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239B1 -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239B1
KR101937239B1 KR1020170028706A KR20170028706A KR101937239B1 KR 101937239 B1 KR101937239 B1 KR 101937239B1 KR 1020170028706 A KR1020170028706 A KR 1020170028706A KR 20170028706 A KR20170028706 A KR 20170028706A KR 101937239 B1 KR101937239 B1 KR 10193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backrest
delete dele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423A (ko
Inventor
전주형
Original Assignee
전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형 filed Critical 전주형
Publication of KR2017010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좌판에 앉을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고르게 감싸 안정감을 부여하고, 좌판의 상,하 각도의 조절 및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하여 앉은 자세에 따라 항시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좌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키 등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좌판을 사용함에 있어 계절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시 세탁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항시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두뇌 각성효과가 있는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좌판을 틸팅가능하게 결합하면서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Chair having height adjustable structure}
본 발명은 2016년 XX월 XX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28111호에 의거하여 우선권 주장되었으며, 상기 특허출원은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본 발명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좌판에 앉을시 안정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좌판의 유동 조절에 따른 항시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며, 높낮이 조절에 따른 앉은 자세의 조절이 가능한 두뇌 각성효과가 있는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좌판에 앉을 시 상체를 전방으로 기울여지게 승마 자세로의 유도를 가능하게 하며, 높낮이 조절과 함께 앉은 자세의 조절이 가능한 자세 교정효과가 있는 틸팅(tilting)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로,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해 앉거나 공부하는 학생이나 사무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책상을 사용함에 있어 편안한 자세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통상적으로 의자다리를 통해 일정한 높이를 이루며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좌판과, 좌판의 후방에서 좌판과 직각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하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의자는 그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얼마나 편안한 자세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학습효과나 업무효과의 증감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특히 자세의 교정 및 책상 사용시간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인바, 사용자는 최대한 편안하고 신체 에 맞는 의자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의자의 구현을 위해 좌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상의자는 단순히 의자의 높낮이 조절에 제한된 것인바, 단순히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높이 조절에 제한되는 등 그 효율성 면에서 한계가 있었으며, 학생이나 사무업무자와 같이 의자의 사용이 생활화되어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세 불균형이나 디스크 등의 척추질환을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자는 그 좌판이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직물 좌판의 경우 세탁 사용이 불가능해 위생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843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의자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좌판에 앉을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고르게 감싸 안정감을 부여하고, 좌판의 상,하 각도의 조절 및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하여 앉은 자세에 따라 항시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두뇌 각성효과가 있는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좌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키 등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두뇌 각성효과가 있는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좌판을 사용함에 있어 계절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시 세탁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항시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두뇌 각성효과가 있는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틸팅가능한 좌판의 기울어지는 회동 각도에 의해 사용자(착석자)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허리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척추를 곧게 세운 상태로 의자에 앉게 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신체 길이에 맞춰 높이조절하는 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 지지대와, 바닥 지지대의 양측에서 상부로 입설되는 양측 한쌍의 수직지주와, 양측 수직지주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수평대로 된 지지부; 양측 수직지주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되는 양측 한쌍의 좌판 지지관과, 양측 좌판 지지관을 연결하는 제2 수평대와, 양측 좌판 지지관의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으며 유동 가능한 좌판으로 된 좌판부; 및 제2 수평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와 후방 돌출부의 후단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상향 돌출부로 된 양측 한쌍의 등받이 지지관과, 양측 후방 돌출부의 후방을 연결하는 제3 수평대와, 양단에 등받이 결합관이 형성되어 양측 등받이 지지관의 상향 돌출부를 씌워 연결하며 사용자가 기댈 수 있는 등받이로 된 등받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각각의 수직지주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단을 이루는 수평 관통형 높이 조절공을 더 형성하고, 각각의 좌판 지지관에는, 각각이 결합되는 수직지주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과 연통되는 고정공을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과 고정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좌판 지지관의 상,하 슬라이딩 조절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과 고정공이 연통 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삽입되어 수직지주와 좌판 지지관의 결합 고정되어 좌판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좌판은, 양측에는 전,후로 분할되며 관통 형성된 형상 유지부가 형성된 섬유지 또는 피혁지 중 어느 하나로 된 좌면; 및 좌면의 형상 유지부에 내입되어 항시 좌면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양측 한쌍의 좌판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좌판의 좌면은, 전체가 평평한 면을 이루는 시트와, 메쉬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좌판부에서 한쌍의 좌판 지지관 사이에 좌판을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여 소정의 회동 각도로 틸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뇌 각성효과가 있는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는, 