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387Y1 -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387Y1
KR200227387Y1 KR2020000030799U KR20000030799U KR200227387Y1 KR 200227387 Y1 KR200227387 Y1 KR 200227387Y1 KR 2020000030799 U KR2020000030799 U KR 2020000030799U KR 20000030799 U KR20000030799 U KR 20000030799U KR 200227387 Y1 KR200227387 Y1 KR 200227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fixing device
fix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열
Original Assignee
김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열 filed Critical 김충열
Priority to KR2020000030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387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에 와이어 고정용 홀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도 고정구 자체만으로 와이어를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제작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간격조정 및 추가설치가 용이한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와이어 고정장치는 와이어를 감싼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휀스에 고정되어 와이어의 이탈을 제지하는 제 1 및 제 2고정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제 2고정 브라켓(12)은 볼트(50)와 너트(52)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단(10a), (12a)과 H형강(16)의 일측 단부(16a)에 압착되는 고정단(10b), (12b)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A WIRE TO A COLUMN}
본 고안은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에 와이어 고정용 홀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도 고정구 자체만으로 와이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을 깍아서 도로를 개설한 곳에는 자연현상에 의하여 낙석이 도로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철망 형태의 휀스를 설치한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H형강(6)에 관통홀(6a)을 가공한 다음, 일정간격으로 지주를 설치하고, 이 관통홀(6a)에 와이어(8)를 관통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가 견고히 고정되지 않으므로, 양단에 사각형재로서 높은 자체강도를 갖는 지주와 버팀지주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를 양단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휀스만을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낙석 방지책은 낙석이 도로에 떨어질 때, 단순히 끼움 형식으로 횡설된 와이어가 그 충격을 완충시키지 못하고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사각형재로 만든 지주와 버팀 지주에 충격이 집중되며, 와이어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한 관통홀에 와이어를 삽입 관통시켜 고정하므로 시공이 복잡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 93-1861호에는 철책 구축용 와이어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고안에 개시되어 있는 와이어 고정구는 상하단 일측에 체결공과 내외측 중앙부에 반구형의 와이어 고정홈을 갖는 2개 1조의 조립체를 H형강에 홀가공한 후에 고정볼트로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구조 역시 복잡한 작업공정과 불필요한 원자재의 낭비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고안으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152049호에는 양측에 체결공과 중앙에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구를 H형강에 홀가공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휀스용 와이어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주(6)에 휀스(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는 본체(3)를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이 본체(3)의 저면 양측에는 나사공(4)을 형성한 다음에, 양측에 나사가 가공되어 있는 스테이볼트(5)를 체결하고, 이 스테이볼트(5)의 타측을 지주(6)에 체결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품은 모두 무거운 H형강으로 만들어진 지주(6)에 홀을 가공해야 하므로 제작과정이 힘들고 불필요한 인건비가 지출되며 낙석이 떨어지는 현장 여건에 따라서 와이어의 간격조정 및 와이어의 추가 설치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H형강에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제작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볼트 및 너트의 체결만으로 간단히 고정함으로써, 현장의 여건에 따라 와이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와이어의 추가 설치가 용이하므로 공사기간의 단축과 현장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낙석 방지를 위한 종래의 와이어 고정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고정장치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26, 36, 46:지주 10, 20, 30, 40:제 1고정 브라켓
12, 22, 32, 42:제 2고정브라켓 50:볼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는 낙석 방지용 휀스를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와이어를 감싼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휀스에 고정되어 와이어의 이탈을 제지하는 제 1 및 제 2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내지 제 4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낙석 방지용 휀스를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는 볼트(50)와 너트(52)에 의해서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고정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도 4에 도시한 고정장치 있어서,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제 2고정 브라켓(12)은 볼트(50)와 너트(52)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단(10a), (12a)과 H형강(16)의 일측 단부(16a)에 압착되는 고정단(10b), (12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브라켓(10), (12)에는 와이어(18)를 감싸도록 돌출부(10c), (12c)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제 1고정 브라켓(10)과 제 2고정 브라켓(12)의 고정단(10b), (12b)을 H형강(16)의 일측단부(16a)에 압착 고정시킨 다음에, 양 결합단(10a), (12a)에 볼트(50)와 너트(52)를 체결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18)는 제 1 및 제 2고정 브라켓(10), (12)의 돌출부(10c), (12c)에 삽입 고정된다.
