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187B1 -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187B1
KR102585187B1 KR1020230030083A KR20230030083A KR102585187B1 KR 102585187 B1 KR102585187 B1 KR 102585187B1 KR 1020230030083 A KR1020230030083 A KR 1020230030083A KR 20230030083 A KR20230030083 A KR 20230030083A KR 102585187 B1 KR102585187 B1 KR 10258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port
web
wire rop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문
Priority to KR102023003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3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incorporating resiliently-mounted members for attachment of the cable e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로서, 각각의 지주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에서 상기 지주의 웨브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단망; 상기 복수의 지주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와이어 로프는 상기 지주의 웨브에서 상기 제1 플랜지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연결공을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과 와이어 로프를 함께 연결하는 완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낙석이 떨어져 상기 차단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 상기 완충구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이 분산 및 흡수되므로 와이어 로프가 지주로부터 크게 이동하면서 지주가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ROCKSLIDE PREVENTING FENCE COMPRISING SHOCK ABSORBING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 지주와 와이어 로프 사이에 작용하는 충격력이 적절히 분산 및 흡수되도록 하여 와이어 로프가 중간 지주로부터 크게 이동하면서 중간 지주가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낙석방지시설은 절개면의 낙석이나 토사붕괴 등으로 인한 재해로부터의 교통장애, 도로구조물이나 도로 시설물 등의 손상, 재산 및 인명 상의 손실을 예방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상기 낙석방지시설로는 낙석 방지망 또는 낙석 방지책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도로나 인도 측면의 비탈면(사면)에 존재하는 암반으로부터 이탈된 낙석들이 도로나 인도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중, 낙석 방지책은 지주와 지주 사이를 와이어 로프와 PVC 코팅망 등으로 연결하여 절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낙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시설이다.
즉 낙석 방지책은 와이어 로프로 지주 사이를 연결한 상태에서 철사 등이 PVC 등의 합성수지로 피복된 PVC 코팅망으로 와이어 로프를 덮도록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 방지책의 대표적인 예는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지주를 소정의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하고, 다수 개의 와이어 로프를 상하 소정의 간격으로 횡방향으로 연장 배치하되 상기 지주를 관통시켜서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 로프와 사면 사이에는 PVC 코팅망이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지주 및 지주를 관통하는 와이어 로프 사이에 어떠한 완충구조도 적용되지 않은 관계로, 굴러 떨어지는 암석에 의해 강한 충격이 그대로 PVC 코팅망과 와이어 로프에 작용하게 되어 PVC 코팅망이 찢어지고 와이어 로프가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와이어 로프가 끊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해 상기 지주에 충격력이 그대로 전달되고 상기 지주를 관통한 와이어 로프가 순간적으로 늘어나 지주에 작용하는 하중 방향이 급격하게 변경되면서 지주가 붕괴하는 경우가 많았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2262043호 (2021.06.0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 지주와 와이어 로프 사이에 작용하는 충격력이 적절히 분산 및 흡수되도록 하여 와이어 로프가 중간 지주로부터 크게 이동하면서 중간 지주가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은,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로서, 각각의 지주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에서 상기 지주의 웨브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단망;
상기 복수의 지주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와이어 로프는 상기 지주의 웨브에서 상기 제1 플랜지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연결공을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과 와이어 로프를 함께 연결하는 완충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완충구는,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과 와이어 로프를 결합하는 한 쌍의 U-볼트;
각각의 상기 U-볼트와 상기 제2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완충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과 제2 플랜지를 함께 결합시키는 고정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은 각각,
상기 와이어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단망의 반대쪽에 배치되며 상기 지주와 분리되어 자유단을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 및 차단망과 함께 상기 U-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지주 측 일단부로부터 상기 웨브와 제2 플랜지 사이의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웨브 쪽을 향하는 상기 제2 플랜지의 면과 접촉하는 제3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고정구는,
한 쌍의 상기 제3 플레이트와 면으로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고정판;