좌판의 좌면을 구성함에 있어, 자유롭게 형상이 조절되는 섬유 또는 피혁지 등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좌면에 앉을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고르게 감싸 항시 안정감이 부여되며, 특히 좌판이 해먹(hammock)과 같이 좌판 지지관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그 좌판의 전,후 각도의 조절 및 좌,우 유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항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의 착석과 바른 자세로의 유도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판부의 좌판 지지관을 통해 지지부의 좌판 연결대를 따라 상,하 승강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키 등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의자의 사용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판을 사용함에 있어, 그 좌판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필요시 탈거 세탁이 가능하여 항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하였듯이 좌판의 용이한 틸팅을 통해 대퇴부 하측 대동맥 혈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인체의 각성효과로 인해 피로도 감소, 집중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좌판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좌면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채용된 좌판 설치수단의 제1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채용된 좌판 설치수단의 제2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채용된 좌판 설치수단의 제3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채용된 좌판 설치수단의 제4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채용된 좌판 설치수단의 제5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채용된 좌판 설치수단의 제6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에 채용된 다른 실례의 좌판 연결방법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높이조절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결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높이조절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뇌 각성효과가 있는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1)는 지지부(100)와, 좌판부(200), 및 등받이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0)는 본 발명 의자(1)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먼저 바닥 지지대(1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바닥 지지대(110)는 "ㄷ"형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어 전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바닥면에 면접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00)에는, 상기 바닥 지지대(110)의 양측 중간부에서 상부로 입설되는 양측 한쌍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형태의 수직지주(120)(1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00)에는, 상기 양측 수직지주(120)(120')를 연결하여 그 수직지주(120)(120')의 견고한 입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 수평대(13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제1 수평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수직지주(120)(120')에 결합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각각의 수직지주(120)(120')를 감싸며 결합되는 한편 그 수직지주(120)(120')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는 양측 한쌍의 좌판 지지관(210)(2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부(200)에는, 상기 양측 좌판 지지관(210)(210')을 연결하여 그 좌판 지지관(210)(210')을 유니트화 이루게 하는 제2 수평대(2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부(200)에는, 상기 양측 좌판 지지관(210)(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편, 양측이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에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으며 유동이 가능한 좌판(22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면(221)과 좌판 프레임(225)(225')으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좌면(221)은, 섬유지 또는 피혁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폭방향 양측에는 전,후로 분할 형성되며, 중앙이 관통 형성된 관체 형태의 형상 유지부(222)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 프레임(225)(225')은, 양측 대향되는 한쌍의 금속재 봉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 좌면(221)의 양측 형상 유지부(222)에 내입되어 좌면(221)의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면(221)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4의 (a)와 같이 전체가 평평한 면을 이루는 시트(221a) 형태와, 도 4의 (b)와 같이 통풍이 가능한 메쉬(221b) 형태로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수직지주(120)(120')로부터 고정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먼저 상기 각각의 수직지주(120)(120')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단을 이루는 수평 관통형 높이 조절공(121)(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에는, 상기 수직지주(120)(12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연통되는 고정공(21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고정공(211)을 관통하는 고정핀(212)이 구성되어 그 고정핀(212)을 통해 수직지주(120)(120')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결합 고정 및 좌판부(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부(300)는, 상기 좌판부(200)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좌판부(200)의 좌판(220)에 앉을시 등을 기댈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기 좌판부(200)의 제2 수평대(215)와 연결되는 등받이 지지관(310)(310')이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 지지관(310)(310')은, 먼저 상기 제2 수평대(215)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311)와, 그 각각의 후방 돌출부(311)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상향 돌출부(312)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제2 수평대(215)로부터 후방 및 상부로 돌출되는 "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등받이부(300)에는, 상기 양측 후방 돌출부(311)를 연결하여 등받이 지지관(310)(310')을 유니트 시키는 제3 수평대(320)가 형성된 것으로, 이때 제3 수평대(320)는 양측 후방 돌출부(311)의 후방에서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등받이부(300)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33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등받이(330)는 양측 등받이 지지관(310)(310')의 상향 돌출부(312)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330)를 상향 돌출부(312)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그 등받이(330)의 양단에 등받이 결합관(331)이 형성되어 양측 상향 돌출부(312)의 상부를 씌워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의 사이에는 서로 이격되어 좌판 유동공간(340)을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좌판부(200)를 구성함에 있어, 좌판(220)은 그 양측이 좌판 지지관(210)(210')에 연결되어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좌판(220)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연결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가능하다.
