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69Y1 - 접이식 벤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69Y1
KR200460369Y1 KR2020110009662U KR20110009662U KR200460369Y1 KR 200460369 Y1 KR200460369 Y1 KR 200460369Y1 KR 2020110009662 U KR2020110009662 U KR 2020110009662U KR 20110009662 U KR20110009662 U KR 20110009662U KR 200460369 Y1 KR200460369 Y1 KR 200460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ing
state
seating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299U (ko
Inventor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075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036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Priority to KR2020110009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6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69Y1/ko
Priority to PCT/KR2012/008707 priority patent/WO20130659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45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foldable side to side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벤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착석이 가능한 사용상태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착석부의 접철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착석부가 외력에 의해 상기 사용상태로 회동될 때 복원력이 저장되는 메인구동부와; 상기 착석부에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착석부를 초기 회동시켜 상기 메인구동부에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접철상태로 회동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착석부가 사용상태에서 접철상태의 자동 접철이 되므로 벤치의 설치 및 사용에 따른 공간이용이 효율적이며, 메인구동부와 보조구동부를 통하여 접철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벤치{FOLDABLE BENCH}
본 고안은 접이식 벤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석부가 사용상태에서 접철상태의 자동 접철이 되므로 벤치의 설치 및 사용에 따른 공간이용이 효율적이며, 메인구동부와 보조구동부를 통하여 접철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접이식 벤치에 관한 것이다.
공원이나 등산로 등에는 이용객이나 보행자가 잠시 쉴 수 있도록 벤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벤치는 그 설치를 위하여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벤치가 공원의 산책로나 좁은 등산로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착석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라도 보행로를 차지하게 되어 보행에 따른 불편함을 주기도 한다.
이에, 종래 벤치의 착석부를 접고 펴는 (또는 회동시키는 등) 등의 방법으로 공간확보를 할 수 있는 접이식 벤치가 제공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접이식 벤치는 크게 사용자가 직접 힘을 써서 착석부를 펼치고 직접 접는 수동식과, 착석부의 무게중심에 따라 사용 후에 자동적으로 펜스 후방으로 회동되는 반자동식이 제공된 바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착석부를 펴고 접고 해야하므로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사용 후에 착석부를 접지않는 경우에는 착석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접철식 벤치의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착석부의 하중을 펜스의 수평프레임이 지탱하게 되므로 안전상의 문제가 있음은 물론, 별도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접철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후자의 경우, 착석부가 접철되는 것이 아닌 펜스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이므로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착석부에 먼지, 빗물 등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석부가 사용상태에서 접철상태의 자동 접철이 되므로 벤치의 설치 및 사용에 따른 공간이용이 효율적이며, 메인구동부와 보조구동부를 통하여 접철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접이식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가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므로 등받이 내측 및 착석부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빗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보수관리가 용이하며, 사용성이 향상되고, 위생 및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이식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접이식 벤치에 있어서,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착석이 가능한 사용상태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착석부의 접철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착석부가 외력에 의해 상기 사용상태로 회동될 때 복원력이 저장되는 메인구동부와; 상기 착석부에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착석부를 초기 회동시켜 상기 메인구동부에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접철상태로 회동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구동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벤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지지대에 마련된 축과, 상기 축에 중앙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착석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구동부에 연결되는 회동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구동부는 양단이 상기 회동캠의 타단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지지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중 하나로 마련되며, 상기 보조구동부는 양단이 상기 회동캠의 타단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지지된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좌우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지지하는 등받이회동부와, 상기 등받이회동부에 마련되어 상기 등받이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를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위치는 상기 등받이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착석부 측으로 일정한 경사로 기울어진 상태이며, 상기 착석부는 상기 접철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에 나란히 포개어진 상태로 상기 등받이와 함께 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10 ~ 15°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착석부 방향의 반대측에 대응하는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는 커버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에 따르면, 착석부가 사용상태에서 접철상태의 자동 접철이 되므로 벤치의 설치 및 사용에 따른 공간이용이 효율적이며, 메인구동부와 보조구동부를 통하여 접철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는 등받이가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므로 등받이 내측 및 착석부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빗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보수관리가 용이하며, 사용성이 향상되고, 위생 및 미관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의 접철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의 사용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의 접철상태에서 회동부, 메인구동부 및 보조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의 사용상태에서 회동부, 메인구동부 및 보조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의 후방측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1)는, 착석부(10)와, 착석부(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와, 회동부(30)와, 메인구동부(40) 및 보조구동부(50)를 포함한다.