상기 제2 플랜지의 외면과 면으로 접촉하는 제2 고정판;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판의 외측 단부와 제2 고정판의 외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3 고정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각각 체결하는 체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공에서의 와이어 로프까지의 최대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로서, 각각의 지주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에서 상기 지주의 웨브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단망; 상기 복수의 지주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와이어 로프는 상기 지주의 웨브에서 상기 제1 플랜지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연결공을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과 와이어 로프를 함께 연결하는 완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낙석이 떨어져 상기 차단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 상기 완충구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이 분산 및 흡수되므로 와이어 로프가 지주로부터 크게 이동하면서 지주가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완충구는,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과 와이어 로프를 결합하는 한 쌍의 U-볼트, 각각의 상기 U-볼트와 상기 제2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완충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과 제2 플랜지를 함께 결합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낙석이 떨어질 때 상기 완충 프레임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차단망이나 와이어 로프가 파단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하중방향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지주의 붕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플랜지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단망의 반대쪽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 및 차단망과 함께 상기 U-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지주 측 일단부로부터 상기 웨브와 제2 플랜지 사이의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웨브 쪽을 향하는 상기 제2 플랜지의 면과 접촉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차단망과 와이어 로프에 낙석 등에 의한 충격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지주에 고정 지지된 제3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변형하면서 1차적인 충격 흡수 및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고정구는, 한 쌍의 상기 제3 플레이트와 면으로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고정판, 상기 제2 플랜지의 외면과 면으로 접촉하는 제2 고정판,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판의 외측 단부와 제2 고정판의 외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3 고정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각각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완충 프레임이 상기 지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공에서의 와이어 로프까지의 최대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지주에서의 와이어 로프의 위치가 U-볼트에서의 와이어 로프 위치보다 제2 플랜지 쪽으로 더 접근한 상태로 배치되고 낙석의 하중이 차단망이 작용할 때 상기 U-볼트를 중심으로 와이어 로프가 볼록한 곡형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완충 프레임에 의한 한층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지책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지책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지책의 설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완충구 부근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지책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완충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지책(1000)은,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100)로서, 각각의 지주(100)는 웨브(110)와 상기 웨브(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플랜지(120) 및 제2 플랜지(130)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주(100); 상기 지주(100)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플랜지(120)의 외측에서 상기 지주(100)의 웨브(1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단망(200); 상기 복수의 지주(100)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300)로서, 상기 지주(100)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와이어 로프(300)는 상기 지주(100)의 웨브(110)에서 상기 제1 플랜지(120)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연결공(140)을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300); 및, 상기 제2 플랜지(130)와, 상기 지주(100)를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300)의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200)과 와이어 로프(300)를 함께 연결하는 완충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석(R)이 떨어져 상기 차단망(200)에 이르게 되는 경우 상기 완충구(400)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이 분산 및 흡수되므로 와이어 로프(300)가 지주(100)로부터 크게 이동하면서 지주(100)가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완충구(400)는, 상기 지주(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200)과 와이어 로프(300)를 결합하는 한 쌍의 U-볼트(410), 각각의 상기 U-볼트(410)와 상기 제2 플랜지(130)에 연결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완충 프레임(420) 및,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420)과 