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09Y1 - 그물망 벤치 - Google Patents

그물망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09Y1
KR200492509Y1 KR2020200000956U KR20200000956U KR200492509Y1 KR 200492509 Y1 KR200492509 Y1 KR 200492509Y1 KR 2020200000956 U KR2020200000956 U KR 2020200000956U KR 20200000956 U KR20200000956 U KR 20200000956U KR 200492509 Y1 KR200492509 Y1 KR 200492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frame
n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선
Original Assignee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0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47C7/282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with mesh-like supports, e.g. elastomeric membran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부와, 전방 지지대 및 후방 지지대와, 네트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네트부는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이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면서 그물망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상기 프레임부에 걸터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 그물망 벤치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단순히 앉아서 쉬는 형태의 벤치가 아니라 눕거나 기댄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형태의 벤치이며, 특히 그물망 구조의 네트부를 제공함으로써 안락감을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물망 벤치{net type bench}
본 고안은 그물망 벤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최대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그물망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치는 공원이나 산책로 혹은, 정류장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곳에 일시간 앉아 쉴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가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벤치는 보통 목재 혹은, 석재의 장형 의자로 만들어지면서 혼자뿐 아니라 둘 혹은, 셋 이상의 보행자가 동시에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벤치는 목재나 석재 이외의 재료를 이용하여 특이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된 일반적인 벤치는 목재나 석재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락함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단순히 잠시간 쉴 수 있는 기능만 수행할 뿐이라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즉, 일반적인 벤치는 기대거나 누울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여러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기능만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종래에는 공개특허 제10-2020-0005715호와 같이 등받이의 일부를 필요시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60369호에서와 같이 등받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거나, 등록특허 제10-0641351호에서와 같이 벤치를 흔들 의자 구조로 형성하여 안락함을 향상시키거나, 등록실용신안 제20-0342383호에서와 같이 등받이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벤치를 다양한 용도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전술된 노력에도 불구하고 벤치는 사실상 앉아서 쉬는 기능만 수행할 뿐 안락하게 눕거나 기대는 등의 효과는 제공하지 못하였다.
물론, 등록실용신안 제20-0416726호에서와 같은 해먹형 구조로 구성한 의자(침대)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89363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2820호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의자 등과 같이 안락감을 향상시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도록 한 의자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자는 개인용일 뿐 다수가 동시에 사용하지는 못하였다.
물론, 상기한 안락감을 향상시킨 개인용 의자의 구조를 벤치에 적용함으로써 벤치의 안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벤치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 사고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만 하고, 이를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20-000571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0369호 등록특허 제10-064135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4238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1672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89363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2820호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둘 이상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눕거나 기댄 상태로 안락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그물망 벤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에 따르면 전방측 둘레프레임과 후방측 둘레프레임 및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이 사각틀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이루는 전방측 둘레프레임의 양 측 저면을 각각 받쳐줌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두 전방 지지대; 상기 프레임부를 이루는 후방측 둘레프레임의 양 측 저면을 각각 받쳐줌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전방 지지대에 비해 더욱 높게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측 둘레프레임이 전방측 둘레프레임에 비해 더욱 높이 위치되도록 하는 두 후방 지지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그물망 구조의 네트부; 그리고, 상기 네트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각 둘레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각 둘레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마다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체와, 일단은 상기 네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정 간격마다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각 고정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둘레프레임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둘레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연결와이어가 권취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볼트부재가 둘레프레임의 내측으로 분리됨을 방지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네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정 간격마다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각 둘레프레임을 관통하여 매듭으로 구속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 및 후방측 둘레프레임의 양 끝단 사이에 두 측면측 둘레플레임이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의 전방측 끝단면 및 후방측 끝단면은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 및 후방측 둘레프레임과의 접촉 부위와 동일한 경사면 혹은, 곡면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프레임부를 이루는 전방측 둘레프레임에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벤치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네트부가 추가로 제공됨과 더불어 이러한 네트부는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면서 전방측 둘레프레임에 걸터앉은 사용자가 기대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휴식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상기 네트부는 그물망으로 구성함에 따라 안락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네트부와 프레임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과도히 늘어나는 재질이 아닌 비탄력성 재질로 형성하여 늘어남을 최소화함에 따라 각 연결와이어 간의 간격이 원치않게 넓어짐을 방지하면서 항상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각 연결와이어 사이의 틈새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빠지거나 