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580Y1 -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 Google Patents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580Y1
KR0135580Y1 KR2019960017466U KR19960017466U KR0135580Y1 KR 0135580 Y1 KR0135580 Y1 KR 0135580Y1 KR 2019960017466 U KR2019960017466 U KR 2019960017466U KR 19960017466 U KR19960017466 U KR 19960017466U KR 0135580 Y1 KR0135580 Y1 KR 0135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ircumference
fence member
support
fence
inn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260U (ko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노영일
예건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일, 예건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영일
Priority to KR2019960017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580Y1/ko
Publication of KR9800032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2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울타리 부재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면에 울타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주를 고정시키고, 이 내부 지지주에 삽입되면 소정형상을 갖는 외주와 이 외주에 삽입되어 울타리 부재를 고정지지하는 결합구를 구비하여 종래 울타리 재시공시 발생되는 설치비용증가, 미관상 문제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울타리 부재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제1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의 구성도.
제1도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중 결합구의 단면도.
제2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의 내부 지지부의 지지대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2도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의 내부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의 내부 지지부의 지지대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3도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의 내부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의 외주의 좌우가 오목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때 결합구와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제4도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의 외주의 좌우가 돌출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때 결합구와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제4도의 (c)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의 외주의 좌우가 오목면이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때 결합구와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 지지체에 울타리 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12 : 내부 지지주
14 : 외주 16a, 16b : 결합구
18 : 울타리 부재 20 : 볼록면
22 : 오목면 24 : 돌출부
26 : 체결공 28 : 결합편
30 : 볼트·너트 32 : 삽입공
34 : 고정볼트 36 : 체결볼트
38 : 돌기부 40 : 구형캡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면에 울타리 부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주(內部 支持柱)를 고정시키고, 이 내부 지지주에 삽입되는 소정형상을 갖는 외주(外柱)와 이 외주에 삽입되어 울타리 부재를 고정 지지하는 결합구로 구성된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이 지지체를 사용하면 울타리 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울타리 부재의 고정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울타리 부재를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종래 울타리 부재의 설치는 지면에 지지주를 고정시키고, 지지주 일부분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울타리 부재가 결합될 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에 울타리 부재를 볼트 넛 등을 사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울타리를 고정지지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의 지지주에 설치된 울타리 부재는 결합력이 매우 약하여 설치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취객이 치거나, 어린아이가 매달리기만 하여도 울타리 부재가 이탈되는 경우가 많고, 외관상으로 미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이러한 지지주에 울타리 부재가 일단 설치된 후, 설치된 높이보다 더 높게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재설치하기 위하여는 기존의 울타리 내부 지지주의 결합부(돌출부)를 제거한 뒤 다시 설치하거나, 기존의 지지주에 새로운 내부 지지주를 덧대어 울타리를 설치하여 왔으나, 그의 강도가 매우 약하여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즉, 울타리 부재를 재설치하는 경우,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설치비용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내부 