제2 플랜지(130)를 함께 결합시키는 고정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낙석(R)이 떨어질 때 상기 완충 프레임(42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차단망(200)이나 와이어 로프(300)가 파단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하중방향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지주(100)의 붕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플랜지(130)는 상기 웨브(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완충 프레임(420)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강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420)은 각각, 상기 제1 플랜지(120)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단망(200)의 반대쪽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300)와 차단망(200)과 함께 상기 U-볼트(410)에 의해 체결되는 제1 플레이트(421), 상기 제1 플레이트(421)의 상기 지주(100) 측 일단부로부터 상기 웨브(110)와 제2 플랜지(130) 사이의 모서리(170)를 향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422) 및, 상기 제2 플레이트(422)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웨브(110) 쪽을 향하는 상기 제2 플랜지(130)의 면과 접촉하는 제3 플레이트(4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421), 제2 플레이트(422) 및 제3 플레이트(423)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중간에 곡형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차단망(200)과 와이어 로프(300)에 낙석(R) 등에 의한 충격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지주(100)에 고정 지지된 제3 플레이트(423)에 대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422)가 변형하면서 1차적인 충격 흡수 및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422)는 상기 지주(100)의 웨브(110)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20°~ 70°의 범위에서 설치되면 적절한 완충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상기 범위를 벗어나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422),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422)와 제3 플레이트(423)의 교차 부분(424)은 상기 지주(100)의 웨브(110)에 접촉함으로써 충격 하중 발생시 제3 플레이트(423)가 제2 플랜지(130)에 대하여 들뜨는 경우를 최대한 방지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고정구(430)는, 한 쌍의 상기 제3 플레이트(423)와 면으로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고정판(431), 상기 제2 플랜지(130)의 외면과 면으로 접촉하는 제2 고정판(432),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판(431)의 외측 단부와 제2 고정판(432)의 외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3 고정판(433)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판(431)과 제2 고정판(432)을 각각 서로 체결하는 체결구(4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430)는 상기 제1 플랜지(120)를 향해 개구(435)가 형성되는 채널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상기 체결구(434)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판(431)과 제2 고정판(432) 사이에 상기 제3 플레이트(423)와 제2 플랜지(130)가 밀착된 상태로 개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구(434)는 볼트와 너트의 조립체 등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구(434)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판(431)과 제2 고정판(432) 사이에서 상기 제3 플레이트(423)와 제2 플랜지(13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구(434)에 의해 체결되기 전에는 상기 제1 고정판(431)과 제2 고정판(432) 사이에 상기 제3 플레이트(423)와 제2 플랜지(130)가 다소 여유가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434)에 의해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플랜지(12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421)의 상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플랜지(12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공(140)에서의 와이어 로프(300)까지의 최대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주(100)에서의 와이어 로프(300)의 위치가 U-볼트(410)에서의 와이어 로프(300) 위치보다 제2 플랜지(130) 쪽으로 더 접근한 상태로 배치되어 낙석의 하중이 차단망(200)이 작용할 때 상기 U-볼트(410)를 중심으로 와이어 로프(300)가 볼록한 곡형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완충 프레임(420)에 의한 한층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U-볼트(410)에 의해 상기 차단망(200)과 와이어 로프(300)는 제1 플레이트(4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플랜지(120)는 상기 웨브(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면 상기 지주(100)를 중심으로 좌우 균형이 잡히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주(100)는 "I형 빔"이나 "H형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망(200)은 철사 등이 PVC 등의 합성수지로 피복된 PVC 코팅망 등으로 구성되거나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공지의 다양한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낙석 방지책(1000)에 낙석(R)이 떨어지게 되면 차단망(200)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고, 와이어 로프(300)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며, 완충구(400)에 의해 최종적으로 충격이 흡수되어 지주(100)가 붕괴되는 경우 없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구(400)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1000)의 시공방법에 관한 일 예는 아래와 같다.