끼어서 안전 사고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연결와이어를 프레임부에 결합하는 방식이 단순히 연결와이어를 프레임부에 권취시켜 묶는 방식이 아니라 아이너트를 이용한 연결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각 연결와이어의 연결 부위가 원치않게 변경되면서 각 연결와이어 간의 이격 거리가 과도히 넓어지거나 혹은, 좁아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항상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 중 각 지지대에 프레임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 중 전방 지지대의 다른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이루는 연결부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다각형 각재로 형성할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다각형 각재로 형성할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 분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이루는 연결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 중 각 지지대에 프레임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는 크게 프레임부(100)와, 전방 지지대(200) 및 후방 지지대(300)와, 네트부(400) 및 연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단순히 앉아서 쉬는 형태의 벤치가 아니라 눕거나 기댄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형태의 벤치이며, 특히 그물망 구조의 네트부(400)를 제공함으로써 안락감을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그물망 벤치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다.
이러한 프레임부(100)는 전방측 둘레프레임(110)과 후방측 둘레프레임(120) 및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각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은 단면이 삼각이나 사각 또는, 다각형의 각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면이 원형인 봉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이 원형 단면의 봉재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특히, 상기한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은 목재나 석재뿐 아니라 금속이나 합성수지 혹은, 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이 목재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과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은 전후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은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 및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양 측 끝단에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 및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은 상기 양 측의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에 비해 더욱 길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프레임부(100)는 전방에서 봤을 때 좌우로 긴 직사각형 구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여러명이 동시에 기대거나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의 전방측 끝단면은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양 끝단 후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얹히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의 후방측 끝단면은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양 끝단 전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 및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양 끝단 사이에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 및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은 서로 간의 대향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변형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의 전방측 끝단면 및 후방측 끝단면은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 및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둘레면과 동일한 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네트부(400)에 사용자가 기댈 경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이 서로 간의 대향 방향으로 변형될 우려는 있다.
하지만,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경우는 사용자가 걸터앉는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사용자의 하중을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이 고스란히 제공받기 때문에 양 측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는 하중에 비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제공되는 하중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가 더욱 안전하며, 이를 고려한다면 전술된 바와 같이 전방측 둘레프레임(110) 및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양 끝단 사이에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이 위치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의 길이는 일반 성인의 키를 고려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단순히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휴식을 취할 수도 있지만, 네트부(400)에 누웠을 경우 사용자의 머리가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에 닿지 않을 정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의 길이는 일반 성인의 키를 고려하여 결정(예컨대, 180cm 정도로 결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 지지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방 지지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저면을 받쳐주는 지지대이다.
이러한 전방 지지대(200)는 두 개로 제공되며, 각 전방 지지대(200)는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양 끝단 저부에 각각 위치된다.
즉,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하중뿐 아니라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으로부터 제공되는 하중도 상기 두 전방 지지대(200)가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사용자가 걸터앉음으로써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하부 처짐이 발생되거나, 네트부(40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이 하부로 처지면서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하중을 가하더라도 이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저부를 두 전방 지지대(200)가 받쳐주기 때문에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파손과 같은 손상이나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과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 간의 결합이 원치않게 해제되는 등의 손상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양 끝단에는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이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두 전방 지지대(200)의 결합에 간섭이 야기될 우려도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의 경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양 측 끝단 상측에 밀착 설치됨을 고려할 때 상기 전방 지지대(200)와의 간섭은 사실상 미미하게만 이루어지며, 이로써 상기 전방 지지대(200)를 상기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130)과 일치되는 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간섭의 불편함에 비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지지대(200)는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양 측 끝단의 저면 중 측면측 둘레프레임(130)과의 결합 부위를 회피한 곳에 밀착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대(200)의 상면에는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끝단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홈(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210)은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둘레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첨부된 도 5 참조)된다.