지지주에 덧대어 설치함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설치과정은 설치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울타리 부재 지지체는 지지력이 약하고, 또한 구조상의 의한 미감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력이 강하고, 수선이 용이하며, 울타리 부재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미감도 향상시키는 울타리 부재용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실정에 있어서, 본 고안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소정길이를 갖고 지면에 고정되는 내부 지지주와, 이 내부 지지주에 삽입되고 소정형상을 가는 외주, 이 외주에 결하되고 울타리 부재를 지지고정하는 결합구로 구성하여 울타리 부재를 설치한 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울타리 부재 지지체에 있어서, 지면에 형성된 소정의 기초 매립부를 형성하고, 이 매립부에 고정되는 소정형상과 길이를 갖는 내부 지지주; 상기 내부 지지주에 삽입하고 소정형상의 단면과 길이를 갖는 중공기둥인 외주; 상기 외주의 단면과 동일한 내면을 가지며, 울타리부재를 소정간격 이격된 돌출편들 사이에 삽입시키는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울타리 부재 지지체를 구비함에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1도의 (a)는 울타리 지지체의 결합도이고, 제1도의 (a)는 제1도의 (a)의 A-A'부분단면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도의 (a)의 일정한 형상과 길이를 갖는 울타리 부재의 내부 지지주(12)의 일단부는 지지대(10)에 고정되어 있고, 그 외부는 외주(14)가 삽입되어 있다. 이 외주(14)의 상단부에는 빗물, 먼지, 오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의 위치에 구형캡(40)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외주(14)의 일정부분에는 1개 또는 복수, 바람직하기로는 2개 이상의 울타리 부재 결합구(16a, 16b)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들 결합구(16a, 16b)와 외주(14)의 결합은 제1도의 (b) 설명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울타리 결합구(16a, 16b)중 적어도 한 결합구(16a)는 내부 지지주(12)에 삽입된 외주(14)의 일정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제1도의 (b)는 외주(14)에 결합된 결합구(16a)와, 결합구(16b)에 결합된 울타리 부재(18)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의 내부 지지주(12)를 삽입한 외주(14)는 두 부분의 볼록한 곡면(20)과 오목한 곡면(22)이 서로대향배치된 중공기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곡면(20)중심부에는 각각 내부로 돌출된 돌출편(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곡면(22)중심부에는 울타리와 결합되는 결합구(16a)에 체결되는 체결공(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14)의 외면에는 외주(14)의 돌출편(24)이 제거된 동일한 형상의 결합구(16a)가 삽입되어 있다. 이 결합구(16a)의 볼록면(20)과 오목면(22)이 만나는 부분에는 각각 울타리 부재 결합편(28)들이 외주(14)에 형성된 체결공(26)의 축선방향으로 일접부분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구(16a)의 오목면에도 외주(14)의 체결공(26)과 동일 축선상에 체결공(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울타리 결합편(28) 각각에는 울타리(18)를 볼트·너트(30)로 결합시키기 위해 삽입공(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14)와 결합구(16a)에 형성된 체결공들(26)에는 결합구(16a)의 체결볼트와 너트(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 지지주(12)는 외주(14)의 오목면(22)내측면과 돌출편(24)에 밀착 지지되어 있다. 또한, 외주(14)와 결합구(16a)를 결합하는 체결볼트(32)는 내부 지지주(12)를 관통하여 고정지지되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지체를 지면에 설치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의 (a)는 외주(14)에 일정크기의 사각형 내부 지지주(12)가 삽입되어 지면에 결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결합도이고, 제2도의 (b)는 사각형 내부 지지주(12)를 삽입한 외주(14)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도의 (a)에서 지면에서 콘크리이트 또는 FRP 지지대(10)이 토설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대(10) 상부면에는 용접 가능한 금속 고정볼트(34)가 일체로 고형되어 있다. 한편, 외주(14)에는 사각형 내부 지지주(12)가 삽입되어져 있다. 이 사각형 내부 지지주(12)의 저단부는 고정볼트(34)에 나사 결합 또는 용접고정된다.
제3도는 또다른 일실시예로서, 제3도의 (a)는 삽입부제(14)에 원통형 내부 지지주(12)가 삽입되어, 외주(14)의 저단부에 돌출되어 지면에 토설된 콘크리이트 등의 지지대(10)에 매립된 것을 나타낸 결합도이다. 