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587B1 -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 Google Patents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587B1
KR102296587B1 KR1020180146164A KR20180146164A KR102296587B1 KR 102296587 B1 KR102296587 B1 KR 102296587B1 KR 1020180146164 A KR1020180146164 A KR 1020180146164A KR 20180146164 A KR20180146164 A KR 20180146164A KR 102296587 B1 KR102296587 B1 KR 102296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late member
coupled
plate
pi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951A (ko
Inventor
노명현
안동욱
김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4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5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39Adjustable connections, e.g. using elongated slots or threaded adjustm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1Connections between closed section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는 제1강관부재, 상기 제1강관부재와 배치 각도가 상이한 제2강관부재 및 상기 제1강관부재와 상기 제2강관부재 각각의 단부면에 결합되되 단부면 내측 영역에 결합되는 판부재의 상호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제1강관부재와 상기 제2강관부재를 연결하는 앵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Steel pipe framework and tunnel type soundproofing wall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도시의 개발, 도로 및 철도의 광역망 확대 등으로 인해 고층아파트의 인접구간을 통과하는 교통소음의 증가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소음을 차단 또는 흡수하기 위해 각종 방음벽을 도로변에 설치하여 도로 내부의 소음이 건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방음벽은 설치 높이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층고 이상부터는 도로 내부의 소음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풍하중으로 인한 방음벽 구조물 및 기초지반 등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음벽의 높이를 무한정 증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방음벽의 높이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터널방음벽의 적용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터널방음벽은 도로의 양측면 및 상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도로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도로 내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행 소음 또한 감소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터널방음벽을 토공부 외 기존 고가도로나 교량 위에 설치하는 것은 기존 고가도로나 교량의 교각을 받쳐주는 탄성받침의 최대 허용하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터널방음벽 구조물의 경량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터널방음벽은 일반 수준의 인장강도를 보유한 RH형강을 이용한 프레임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구조물의 경량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터널방음벽 구조물은 도심경관 및 강변과의 조화로운 디자인을 요구하고 있어 RH형강 프레임으로 터널방음벽의 골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디자인에 제약이 있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이러한 터널방음벽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강관 결합의 경우에는 각도가 변경되는 변곡 부위에서의 결합을 각도 별로 절단 후에 용접하여 결합하고 있는데, 이러한 작업은 공중 작업이 필요한 터널방음벽 골조 시공시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강관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에 의한 결합의 경우에는 강관 시공 후의 벽부재 결합시에 상기 플랜지에 의해서 강관과 벽부재 사이가 이격되어 안정적인 결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본 출원번호 제1999-032804호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용이한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합 부위에서의 각도 변경이 용이한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는 제1강관부재, 상기 제1강관부재와 배치 각도가 상이한 제2강관부재 및 상기 제1강관부재와 상기 제2강관부재 각각의 단부면에 결합되되 단부면 내측 영역에 결합되는 판부재의 상호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제1강관부재와 상기 제2강관부재를 연결하는 앵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제1강관부재 및 상기 제2강관부재의 각각의 단부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단부판부재, 상기 단부판부재에 수직하게 일단부가 결합되는 중간판부재 및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배치 각도가 조정되는 연결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부재는, 힌지핀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탭이 형성된 힌지연결판 및 상기 연결탭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핀 둘레 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단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탄성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강관부재 및 상기 제2강관부재 각각에 결합된 상기 앵커유닛의 연결판부재는 상호 배치 각도가 조정된 상태로 포개져서 나사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의 상기 중간판부재는, 상기 단부판부재에 일단부가 일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중간판 및 상기 단부판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되, 상기 제1중간판과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중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의 상기 중간판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단부판부재에 결합되되, 타단부는 내부 중공과 연통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는 중간외판 및 일단부는 상기 중간외판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되, 타단부는 상기 연결판부재와 결합되는 중간내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의 상기 중간외판은, 상기 중간내판의 삽입 거리를 조정하도록, 길이 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중간외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내판의 일단부에 형성된 중간내홀과 중첩되는 상기 중간외홀에 중간고정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의 상기 연결판부재는,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배치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방음벽은 