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314Y1 - 낙하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314Y1
KR200417314Y1 KR2020060005717U KR20060005717U KR200417314Y1 KR 200417314 Y1 KR200417314 Y1 KR 200417314Y1 KR 2020060005717 U KR2020060005717 U KR 2020060005717U KR 20060005717 U KR20060005717 U KR 20060005717U KR 200417314 Y1 KR200417314 Y1 KR 200417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afety net
frame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범
박병규
Original Assignee
아시아세이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세이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시아세이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5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3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안전망 지지틀 및 안전망의 고정수단을 개선하여 낙하물 지지강도를 향상시킨 낙하물 방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낙하물 방지장치는 둘 이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끝단과 결합하는 보조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에 고정되며, 낙하물을 지지하는 안전망; 고정판 및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망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안전망 고정수단; 및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에 결속되며, 타단이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지지틀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두 개의 사각 파이프가 상하부로 결합되어, "T"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물, 안전망, 안전망 지지틀, 와이어로프, 비계

Description

낙하물 방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falling objects}
도 1은 통상적인 낙하물 방지장치의 설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의 설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에 사용되는 안전망 및 안전망 지지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에 사용되는 안전망 고정수단 및 지지틀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에 사용되는 지지틀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고안은 낙하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망 지지틀 및 안전망의 고정수단을 개선하여 낙하물 지지강도를 향상시킨 낙하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낙하물 방지장치는 건설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시설물로서, 공사 중 벽돌, 철골 잔재물 등 공사 기자재가 지상으로 낙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건설 중인 구조물 외벽 주위에 설치되는 가설물을 말한다. 또한 작업 중 근로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낙하물 방지장치의 설치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적인 낙하물 방지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통상적인 낙하물 방지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사 중인 구조물 외부에 작업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강관비계(11, 12)에 가설되는 것으로, 수직 강관비계(11)와 수평 강관비계(12)의 연결부분에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3), 상기 다수의 지지대(13)에 고정되며 낙하물을 지지하는 안전망(16), 상기 다수의 지지대(13)를 강관 비계(11, 12)에 고정시키는 지지대 고정수단(1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13)는 원형의 강관 파이프가 사용되며, 상기 안전망(16)은 상기 지지대(13)에 일정간격으로 밴드 또는 철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17)은 일단이 상기 지지대(13)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수평 강관비계(12)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가 사용되며, 강재 지지바가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낙하물 방지장치는 상기 지지대(13)로서 일반적인 강관 파이프가 사용되고 있어, 무거운 물체의 낙하로 인해 상기 강관 파이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강관 파이프가 휘어져 지지대(13)로서의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 다. 또한, 상기 안전망(16)을 지지대(13)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밴드나 철사는 무거운 물체의 낙하 시 결속이 풀려, 안전망(16)의 고정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망의 그물코가 넓은 경우 못, 핀 등 조그만 잡자재가 지상으로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강관 비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설치가 용이할 수 있으나, 요즘은 별도의 강관 비계 설치 없이 갱폼(gang form)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갱폼을 사용하는 구조물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17)으로 별도의 브래킷(bracket)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낙하물 방지장치의 설치 및 해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외관이 안 좋으며, 다른 공정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거운 물체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낙하물을 지지하는 낙하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낙하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낙하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낙하물 방지장치는 둘 이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끝단과 결합하는 보조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에 고정되며, 낙하물을 지지하는 안전망; 고정판 및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망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안전망 고정수단; 및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에 결속되며, 타단이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지지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낙하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두 개의 사각 파이프가 상하부로 결합되어, "T"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의 설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에 사용되는 안전망 및 안전망 지지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에 사용되는 안전망 고정수단 및 지지틀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는 