즉,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이 원형 단면의 봉재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안착홈(210)은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의 둘레면과 동일한 형상의 반원형 홈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서로의 결합력이 향상됨과 더불어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전방 지지대(200)는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 지지대(2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부위로 제공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전방 지지대(200)의 높이는 일반 사용자(성인)의 무릎에서 허리 사이의 높이로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전방 지지대(200)의 하측 끝단은 기초부(220)에 고정되면서 지면에 매립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전방 지지대(200)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부(220)는 콘크리트블럭과 같은 석재블럭 혹은, 여타의 다양한 친환경블럭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 지지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후방 지지대(300)는 상기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저면을 받쳐주는 지지대이다.
이러한 후방 지지대(300)는 두 개로 제공되며, 각 후방 지지대(300)는 상기 두 전방 지지대(200)의 후방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양 측 저면을 받쳐주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후방 지지대(300)는 전술된 전방 지지대(200)와 전후 나란히 위치되면서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양 측 끝단의 저면을 받쳐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양 측 끝단에 밀착 고정되는 측면측 둘레프레임(130)과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위를 회피한 곳에 상기 후방 지지대(300)가 밀착 설치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두 후방 지지대(300)는 상기 두 전방 지지대(200)에 비해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후방 지지대(300)의 상면에는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끝단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홈(3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310)은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의 둘레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라운드(혹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이 다각형 단면의 각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후방 지지대(300)의 안착홈(310)은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과의 접촉 부위와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방 지지대(300)는 전방 지지대(200)에 비해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후방 지지대(300)의 구조는 전방 지지대(200)에 비해 더욱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0)의 후방측 부위가 전방측 부위에 비해 상부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후방 지지대(300)의 높이(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및 전방 지지대(200)로부터의 이격 거리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부(100)의 경사를 기본 경사(예컨대, 지면으로부터 45° 각도의 경사)보다 높이고자 한다면 상기 후방 지지대(300)의 높이를 더욱 높이거나 혹은, 전방 지지대(200)로부터 더욱 이격되게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부(100)의 경사를 기본 경사(예컨대, 지면으로부터 45° 각도의 경사)보다 낮추고자 한다면 상기 후방 지지대(300)의 높이를 더욱 낮추거나 혹은, 전방 지지대(200)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더욱 짧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후방 지지대(300)의 하측 끝단은 기초부(320)에 고정되면서 지면에 매립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후방 지지대(300)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기초부(320) 역시 전술된 전방 지지대(200)를 지지하는 기초부(220)와 같이 콘크리트블럭과 같은 석재블럭뿐 아니라 여타의 다양한 친환경블럭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다음은, 상기 네트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네트부(400)는 사용자가 기대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부위이다.
이러한 네트부(4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위치되며,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네트부(400)의 테두리를 따라 마감부재(410)가 구비되면서 상기 네트부(400)의 끝단에 대한 마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 연결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네트부(400)와 상기 프레임부(100)의 각 둘레프레임(110,120,130) 간을 연결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연결부(500)는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에 고정되는 고정체(510)와, 상기 네트부(400)의 둘레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연결와이어(520)를 단순히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에 권취하여 묶는 구조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고정된 부위(고정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연결와이어(520)의 끝단 위치는 항상 일정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510)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마다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체(510)는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외측(네트부와의 대향면과는 반대측면)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내측(네트부와의 대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볼트부재(511)와, 상기 볼트부재(511)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볼트부재(511)가 둘레프레임(110,120,130)의 내측으로 분리됨을 방지하는 체결너트(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와이어(520)가 연결되는 각 고정체(510)는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고정체(510)가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으로부터 분리되어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다수의 연결와이어(520)를 이용한 연결 구조를 통해 네트부(400)의 전 둘레 부위가 고른 하중을 제공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511)는 고리 부위를 가지는 아이볼트로 구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고리 부위는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볼트부재(511)는 단순한 장형 볼트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부재(511)의 타단인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부위에는 아이너트(혹은, 일단에 고리형 구조가 형성된 너트)를 결합하며, 상기 연결와이어(520)는 상기 아이너트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외면에는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512)는 상기 수용홈(113,123,133)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볼트부재(511)의 일단인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외측(네트부와의 대향면과는 반대측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는 상기 수용홈(113,123,133) 내에 위치될 뿐 외부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520)는 그 일단이 상기 네트부(400)의 마감부재(410)를 따라 설정 간격마다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각 고정체(510)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연결와이어(520)는 비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탄성재질은 탄성을 전혀 가지지 않는 재질을 의마하는 것이 아니라 늘어나고 복원됨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재질을 의미한다.