도로 상에 터널 형태로 구비되는 상기 관골조 및 상기 강관골조 상에 결합되는 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은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은 RH형강에서 대응하기 곤란한 비정형 구조를 형성하는 변곡부위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도심지 경관과의 조화로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강관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RH형강에 비하여 경량화가 가능하여 중력방향의 자중 및 설하중 저항성능과 측면 방향의 풍하중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은 결합 부위에서의 각도 변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은 공중 작업에 의한 강관골조 시공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터널방음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강관골조에서 앵커유닛이 제1수직판부재, 제2수직판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관골조에서 앵커유닛이 단부판부재, 중간판부재, 연결판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관골조에서 중간판부재가 제1중간판, 제2중간판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강관골조에서 중간판부재가 중간외판, 중간내판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강관골조에서 연결판부재가 힌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관골조(1)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용이하다. 즉, RH형강에서 대응하기 곤란한 비정형 구조를 형성하는 변곡부위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도심지 경관과의 조화로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강관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RH형강에 비하여 경량화가 가능하여 중력방향의 자중 및 설하중 저항성능과 측면 방향의 풍하중 저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강관골조(1)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은 결합 부위에서의 각도 변경이 용이하며, 이에 의해서 공중 작업에 의한 강관골조(1)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터널방음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는 제1강관부재(100),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배치 각도가 상이한 제2강관부재(200) 및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상기 제2강관부재(200) 각각의 단부면에 결합되되 단부면 내측 영역에 결합되는 판부재의 상호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상기 제2강관부재(200)를 연결하는 앵커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관골조(1)에 의하면 제1강관부재(100)와 제2강관부재(200) 사이의 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강관골조(1)는 제1강관부재(100)와 제2강관부재(200)를 연결하는 앵커유닛(300)이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제2강관부재(200)의 단부면 내측 영역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제2강관부재(200) 상에 배치되는 터널방음벽의 벽부재(2)가 들뜸에 의한 시공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방음벽은 도로 상에 터널 형태로 구비되는 상기 관골조 및 상기 강관골조(1) 상에 결합되는 벽부재(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관골조(1)의 앵커유닛(300)은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상기 제2강관부재(200)의 단부면 내측 영역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벽부재(2)가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상기 제2강관부재(200)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앵커유닛(300)에 의한 들뜸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벽부재(2)의 설치 시공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의 강관 형태의 부재로서, 강관골조(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유닛(300)은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를 일자 형으로 결합하는 것은 물론 일정 각도 경사진 배치 각도로도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의 상호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연결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앵커유닛(300)은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 각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의 단부면 내측 영역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 상에 상기 벽부재(2) 등이 결합될 때의 들뜸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앵커유닛(300)은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를 포함하거나, 단부판부재(321), 중간판부재(322), 연결판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를 포함하는 경우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고, 상기 단부판부재(321), 중간판부재(322), 연결판부재(323)를 포함하는 경우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벽부재(2)는 도로 상에 상기 강관골조(1)가 시공되면, 상기 강관골조(1) 상에 설치되어 터널형의 방음벽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벽부재(2)는 상기 강관골조(1) 상에 결합되며, 도로 상의 일 영역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벽부재(2)는 강판일 수도 있고, 플라스틱 판, 유리판, 목판 등 차음의 기능을 수행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강관골조(1)에서 앵커유닛(300)이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여기서 도 2는 장홀(313)만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축홀(314)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의 상기 앵커유닛(300)은, 상기 제1강관부재(100)의 단부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되, 장홀(313)이 형성된 제1수직판부재(311) 및 상기 제2강관부재(200)의 단부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되, 장홀(3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와 중첩 배치되어 상기 장홀(313)을 관통하는 나사부재(B)에 의해서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결합되는 제2수직판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앵커유닛(300)은 장홀(313)이 형성된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를 포함함에 의해서,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제2강관부재(200)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면서도 서로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강관부재(100)의 단부면에 결합된 제1수직판부재(311)와 상기 제2강관부재(200)의 단부면에 결합된 제2수직판부재(312)에는 각각 