먼저, 좌판(220)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연결은, 도 5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좌판 프레임(225)(225')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양측에 와이어 관통홀(226)(226')을 형성하고, 그 와이어 관통홀(226)(226')에는 연결줄(230)이 연결되게 구성하며, 상기 좌판 지지관(210)(210')에는 상기 연결줄(230)이 연결되는 좌판 설치수단(400)을 형성하여 가능하다.
이때, 연결줄(230)과 좌판 설치수단(400)의 연결은 다양한 실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먼저 도 5에 도시된 제1 실례를 살펴보면, 연결줄(230)은, 각각의 좌판 프레임(225)(225')의 와이어 관통홀(226)(226')을 관통하며 단부가 가압 결속부재(232)를 통해 연결되어 "링" 형태를 이루는 금속성 링형 와이어(23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 결속부재(232)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와이어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이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U볼트(도면중 미도시함)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양단을 감싸고 너트(도면중 미도시)를 체결하여 가압 고정하는 가압 결속부재(232)를 적용한다.
그리고, 좌판 설치수단(400)은,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의 대향면 상부에 형성되는 거치 브라켓(41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때 거치 브라켓(410)의 상부에는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줄 거치홈(411)이 형성된다.
즉, 좌판(220)은, 좌판 프레임(225)(225')에 연결된 링형 와이어(231)를 이용하여 거치 브라켓(410)의 연결줄 거치홈(411)에 걸어 연결되는 것으로, 이렇게 연결된 좌판(220)은 양측이 링형 와이어(231)를 통해 좌판 프레임(225)(225')에 매달려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상,하 이동 및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좌판(220)의 후단이 등받이부(300)의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의 사이 좌판 유동공간(340)에 내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좌판(220)이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에 걸려 이동 범위가 제한되게 되며, 이에 좌판(220)의 이동시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제2 실례를 살펴보면, 연결줄(230)은, 각각의 좌판 프레임(225)(225')의 와이어 관통홀(226)(226')을 관통하며 단부가 가압 결속부재(232)를 통해 연결되어 "링" 형태를 이루는 금속성 링형 와이어(23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 결속부재(232)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와이어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이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U볼트(도면중 미도시함)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양단을 감싸고 너트(도면중 미도시함)를 체결하여 가압 고정하는 가압 결속부재(232)를 적용한다.
그리고, 좌판 설치수단(400)은,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의 대향면 상부에 형성되는 절곡편(42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절곡편(420)은 좌판 지지관(210)(210')의 상부가 절개 및 "ㄴ" 형태로 절곡되어 구성된다.
즉, 좌판(220)은, 좌판 프레임(225)(225')에 연결된 링형 와이어(231)를 이용하여 절곡편(420)에 걸어 연결되는 것으로, 이렇게 연결된 좌판(220)은 양측이 링형 와이어(231)를 통해 좌판 프레임(225)(225')에 매달려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상,하 이동 및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좌판(220)의 후단이 등받이부(300)의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의 사이 좌판 유동공간(340)에 내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좌판(220)이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에 걸려 이동 범위가 제한되게 되며, 이에 좌판(220)의 이동시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제3 실례를 살펴보면, 연결줄(230)은, 각각의 좌판 프레임(225)(225')의 와이어 관통홀(226)(226')을 관통하여 양단이 인출되는 금속성 단선 와이어(2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 설치수단(400)은,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의 전방 및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회전 권취구(430)(430')로 구성된 것으로, 이때 회전 권취구(430)(43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등산화 등에 적용되어 신발끈의 조임이 가능하도록 래칫(도면중 미도시함) 작동에 의해 일방향 권취력을 가지며 해제버튼(도면중 미도시함)에 의해 권취력이 해제되는 것이면 가능하다.
즉, 좌판(220)은, 좌판 프레임(225)(225')에 연결된 단선 와이어(233)의 양단을 각각의 회전 권취구(430)(430')에 연결되어 좌판 지지관(210)(210')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연결된 좌판(220)은 양측이 단선 와이어(233)를 통해 좌판 프레임(225)(225')에 매달려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상,하 이동 및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좌판(220)의 후단이 등받이부(300)의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의 사이 좌판 유동공간(340)에 내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좌판(220)이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에 걸려 이동 범위가 제한되게 되며, 이에 좌판(220)의 이동시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 권취구(430)(430')에 연결되는 연결줄(230)은, 회전 권취구(430)(430')의 권취력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인바, 이러한 연결줄(2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좌판(220)의 유동성이 조절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제4 실례를 살펴보면, 연결줄(230)은, 각각의 좌판 프레임(225)(225')의 와이어 관통홀(226)(226')을 관통하여 양단이 인출되는 금속성 단선 와이어(233)와, 각각의 단선 와이어(233)의 단부가 연결되며 일면에는 통상의 경사부와 수직부를 이루는 톱니부(235a)가 형성된 피혁재로 된 조절밴드(235)로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 설치수단(400)은,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의 전방 및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탄력 고정구(440)(440')로 구성된다.