즉, 상기 연결와이어(520)는 섬유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 혹은, 금속 재질 등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연결와이어(520)가 코일형스프링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경우 각 연결와이어(520)의 탄성변형에 의해 각 연결와이어(520) 간의 사이에 과도한 틈새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틈새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빠지거나 끼임에 따른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벤치의 사용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그물망 벤치는 산책로 혹은, 여타 평지나 경사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물망 벤치는 후방 지지대(300)가 전방 지지대(200)에 비해 높은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로써 프레임부(100)는 전방측 부위가 아래로 기운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설치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물망 벤치를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걸터앉음으로써 해당 그물망 벤치를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사용자가 걸터앉을 경우 이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한 하중이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전달되고, 이로써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은 하부로 처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은 그의 양 측을 전방 지지대(200)가 각각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하중을 상기 두 전방 지지대(200)가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두 전방 지지대(2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기초부(220)에 고정되면서 지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의 하중을 상기 두 전방 지지대(200)가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상기 그물망 벤치의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네트부(400)에 일시적으로 기대거나 누움으로써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른 하중은 네트부(400)에 제공되고, 상기 네트부(400)는 상기 하중만큼 늘어나게 된다. 즉, 상기 네트부(400)는 그물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가 기댈 경우 그 기댐 부위가 변형되면서 해당 사용자의 형상과 동일한 변형을 하면서 사용자의 몸을 감싸기 때문에 사용자는 안락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네트부(400)로 전달되는 사용자의 하중은 복수의 연결부(500)를 통해 프레임부(100)로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 각 연결부(500)는 상기 네트부(40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각각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사용자의 하중은 상기 각 연결부(500)를 통해 프레임부(100)의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에 분산되면서 고르게 제공되며, 이렇게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으로 분산 제공되는 하중은 두 전방 지지대(200) 및 두 후방 지지대(300)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상기 네트부(400)를 프레임부(100)에 연결하는 각 연결부(500)는 볼트부재(511)가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체결너트(512)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네트부(400)의 특정 부위로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상기 각 연결부(500)가 프레임부(100)로부터 분리되는 안전 사고의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연결와이어(520)는 섬유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와이어로 구성되기 때문에 네트부(400)처럼 늘어나지 않고 네트부(400)가 정해진 방향으로만 탄력 변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연결와이어(520)는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걸터앉아 네트부(400)에 기댄 사용자의 엉덩이의 일부 혹은, 허리의 일부가 각 연결와이어(520)들 사이의 틈새 혹은, 전방측 둘레프레임(110)과 네트부(400) 사이의 틈새로 빠짐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벤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네트부(400)가 추가로 제공됨과 더불어 이러한 네트부(400)는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면서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에 걸터앉은 사용자가 기대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휴식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네트부(400)는 그물망으로 구성함에 따라 안락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네트부(400)와 프레임부(100)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500)가 과도히 늘어나는 재질이 아닌 비탄력성 재질로 형성하여 늘어남을 최소화함에 따라 각 연결와이어(520) 간의 간격이 원치않게 넓어짐을 방지하면서 항상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각 연결와이어(520) 사이의 틈새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빠지거나 끼어서 안전 사고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연결와이어(520)를 프레임부(100)에 결합하는 방식이 단순히 연결와이어(520)를 프레임부(100)에 권취시켜 묶는 방식이 아니라 아이볼트(혹은, 아이너트) 구조의 볼트부재(511)를 이용한 연결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각 연결와이어(520)의 연결 부위가 원치않게 변경되면서 각 연결와이어(520) 간의 이격 거리가 과도히 넓어지거나 혹은, 좁아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항상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프레임부(100)와 전방 지지대(200) 및 후방 지지대(300)가 원형 봉재로 형성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은 사각 단면을 갖는 각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단면은 라운드와 평면이 혼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캐릭터(예컨대, 