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29Y1 -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29Y1
KR200491429Y1 KR2020190003470U KR20190003470U KR200491429Y1 KR 200491429 Y1 KR200491429 Y1 KR 200491429Y1 KR 2020190003470 U KR2020190003470 U KR 2020190003470U KR 20190003470 U KR20190003470 U KR 20190003470U KR 200491429 Y1 KR200491429 Y1 KR 200491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opening
post
prevention ne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선아
Original Assignee
한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아 filed Critical 한선아
Priority to KR2020190003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구부에 창틀 설치시, 방지망이 설치되는 브래킷이 공사에 간섭되지 않도록 건축물에 설치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지지대와 서포트바가 상하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방지망 설치시 작업자가 개구부 밖으로 나가지 않고 건물 내부에서만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 추락 재해를 예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간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강풍에 의한 지지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개구부 상부 및 하부 외주벽에 각각 설치되는 브래킷, 개구부 상부 브래킷에 내측 단부가 지지되는 방지망, 상기 방지망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부 하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 상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하단부가 개구부 하부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개구부에 창틀 설치시, 방지망이 설치되는 브래킷이 공사에 간섭되지 않도록 건축물에 설치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작업자가 개구부 밖으로 나가 작업하지 않아 추락재해를 예방하며, 지지대의 포스트 연결부가 파스너로 체결되어 고정되므로 강풍 발생 시에도 분리되지 않고 방지망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Safety Net with Fall-Prevention for Worker and Object}
본 고안은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에 창틀 시공 시 공사에 간섭되지 않도록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을 건축물에 설치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방지망 설치시 작업자가 개구부 밖으로 나가지 않고 건물 내부에서만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 추락 재해를 예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간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강풍에 의한 지지대 이탈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은 고층 건축물 공사 시 공구나 재료 등의 낙하물에 의한 근로자 재해 발생을 방지하고 개구부로부터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예방하여 추락 사고에 의한 피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낙하물 방지망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56621호(등록일자 2004년07월0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11588호(등록일자 2007년04월19일) ‘낙하물 방지망 설치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40338호(등록일자 2005년12월26일) ‘추락 방지망 설치구조’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61558호(등록일자 2007년09월18일)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등이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56621호에서는 개구부에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이 장착되고, 제2브래킷에는 결합봉을 통해 지지봉이 연결되며, 지지봉 및 제1브래킷에 양단이 고정되는 안전망으로 구성되는 낙하물 방지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건물의 개구부에는 공사 일정에 맞추어 창틀을 설치해야 하는데, 등록실용신안 제0356621호의 제1브래킷 및 제2브래킷은 창틀이 설치되는 건물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창틀의 설치를 위해 개구부에 결합된 제1브래킷 및 제2브래킷을 분리하고 창틀 설치 후 다시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 뿐만 아니라 낙하물 방지망의 분리 및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하여 공사 기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제1,2브래킷의 결합 위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11588호에서는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1)는 건축 구조물(4)의 외벽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숫나사봉(11)의 단부가 노출되어지게 매립되어지고, 숫나사봉(11)의 단부에 암나사봉(111)이 나사 결합되어지고, 암나사봉(111)에 스페이서(3)가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되, 스페이서(3)는 용접이음된 부분으로부터 암나사봉(111)을 향하여 확관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며 스페이서(3)에 고정대(5)가 결합되어지는 연결구(2)가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외벽 하부로 설치된 연결구(2)에 고정된 고정대(5)에는 지지바(6)의 힌지대(61)가 다른 연결구(2")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외벽 상부로 설치된 연결구(2)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대(5)에는 지지바(6)에 결합된 지지파이프(7)가 고정되어지도록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암나사봉으로 구조물에 스페이서를 결합한 후 연결구를 이용하여 힌지대 및 지지바를 연결하므로, 연결구의 개수가 많아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힌지대 및 지지바의 연결 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 시간 및 효율이 저하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어서 작업자의 추락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기술은 구조물에 숫나사봉을 매립하는 과정과 숫나사봉에 암나사봉을 나사결합되는 과정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암나사봉에 용접이음된 스페이서만으로는 연결구 및 지지바를 지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지지바는 통상 건물의 층고(層高)를 고려하여 두 개의 봉으로 연결된 대략 5m 내외의 길이로 이루어지는데, 강풍 발생시 지지대 연결부분이 분리되면서 또 다른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11588호(등록일자 2007년04월19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40338호(등록일자 