이때, 탄력 고정구(440)(440')는, 상기 조절밴드(235)가 관통되는 한편 조절밴드(235)의 톱니부(235a)와 간섭되어 탄력을 가지는 탄력돌기(441)가 구성된 것으로, 조절밴드(235)가 탄력 고정구(440)(440')를 관통하여 인출되는 상태에서는 톱니부(235a)의 경사부가 탄력돌기(441)의 간섭을 이겨 인출이 가능하게 되며, 반대로 인입시에는 톱니부(235a)의 수직부가 탄력돌기(441)에 걸려 탄력돌기(441)의 외력으로 인한 해제 없이는 그 인입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즉, 좌판(220)은, 연결줄(230)의 단선 와이어(233) 양단에 형성된 조절밴드(235)를 탄력 고정구(440)(440')에 고정시켜 좌판 지지관(210)(210')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연결된 좌판(220)은 양측이 연결줄(230)을 통해 좌판 프레임(225)(225')에 매달려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상,하 이동 및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좌판(220)의 후단이 등받이부(300)의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의 사이 좌판 유동공간(340)에 내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좌판(220)이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에 걸려 이동 범위가 제한되게 되며, 이에 좌판(220)의 이동시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력 고정구(440)(440')에 연결되는 연결줄(230)은, 조절밴드(235)의 탄력 고정구(440)(440')로의 인출 정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인바, 이러한 연결줄(2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좌판(220)의 유동성이 조절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제5 실례를 살펴보면, 연결줄(230)은, 각각의 좌판 프레임(225)(225')의 와이어 관통홀(226)(226')을 관통하여 양단이 인출되는 금속성 단선 와이어(233)와, 각각의 단선 와이어(233)의 단부가 연결되는 피혁재로 된 조절밴드(235)로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 설치수단(400)은,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의 전방 및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가압 고정구(450)(450')로 구성된다.
이때, 가압 고정구(450)(450')는, 상기 조절밴드(235)가 관통되는 한편 조절밴드(235)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돌기(452)를 갖는 가압조절편(451)이 이동 가능하도록 축설되게 구성된 것으로, 조절밴드(235)가 가압 고정구(450)(450')를 관통하여 인출되는 상태에서는 가압조절편(451)의 가압력을 해제시켜 자유 인출이 가능하게 되고, 가압조절편(451)의 가압력을 부여하여 가압돌기(452)를 통해 조절밴드(235)를 가압 고정하게 되면 조절밴드(235)의 유동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즉, 좌판(220)은, 연결줄(230)의 단선 와이어(233) 양단에 형성된 조절밴드(235)를 가압 고정구(450)(450')에 고정시켜 좌판 지지관(210)(210')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연결된 좌판(220)은 양측이 연결줄(230)을 통해 좌판 프레임(225)(225')에 매달려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상,하 이동 및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좌판(220)의 후단이 등받이부(300)의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의 사이 좌판 유동공간(340)에 내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좌판(220)이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에 걸려 이동 범위가 제한되게 되며, 이에 좌판(220)의 이동시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압 고정구(450)(450')에 연결되는 연결줄(230)은, 조절밴드(235)의 가압 고정구(450)(450')로의 인출 정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인바, 이러한 연결줄(2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좌판(220)의 유동성이 조절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제6 실례를 살펴보면, 연결줄(230)은, 각각의 좌판 프레임(225)(225')의 와이어 관통홀(226)(226')을 관통하여 양단이 인출되는 금속성 단선 와이어(233)와, 각각의 단선 와이어(233)의 단부가 연결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걸림공(235b)(235b')이 형성된 피혁재로 된 조절밴드(235)로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 설치수단(400)은,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의 전방 및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걸이봉(460)(46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때 걸이봉(460)(460')은 "ㄴ"형태로 절곡된 봉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조절밴드(235)의 어느 하나의 걸림공(235b)(235b')이 걸려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좌판(220)은, 연결줄(230)의 단선 와이어(233) 양단에 형성된 조절밴드(235)를 어느 하나의 걸림공(235b)(235b')을 통해 걸이봉(460)(460')에 걸어 고정시켜 좌판 지지관(210)(210')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연결된 좌판(220)은 양측이 연결줄(230)을 통해 좌판 프레임(225)(225')에 매달려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상,하 이동 및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좌판(220)의 후단이 등받이부(300)의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의 사이 좌판 유동공간(340)에 내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좌판(220)이 상,하 이동 되는 과정에서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에 걸려 이동 범위가 제한되게 되며, 이에 좌판(220)의 이동시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걸이봉(460)(460')에 연결되는 연결줄(230)은, 걸이봉(460)(460')에 걸리는 조절밴드(235)의 걸림공(235b)(235b')의 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인바, 이러한 연결줄(2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좌판(220)의 유동성이 조절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4 실례 내지 제6 실례에서, 단선 와이어(233)와 조절밴드(235)는 서로 착탈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단선 와이어(233)의 단부에는 확장형 걸림편(234)이 형성하고, 조절밴드(235)에는, 단선 와이어(233)의 걸림편(234)이 관통되는 걸림편 결합공(236)과, 걸림편 결합공(236)보다 축소된 폭을 이루어 걸림편(234)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편 걸림공(237)을 형성하여 가능하다.