안전망을 지지하는 안전망 지지틀(21, 22), 상기 안전망 지지틀(21, 22)에 고정되며 낙하물을 지지하는 안전망(26), 상기 안전망(26)을 지지틀(21, 22)에 고정시키는 안전망 고정수단, 및 상기 안전망 지지틀(21, 22)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지지틀 고정수단(31, 32)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망 지지틀(21, 2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1)과 보조프레임(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안전망 지지틀(21, 22)은 기본적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는 두 개의 지지프레임(21) 및 상기 두 개의 지지프레임(21)의 양 끝단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1)과 일체로 거동하는 두 개의 보조프레임(2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1)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4m이며, 구조물의 형태 및 공사 환경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1)의 간격도 구조물의 형태 및 공사 환경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즉, 구조물의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지지프레임(21) 및 보조프레임(22)의 길이 및 간격을 조정하여 외관이 수려한 낙하물 방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망 지지틀(21, 22)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지지프레임(21)을 포함하며, 또한 두 개 이상의 지지프레임(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개의 지지프레임(21)이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고, 각각의 양 끝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클램프(23)에 보조프레임(22)이 결합되어 안전망 지지틀(21, 2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1)은 낙하물이 낙하시 안전망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구조물의 수평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1)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1)이 전체적으로 "T"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두 개의 사각 파이프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되어 일체를 형성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21)은 상기 두 개의 사각 파이프의 결합으로 "T"형상을 이루므로, 통상적인 낙하물 방지장치에서 지지대로 사용되는 원형의 강관 파이프에 비하여 큰 단면계수(section modulus)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낙하물의 충 격 등으로 인한 지지프레임(21)의 처짐 및 휨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상기 사각 파이프는 임의의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두 개의 사각 파이프의 결합으로 상지 지지프레임(21)이 "T"형상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프레임(21)을 형성하고 있는 두 개의 사각 파이프 중 상부 사각 파이프의 가로 길이가 "a", 세로 길이가 "b", 하부 사각 파이프의 가로 길이가 "d", 및 세로 길이가 "c"인 경우, 1〈a/d 〈3 및 1/3〈 (b+c)/a〈3 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하한 수치는 기성 사각 파이프의 활용으로 낙하물 방지장치의 경제적 제작 및 단면 계수의 최적화 측면에서 특정된 것이며, 또한 낙하물 방지장치의 경제성 및 지지강도 개선을 위하여 "T"형상을 더욱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사각 파이프로는 일반적으로 80mm × 50mm 크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1)의 단면계수를 높이기 위하여 동일 크기의 사각 파이프뿐만 아니라 다른 크기의 사각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1)을 형성하는 사각 파이프 중 상부 사각 파이프의 양 끝단에는 상기 보조프레임(22)이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프(23)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하부 사각 파이프에도 클램프(2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22)은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23)에 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안전망 지지틀을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단관 비계 파이프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22)은 구조물에 가까이 위치하는 하단 보조프레임과 구조물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상단 보조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안전망(26)은 낙하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사각 형태의 안전망 지지틀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지지프레임(21) 및 보조프레임(2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전망(2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22)에 결합하는 부분이 접혀져 박음질처리가 되어 타원형태의 삽입부(29)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2)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1)과의 결합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27) 및 고정핀(29)을 이용한다. 상기 고정판(27)은 2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상부 사각 파이프 크기 안에 놓일 수 있는 크기이며, 고정핀(29)은 철판에 고정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즉, 지지프레임(21)의 위 면에 안전망(26)의 일단을 걸쳐 놓고 상기 안전망(26) 위에 상기 고정판(27)을 올려놓은 후 타카(미도시, tacker) 등을 이용하여 고정핀(29)을 상기 고정판(27) 및 안전망(26)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사각 파이프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27)이 단단하게 고정되어 무거운 물체의 낙하로 안전망(26)이 하부로 처지는 경우, 상기 안전망(26)이 안전망 지지틀(21, 22)에서 이탈하지 않게 되어 추가적인 재해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망(26)을 상기 안전망 지지틀(21, 22)에 결합하는 작업이 지상에서 수행되므로 낙하물 방지장치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26)을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고정하는 방법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사각 파이프 상면에 볼트를 스터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안전망(26)을 상기 볼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 위에 올려놓고 상기 볼트에 상응하는 홀이 형성된 고정판을 올려놓은 후 너트로 고정시 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전망(26)에 사용되는 재료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비닐론 등 합성섬유 또는 그 이상의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안전망(26)은 일반적으로 3600데니어(denier)의 무게를 가지며, 그물코는 1cm정도이다.