2005년12월26일)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61558호(등록일자 2007년09월18일)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지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강풍 발생 시 지지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지망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지망 설치시 설치작업자가 개구부 밖으로 나가지 않고 건물 내부에서 설치할 수 있고, 지지대 조립 작업성 및 설치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건축물의 개구부 상부 및 하부 외주벽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브래킷, 개구부 상부 브래킷에 의해 내측 단부가 지지되는 방지망, 상기 방지망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 하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 상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바, 개구부 상부 및 하부 브래킷을 외주벽에 고정시키는 앵커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개구부 하부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바의 내측 단부에는 서포트바 샤프트가 구비되어 개구부 상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 상부 외주벽에 설치되는 브래킷은, 상기 서포트바 샤프트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접합된 고정구, 상기 서포트바 샤프트의 타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 하부 외주벽에 설치되는 브래킷은, 상기 하부받침대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접합된 고정구, 상기 하부받침대의 타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건축물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개구부 상부 및 하부 브래킷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ㄱ"자 형상 브래킷의 일측은 건축물 외측 모서리에 접촉하고, 타측은 건축물의 외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며, "ㄱ"자 형상 브래킷의 일측과 타측은 리브(rib)로 연결되되, "ㄱ"자 형상 브래킷의 각 면에는 서포트바의 서포트바 샤프트 또는 지지대의 하부받침대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 상기 한 쌍의 포스트를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포스트, 상기 한 쌍의 포스트 하단부를 연결하여 개구부 하부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스트는, 상기 하부받침대를 갖는 하부포스트,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단부 내경에 고정되는 연결소켓, 상기 연결소켓의 외경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부포스트에 연결되는 상부포스트, 상기 상부포스트와 하부포스트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파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스너는, 상기 하부포스트와 상부포스트의 연접된 단부 외면에 각각 구비된 돌출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바의 외측 단부는 지지대에 구비된 포스트 일측면에 홀더로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바의 외측 단부는 지지대에 구비된 연결포스트에 고정되는 홀더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포스트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연결포스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의 홀더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홀더 샤프트의 외측 표면에 홀더가 고정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외주벽에 매립되어 개구부 상부 및 하부 브래킷을 관통하는 앵커볼트, 개구부 상부 및 하부 브래킷을 관통하여 외주벽 내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볼트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외주벽에 매립되는 앵커너트, 상기 앵커너트에 나사결합되도록 개구부 상부 및 하부 브래킷을 관통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포트바와 지지대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방지망 설치시 설치작업자가 개구부 밖으로 나가지 않고 건물 내부에서 서포트바를 조작하여 지지대를 개구부에 접근시킴으로써, 지지대 조립 작업성과 와이어 로프 및 안전망 설치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트바 또는 지지대를 브래킷에 연결할 때, 서포트바 또는 지지대의 일측부만을 클램프로 연결하고, 타측부를 고정구로 연결하여, 클램프 체결 후에도 서포트바 또는 지지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방지망의 설치 또는 해체시 클램프를 풀고 잠그는 과정을 최소화 하여 방지망 설치 또는 해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에 창틀 설치 시 간섭되지 않도록 건축물에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을 설치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포스트 연결부가 연결소켓을 통해 연결된 후 파스너로 고정되므로 강풍 발생 시에도 상부 및 하부포스트간 분리가 발생되지 않아 방지망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서포트바의 외측 단부가 지지대의 연결포스트에 홀더로 지지되어 외력이나 강풍 발생 시에도 상하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의 하부받침대는 개구부 하부 브래킷에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포트바의 서포트바 샤프트는 개구부 상부 브래킷에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현장에서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방지망을 고정하는 브래킷이 건축물 외측 모서리 형상을 따라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건축물 모서리에 브래킷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구부 상부 브래킷과 서포트바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구부 하부 브래킷과 지지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ㄱ"자형 브래킷의 건축물 모서리부 장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와 서포트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앵커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측면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은, 건축물(100)의 개구부(110) 상단부(111)에 인접된 외주벽(113)에 설치되는 브래킷(200A)과 개구부(110)의 하단부(112)에 인접된 외주벽(113)에 설치되는 브래킷(200B)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브래킷(200),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내측 단부가 지지되는 방지망(300), 방지망(300)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400), 지지대(40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바(500)를 포함한다.