지지대(20)는 착석부(10) 또는 등받이(60)를 지지하며 마련된다. 지지대(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갯수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20)의 상부 일측에는 지지면(21)이 마련될 수 있는 바, 지지면(21)은 착석부(10)가 사용상태로 회동된 경우에 착석부(10)의 내측과 맞닿아 사용상태에서 착석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착석부(10)를 견고히 지지한다.
지지대(20)의 내부에는 회동부(30)가 마련된다.
회동부(30)는 착석부(10)가 지지대(20)에 대하여 착석이 가능한 사용상태(도 2)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상태(도 1)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회동부(3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20)에 마련된 축(31)과, 회동캠(35)을 포함한다.
회동캠(35)은 축(31)에 중앙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착석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구동부(40)에 연결된다.
메인구동부(40)는 착석부(10)의 접철상태를 유지하며, 착석부(1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사용상태로 회동될 때 복원력이 저장된다.
즉, 메인구동부(40)는 도 1의 접철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석을 위하여 착석부(10)를 아래로 젖히는 경우, 외력에 의해서 압축되면서 복원력이 저장되며, 사용이 종료된 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상태에서 팽창하면서 복원력에 의해 착석부(10)를 상부로 젖혀 올리게 된다. 따라서, 메인구동부(40)는 접철상태에서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착석부(10)가 상부로 젖혀진 상태 즉, 접철상태를 지지하는 것이다.
메인구동부(4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도 있고, 코일스프링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전술한 종류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이나 구동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수,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에너지절감 및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구동부(40)는 양단이 회동캠(35)의 타단 및 지지대(20)의 일측에 지지된다. 즉, 메인구동부(40)의 하단은 지지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메인구동부(40)의 상단은 회동캠(35)의 타단에 역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착석부(10)가 사용상태로 젖혀질 때에는 도 4처럼 압축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다.
보조구동부(50)는 착석부(10)에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자체 복원력에 의해 착석부(10)를 초기 회동시켜 메인구동부(40)에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착석부(10)가 상기 접철상태로 회동되는 것을 보조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1)에 있어서, 착석부(10)를 사용상태에서 접철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은 전술한 메인구동부(40)에 의해서 수행된다. 보조구동부(50)는 메인구동부(40)와 마찬가지로 접철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될 때, 외력에 의해서 복원력이 저장되는데, 이렇게 저장된 복원력은 사용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 착석부(10)를 회동시켜서 이후 메인구동부(40)의 복원력이 제대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구동부(50)의 복원력은 메인구동부(40)의 복원력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마련되며, 복귀 초기에 착석부(10)를 적절히 회동시켜 메인구동부(40)에 의한 구동력이 제대로 작용할 수 있을 정도로 회동시킬 만한 크기로 마련되면 된다.
보조구동부(5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보조구동부(50)의 일단은 지지대(20)에 지지되고, 타단은 회동캠(35)의 타단에 지지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벤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에 지지되는 등받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60)는, 지지대(20)에 지지되는 바,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범위 이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등받이회동부(71)는 등받이(60)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좌우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대(20)에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복원스프링(73)은 등받이회동부(71)에 마련되어 등받이(60)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등받이(60)를 초기위치로 복원시킨다.
등받이(60)의 상기 초기위치는, 다양한 각도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각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6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서 착석부(10) 측으로 일정한 경사로 기울어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등받이(60)가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으므로, 등받이(60) 내측 즉, 사용자의 등이 접촉하는 부분에 먼지 등 이물질이 부착될 염려가 적으며, 빗물 등이 묻거나 고일 염려가 없어 위생상 또는 미관상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등받이(60)가 초기위치에서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착석부(10) 또한 접철상태에서는 등받이(60)와 함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착석부(10) 또는 외부의 이물질이나 빗물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경사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15도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착석부(10) 방향의 반대측에 대응하는 등받이(60)의 일측면에는 커버부재(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80)는 등받이(60)의 외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나 빗물 등이 등받이(60)의 내측면 또는 착석부(1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의 접철상태에서 착석부(10)와 등받이(60)의 상부를 덮는 덮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90)는 등받이(60)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석부(10)의 사용상태에서는 등받이(60)의 후방측으로 회동되며, 착석부(10)의 접철상태에서는 등받이(60)의 상부로 회동되어 착석부(10) 및 등받이(60) 상부를 덮는다.
덮개(90)는, 예를 들어, 판상의 덮개본체(91)와, 덮개본체(91)의 양단부에서 연장된 레버(9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92)는 중앙 일측이 등받이(6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철상태로 회동되는 착석부(10)에 의해 레버(92) 단부가 눌려 회동되면서 착석부(10) 및 등받이(60) 상부로 덮개본체(91)가 회동된다.
여기서, 등받이(6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레버(92)의 중앙 일측에는 덮개본체(91)가 등받이(60) 상부에 있는 상태에서 착석부(10)가 상기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덮개본체(91)를 등받이(60)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착석부(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보조지지대(25)를 더 마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조지지대(25)는 착석부(10)의 전방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지지대(20)의 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6)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착석부(10)의 접철상태에서는 보조지지대(25)의 타단은 가이드홈(26)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며, 사용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보조지지대(25)의 타단이 가이드홈(26)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최 하단부에 정지하게되어 착석부(10)를 지지하게 된다.
1 : 접이식 벤치
10 : 착석부
20 : 지지대
21 : 지지면 25 : 보조지지대
26 : 가이드홈 30 : 회동부
40 : 메인구동부 50 : 보조구동부
60 : 등받이 71 : 등받이회동부
73 : 복원스프링 80 : 커버부재
90 : 덮개 91 : 덮개본체
92 : 레버