개구리 얼굴이나 곰의 얼굴 등)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방 지지대(200) 및 후방 지지대(300)에 형성되는 안착홈은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이 다각형 단면의 각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전방 지지대(200)의 안착홈(210)은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110)과의 접촉 부위와 동일한 평면 혹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이 다각형 단면의 각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후방 지지대(300)의 안착홈(310)은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120)과의 접촉 부위와 동일한 평면 혹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를 이루는 연결부(500)는 고정체(510)를 제공하지 않고도 네트부를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20)를 이루는 연결와이어(520)를 고리형이 아닌 일자형 구조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에 관통시켜 연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둘레프레임(110,120,130)의 수용홈(113,123,133)으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와이어(520)의 끝단은 매듭으로 묶음으로써 상기 수용홈(113,123,133) 내에 안착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본 고안의 그물망 벤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100. 프레임부 110. 전방측 둘레프레임
120. 후방측 둘레프레임 130. 측면측 둘레프레임
113,123,133. 수용홈 200. 전방 지지대
300. 후방 지지대 210,310. 안착홈
220,320. 기초부 400. 네트부
410. 마감부재 500. 연결부
510. 고정체 511. 볼트부재
512. 체결너트 520. 연결와이어

Claims (5)

  1. 전방측 둘레프레임과 후방측 둘레프레임 및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이 사각틀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프레임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프레임부를 이루는 전방측 둘레프레임의 양 측 저면을 각각 받쳐주도록 구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의 저면 일부가 요입된 상태로 경사 조절이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전방측 둘레프레임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라운드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두 전방 지지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프레임부를 이루는 후방측 둘레프레임의 양 측 저면을 각각 받쳐주도록 구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의 저면 일부가 요입된 상태로 경사 조절이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후방측 둘레프레임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라운드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전방 지지대에 비해 더욱 높게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측 둘레프레임이 전방측 둘레프레임에 비해 더욱 높이 위치되도록 하는 두 후방 지지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그물망 구조의 네트부;
    상기 네트부와 상기 각 둘레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둘레프레임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둘레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볼트부재가 둘레프레임의 내측으로 분리됨을 방지하는 체결너트와,
    일단은 상기 네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정 간격마다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각 볼트부재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둘레프레임의 외면 중 볼트부재가 관통되는 부위에는 수용홈이 각각 요입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각 체결너트가 수용되면서 해당 둘레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벤치.
  2. 삭제
  3. 삭제
  4. 전방측 둘레프레임과 후방측 둘레프레임 및 두 측면측 둘레프레임이 사각틀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프레임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프레임부를 이루는 전방측 둘레프레임의 양 측 저면을 각각 받쳐주도록 구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전방측 둘레프레임의 저면 일부가 요입된 상태로 경사 조절이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전방측 둘레프레임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라운드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두 전방 지지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프레임부를 이루는 후방측 둘레프레임의 양 측 저면을 각각 받쳐주도록 구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후방측 둘레프레임의 저면 일부가 요입된 상태로 경사 조절이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후방측 둘레프레임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라운드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전방 지지대에 비해 더욱 높게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측 둘레프레임이 전방측 둘레프레임에 비해 더욱 높이 위치되도록 하는 두 후방 지지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그물망 구조의 네트부;
    상기 네트부와 상기 각 둘레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네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정 간격마다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각 둘레프레임을 관통하여 매듭으로 구속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각 둘레프레임의 외면 중 연결와이어가 관통되는 부위에는 수용홈이 각각 요입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각 연결와이어의 매듭진 부위가 수용되면서 해당 둘레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됨을 방지하도록 구성고,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각 연결와이어의 매듭진 부위가 수용되면서 해당 둘레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망 벤치.