즉, 단선 와이어(233)의 걸림편(234)이 걸림편 결합공(236)을 관통한 상태에서 단선 와이어(233)가 걸림편 걸림공(237)에 수용 및 걸림편(234)이 걸림편 걸림공(237)에 걸려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단선 와이어(233)와 조절밴드(235)의 착탈 사용은 좌면(221)과 좌판 프레임(225)(225')의 분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좌판(220)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연결 방법에 있어 다른 실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 지지관(210)(210')에는 서로 대향 방향으로 관통되는 지지관 축공(2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판(220)의 좌판 프레임(225)(225') 중앙에는 상기 지지관 축공(213)과 연통되는 프레임 축공(2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 축공(213)과 프레임 축공(227)에는, 이동축(470)이 관통되어 좌판(220)이 이동축(470)을 축으로 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축(470)의 단부는 마감캡(470a)으로 마감되어 되빠짐이 방지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판 프레임(225)(225')이 형성된 좌판 지지관(210)(210')에는, 이동축(470)의 하부 양측에 한쌍의 스토퍼(471)(471')가 더 형성된 것으로, 그 스토퍼(471)(471')에 의해 좌판(220)이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동 스토핑이 가능하게 되어 이동 범위가 제한되게 되며, 이에 좌판(220)의 이동시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의자(1)를 사용시에는 통상의 의자 사용과 같이 좌판(220)에 앉아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좌판(220)이 섬유지 또는 피혁지로 구성된 특성상 사용자가 좌판(220)에 앉을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감싸 착석시 안정감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의자(1)는, 그 좌판(220)이 도 5 내지 도 10의 도시와 같이 연결줄(230)을 통해 통상의 해먹(hammock)과 같이 좌판 지지관(210)(210')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좌판(22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전,후 유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좌판(220)에 앉은 상태에서 인체 움직임에 따라 상,하 및 전,후로 함께 움직여 줌으로 항시 편안하면서도 안정된 자세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부하는 학생이나 사무 업무자로 하여금 편안한 상태에서의 학습 및 업무가 가능하여 학습능력 및 업무능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이동축(470)을 통한 좌판(220)의 축설시에는 좌판(22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좌판(220)에 앉은 상태에서 인체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함께 움직여 줌으로 항시 편안하면서도 안정된 자세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의자(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12의 도시와 같이 좌판부(200)의 상,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좌판 지지관(210)(210')이 수직지주(120)(120')로부터 상,하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수직지주(120)(120')의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고정공(211)이 연통된 상태에서 고정핀(212)이 삽입되어 수직지주(120)(120')와 좌판 지지관(210)(210')을 고정하는 한편, 높이 조절공(121)(121')의 위치에 따라 좌판부(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좌판부(200)의 높낮이 조절은 일예로 좌판부(200)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좌판부(200)를 비교적 낮게 설정하여 평상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바른 자세로의 착석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좌판부(200)를 높게 설정하여 상체와 하체의 각도를 크게 함으로 자연스럽게 허리의 만곡이 유지되게 하여 디스크에 전해지는 압력을 최소화 및 이에 따른 척추질환의 예방 및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체와 하체의 각도를 크게 조절시에는, 도 5 내지 도 11의 도시와 같이 좌판(220)의 상,하 이동범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 상체와 하체의 각도 조절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의자(1)는, 도 3을 참조하여 좌면(221)과 좌판 프레임(225)(225')의 분리가 가능한 것인바, 필요에 따라 분리 세탁이 가능하게 되는 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의자(1)는, 도 4를 참조하여 좌면(221)이 시트(221a) 형태와 메쉬(221b) 형태로 구성된 것인바, 계절의 변화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되, 일예로 동절기에는 통풍성이 적은 시트(221a) 형태로 적용함으로 보온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하절기에는 통풍이 가능한 메쉬(221b) 형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먹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효과가 있는 틸팅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1')는 지지부(100)와, 좌판부(200), 및 등받이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0)는 본 발명의 의자(1')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먼저 바닥 