상기 지지틀 고정수단은 상기 안전망 지지틀(21, 22)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로프(31) 및 고정고리(32)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로프(3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끝단 부분을 접어서 클립 등으로 고정하여 타원형의 결박링부(33)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고리(32)에 연결하며, 타단은 상기 보조프레임(22)에 끼운 후 끝단 부분을 접어서 클립 등으로 고정하여 결박링부(3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로프(31)는 수직로프(31a) 및 경사로프(31b)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로프(31a)의 경우 일단이 하단 보조프레임(22)과 결속되며, 경사로프(31b)의 경우 일단이 상단 보조프레임(22)과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로프(31a) 및 경사로프(31b)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4m 로서 동일하며,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프레임(21)을 구조물에 설치 시 구조물의 수평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 각도 유지하도록 상기 수직로프(31a) 및 경사로프(31b)의 길이를 조정해야 한다. 즉, 만약 경사로프(31b)의 길이가 수직로프(21a)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21)이 구조물에 수평으로 설치하게 되어 낙하물이 안전망(26)에 낙하한 후 지상으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31)는 수직로프(31a)와 경사로프(31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로프(31) 의 중간 부분을 접어서 클립 등으로 고정하여 타원형의 결박링부(33)를 형성하고, 양 끝단 부분을 상단, 하단 보조프레임(22)에 끼운 후 접어서 클립 등으로 고정하여 결박링부(33)를 형성하며 상기 중간 부분의 결박링부(33)를 고정고리(32)에 연결한다. 상기 로프(31)로는 통상적인 와이어로프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32)는 일측에 "U"형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로프(31)의 결박링부(33)가 연결되며, 타측은 기존 구조물의 갱폼(gang form) 설치시 형성된 구멍(35)에 삽입하여 고정고리(32)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결박링부(33)가 고정고리(32)에 연결한 후 임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 수단(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 고정수단으로는 브래킷(40) 및 파이프(48)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보조프레임(22b)은 브래킷(40)에 의하여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단 보조프레임(22a)은 파이프(48) 및 브래킷(40)에 의하여 구조물에 고정된다. 상기 브래킷(40)에 대하여 살펴보면, 구조물에 설치된 턱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1 지지부(43a)와 제2 지지부(43b)가 본체(41)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43b)의 일측에는 쬐임장치(4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브래킷(40)을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턱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체(41)의 일단에는 클램프와 같은 연결장치(4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브래킷(40)을 하단 보조프레임(22b) 및 파이프(48)와 결합시킨다. 상기 파이프(48)는 상단에 설치된 브래킷(40)과 상단 보조프레임(22a)과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통상적인 강관 비계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의 조립 및 설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조립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프레임(21)을 "T"형상을 유지하면서 일정 간격 떨어져서 평행하게 나열하고, 보조프레임(22)을 안전망(26)의 삽입부(29)를 관통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23)에 결합시켜 사각 형태의 안전망 지지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26)의 일단을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걸쳐 놓고 고정판(27)을 올려놓은 후 타카(미도시, tacker) 등을 이용하여 고정핀(29)을 상기 고정판(27)과 안전망(26)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고정시킨다. 상기 안전망(26)과 안전망 지지틀(21, 22)을 결합한 후, 동일 길이로 재단한 수직로프(31a) 및 경사로프(31b)의 일측 끝단 부분을 접어서 클립 등으로 고정하여 타원형의 결박링부(33)를 형성하고, 두 개의 수직로프(31a)의 타단을 각각 하단 보조프레임(22)의 양 측에 끼운 후 끝단 부분을 접어서 클립 등으로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경사로프(31b)의 타단을 각각 상단 보조프레임(22)의 양 측에 끼운 후 끝단 부분을 접어서 클립 등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두 개의 지지프레임(21) 및 두 개의 보조프레임(22)을 포함하는 사각 형태의 낙하물 방지장치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1)은 서로 평행하게 나열되는 경우 뿐 만 아니라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사다리꼴 형태로 나열될 수 있으며, 공사 환경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1)은 두 개 뿐 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설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고리(32)를 구조물의 갱폼 설치로 형성된 구멍에 일정간격으로 삽입 고정시키고, 크레인 등 의 인양장비를 통하여 상기 낙하물 방지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위치시킨 후 상기 로프(31)의 결박링부(33)를 상기 고정고리(32)에 연결하여 낙하물 방지장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지지프레임(21)은 구조물의 수평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풍하중으로 인하여 낙하물 방지장치가 흔들릴 수 있으므로 상기 낙하물 방지장치가 설치된 위치 하부에 별도의 로프(미도시)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로프(미도시)의 타단을 상단 보조프레임(22)에 결속시켜 상기 낙하물 방지장치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낙하물 방지장치는 사각 파이프로 형성된 지지프레임의 사용 및 안전망을 고정판 및 고정핀으로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서 무거운 물체가 낙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낙하물을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구조물에의 설치가 간단하며, 조립, 해체가 용이하고, 구조물의 요철 등과 같은 외부 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설치 완료 후 미관이 수려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5)