다음에, 도 5와 도 6에는 각각, 본 고안의 제 2, 3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에서는 H형강(26)에 와이어(18)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를 예시하였다. 즉, 제 1고정 브라켓(20)은 H형강(26)을 감싸고 있으며 양단 플랜지(20a)에는 다수의 체결홀(24)이 형성된 ??형상을 지니고 있다. 또, 제 2고정 브라켓(22)은 체결홀(24)과 대향인 다수의 체결홀(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에는 와이어(18)가 삽입되는 돌출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에서는 사각 형강(36)에 와이어(18)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를 예시하였다. 즉, 제 1고정 브라켓(30)은 사각 형강(36)을 감싸고 있으며 양단 플랜지(30a)에는 다수의 체결홀(34)이 형성된 ??형상을 지니고 있다. 또, 제 2고정 브라켓(32)은 상기 체결홀(34)과 대향인 다수의 체결홀(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에는 와이어(18)가 삽입되는 돌출부(22b), (3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원형의 형강(46)을 이용하여 와이어(18)를 고정하는 것으로, 제 1고정 브라켓(40)은 반원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양 플랜지(40a)에는 체결홀(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고정 브라켓(42)에는 체결홀(44)과 대향으로 다수의 체결홀(42a)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제 2브라켓(42)의 돌출부(42b)에 와이어(18)를 끼운 상태에서 2개의 브라켓(40), (42)을 맞댄 다음에, 체결홀(44), (42a)에 볼트(50)와 너트(52)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현장여건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지주를 설치한 다음,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 브라켓을 지주에 고정함으로써, 제작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의 여건에 따라서 와이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와이어의 추가 설치가 용이하므로 공사기간의 단축과 현장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낙석방지용 휀스를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와이어를 감싼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휀스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제지하는 제1고정브라켓(10) 및 제2고정브라켓(12)을 구비하되, 상기 제1고정브라켓(10)과 제2고정브라켓(12)은 볼트(50)와 너트(52)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단(10a),(12a)과 H형강(16)의 일측 단부(16a)에 압착되는 고정단(10b),(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KR2020000030799U 2000-11-03 2000-11-03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KR200227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99U KR200227387Y1 (ko) 2000-11-03 2000-11-03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99U KR200227387Y1 (ko) 2000-11-03 2000-11-03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387Y1 true KR200227387Y1 (ko) 2001-06-15

Family

ID=7309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99U KR200227387Y1 (ko) 2000-11-03 2000-11-03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3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74B1 (ko) * 2011-12-29 2013-10-08 주식회사 상신 휀스용 와이어 고정구
KR102403754B1 (ko) * 2021-09-23 2022-05-31 (주)대한지오이엔씨 방호성능이 향상된 낙석 방지 울타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85187B1 (ko) * 2023-03-07 2023-10-05 주식회사 서연전문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74B1 (ko) * 2011-12-29 2013-10-08 주식회사 상신 휀스용 와이어 고정구
KR102403754B1 (ko) * 2021-09-23 2022-05-31 (주)대한지오이엔씨 방호성능이 향상된 낙석 방지 울타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85187B1 (ko) * 2023-03-07 2023-10-05 주식회사 서연전문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65652B (zh) 一种装配式建筑主次梁钢连接节点结构
KR101188784B1 (ko) 원형 브레이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27387Y1 (ko)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JP5280228B2 (ja) 鉄筋の組立構造
JP6768760B2 (ja) アンカーフレーム
KR102266784B1 (ko) 무천공 지주와 클립형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의 설치 자율 방향 시공 방법
JP6626684B2 (ja) ブラケット構造体、ブラケット及び防護柵
JPH0756328Y2 (ja) 落石防止柵のコーナー部構造
JP6348403B2 (ja) 高架用防音壁の施工方法
KR0135580Y1 (ko)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KR19990013079U (ko) 메쉬 휀스용 기둥
JPH10121791A (ja) メッシュフェンス
KR102616443B1 (ko) 막구조물 강관 연결 조립체
JPH1181751A (ja) メッシュフェンス
KR930001861Y1 (ko) 철책구축용 와이어 고정구
JP2019024277A (ja) 柱補強構造及び柱補強構造の構築方法
JPH08105019A (ja) 防護柵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JPH071475Y2 (ja) フエンスの柱取付具
JP2950419B1 (ja) 螺旋階段
KR200320116Y1 (ko) 조립식 강관 전주
JP2007056498A (ja) 既設柱の耐震補強構造
KR200320117Y1 (ko) 조립식 강관 전주
KR20020062410A (ko) 낙석차단용 휀스
JPH0515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