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20U -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 Google Patents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20U
KR20170002820U KR2020160000539U KR20160000539U KR20170002820U KR 20170002820 U KR20170002820 U KR 20170002820U KR 2020160000539 U KR2020160000539 U KR 2020160000539U KR 20160000539 U KR20160000539 U KR 20160000539U KR 20170002820 U KR20170002820 U KR 201700028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air
mesh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한
Original Assignee
김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한 filed Critical 김계한
Priority to KR2020160000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820U/ko
Publication of KR20170002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4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외용 의자에 있어서, 링크축(6)에 의해 연결되어 접철구조를 갖는 다리부(4)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부(4)의 상부에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좌석부(8)와 누워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10)를 구비하되, 상기 좌석부(8)와 등받이부(10)는 그물망 형태의 망사부(12)와, 그물망 형태로 상하층(16a)(16b)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층(16a)(16b) 사이에 파일 형태의 중간층(16c)을 연결하여 쿠션층을 형성하는 입체망사부(14)를 다층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다리부(4)에는 좌석부(8)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0)를 설치하고, 전후방의 다리부(4)가 링크연결되는 위치에는 팔걸이 기능과 함께 등받이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를 설치함으로써, 야외용 의자의 시트를 망사직물과 함께 쿠션감과 두께감이 있는 입체직물로 형성하여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고 통풍성이 우수하여 땀이 차지 않으며, 복원력에 의해 오래 사용하여도 형태의 변형이 없어 강도가 높고 모기나 벌레가 직접적으로 사람에게 닿지 않아 바닥으로부터 침입하는 모기나 벌레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GOOD VENTILATION OUTDOOR CHAIR}
본 고안은 야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를 통풍이 용이한 망사로 형성하여 물기가 묻지 않으며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용 의자는 낚시나 캠핑 등 주로 야외활동시 사용하기 위해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휴대성과 함께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야외용 의자로 공개특허공보 10-2010-34425호, '간이의자'(선행문헌 1)가 게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은 사람이 앉거나 기댈 수 있는 시트를 천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는 통풍이 잘되지 않아 오래 앉아 있으면 엉덩이와 등에 땀이 차 땀띠 등의 피부질환이 유발될 수 있으며, 특히 물기가 묻으면 축축해짐에 따라 말려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트를 망사로 형성한 등록특허공보 제10-1383921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선행문헌 2)가 게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2는 시트를 망사로 형성하여 통풍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그에 따라 장시간 착석하거나 누워있어도 땀이 차지 않아 편안한 안락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시트를 단순히 메쉬직물의 망사로만 형성하면 시트가 너무 얇아 장시간 사용시 시트가 늘어가 안락함이 떨어지게 되며, 특히 야간에 사용하는 경우 모기나 벌레가 얇은 망사 시트에 달라 붙어 사람의 피부에 닿게 됨에 따라 모기에 물리거나 벌레에 쏘이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0-34425호, '간이의자' 등록특허공보 제10-1383921호,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야외용 의자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땀이 차지 않으면서 시트의 형태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모기나 벌레 등이 사람의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는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야외용 의자는, 링크축(6)에 의해 연결되어 접철구조를 갖는 다리부(4)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부(4)의 상부에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좌석부(8)와 누워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10)를 구비하되, 상기 좌석부(8)와 등받이부(10)는 그물망 형태의 망사부(12)와, 그물망 형태로 상하층(16a)(16b)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층(16a)(16b) 사이에 파일 형태의 중간층(16c)을 연결하여 쿠션층을 형성하는 입체망사부(14)를 다층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다리부(4)에는 좌석부(8)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0)를 설치하고, 전후방의 다리부(4)가 링크연결되는 위치에는 팔걸이 기능과 함께 등받이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야외용 의자의 시트를 망사직물과 함께 쿠션감과 두께감이 있는 입체직물로 형성하여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땀이 차지 않아 편안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야외용 의자는 통풍이 용이하여 사람이 누울 경우 시원하고 물기가 묻어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본 고안의 야외용 의자의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망사직물과 함께 두께감있는 입체직물로 다층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복원력에 의해 오래 사용하여도 형태의 변형이 없어 강도가 높은 것이며, 사람이 누웠을 경우 미끄러움이 덜하게 된다.