장홀(3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가 중첩 배치되어 상호 배치 각도가 조정되더라도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 각각에 형성된 장홀(313)이 겹치는 부분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겹치는 부분으로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나사부재(B)를 체결하여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의 각도가 조정된 상태로 체결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와 제2수직판부재(312) 사이의 체결 각도를 조정하여 결합되는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에는 축홀(3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의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 및 상기 제2수직판부재(312)는, 상기 장홀(313)이 각각의 양단부에 인접하게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부에는 상호 배치 각도 조정시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홀(314)이 형성되되, 상기 축홀(314)에도 나사부재(B)가 결합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축홀(314)에 결합되는 나사부재(B)가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의 배치 각도 조정시에 회전축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축홀(314)에 상기 나사부재(B)를 느슨하게 체결한 후에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 사이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후에 상기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의 단부측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장홀(313)에 나사부재(B)를 체결하여 제1수직판부재(311), 제2수직판부재(312)의 각도가 조정된 상태로 고정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관골조(1)에서 앵커유닛(300)이 단부판부재(321), 중간판부재(322), 연결판부재(323)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의 상기 앵커유닛(300)은, 상기 제1강관부재(100) 및 상기 제2강관부재(200)의 각각의 단부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단부판부재(321), 상기 단부판부재(321)에 수직하게 일단부가 결합되는 중간판부재(322) 및 상기 중간판부재(322)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부재(3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강관부재(100) 및 상기 제2강관부재(200) 각각에 결합된 상기 앵커유닛(300)의 연결판부재(323)는 상호 배치 각도가 조정된 상태로 포개져서 나사부재(B)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강관골조(1)는 상기 단부판부재(321), 중간판부재(322), 연결판부재(323)를 포함하여 상기 제1강관부재(100), 제2강관부재(200)의 배치 각도가 조정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간판부재(322)는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연결판부재(323)의 배치 각도가 조정된 상태로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중간판부재(322) 사이에 결합됨에 의해서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1강관부재(100)와 상기 제2강관부재(200) 사이의 각도가 조정된 상태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중간판부재(322)는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연결판부재(323) 사이에 각도가 조정된 상태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가변적으로 배치 각도가 조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우선 상기 중간판부재(322)가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연결판부재(323)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중간판(322a), 제2중간판(322b)을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부재(322)가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연결판부재(323) 사이에서 가변적으로 배치 각도가 조정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판부재(322)가 상기 연결판부재(323)에 힌지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려 후술한다.
더하여, 상기 중간판부재(322)는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연결판부재(32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중간판부재(322)는 중간외판(322c), 중간내판(322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단부판부재(321)는 상기 제1강관부재(100) 상기 제2강관부재(200)의 단부면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중간판부재(322)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중간판부재(322)를 매개로 상기 연결판부재(323)와 결합된다. 즉 상기 단부판부재(321), 중간판부재(322), 연결판부재(323)로 구성된 앵커유닛(300)은 각각 상기 제1강관부재(100) 및 상기 제2강관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강관부재(100) 및 상기 제2강관부재(200) 사이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부판부재(321), 중간판부재(322), 연결판부재(323)가 배치되는 영역은 상기 제1강관부재(100) 및 상기 제2강관부재(200)의 단부면 내측 영역이고, 이에 의해서 상기 제1강관부재(100) 및 상기 제2강관부재(200) 상에 결합되는 벽부재(2)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판부재(323)는 이웃하는 다른 연결판부재(323)와 볼팅, 본딩 등에 의해서 결합되며, 볼팅에 의한 결합시에는 나사부재(B)에 의한 볼팅 결합을 위한 볼트홀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관골조(1)에서 중간판부재(322)가 제1중간판(322a), 제2중간판(322b)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의 상기 중간판부재(322)는, 상기 단부판부재(321)에 일단부가 일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중간판(322a) 및 상기 단부판부재(321)에 일단부가 결합되되, 상기 제1중간판(322a)과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중간판(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판부재(322)가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연결판부재(323)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중간판(322a), 제2중간판(322b)을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부재(32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단부판부재(321)에 결합되는 제1중간판(322a), 제2중간판(322b)에 의해서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연결판부재(323) 사이의 결합시에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즉, 서로 다른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도 지지 방향을 면 상에 형성하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강관골조(1)에서 중간판부재(322)가 중간외판(322c), 중간내판(322d)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의 상기 중간판부재(322)는, 일단부가 상기 단부판부재(321)에 