 2009-08-05 2009-08-05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01B1 (ko) * 2018-01-02 2019-05-30 주식회사 크레아 가구용 인테리어 도어
KR102054376B1 (ko) * 2018-09-20 2019-12-10 (주)하이드로훼스트 휴대용 연기차단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886A (ja) * 1991-03-13 1993-08-31 Fuji Zouen Kk 門扉の取付治具
JPH0575358U (ja) * 1992-03-17 1993-10-1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ネットフェンス
JPH06288125A (ja) * 1993-04-02 1994-10-11 Ochi Kogyosho:Kk テント等簡易構築物の支柱高さ調整方法
JP2000089704A (ja) * 1998-09-07 2000-03-31 Okamura Corp 高さ調節装置を備える支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886A (ja) * 1991-03-13 1993-08-31 Fuji Zouen Kk 門扉の取付治具
JPH0575358U (ja) * 1992-03-17 1993-10-1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ネットフェンス
JPH06288125A (ja) * 1993-04-02 1994-10-11 Ochi Kogyosho:Kk テント等簡易構築物の支柱高さ調整方法
JP2000089704A (ja) * 1998-09-07 2000-03-31 Okamura Corp 高さ調節装置を備える支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357A (ko) 201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471B1 (en) Fabric fenc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ITMI20100147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per l'ancoraggio di pannelli fotovoltaici su un tetto.
KR101170956B1 (ko) 강봉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인상하는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KR101232227B1 (ko) 안전네트 유닛
KR101049437B1 (ko) 당김구가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구조물
KR101143676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0976269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JP6561391B2 (ja) フェイルセーフ天井構造
KR102377916B1 (ko) 막구조체의 지붕막 인장설치구조
KR101015345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2197342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이용한 고성능 울타리 구조물
JP2018178599A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JP2008031685A (ja) ワイヤ係止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落下防止構造
KR200381051Y1 (ko) 철책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KR102106258B1 (ko)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KR20100030720A (ko)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KR101207967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200346218Y1 (ko)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조임장치
KR200410319Y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1167553B1 (ko) 낙석방지책
ITRM20100079A1 (it)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sistemi anticaduta particolarmente adatto per coperture metalliche
KR102011506B1 (ko) 충격에 의한 갱폼의 분리 차단 장치
JP3875516B2 (ja) 外装パネルの落下防止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0242616Y1 (ko) 와이어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