지지대(1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바닥 지지대(110)는 "ㄷ"형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어 전방이 개방되는 형태로 바닥면에 면접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00)에는, 상기 바닥 지지대(110)의 양측 중간부에서 상부로 입설되는 양측 한쌍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형태의 수직지주(120)(1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00)에는, 상기 양측 수직지주(120)(120')를 연결하여 그 수직지주(120)(120')의 견고한 입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 수평대(13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제1 수평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수직지주(120)(120')에 결합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각각의 수직지주(120)(120')를 감싸며 결합되는 한편 그 수직지주(120)(120')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는 양측 한쌍의 좌판 지지관(210)(2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부(200)에는, 상기 양측 좌판 지지관(210)(210')을 연결하여 그 좌판 지지관(210)(210')을 유니트화 이루게 하는 제2 수평대(2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부(200)에는, 상기 양측 좌판 지지관(210)(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편, 양측이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으며 틸팅이 가능한 좌판(22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220)은, 좌면(221)과 좌판 프레임(225)(225')으로 구성된 것으로, 좌면(221)은 양측 대향되는 측면 가장자리에는 한쌍의 좌판 프레임(225)(225')을 배치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좌면(221)은 폭방향 양측에는 전,후로 분할 형성되며, 중앙이 관통 형성된 관체 형태의 형상 유지부(222)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 대향되는 한쌍의 금속재 봉형태로 구성된 좌판 프레임(225)(225')은 각각 좌면(221)의 양측 형상 유지부(222)에 내입되어 좌면(221)의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수직지주(120)(120')로부터 고정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먼저 상기 각각의 수직지주(120)(120')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단을 이루는 수평 관통형 높이 조절공(121)(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에는, 상기 수직지주(120)(12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연통되는 고정공(21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고정공(211)을 관통하는 고정핀(212)이 구성되어 그 고정핀(212)을 통해 수직지주(120)(120')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결합 고정 및 좌판부(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부(300)는, 상기 좌판부(200)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좌판부(200)의 좌판(220)에 앉을시 등을 기댈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기 좌판부(200)의 제2 수평대(215)와 연결되는 등받이 지지관(310)(310')이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 지지관(310)(310')은, 먼저 상기 제2 수평대(215)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311)와, 그 각각의 후방 돌출부(311)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상향 돌출부(312)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제2 수평대(215)로부터 후방 및 상부로 돌출되는 "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등받이부(300)에는, 상기 양측 후방 돌출부(311)를 연결하여 등받이 지지관(310)(310')을 유니트 시키는 제3 수평대(320)가 형성된 것으로, 이때 제3 수평대(320)는 양측 후방 돌출부(311)의 후방에서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등받이부(300)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33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등받이(330)는 양측 등받이 지지관(310)(310')의 상향 돌출부(312)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330)를 상향 돌출부(312)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그 등받이(330)의 양단에 등받이 결합관(331)이 형성되어 양측 상향 돌출부(312)의 상부를 씌워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수평대(320)와 등받이(330)의 사이에는 서로 이격되어 좌판 유동공간(340)을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좌판부(200)를 구성함에 있어, 좌판(220)은 그 양측이 좌판 지지관(210)(210')에 연결되어 틸팅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좌판(220)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연결 방법은 다양한 실례의 적용 가능하다.
먼저, 좌판(220)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연결은, 좌판 프레임(225)(225')에는 그 중심에 좌판 틸팅 고정구(280)를 형성하고, 상기 좌판 지지관(210)(210')에는 상기 좌판 틸팅 고정구(28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가능하다.