결합되되, 타단부는 내부 중공과 연통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는 중간외판(322c) 및 일단부는 상기 중간외판(322c)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되, 타단부는 상기 연결판부재(323)와 결합되는 중간내판(322d)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판부재(322)는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연결판부재(32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중간판부재(322)는 중간외판(322c), 중간내판(322d)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간내판(322d)이 상기 중간외판(322c)의 중공으로 삽입 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중간외판(322c)에 결합된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중간내판(322d)에 결합된 연결판부재(32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의 상기 중간외판(322c)은, 상기 중간내판(322d)의 삽입 거리를 조정하도록, 길이 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중간외홀(322e)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내판(322d)의 일단부에 형성된 중간내홀(322f)과 중첩되는 상기 중간외홀(322e)에 중간고정핀(322g)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내판(322d)과 중간외판(322c)에 의해서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연결판부재(323)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외홀(322e), 중간내홀(322f) 및 중간고정핀(322g)이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중간내판(322d)이 상기 중간외판(322c)에 삽입된 거리를 조정한 후에 상기 중간외판(322c)에 형성된 중간외홀(322e)과 상기 중간내판(322d)에 형성된 중간내홀(322f)이 중첩되게 배치되면, 상기 중간고정핀(322g)을 중첩된 상기 중간외홀(322e)과 중간내홀(322f)에 삽입하여 상기 중간내판(322d)과 상기 중간외판(322c)의 배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강관골조(1)에서 연결판부재(323)가 힌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의 상기 연결판부재(323)는, 상기 중간판부재(322)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배치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판부재(322)가 상기 단부판부재(321)와 상기 연결판부재(323) 사이에서 가변적으로 배치 각도가 조정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판부재(322)가 상기 연결판부재(323)에 힌지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결판부재(323)는 힌지연결판(323a), 연결탭(323b)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더하여 상기 단부판부재(321)와의 배치 각도가 조정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판부재(323)는 탄성핀(323c)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힌지연결판(323a)은 상기 중간판부재(322)와 상기 연결탭(323b)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며, 이러한 연결탭(323b)에는 상기 탄성핀(323c)이 구비되어 조정된 배치 각도를 고정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골조(1)의 상기 연결판부재(323)는, 힌지핀(323d)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중간판부재(322)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탭(323b)이 형성된 힌지연결판(323a) 및 상기 연결탭(323b)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핀(323d) 둘레 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상기 중간판부재(322)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정홈(322h)에 단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탄성핀(323c)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핀(323c)은 상기 연결탭(323b)에 관통되게 구비된 봉 형태로 구비되되, 양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외부 이탈을 방지하며, 플랜지와 연결탭(323b) 사이에 스프링(323f)이 구비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중간판부재(322)에 형성된 고정홈(322h)에 삽입되게 구성되어 배치 위치의 고정을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부재(322)에 형성된 고정홈(322h)은 상기 연결탭(323b)의 회전 영역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핀(323c)이 삽입되게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연결탭(323b)과 중간판부재(322) 사이에는 상기 힌지핀(323d)에 배치된 간격부싱(323e)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핀(323c)의 삽탈 공간을 확보하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강관골조 2: 벽부재
100: 제1강관부재 200: 제2강관부재
300: 앵커유닛 311: 제1수직판부재
312: 제2수직판부재 313: 장홀
314: 축홀 321: 단부판부재
322: 중간판부재 323: 연결판부재

Claims (9)

  1. 제1강관부재;
    상기 제1강관부재와 배치 각도가 상이한 제2강관부재; 및
    상기 제1강관부재와 상기 제2강관부재 각각의 단부면에 결합되되 단부면 내측 영역에 결합되는 판부재의 상호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제1강관부재와 상기 제2강관부재를 연결하는 앵커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제1강관부재 및 상기 제2강관부재의 각각의 단부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단부판부재;
    상기 단부판부재에 수직하게 일단부가 결합되는 중간판부재; 및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배치 각도가 조정되는 연결판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부재는,
    힌지핀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탭이 형성된 힌지연결판; 및
    상기 연결탭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핀 둘레 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상기 중간판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단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탄성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강관부재 및 상기 제2강관부재 각각에 결합된 상기 앵커유닛의 연결판부재는 상호 배치 각도가 조정된 상태로 포개져서 나사부재로 체결되는 강관골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단부판부재에 결합되되, 타단부는 내부 중공과 연통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는 중간외판; 및
    일단부는 상기 중간외판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되, 타단부는 상기 연결판부재와 결합되는 중간내판;
    을 포함하는 강관골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외판은, 상기 중간내판의 삽입 거리를 조정하도록, 길이 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중간외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내판의 일단부에 형성된 중간내홀과 중첩되는 상기 중간외홀에 중간고정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골조.