본 고안은 좌석부와 등받이부에 입체직물을 구비함에 따라 망사직물만으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 모기나 벌레가 직접적으로 사람에게 닿지 않아 바닥으로부터 침입하는 모기나 벌레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의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좌석부와 등받이부의 시트구성을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작동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부의 상세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야외용 의자(2)는 링크축(6)에 의해 연결되어 접철구조를 갖는 다리부(4)를 형성하고,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좌석부(8)와 뒤로 기대어 누울 수 있는 등받이부(10)를 형성하며, 좌석부(8)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0)와, 등받이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로 구성한다.
상기 다리부(4)는 의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철식 의자의 다리부(4)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는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좌석부(8)와 등받이부(10)를 망사형태로 형성하여 통풍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좌석부(8)와 등받이부(10)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고안에서는 좌석부(8)와 등받이부(10)를 형성하는 시트를 망사부(12)와, 상기 망사부(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입체망사부(14)를 구성한 다층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망사부(12)는 그물형태의 직물로 형성하여 바람이 통풍이 원활하며, 상부에는 망사부(12)보다 더 큰 통공(36b)을 갖지며 쿠션역할을 하는 입체망사부(14)를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입체망사부(14)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하층(16a)(16b)으로 망사형태의 그물망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층(16a)(16b) 사이에 파일(pile)형태의 중간층(16c)을 형성하여 상하층(16a)(16b)을 연결하며, 상기 중간층(16c)에 의해 입체망사부(14)의 쿠션층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입체망사부(14)를 폴리소재로 형성함에 따라 장시간 사람이 누워있을 경우에도 형태의 변형이 없다.
또한, 좌석부(8)와 등받이부(10)를 망사부(12)와 입체망사부(14)의 다층구조로 형성하되, 망사부(12)의 통공(36a) 크기보다 입체망사부(14)의 통공(36b) 크기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며, 이는 하부에 위치하는 망사부(12)의 통공(36a) 크기를 촘촘하게 형성하여 모기나 벌레가 의자의 하부로부터 침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좌석부(8)와 등받이부(10)에 시나몬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등과 같이 방충기능을 갖는 첨가제를 도포함으로써 방충의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입체망사부(14)의 통공(36b) 크기를 망사부(12)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은 통풍성을 높임과 함께 의자에 물기가 묻었을 경우 털어내거나 햇빛에 말리는 방법 등에 의해 쉽게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입체망사부(14)의 통공(36b)을 크게 하면 사람이 누웠을 경우 미끄러지지 않아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이물질이 쉽게 통공(36b)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어 사람이 누웠을 경우 옷에 묻지 않게 되며, 의자에 쌓인 이물질이 넓은 통공(36b)을 통해 쉽게 빠져나올 수 있어 청소도 용이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등받이부(10)의 상부, 즉 사람이 누웠을 경우 머리와 목이 위치하는 곳에 머리받침부(18)를 형성하여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머리받침부(18)는 평편하게 형성한 등받이부(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머리받침부(18)에 머리와 목부위가 위치하여 목을 보호함과 함께 베개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야외용 의자(2)는 사람이 착석하여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20)를 전후방의 다리부(4)에 각각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높이조절부(20)의 작동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부(20)는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 내에 설치되는 스토퍼(26)와, 상기 스토퍼(26)에 의해 의자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버튼부(28)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24)은 다리부(4) 상에 설치되어 다리부(4)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하우징(24)의 일측은 좌석부(8)를 지지하는 골격부에 연결되어 하우징(24)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의자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26)는 다리부(4)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도 3의 (a)와 같이 다리부(4)에 단계적으로 형성된 높이조절홈(22)에 스토퍼(26)가 걸릴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한다.
기울어진 상태로 높이조절홈(22)에 걸려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위치하는 스토퍼(26)는 높이 조절을 위한 버튼부(28)를 누름으로써 걸림이 해제되어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 3의 (b)와 같이 버튼부(28)를 눌러 걸림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6)가 다리부(4)와 일직선상으로 놓이도록 하여 높이조절홈(22)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하우징(24)을 하부로 이동시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며, 전후방의 다리부(4)에 설치된 높이조절부(20)를 모두 조절하여 의자 전체 높이를 조절하거나 전후방의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람이 의자에 누울 수 있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30)를 형성하며, 상기 각도조절부(30)는 등받이부(10)의 각도를 조절함과 함께 팔걸이의 역할도 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각도조절부(30)는 전후방의 다리부(4)가 연결된 링크축(6)이 단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각도조절홈(32)과, 상기 링크축(6)이 각도조절홈(3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34)로 구성한다.