건축물(100)은 지면 위에 지은 구조물로서, 지붕과 기둥 및 벽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벽에는 실내와 실외를 통하도록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창틀이 설치되고, 개구부(110)는 상단부(111) 및 하단부(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외주벽(113)은 벽의 바깥쪽 외면을 의미한다.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은 개구부(110)의 상단부(111)에 인접된 외주벽(113)에 설치되어 서포트바(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구부 상부 브래킷(200A)과 서포트바(500)의 분해 상태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구부 상부 브래킷(200A)은 대략 ‘ㄴ’자형 단면의 형강으로서, 수직판(210A) 및 수평판(220A)을 포함하며, 개구부(110)의 상단부(111)에 인접된 외주벽(113)에 앵커부재(600)로 고정된다.
수직판(210A)에는 복수의 브래킷 장착홀(211A)이 천공되어 앵커부재(600)로 고정되는데, 이러한 앵커부재(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벽(113)에 매립되어 수직판(210A)의 브래킷 장착홀(211A)을 관통하여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을 고정한다.
수평판(220A)의 밑면 일측에는 고정구(230A)가 용접으로 접합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고 타측에는 클램프(240A)가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프(240A)는 수평판(220A)의 상부면에 용접으로 접합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고정부, 고정부에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 고정부와 제2 회전부를 결속시키는 볼트 및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면, 클램프(240A)의 회전부는 고정부에 핀으로 회전되어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회전부를 닫고 볼트 및 너트로 결속시켜서 후술하는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어느 한 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거나, 회전부를 열어서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어느 한 단부를 분리할 수 있으며, 도 5a와 같이 클램프(240A)의 구조는 서포트바 샤프트(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의 실시 예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부 상부 브래킷(200A)의 고정구(230A)에는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클램프(240A)에는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거나, 클램프(240A) 결속 해제에 의해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은 개구부(110)의 하단부(112)에 인접된 외주벽(113)에 설치되어 지지대(4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과 지지대(400)의 분해 상태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은 대략 ‘ㄴ’자형 단면의 형강으로서, 수직판(210B) 및 수평판(220B)을 포함하며, 개구부(110)의 하단부(112)에 인접된 외주벽(113)에 앵커부재(600)로 고정된다.
수직판(210B)에는 복수의 브래킷 장착홀(211B)이 천공되어 앵커부재(600)를 통해 고정되는데, 이러한 앵커부재(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벽(113)에 매립되어 수직판(210B)의 브래킷 장착홀(211B)을 관통하여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을 고정한다.