  8. 삭제
  9. 도로 상에 터널 형태로 구비되는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강관골조; 및
    상기 강관골조 상에 결합되는 벽부재;
    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KR1020180146164A 2018-11-23 2018-11-23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KR102296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64A KR102296587B1 (ko) 2018-11-23 2018-11-23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64A KR102296587B1 (ko) 2018-11-23 2018-11-23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51A KR20200060951A (ko) 2020-06-02
KR102296587B1 true KR102296587B1 (ko) 2021-09-02

Family

ID=7109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164A KR102296587B1 (ko) 2018-11-23 2018-11-23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5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35B1 (ko) 2022-06-22 2022-12-16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내진 구조형 소음 감쇄기능 지붕방음판 고정장치
KR102545486B1 (ko) 2022-08-23 2023-06-21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방음터널 천장부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347B1 (ko) * 2021-06-04 2022-03-04 주식회사 펜타드 방음터널 횡단골조용 연결 조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498A (ja) * 2001-06-29 2003-01-15 Sekisui House Ltd 鉄骨構造建物の柱体
JP2011179169A (ja) * 2010-02-26 2011-09-15 Kuwata Tent Kk 幅変式伸縮全天候型膜体上屋
JP2017002671A (ja) * 2015-06-15 2017-01-05 株式会社大林組 継手構造および継手並びに杭構造物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804A (ko) 1997-10-21 1999-05-15 전주범 전압 변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모니터의 자동휘도제한회로
KR100997128B1 (ko) * 2008-05-16 2010-11-29 김영수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498A (ja) * 2001-06-29 2003-01-15 Sekisui House Ltd 鉄骨構造建物の柱体
JP2011179169A (ja) * 2010-02-26 2011-09-15 Kuwata Tent Kk 幅変式伸縮全天候型膜体上屋
JP2017002671A (ja) * 2015-06-15 2017-01-05 株式会社大林組 継手構造および継手並びに杭構造物の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35B1 (ko) 2022-06-22 2022-12-16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내진 구조형 소음 감쇄기능 지붕방음판 고정장치
KR102545486B1 (ko) 2022-08-23 2023-06-21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방음터널 천장부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51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587B1 (ko)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KR100643575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합성 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0258791B (zh) 一种铰接无损伤耗能预制框架梁柱节点及其施工方法
CN109898691B (zh) 一种阻尼接地型装配式钢筋混凝土调谐质量阻尼墙
KR101305347B1 (ko) 도로 확장형 보도교
JP5879345B2 (ja) 鉄道の騒音障壁として機能する壁構造体および騒音または通行障壁としての壁構造体の使用
CN110805145A (zh) 一种墙式剪切阻尼器预埋件及其施工方法
KR20090009903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CN103806373A (zh) 斜拉装配式公路钢桥斜拉索锚固系统
CN208472473U (zh) 一种悬挂式单轨和公路桥梁的合建结构
KR100903210B1 (ko) 방음터널
KR101124348B1 (ko) 법면용 확장 보도
JP2005220526A (ja) 立体交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54387B1 (ko) 상부구조물 인상용 부축식 가벤트 및 그 형성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20120020739A (ko) 가로시설물용 두부 확장 지주 기초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3437539A (zh) 一种可开合式门型钢管脚手架
JP2004293060A (ja) 橋梁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60058Y1 (ko)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CN219886907U (zh) 一种可周转使用的装配式钢连接塔吊基础
CN216277184U (zh) 一种建筑物阻尼结构
CN220813422U (zh) 一种独柱桥墩抗倾覆构造
CN203487762U (zh) 一种可开合式门型钢管脚手架
CN213804950U (zh) 现役桥梁通道拓宽结构
CN217205502U (zh) 一种建筑设计用装配式墙体钢结构加固结构
CN219450490U (zh) 一种装配式拦石网骨架及拦石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