  5. 삭제
KR2020200000956U 2020-03-19 2020-03-19 그물망 벤치 KR200492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56U KR200492509Y1 (ko) 2020-03-19 2020-03-19 그물망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56U KR200492509Y1 (ko) 2020-03-19 2020-03-19 그물망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509Y1 true KR200492509Y1 (ko) 2020-10-28

Family

ID=7300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56U KR200492509Y1 (ko) 2020-03-19 2020-03-19 그물망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09Y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383Y1 (ko) 2003-11-26 2004-02-18 박대진 덮개가 구비된 벤치
KR20060025633A (ko) * 2004-09-17 2006-03-22 주식회사 에이팁스 모래퇴적용 그물망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KR200416726Y1 (ko) 2006-01-11 2006-05-23 김태년 의자겸용 간이침대
KR100641351B1 (ko) 2005-06-11 2006-11-02 유효근 흔들벤치
US7169718B1 (en) * 1998-11-18 2007-01-30 John Rexroad Shrink-net and system
KR200460369Y1 (ko) 2011-10-31 2012-05-21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접이식 벤치
KR20170002820U (ko) 2016-01-29 2017-08-08 김계한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KR20180003644U (ko) * 2017-06-16 2018-12-27 황석하 안전펜스의 결착구
KR200489363Y1 (ko) 2017-02-09 2019-06-07 한의경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KR20200005715A (ko) 2018-07-08 2020-01-16 고민범 테이블 벤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9718B1 (en) * 1998-11-18 2007-01-30 John Rexroad Shrink-net and system
KR200342383Y1 (ko) 2003-11-26 2004-02-18 박대진 덮개가 구비된 벤치
KR20060025633A (ko) * 2004-09-17 2006-03-22 주식회사 에이팁스 모래퇴적용 그물망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KR100641351B1 (ko) 2005-06-11 2006-11-02 유효근 흔들벤치
KR200416726Y1 (ko) 2006-01-11 2006-05-23 김태년 의자겸용 간이침대
KR200460369Y1 (ko) 2011-10-31 2012-05-21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접이식 벤치
KR20170002820U (ko) 2016-01-29 2017-08-08 김계한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KR200489363Y1 (ko) 2017-02-09 2019-06-07 한의경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KR20180003644U (ko) * 2017-06-16 2018-12-27 황석하 안전펜스의 결착구
KR20200005715A (ko) 2018-07-08 2020-01-16 고민범 테이블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3114B2 (en) A bedstead
US4500137A (en) Physiological chair
US10758047B2 (en) Swinging chair with auto-reclining feature
US6988774B1 (en) Bedstead
US11160378B2 (en) Stadium chair
US3709559A (en) Furniture for seating people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CN103052341A (zh) 家具物品
CA2357902C (en) Therapeutic chair
US6623081B2 (en) Platen furniture
KR20160130744A (ko) 의자
US20220167748A1 (en) Chair having open shoulder backrest
US7344197B2 (en) Rollable supporting device
KR200492509Y1 (ko) 그물망 벤치
KR101399443B1 (ko)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조립식 쇼파
US3608105A (en) Foot section of a collapsible pull-out bed
JP3782378B2 (ja) 人体支持構造体
US11382433B2 (en) Device for changing frame angle of foldable article
KR100526444B1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JP6143013B2 (ja) 椅子又はソファ
KR101937239B1 (ko)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KR102552180B1 (ko) 변형이 가능한 기능성 소파
KR200333967Y1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KR102056887B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