Claims (11)

  1. 접이식 벤치에 있어서,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착석이 가능한 사용상태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상태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착석부의 접철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착석부가 외력에 의해 상기 사용상태로 회동될 때 복원력이 저장되는 메인구동부와;
    상기 착석부에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착석부를 초기 회동시켜 상기 메인구동부에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접철상태로 회동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는 상기 착석부가 지지되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마련된 축과, 상기 축에 중앙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착석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구동부에 연결되는 회동캠을 가지며,
    상기 메인구동부는상기 회동캠의 타단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지지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중 하나로 마련되며,
    상기 보조구동부는 양단이 상기 회동캠의 타단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지지된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좌우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지지하는 등받이회동부와, 상기 등받이회동부에 마련되어 상기 등받이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를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위치는 상기 등받이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착석부 측으로 일정한 경사로 기울어진 상태이며, 상기 착석부는 상기 접철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에 나란히 포개어진 상태로 상기 등받이와 함께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10 ~ 15°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 방향의 반대측에 대응하는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는 커버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착석부의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의 후방측으로 회동되며, 상기 착석부의 접철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의 상부로 회동되어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 상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판상의 덮개본체와, 상기 덮개본체의 양단부에서 연장된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의 중앙 일측이 상기 등받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철상태로 회동되는 상기 착석부에 의해 상기 레버 단부가 눌려 회동되면서 상기 착석부 및 등받이 상부로 상기 덮개본체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레버의 중앙 일측에는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등받이 상부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덮개본체를 상기 등받이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타단은 상기 착석부의 전방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착석부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착석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벤치.
KR2020110009662U 2011-10-31 2011-10-31 접이식 벤치 KR200460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62U KR200460369Y1 (ko) 2011-10-31 2011-10-31 접이식 벤치
PCT/KR2012/008707 WO2013065986A1 (ko) 2011-10-31 2012-10-23 자동복원 접이식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62U KR200460369Y1 (ko) 2011-10-31 2011-10-31 접이식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99U KR20120000299U (ko) 2012-01-10
KR200460369Y1 true KR200460369Y1 (ko) 2012-05-21

Family

ID=4660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662U KR200460369Y1 (ko) 2011-10-31 2011-10-31 접이식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3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09Y1 (ko) 2020-03-19 2020-10-28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그물망 벤치
KR20220036047A (ko) * 2020-09-15 2022-03-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시트부를 구비한 벤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25B1 (ko) * 2012-09-04 2013-04-16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자동 접이식 벤치
KR200471438Y1 (ko) * 2012-04-17 2014-02-24 주식회사 지비케이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536Y1 (ko) 2002-12-27 2003-04-03 주식회사 금보상사 어린이용 접는 의자
KR100883770B1 (ko) 2007-09-04 2009-02-18 (주)캠퍼스라인 테이블용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536Y1 (ko) 2002-12-27 2003-04-03 주식회사 금보상사 어린이용 접는 의자
KR100883770B1 (ko) 2007-09-04 2009-02-18 (주)캠퍼스라인 테이블용 접이식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09Y1 (ko) 2020-03-19 2020-10-28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그물망 벤치
KR20220036047A (ko) * 2020-09-15 2022-03-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시트부를 구비한 벤치
KR102423890B1 (ko) * 2020-09-15 2022-07-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시트부를 구비한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99U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369Y1 (ko) 접이식 벤치
CA2751582C (en) Folding canopy chair
CN205197524U (zh) 摇椅
KR101745250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200471438Y1 (ko) 자동 복원 접이식 벤치
CN207885981U (zh) 防尘园林椅
CN109965473A (zh) 老年人用拐杖
WO2005077708A3 (f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siege arriere repliable et escamotable
CN203914708U (zh) 一种洗澡椅
KR101047613B1 (ko) 전동식 발거치대 장치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CN105193328A (zh) 洗澡椅
CN202504738U (zh) 折叠躺椅
CN211750573U (zh) 轮椅折叠架和轮椅
CN112373606B (zh) 一种电动车自行支撑和防护结构
CN210502839U (zh) 婴儿载具及其可折叠背靠回位机构
KR200431465Y1 (ko) 절첩식 의자
CN104188407A (zh) 一种可折叠椅架
EP1530928B1 (fr) Siége à assise repliable présentant un faible encombrement à l'état replié
KR101609797B1 (ko) 이동식 망루
JP4294783B2 (ja) 椅子
JP2010063505A (ja) 座部を表裏反転可能にした椅子
KR102544331B1 (ko) 캠핑용 트레일러의 덮개 개폐장치
KR20150012699A (ko) 용도에 따른 가변형 벤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51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217

Effective date: 2020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