수평판(220B)의 상면 일측에는 고정구(230B)가 용접으로 접합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고 타측에는 클램프(240B)가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프(240B)는 수평판(220B)의 상면에 용접으로 접합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고정부, 고정부에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 고정부와 회전부를 결속시키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면, 클램프(240B)의 회전부는 고정부에 핀으로 회전되어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회전부를 닫고 볼트 및 너트로 결속시켜서 하부받침대(430)의 어느 한 단부를 결합하거나, 회전부를 열어서 하부받침대(430)의 어느 한 단부를 분리할 수 있으며, 도 5b와 같이 클램프(240B)의 구조는 하부받침대(4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의 실시 예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부 하부 브래킷(200B)의 고정구(230B)에는 하부받침대(43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클램프(240B)에는 하부받침대(430)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거나, 클램프(240B) 결속 해제에 의해 하부받침대(430)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과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으로 구성되는 브래킷(200)의 단면 형상은 'ㄴ'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ㅁ'자형 단면 형상이나 기타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지망 설치 작업자가 개구부(110) 밖으로 나가지 않고 건축물(100) 내부에서 방지망을 설치하여 설치 작업성 및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230A,230B)와 클램프(240A,240B)는 브래킷(200)의 수평판(220A,220B)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이 각각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ㄱ"자 형상의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은 건축물(100)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될 때 적용할 수 있으며, "ㄱ"자 형상 브래킷(200A,200B)의 각 면에는 서포트바(500)의 서포트바 샤프트(510) 또는 지지대(400)의 하부받침대(430)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ㄱ"자 형상 브래킷(200A,200B)의 일측은 건축물(100) 외측 모서리에 접촉하고, 타측은 건축물(100)의 외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ㄱ"자 형상 브래킷(200A,200B)의 각 수평판(220A,220B)을 연결하는 리브(rib)가 형성될 수 있으며, 리브는 지지대(400) 또는 서포트바(500)로부터 작용하는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ㄱ"자 형상 브래킷(200A,200B)의 돌출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지망(300)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에 의한 근로자 재해 발생 및 개구부(110) 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그에 따른 피해 발생을 방지하는 그물 또는 밴드로 이루어진다. 방지망(300)의 내측 단부는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바(500)의 서포트바 샤프트(510)에 지지되고, 외측 단부는 지지대(400)의 최상단 연결포스트(420)에 지지된다.
지지대(400)의 하단부는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는 방지망(300)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400)와 서포트바(500)의 결합 상태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4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포스트(410), 한 쌍의 포스트(410)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포스트(420), 한 쌍의 포스트(410) 하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개구부 하부 브래킷(200B)에 연결되는 하부받침대(430)를 포함하며, 최상단의 연결포스트(420)에는 방지망 연결구(310)가 형성되어 방지망(300)의 외측 단부를 고정 및 지지한다.
포스트(410)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연결포스트(420)은 한 쌍의 포스트(41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데, 이러한 연결포스트(420)는 복수로 이루어져 포스트(410)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하부받침대(430)는 한 쌍의 포스트(410) 하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접합되는데, 이러한 하부받침대(430)는 좌우 포스트(410)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좌우 포스트(51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접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받침대(430)의 일단부는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의 고정구(230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하부받침대(430)의 타단부가 클램프(240B)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된다.
포스트(410) 최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포스트(420)는 좌우 포스트(410)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좌우 포스트(5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접합되거나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의 고정구(230A) 및 클램프(240A)에 연결된다. 방지망(300)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는 방지망 연결구(310)는 방지망(300)이 고정되도록 고리 또는 후크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400)의 상부포스트(413)와 하부포스트(411)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400)의 상부포스트(413)와 하부포스트(411)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포스트(410)는, 하부받침대(430)를 갖는 하부포스트(411), 하부포스트(411)의 상단부 내경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소켓(412), 연결소켓(412)의 외경으로 끼움결합되어 하부포스트(411)에 연결되는 상부포스트(413), 상부포스트(413)와 하부포스트(411)를 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체결시키는 파스너(440)를 포함한다.
하부포스트(411)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는 하부받침대(430)가 연결된다. 연결소켓(412)은 하부포스트(411)의 상단부 내경으로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며, 대략 절반 정도는 하부포스트(411)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부포스트(413)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소켓(412)의 외경으로 끼움결합되므로 하부포스트(411)에 연결된다.