(1) 낙석방지책용 지주(100)를 설치할 기초 터파기
(2) 낙석방지책용 지주(100)를 설치할 기초 거푸집 설치
(3) 기초에 레미콘을 타설하고 지주(100)를 삽입
(4) 상기 지주(100)의 소정 높이(연결공(140)이 형성된 위치)에 완충 프레임(420)과 고정구(430)를 설치(체결구(434)에 의한 결합)
(5) 와이어 로프(300)를 지주(100)의 연결공(140)에 관통시켜서 연결
(6) 차단망(200)을 와이어 로프(300) 및 지주(100)의 제1 플랜지(120) 외측에 포설
(7) 차단망(200)과 와이어 로프(300)를 완충 프레임(420)의 제1 플레이트(421)에 대고 U볼트(410)로 고정
(8) 마무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지주
110... 웨브
120... 제1 플랜지
130... 제2 플랜지
140... 연결공
170... 모서리
200... 차단망
300... 와이어 로프
400... 완충구
410... U-볼트
420... 완충 프레임
421... 제1 플레이트
422... 제2 플레이트
423... 제3 플레이트
424... 교차 부분
430... 고정구
431... 제1 고정판
432... 제2 고정판
433... 제3 고정판
434... 체결구
435... 개구
1000...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Claims (6)

  1.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로서, 각각의 지주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에서 상기 지주의 웨브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단망;
    상기 복수의 지주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로서,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와이어 로프는 상기 지주의 웨브에서 상기 제1 플랜지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연결공을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과 와이어 로프를 함께 연결하는 완충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완충구는,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장방향 양측에서 상기 차단망과 와이어 로프를 결합하는 한 쌍의 U-볼트;
    각각의 상기 U-볼트와 상기 제2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완충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과 제2 플랜지를 함께 결합시키는 고정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은 각각,
    상기 와이어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단망의 반대쪽에 배치되며 상기 지주와 분리되어 자유단을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 및 차단망과 함께 상기 U-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지주 측 일단부로부터 상기 웨브와 제2 플랜지 사이의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웨브 쪽을 향하는 상기 제2 플랜지의 면과 접촉하는 제3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지주의 웨브에 대하여 20°~ 70°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완충 프레임의 제3 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지책.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고정구는,
    한 쌍의 상기 제3 플레이트와 면으로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고정판;
    상기 제2 플랜지의 외면과 면으로 접촉하는 제2 고정판;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판의 외측 단부와 제2 고정판의 외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3 고정판; 및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각각 서로 체결하는 체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지책.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공에서의 와이어 로프까지의 최대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지책.
  6.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지책.




KR1020230030083A 2023-03-07 2023-03-07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KR10258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083A KR102585187B1 (ko) 2023-03-07 2023-03-07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083A KR102585187B1 (ko) 2023-03-07 2023-03-07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187B1 true KR102585187B1 (ko) 2023-10-05

Family

ID=8829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083A KR102585187B1 (ko) 2023-03-07 2023-03-07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1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387Y1 (ko) * 2000-11-03 2001-06-15 김충열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2262043B1 (ko) 2019-03-19 2021-06-08 육종현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2312501B1 (ko) * 2021-04-30 2021-10-13 손주현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387Y1 (ko) * 2000-11-03 2001-06-15 김충열 낙석 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2262043B1 (ko) 2019-03-19 2021-06-08 육종현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2312501B1 (ko) * 2021-04-30 2021-10-13 손주현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236B1 (ko) 낙석 방지 구조체
KR101306114B1 (ko) 안전성 향상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1912713B1 (ko)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682624B1 (ko) 충격흡수형 압착식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72505B1 (ko) 사면 낙석방지책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2239510B1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935522B1 (ko) 진동 완충형 구조물
JP5830747B2 (ja) 防護柵
JP3143816U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KR102585187B1 (ko)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102149111B1 (ko)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JP2003213972A (ja) フェンス構造体
JP5414555B2 (ja) 防護柵
KR101843362B1 (ko) 조적벽 내진 보강용 고정장치
JP2002322615A (ja) 防護柵
KR102130843B1 (ko)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0287832Y1 (ko) 낙석방지울타리의 와이어로프 간격유지장치
JP2001107321A (ja) ポケット式覆網落石防止工法
KR102311349B1 (ko) 완충연결장치를 포함하는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JP2002348817A (ja) 衝撃吸収防護柵
KR102605012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KR100629909B1 (ko) 도로용 이단 보조시설구조를 갖는 낙석 방지장치
KR100597776B1 (ko) 고강도 낙석방지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