  1. 둘 이상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끝단과 결합하는 보조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에 고정되며, 낙하물을 지지하는 안전망;
    고정판 및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망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안전망 고정수단; 및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에 결속되며, 타단이 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지지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낙하물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을 상기 지지프레임 위에 올려진 상기 안전망 위에 올려놓고, 상기 고정핀을 상기 고정판 및 안전망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인 낙하물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두 개의 사각 파이프가 상하부로 결합되어 "T"형상을 이루는 것인 낙하물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사각 파이프 중 상부 사각 파이프의 가로 길이가 "a", 세로 길이가 "b", 하부 사각 파이프의 가로 길이가 "d", 및 세로 길이가 "c"인 경우, 1〈a/d〈3 및 1/3〈(b+c)/a〈3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인 낙하물 방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파이프의 양 끝단에 상기 보조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클램프가 결합되어 있는 것인 낙하물 방지장치.
KR2020060005717U 2006-03-02 2006-03-02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17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17U KR200417314Y1 (ko) 2006-03-02 2006-03-02 낙하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17U KR200417314Y1 (ko) 2006-03-02 2006-03-02 낙하물 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883A Division KR20070090856A (ko) 2007-05-18 2007-05-18 낙하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314Y1 true KR200417314Y1 (ko) 2006-05-26

Family

ID=4176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717U KR200417314Y1 (ko) 2006-03-02 2006-03-02 낙하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3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26B1 (ko) * 2007-07-27 2008-03-27 (주)삼주테크 갱폼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857189B1 (ko) * 2007-07-05 2008-09-0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블록식 보강토 옹벽 시공시 추락방지용 안전망 시공방법
KR100876287B1 (ko) 2008-01-21 2008-12-26 류순모 건축용 갱폼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안전 그물망의설치방법과 그 설치 구조
KR102366673B1 (ko) 2020-11-03 2022-02-25 주식회사 한결산업 낙하물 차단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89B1 (ko) * 2007-07-05 2008-09-0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블록식 보강토 옹벽 시공시 추락방지용 안전망 시공방법
KR100817326B1 (ko) * 2007-07-27 2008-03-27 (주)삼주테크 갱폼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876287B1 (ko) 2008-01-21 2008-12-26 류순모 건축용 갱폼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안전 그물망의설치방법과 그 설치 구조
KR102366673B1 (ko) 2020-11-03 2022-02-25 주식회사 한결산업 낙하물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1263002B1 (ko)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JP4716948B2 (ja) 安全ロープ張設用支持金具
JP2009108473A (ja) 高所構造物に対する吊り足場架設方法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EP1160395B1 (en) Assembly of guard rails
KR20070090856A (ko) 낙하물 방지장치
JP5773469B1 (ja) 吊足場
JP2011099259A (ja) 幅木取付け用金具
KR20120133013A (ko) 건축물 공사용 안전 난간대
JP3485534B2 (ja) 足場用防護装置、足場用パイプ装置及び足場装置
KR100364501B1 (ko)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101757279B1 (ko)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설비를 구축하는 시스템
JP3208108U (ja) 仮設シート張設用の支持金具
KR101757282B1 (ko) 하중이 증가할수록 와이어 로프의 외측을 조일 수 있는 와이어 조임쇠를 포함하는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시스템의 상부 하중 지지 구조
JP3303973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補強材の支持具
KR200271657Y1 (ko) 낙하물방지틀
KR20060108175A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지지틀
KR200495121Y1 (ko) 비계설치부와 건물면의 간격에 설치되는 안전쪽망
KR102558801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