파스너(440)는 연결소켓(412)를 통해 끼움결합된 하부포스트(411)와 상부포스트(413)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데, 이러한 파스너(440)는 하부포스트(411)와 상부포스트(413)의 연접된 단부의 외면에 각각 구비된 돌출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 고정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파스너(440)를 통한 하부포스트(411)와 상부포스트(413)간 체결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400)는 도 7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수직으로 배치되는 하나의 포스트(410)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하부받침대(430)로 구성될 수 있고, 하부받침대(43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에 장착된 고정구(230B) 및 클램프(24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단일의 포스트(410)로 구성하는 경우 지지대(400)의 구조가 단순화 되어, 지지대(400)를 설치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강풍이 발생하는 등 시공 현장의 특성에 따라 지지대(400)의 보강이 요구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한 쌍의 포스트(410)로 구성하고, 각 포스트(410)를 연결포스트(420)로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대(4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일의 포스트(410) 또는 한 쌍의 포스트(410) 구조는 시공의 효율성 향상과 강도 확보 중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서포트바(500)의 내측 단부는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연결되고 외측 단부는 연결포스트(420)에 연결되어 지지대(400)를 지지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서포트바(500)의 내측 단부에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의 고정구(230A) 및 클램프(240A)에 결합되는 서포트바 샤프트(5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포스트(410) 구조를 이루는 경우 서포트바(500)의 외측 단부는 어느 하나의 연결포스트(420)의 중앙에 홀더(520)로 지지된다. 홀더(520)는 지지대(400)의 연결포스트(420)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서포트바(500)의 외측 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홀더와, 이 수평홀더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서포트바(500)의 외측 단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수직홀더를 포함하여, 대략 ‘┗┛’단면으로 형성되거나 원형 파이프 또는 기타 여러가지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520) 및 서포트바(500)의 타단부 양측에는 체결볼트가 관통되고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결합되며, 방지망 설치과정 및 설치 완료 후 서포트바(500)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홀더(520)는 지지대(400)의 연결포스트(420) 중앙에 고정되어 지지대(400)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홀더(520)는 연결포스트(420)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내부가 빈 관형상의 홀더 샤프트(530)에 접합되고 홀더 샤프트(530)가 연결포스트(4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홀더 샤프트(530)는 연결포스트(420)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방지망 설치 과정에서 지지대(400) 및 서포트바(500)간 회전에 따라 수직구(110)와 지지대(400)간 접근 및 이격 발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의 포스트(410) 구조를 이루는 경우 도 7과 같이 홀더(520)는 지지대(400)의 포스트(410)에 서포트바(500)와 함께 연결되고, 포스트(410)와 홀더(520)에 끼워진 서포트바(500)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520)는 서포트바(500)의 외측 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홀더와, 이 수평홀더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서포트바(500)의 외측 단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수직홀더를 포함하여, 대략 ‘┗┛’단면으로 형성되거나 원형 파이프 또는 기타 여러가지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520)를 통해 서포트바(500)를 지지하여 방지망 설치과정 및 설치 완료 후 서포트바(500)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11과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앵커부재(600)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과 같이 건축물(100)의 외주벽(113)에 형성된 앵커부재(600) 설치홀을 중심으로 매립되는 앵커볼트(610), 앵커볼트(610)에 너트결합되도록 브래킷 장착홀(211A,211B)을 관통하여 앵커부재(600) 설치홀로 삽입되며 외측 단부에 체결 공구와 연결되는 고정헤드를 갖는 결합너트(6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0)의 상단부(111) 또는 하단부(112)에 인접된 외주벽(113)에는 앵커부재(600) 설치홀이 형성되고, 앵커부재(600) 설치홀의 중심에는 앵커부재(600) 설치홀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앵커볼트(610)가 매립된다.
결합너트(640)는 브래킷 장착홀(211A,211B)을 관통하여 앵커볼트(610)에 너트결합되면서 브래킷 장착홀(211A,211B)로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결합너트(640)의 외측 단부에는 브래킷 장착홀(211A,211B)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고정헤드가 구비되어 브래킷(200)을 고정하게 된다.
다른 한편, 건축물(100)의 외주벽(113)에 매립되는 앵커너트(620), 앵커너트(620)에 결합되도록 브래킷 장착홀(211A,211B)을 관통하는 결합볼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0)의 상단부(111) 또는 하단부(112)에 인접된 외주벽(113)에는 길게 형성된 앵커너트(620)가 매립되고, 결합볼트(630)는 브래킷 장착홀(211A,211B)을 관통하여 앵커너트(620)에 나사결합되므로, 브래킷(200)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건축물(100)의 개구부(110)의 하단부(112)에 인접된 외주벽(113) 및 개구부(110)의 상단부(111)에 인접된 외주벽(113)에 복수의 앵커볼트(610) 또는 앵커너트(620)를 매립한다.