좌판 틸팅 고정구(280)는 일측면을 개방한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이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281)을 형성하고, 좌판 프레임(225)(225')과 면접해 있는 좌판 틸팅 고정구(280)의 타측면 내부에서 일측면을 향해 길게 뻗어 있는 지지봉(282)과, 타측면에 결합홈(285)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와 대응되게,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는 좌판 틸팅 고정구(28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좌판 지지관(210,210')에 구비된다.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는 타측면을 개방한 원통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이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481)를 형성하고, 좌판 지지관(210)(210')과 면접해 있는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의 일측면에 관통홀(482)과, 일측면 내부 영역에 결합홈(485)을 이루게 구성된다.
스프링(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판 틸팅 고정구(280)의 지지봉(282)에 삽입배치되는 것으로, 스프링(500)의 일 단부는 좌판 틸팅 고정구(280)의 결합홈(285)에 삽입고정된다. 이와 상응하게, 스프링(500)의 타 단부는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의 결합홈(485)에 삽입고정된다.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의 가이드돌기(481)는 좌판 틸팅 고정구(280)의 가이드홈(281)을 따라 안내되어 좌판 틸팅 고정구(280)를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의 내부공간에서 조립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의자(1')는 좌판 틸팅 고정구(280)와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를 예를 들자면 베이어닛 잠금방식(bayonet coupling)으로 상호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지봉(282)의 자유단은 관통홀(482)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281)은 안내홈(281a)과 원주안내홈(281b)으로 구성되는데, 안내홈(281a)은 좌판 틸팅 고정구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해 있는 축선방향으로 뻗고 원주안내홈(281b)은 안내홈(281a)의 끝단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좌판(220)을 원주안내홈(281b)의 길이에 종속되어 회동 각도 범위로 틸팅을 보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의자(1')는 탄성반발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500)의 토션력을 활용하여 틸팅작동하는 좌판(220)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좌판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식 좌판 구조와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1')의 상태도로, 좌판부(200)의 상,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좌판 지지관(210)(210')이 수직지주(120)(120')로부터 상,하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수직지주(120)(120')의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고정공(211)이 연통된 상태에서 고정핀(212)이 삽입되어 수직지주(120)(120')와 좌판 지지관(210)(210')을 고정하는 한편, 높이 조절공(121)(121')의 위치에 따라 좌판부(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좌판(220)은 양 측면 가장자리 중앙에 배치된 좌판 틸팅 고정구(280;도 13 및 도 14 참조)를 통해 좌판부(200)의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2개의 좌판 지지관(210)(210')에서 내측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 사이에서 틸팅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틸팅과 함께 상,하 슬라이딩하는 좌판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크기와 착석 자세에 따라 개별적으로 소정의 각도로 조절하여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좌판(220)을 최하단 근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좌판(220) 아래로 다리를 넣어서 무릎을 꿇는 자세로 좌판(220)에 앉게 되면 상체가 상측으로 곧게 펴지면서 척추가 교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다리를 좌판(220) 아래로 깊이 넣을 수 있도록 제1 수평대(130)는 제거할 수도 있다.
100 : 지지부 110 : 바닥 지지대
120,120' : 수직지주 121,121' : 높이 조절공
130 : 제1 수평대
200 : 좌판부 210,210' : 좌판 지지관
211 : 고정공 212 : 고정핀
213 : 축공 215 : 제2 수평대
220 : 좌판
221 : 좌면 221a : 시트
221b : 메쉬 222 : 형상 유지부
225,225' : 좌판 프레임 226,226' : 와이어 관통홀
227 : 축공 230 : 연결줄
231 : 링형 와이어 232 : 가압 결속부재
233 : 단선 와이어 234 : 걸림편
235 : 조절밴드 235a : 톱니부
235b, 235b' : 걸림공 236 : 걸림편 결합공
237 : 걸림편 걸림공 280: 좌판 틸팅 고정구
300 : 등받이부 310,310' : 등받이 지지관
311 : 후방 돌출부 312 : 상향 돌출부
320 : 제3 수평대 330 : 등받이
331 : 등받이 결합관 340 : 좌판 유동공간
400 : 좌판 설치수단
410 : 거치 브라켓 411 : 연결줄 거치홈
420 : 절곡편 430,430' : 회전 권취구
440,440' : 탄력 고정구 441 : 탄력돌기
450,450' : 가압 고정구 451 : 가압조절편
452 : 가압돌기 460,460' : 걸이봉
470 : 이동축 471,471' : 스토퍼
480 : 지지관 틸팅 고정구 500 : 스프링

Claims (17)

  1.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 지지대(110)와, 바닥 지지대(1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입설되는 양측 한쌍의 수직지주(120)(120')로 된 지지부(100);
    양측 수직지주(120)(120')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되는 양측 한쌍의 좌판 지지관(210)(210')과, 양측 좌판 지지관(210)(210')을 연결하는 제2 수평대(215)와, 양측 좌판 지지관(210)(2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220)으로 된 좌판부(200); 및