그리고 제3도의 (b)는 외주(14)에 삽입된 내부 지지주(12)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도는 내부 지지주(12)를 삽입하는 외주(12)의 다양한 내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도(a)도에서 외주(12)의 내면형상은 제1도의 (b)에서 설명한 오목면(22)가 삽입되는 내부 지지주(12)의 외면형상과 동일한 면을 갖는 오목면(22)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b)도는 제4도의 (a)의 오목면(22)과 내부 지지주(12)의 접촉면에 소정형태로 돌출된 세 부분의 돌기부(38)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도의 (b)는 제4도의 (a)의 오목면(22)와 내부 지지주(14)의 접촉면을 크게 하기 위해 접촉면을 좀더 넓혀 형성되어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울타리 지지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울타리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결합구(16a, 16b)는 울타리 지지체의 외주(14)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울타리 지지체가 울타리 사이마다 다수개 설치되어 전체 울타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울타리 지지체는 내부 지지주를 기초 콘크리이트나 FRP 등으로 지면에 간단히 고정 설치하고, 일정 길이의 외주를 내부 지지주에 삽입한뒤, 외주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내면을 갖는 결합구들을 내부 지지주가 삽입된 어느 외주에 어느 하나가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다른 하나는 이 고정된 결합구에서 일정간격 이격 고정하여 울타리 부재를 결합구의 결합편들 사이에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결합된 울타리 부재를 재설치하거나, 그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는 경우 기존의 울타리 내부 지지주에 소정길이의 외주를 절단하여 삽입하거나, 외주 상복 일단에 또다른 내부 지지주를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도록 결합시켜 또다른 외주를 삽입한 후 울타리를 결합구로 결합시킨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울타리 지지체는 기초 콘크리이트나 지면에 일정길이의 내부 지지주를 간단히 설치하고, 울타리 높이 자유로이 조절하게 하며, 간단히 재설치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울타리 부재 지지체에 있어서, 지면에 형성된 소정의 기초 매립부에 고정되고, 소정형상과 길이를 갖는 내부 지지주; 상기 내부 지지주에 삽입되며, 소정형상의 단면과 길이를 갖는 중공 기둥인 외주; 상기 외주의 단면의 외측형상과 동일한 내면을 가지며, 울타리 부재를 결합구를 삽입하는 소정간격 이격된 결합편들이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울타리 부재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주는 상기 기초 매립부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에 용접되거나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부재 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의 형상은 서로 대향하는 소정형상의 오목면과 볼록면이 상기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부재 지지체.
  4. 제3항에 있어서, 소정형상을 갖는 상기 외주의 볼록면들에 상기 내부 지지주를 밀착시키는 돌출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부재 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주와 상기 삽입 외주 및 상기 결합구를 결합시키기 위해 동일한 축선상에 체결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부재 지지체.
KR2019960017466U 1996-06-25 1996-06-25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KR0135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466U KR0135580Y1 (ko) 1996-06-25 1996-06-25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466U KR0135580Y1 (ko) 1996-06-25 1996-06-25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60U KR980003260U (ko) 1998-03-30
KR0135580Y1 true KR0135580Y1 (ko) 1999-03-30

Family

ID=1945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466U KR0135580Y1 (ko) 1996-06-25 1996-06-25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5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655B1 (ko) * 2008-03-29 2008-10-02 염동인 조립식 경계휀스
KR200454506Y1 (ko) * 2008-11-17 2011-07-13 황보기철 펜스 기둥의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53A (ko) * 2002-07-27 2004-02-05 김정주 조립식 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655B1 (ko) * 2008-03-29 2008-10-02 염동인 조립식 경계휀스
KR200454506Y1 (ko) * 2008-11-17 2011-07-13 황보기철 펜스 기둥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6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580Y1 (ko)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KR200418381Y1 (ko) 조립식 안전펜스
KR200234845Y1 (ko) 조립식의 원형 지붕구조물
KR100685174B1 (ko) 홈형강용 클립
KR20180003644U (ko) 안전펜스의 결착구
JPH0712517U (ja) 防護柵のガードパイプ取付金具
JP3267585B2 (ja) 移動柵の支柱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JPH0735850Y2 (ja) 車止め
JPH08105019A (ja) 防護柵
JP4112831B2 (ja) 柵用手摺ビーム固定構造
KR200227387Y1 (ko)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JPH11152718A (ja) 道路用防護柵
JPH08232424A (ja) 手摺支柱の取付構造
KR20190118900A (ko) 볼트 보호캡
KR102476066B1 (ko) 무단횡단 방지 난간
JP2534436Y2 (ja) 防護柵の横桟取付け用金具
NZ229361A (en) Mounting bracket and sleeve couples rail to post
JP2860757B2 (ja) 防護柵の横桟取り付け構造
JP2505729Y2 (ja) シ―ルドトンネルの防水構造
JPH07259390A (ja) 柵構成用のポール
JP4022326B2 (ja) 防護柵のビームパイプ用継手
JPH0729033U (ja) アンカーボルト定着装置
JP3014682U (ja) バリケード支持具
KR200316260Y1 (ko) 핸드레일과 중간 지지봉의 비용접식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