상기 각도조절부(30)는 링크축(6)이 각도조절홈(32)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등받이부(10)가 젖혀지는 각도를 조절하게 되며, 각도조절부(30)의 일측이 등받이부(10)의 골격과 링크연결됨에 따라 각도조절부(30)가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등받이부(10)도 함께 이동하여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에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야외용 의자 (4)-- 다리부
(6)-- 링크축 (8)-- 좌석부
(10)-- 등받이부 (12)-- 망사부
(14)-- 입체망사부 (16a)-- 상층
(16b)-- 하층 (16c)-- 중간층
(18)-- 머리받침부 (20)-- 높이조절부
(22)-- 높이조절홈 (24)-- 하우징
(26)-- 스토퍼 (28)-- 버튼부
(30)-- 각도조절부 (32)-- 각도조절홈
(34)-- 공간부 (36a)(36b)-- 통공

Claims (5)

  1. 야외용 의자에 있어서,
    링크축(6)에 의해 연결되어 접철구조를 갖는 다리부(4)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부(4)의 상부에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좌석부(8)와 누워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10)를 구비하되, 상기 좌석부(8)와 등받이부(10)는 그물망 형태의 망사부(12)와, 그물망 형태로 상하층(16a)(16b)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층(16a)(16b) 사이에 파일 형태의 중간층(16c)을 연결하여 쿠션층을 형성하는 입체망사부(14)를 다층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다리부(4)에는 좌석부(8)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0)를 설치하고, 전후방의 다리부(4)가 링크연결되는 위치에는 팔걸이 기능과 함께 등받이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다리부(4)에는 높이조절부(20)에 의한 좌석부(8)의 높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높이조절홈(2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높이조절부(20)는 다리부(4)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 내에 위치하여 다리부(4)에 형성된 높이조절홈(22)에 걸림고정되어 좌석부(8)의 무게를 지지하는 스토퍼(26)와, 상기 스토퍼(26)의 걸림을 해제하여 좌석부(8)의 높이를 조절하는 버튼부(2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부(10)의 상부에는 머리와 목을 받치도록 돌출형성된 머리받침부(18)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입체망사부(14)의 통공(36b) 크기는 망사부(12)의 통공(36a) 크기보다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KR2020160000539U 2016-01-29 2016-01-29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KR201700028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39U KR20170002820U (ko) 2016-01-29 2016-01-29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39U KR20170002820U (ko) 2016-01-29 2016-01-29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20U true KR20170002820U (ko) 2017-08-08

Family

ID=6062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39U KR20170002820U (ko) 2016-01-29 2016-01-29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82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09Y1 (ko) 2020-03-19 2020-10-28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그물망 벤치
KR20210002854U (ko) * 2020-06-15 2021-12-22 손성호 접이식 간이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425A (ko) 2008-09-24 2010-04-01 김종우 간이의자
KR101383921B1 (ko) 2013-05-22 2014-04-10 유재주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425A (ko) 2008-09-24 2010-04-01 김종우 간이의자
KR101383921B1 (ko) 2013-05-22 2014-04-10 유재주 의자의 메쉬좌판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09Y1 (ko) 2020-03-19 2020-10-28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그물망 벤치
KR20210002854U (ko) * 2020-06-15 2021-12-22 손성호 접이식 간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US8997274B2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SE440443B (sv) Mobelkonstruktion
KR20170002820U (ko) 통풍성이 좋은 야외용 의자
USD513456S1 (en) Stacking chair
KR200459159Y1 (ko)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WO2007021179A1 (en) Piece of furniture
KR200431273Y1 (ko) 형상 변형이 용이한 카우치 시스템
KR101978253B1 (ko) 애완동물과 함께 사용하는 소파
US2223861A (en) Back or seat cover
US20070257532A1 (en) Chair with interchangeable upholstery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KR200423606Y1 (ko) 3인용 쇼파
JP3121476U (ja) 学生用椅子の構造
JP3113793U (ja) ブロック座を使用した高通気性椅子の座
JP7456109B2 (ja) ソファ及びソファシステム
JP7473952B2 (ja) 身体支持具
KR102552180B1 (ko) 변형이 가능한 기능성 소파
KR102423238B1 (ko) 착탈식 신체 후위 지지부재가 구비된 소파
KR200473715Y1 (ko) 등받이 방석
JP6363137B2 (ja) こたつ用椅子
KR200405669Y1 (ko) 쿠션체를 갖는 장의자
US483810A (en) Convertible chair
JP3131796U (ja) 椅子カバー
JP6338213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