    제2 수평대(215)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311)와 후방 돌출부(311)의 후단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상향 돌출부(312)로 된 양측 한쌍의 등받이 지지관(310)(310')과, 양측 후방 돌출부(311)의 후방을 연결하는 제3 수평대(320)와, 양단에 등받이 결합관(331)이 형성되어 양측 등받이 지지관(310)(310')의 상향 돌출부(312)를 씌워 연결하며 사용자가 기댈 수 있는 등받이(330)로 된 등받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좌판(220)은 한쌍의 좌판 지지관(210)(210')에서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좌판(220)은, 좌면(221)과; 상기 좌면(221)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쌍의 좌판 프레임(225)(225');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좌판(220)과 좌판 지지관(210)(210')의 연결을 위해, 좌판 프레임(225)(225')에는 그 중앙에 좌판 틸팅 고정구(280)를 구성하며, 양측 좌판 지지관(210)(210')에는, 좌판 틸팅 고정구(280)를 소정의 회동 각도로 틸팅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를 구성하며, 좌판 틸팅 고정구(280)와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 사이에 스프링(500)을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직지주(120)(120')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단을 이루는 수평 관통형 높이 조절공(121)(121')을 더 형성하고,
    각각의 좌판 지지관(210)(210')에는, 각각이 결합되는 수직지주(120)(12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연통되는 고정공(211)을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고정공(211)을 관통하는 고정핀(212)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좌판 지지관(210)(210')의 상,하 슬라이딩 조절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고정공(211)이 연통 된 상태에서 고정핀(212)이 삽입되어 수직지주(120)(120')와 좌판 지지관(210)(210')의 결합 고정되어 좌판부(200)의 고정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좌판 틸팅 고정구(280)는 일측면을 개방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ㄴ"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281)과;
    좌판 틸팅 고정구(280) 타측면 내부에서 일측면을 향해 신장된 지지봉(282); 및
    스프링의 일 단부를 삽입고정하도록 타측면에 결합홈(285);를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17. 제 1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는 좌판 틸팅 고정구(28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고 타측면을 개방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481)와;
    지지관 틸팅 고정구(480)의 일측면에 지지봉(282)의 자유단을 수용하는 관통홀(482); 및
    스프링의 타 단부를 삽입고정하도록 일측면에 결합홈(485);를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KR1020170028706A 2016-03-09 2017-03-07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KR101937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8111 2016-03-09
KR1020160028111 2016-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423A KR20170105423A (ko) 2017-09-19
KR101937239B1 true KR101937239B1 (ko) 2019-01-11

Family

ID=6003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706A KR101937239B1 (ko) 2016-03-09 2017-03-07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98B1 (ko) 2018-03-26 2018-08-06 부호체어원(주) 착석자의 하부 지지력이 조절되는 메쉬 의자용 좌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552Y1 (ko) * 2001-10-29 2002-02-06 노재근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책상 및 걸상
JP2006341042A (ja) * 2005-06-08 2006-12-21 Yoshiyuki Goto スイング椅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552Y1 (ko) * 2001-10-29 2002-02-06 노재근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책상 및 걸상
JP2006341042A (ja) * 2005-06-08 2006-12-21 Yoshiyuki Goto スイング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423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8047B2 (en) Swinging chair with auto-reclining feature
US20110006564A1 (en) Collapsible chair with curved back support
WO2015023089A1 (ko)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KR101140009B1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US6655731B2 (en) Therapeutic chair
US20220167748A1 (en) Chair having open shoulder backrest
JP6596764B2 (ja) 禅チェアー
US20180317655A1 (en) Portable sea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937239B1 (ko)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KR102004312B1 (ko) 이중 관절식 등받이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용 의자
JP2007000570A5 (ko)
KR101071058B1 (ko) 의자의 접철식 서포터 장치
KR102088189B1 (ko) 텐션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KR20100002894U (ko) 척추라인 보정의자
KR200399954Y1 (ko) 허리운동 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JP2013530786A (ja) シート座面姿勢調整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KR200340688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0377417Y1 (ko) 허리 젖힘 운동 겸용 의자
KR200449832Y1 (ko) 자세 교정용 의자
CN101601541A (zh) 一种通用的椅子
CN205625333U (zh) 一种智能可调节沙发
KR101875270B1 (ko) 멀티발걸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