이어서, 앵커볼트(610) 또는 앵커너트(620)에 브래킷(200)의 브래킷 장착홀(211A,211B)를 결합한 후 결합너트(640) 또는 결합볼트(630)를 결합하여 브래킷(200)을 외주벽(113)에 고정시킨다.
다음,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의 고정구(230A)에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일측을 끼움결합하고, 클램프(240A)에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타측을 연결한 후 클램프(240A)를 결속하되, 고정구(230A) 및 클램프(240A)를 축으로 서포트바 샤프트(510)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의 고정구(230B)에 지지대(400)의 일측 하부받침대(430)를 끼움결합하고, 클램프(240B)에 하부받침대(430)의 타측을 연결한 후 클램프(240B)를 결속하되, 고정구(230B) 및 클램프(240B)를 축으로 하부받침대(430)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과 지지대(400)간 결속이 완료되면 지지대(400)와 서포트바(500)를 홀더(520)에 의해 서로 연결하게 된다.
지지대(400)가 단일의 포스트(410)로 이루어지는 경우 홀더(520)는 서포트바(500)가 결합된 상태로 포스트(410) 측면에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 수직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지지대(400)가 한 쌍의 포스트(410) 구조를 이루는 경우 홀더(520)는 연결포스트(420)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체결에 의해홀더(520)에 연결된 서포트바(500)가 수직방향 또는 모든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연결포스트(420)에 홀더 샤프트(530)를 끼우고, 홀더 샤프트(530) 외측 표면에 홀더(520)를 용접을 통해 접합하거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연결할 수 있는데, 홀더 샤프트(530)가 연결포스트(42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서포트바(500)의 수직방향 각도 조절폭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부포스트(413)의 하단부를 연결소켓(412)의 외경으로 끼움결합하여 하부포스트(411)와 연결하여 지지대(400)를 조립하게 된다. 포스트(410)는 상부포스트(413)과 하부포스트(411)의 2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지지대(400)와 서포트바(500)가 서로 연결된 부위 및 개구부 하부 브래킷(200B)에 연결된 하부받침대(430)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지망(300)이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대(400)를 접거나 펼칠 때 상부포스트(413)과 하부포스트(411)간 간격이 조절되면서 서포트바(500)의 원활한 각도 조절을 이룰 수 있으며, 지지대(400)를 보다 원활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홀더 샤프트(530)가 장착되거나 홀더(520)가 접합되는 연결포스트(420)는 상부포스트(413)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지망(300) 연결 과정에서 개구부(110) 내부에 있는 작업자가 서포트바(500)를 건축물(100) 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지지대(400)가 고정구(230B) 및 클램프(240B)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방지망 연결구(310)가 개구부(110)로 근접하게된다. 방지망(300)의 내측 단부를 서포트바(500)의 서포트바 샤프트(510)에 위치시키고, 방지망(300)의 외측 단부는 최상단의 연결포스트(420)에 형성된 방지망 연결구(310)에 연결한다.
이후, 와이어 로프를 방지방(300) 내측 끝단에 통과시킨 후, 브래킷(200)의 고정구(230)와 클램프(240)에 감아 고정시키고, 또 다른 와이어 로프를 방지방(300)의 외측 끝단에 통과시킨 후, 지지대(400)의 방지망 연결구(3l0)와 함께 감아 고정시키게 된다.
와이어 로프의 연결이 완료되면 개구부(110) 내부에 있는 작업자가 서포트바(500)를 건축물(100)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 지지대(400)를 펼친 다음, 방지방(300) 내측 및 외측 끝단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 로프 끝단을 건물 내부에서 당김으로써 방지망(300)을 펼치게 되며, 이를 통해 방지망(300)을 펼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설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지망(300)이 펼쳐지면 파스너(440)를 통해 상부포스트(413)와 하부포스트(411)를 고정하여, 강풍 등에 의한 상부포스트(413)와 하부포스트(411)간 분리발생을 막게 되며, 이에 따라 포스트(410)의 분리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100)에 방지망(300)이 설치된 상태에서 개구부(110)에 창틀을 설치할 때 창틀과 브래킷(200)이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건축물로부터 브래킷을 분리하고 다시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상부포스트(413)와 하부포스트(411)가 파스너(440)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대(400)의 연결부를 보강하므로 강풍 발생 시에도 분리되지 않아서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며, 서포트바(500)의 외측 단부가 홀더(620)로 지지되어 외력 또는 강풍 발생 시에도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지지대(4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에 서포트바(500) 및 지지대(400)를 연결할 때, 서포트바 샤프트(510) 및 하부 받침대(430)의 일단을 고정구(230A,230B)로 고정하고, 타단을 클램프(240A,240B)로 고정하므로, 클램프(240A,240B)로 서포트바 샤프트(510) 및 하부 받침대(430)를 완전히 고정하지 않더라도 서포트바(500) 및 지지대(400)의 분리에 따른 이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방지망(300)의 설치 또는 해체 작업 과정에서 각 클램프(240A,240B)를 풀고 잠그는 과정을 최소화 하여 방지망 설치 또는 해체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앵커부재(600)를 통해 브래킷(200)을 건축물(100)의 외주벽(113)에 고정설치함으로써, 개구부의 창틀 설치시 브래킷과의 공사 간섭을 받았던 기존의 낙하물 방지망 설치 구조에 비해 설치된 브래킷과 지지대 및 방지망을 분리하는 소요 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건축물 110 : 개구부
111 : 상단부 112 : 하단부
113 : 외주벽 200A,200B : 브래킷
210A,210B : 수직판 211A,211B : 브래킷 장착홀
220A,220B : 수평판 230A,230B : 고정구
240A,240B : 클램프 300 : 방지망
310 : 방지망 연결구 400 : 지지대
410 : 포스트 411 : 하부포스트
412 : 연결소켓 413 : 상부포스트
420 : 연결포스트 430 : 하부받침대
440 : 파스너 500 : 서포트바
510 : 서포트바 샤프트 520 : 홀더
530 : 홀더 샤프트 600 : 앵커부재
610 : 앵커볼트 620 : 앵커너트
630 : 결합볼트 640 : 결합너트

Claims (12)

  1. 건축물(100)의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외주벽(113)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브래킷(200A,200B),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의해 내측 단부가 지지되는 방지망(300), 상기 방지망(300)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400), 상기 지지대(40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바(500),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을 외주벽(113)에 고정시키는 앵커부재(6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4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포스트(410), 상기 포스트(410)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받침대(430)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바(500)의 내측 단부에는 서포트바 샤프트(510)가 구비되어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포스트(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개구부(110) 상부 외주벽(113)에 설치되는 브래킷(200A)은,
    상기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접합된 고정구(230A), 상기 서포트바 샤프트(510)의 타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클램프(24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2. 삭제
  3. 건축물(100)의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외주벽(113)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브래킷(200A,200B),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의해 내측 단부가 지지되는 방지망(300), 상기 방지망(300)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400), 상기 지지대(40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트바(500),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을 외주벽(113)에 고정시키는 앵커부재(6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4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포스트(410), 상기 포스트(410)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받침대(430)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바(500)의 내측 단부에는 서포트바 샤프트(510)가 구비되어 개구부(110) 상부 브래킷(20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포스트(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개구부(110) 하부 외주벽(113)에 설치되는 브래킷(200B)은,
    상기 하부받침대(43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접합된 고정구(230B), 상기 하부받침대(430)의 타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클램프(24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건축물(100)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ㄱ"자 형상 브래킷(200A,200B)의 일측은 건축물(100) 외측 모서리에 접촉하고, 타측은 건축물(100)의 외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며, "ㄱ"자 형상 브래킷(200A,200B)의 일측과 타측은 리브(rib)로 연결되되, "ㄱ"자 형상 브래킷(200A,200B)의 각 면에는 서포트바(500)의 서포트바 샤프트(510) 또는 지지대(400)의 하부받침대(430)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410), 상기 한 쌍의 포스트(410)를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포스트(420), 상기 한 쌍의 포스트(410) 하단부를 연결하여 개구부(110) 하부 브래킷(200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받침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410)는,
    상기 하부받침대(430)를 갖는 하부포스트(411), 상기 하부포스트(411)의 상단부 내경에 고정되는 연결소켓(412), 상기 연결소켓(412)의 외경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부포스트(411)에 연결되는 상부포스트(413), 상기 상부포스트(413)와 하부포스트(411)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파스너(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440)는,
    상기 하부포스트(411)와 상부포스트(413)의 연접된 단부 외면에 각각 구비된 돌출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500)의 외측 단부는 지지대(400)에 구비된 포스트(410) 일측면에 홀더(520)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500)의 외측 단부는 지지대(400)에 구비된 연결포스트(420)에 고정되는 홀더(520)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포스트(42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포스트(420)의 외주면에는 연결포스트(4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의 홀더 샤프트(530)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홀더 샤프트(530)의 외측 표면에 홀더(520)가 고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600)는,
    상기 외주벽(113)에 매립되어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을 관통하는 앵커볼트(610),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을 관통하여 외주벽(113) 내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볼트(610)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600)는,
    상기 외주벽(113)에 매립되는 앵커너트(620), 상기 앵커너트(620)에 나사결합되도록 개구부(110) 상부 및 하부 브래킷(200A,200B)을 관통하는 결합볼트(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KR2020190003470U 2019-08-22 2019-08-22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KR200491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70U KR200491429Y1 (ko) 2019-08-22 2019-08-22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70U KR200491429Y1 (ko) 2019-08-22 2019-08-22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29Y1 true KR200491429Y1 (ko) 2020-04-06

Family

ID=7022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470U KR200491429Y1 (ko) 2019-08-22 2019-08-22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922A (ko) * 2021-06-09 2022-12-16 한선아 낙하물 방지망 설치 구조체
KR102667337B1 (ko) 2023-05-09 2024-05-21 (주)조은엔지니어링 앵커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338B1 (ko) 2005-04-04 2006-01-10 김현석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0631322B1 (ko) * 2005-05-04 2006-10-04 주식회사 이산세이프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0711588B1 (ko) 2006-12-22 2007-04-27 김미옥 낙하물 방지망 설치구조
KR100761558B1 (ko) 2007-04-16 2007-09-28 이장주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100885110B1 (ko) * 2008-03-17 2009-02-20 김성민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338B1 (ko) 2005-04-04 2006-01-10 김현석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0631322B1 (ko) * 2005-05-04 2006-10-04 주식회사 이산세이프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0711588B1 (ko) 2006-12-22 2007-04-27 김미옥 낙하물 방지망 설치구조
KR100761558B1 (ko) 2007-04-16 2007-09-28 이장주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100885110B1 (ko) * 2008-03-17 2009-02-20 김성민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922A (ko) * 2021-06-09 2022-12-16 한선아 낙하물 방지망 설치 구조체
KR102639802B1 (ko) * 2021-06-09 2024-02-22 한선아 낙하물 방지망 설치 구조체
KR102667337B1 (ko) 2023-05-09 2024-05-21 (주)조은엔지니어링 앵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66260C (en) Connection node for modular building structures
KR200491429Y1 (ko)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KR100817326B1 (ko) 갱폼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방법
KR20180050154A (ko)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JP7316728B2 (ja) 日除け
ES2924093T3 (es) Sistema de fijación para montar en techos y uso de dicho sistema de fijación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200397951Y1 (ko) 비계 파이프 구조물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JP3400794B2 (ja) 手摺り用仮設部材
KR102082610B1 (ko) 특수커넥터를 이용한 논슬립 탈부착식 안전시트
KR100631322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JP3635467B2 (ja) 立体構築物
JP4367940B2 (ja) 軽金属製手摺
KR102558801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JPH0450352Y2 (ko)
KR200271657Y1 (ko) 낙하물방지틀
KR200162505Y1 (ko) 낙하 방지용 안전망
KR102639802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 구조체
JP2005344492A (ja) 木造家屋の耐震補強工法とこれに用いる補強金具及び柱抜け防止装置
KR102262313B1 (ko) 접철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케이지의 지지대
KR20090109174A (ko) 아파트 발코니 브래킷
JP3709173B2 (ja) 屋根上工事用日よ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