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058Y1 -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 Google Patents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058Y1
KR200260058Y1 KR2020010028229U KR20010028229U KR200260058Y1 KR 200260058 Y1 KR200260058 Y1 KR 200260058Y1 KR 2020010028229 U KR2020010028229 U KR 2020010028229U KR 20010028229 U KR20010028229 U KR 20010028229U KR 200260058 Y1 KR200260058 Y1 KR 200260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absorbing
base
suppor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현
구자갑
Original Assignee
박성현
구자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현, 구자갑 filed Critical 박성현
Priority to KR2020010028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05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 위에 세워지는 지주대와; 철근 콘크리트의 일면에 다공성인 경량골재로 제조된 흡음판을 결합시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와 지주대 사이에 끼워지는 흡음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Absorbing noise barrier}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 등에 설치되어 소음의 차단은 물론 일정 데시벨 이하로 흡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도로 위를 지나는 수 많은 자동차 등으로 도로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소음 등으로 많은 고통을 겪게 된다. 따라서 선진 여러국가들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국가들도 도로를 설계할 때에 거주지역 주변이나 특정지역에서 일정한도 미만의 소음기준을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도로 주변에는 다양한 종류의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는데, 방음벽의 종류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생된 소음이 일정장소로 전달되지 않도록 반사시키는 반사형이 있다.
반사형은 소음 발생원의 일측에 세워 발생된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방향으로 진행되지 못하게 반사시키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으나 요구되는 소음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상기한 반사형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 발생된 소음을 흡음시켜 소음 자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구조체에 흡음재료를 채워넣어 제작한 것이다. 즉, 발생된 소음이 흡음재료에 의해 흡수되어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흡음형 방음벽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를 세우기 위한 기초대(12)가 형성되고, 이 기초대(12)에 일정간격으로 지주대(16)가 세워진다. 지주대(16)와 지주대(16)사이에는 여러층의 알루미늄 패널(20)이 설치된다.
알루미늄 패널(20)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알루미늄 패널(20)내에는 석면 등과 같은 흡음재가 채워져 있다.
그리고 지주대(16)의 저면과 저면 사이에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는 받침대(14)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일 하층부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패널(20)이 지면과 직접 접하게 되어 부식된다.
따라서 알루미늄 패널(20)로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받침대(14)를 구성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알루미늄 패널(20)내에 채워진 흡음재들은 도로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다른 이물질 등이 유입되면 비나 눈 등에 의해서 경화되어 수년만 지나면 흡음재로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알루미늄 패널을 다시 교체해야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대와 같이 부식되지 않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부식되지 않고 흡음효과도 우수하며 한 번 설치하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흡음형 방음벽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의 구조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있어서 일측면에만 흡음판이 부착된 흡음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양측면에 흡음판이 부착된 흡음패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기초대 14 : 받침대
16 : 지주대 18 : 끼움홈
20 : 흡음패널 22 : 철근 콘크리트 벽체
24 : 흡음판 26 : 흡음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 위에 세워지는 지주대와; 철조콘크리트의 일면에 다공성인 경량골재로 제조된 흡음판을 결합시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와 지주대 사이에 끼워지는 흡음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흡음판의 외면 전체에는 일정간격으로 그 측단면이 동물의 송곳니 형태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흡읍돌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음형 방음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기초대(12)와 상기 기초대(12)와 기초대(12) 사이에 형성되는 받침대(14)와 상기 기초대(12) 위에 세워지는 지주대(16) 및 지주대(16)와 지주대(16)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패널(20)로 이루어진다.
기초대(12)는 지중에 설치되어 지주대(16)를 세우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기초대(12)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기존의 기초대(12)와 기초대(12) 사이를 연결하는 받침대(14)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받침대(14)의 기능은 기초대(12)와 기초대(12)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방음벽 전체를 구조적으로 강화시킴과 동시에 지면에서 일정높이 이상까지 설치되어 금속재로 이루어진 흡음패널(20)이 지면과 접촉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그렇지만 본 고안에서는 흡음패널(20)의 재질이 기존의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보다 방열, 방음, 흡음 등의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지면과 접촉되어도 부식되지 않는 콘크리트이며, 설치시에는 구조적 강도에 의한 구조강화재로도 자연스럽게 기능한다.
기초대(12) 위에는 기초대(12)와 같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지주대(16)가 세워지고, 이 지주대(16)의 양측에는 흡음패널(20)의 일단이 끼워지는 끼움홈(18)이형성되어 있다.
흡음패널(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재 기능을 하는 철근 콘크리트 블럭(22)에 흡음기능을 하는 경량골재로 제조된 흠음판(24)을 부착한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벽체(22)은 중앙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미도시)을 형성하여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살빼기를 하였고, 흡음판(24)의 표면은 동물의 송곳니 형태의 흡음돌기(26)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흡음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만 부착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모두에 부착할 수 있고, 흡음돌기의 단면을 동물의 송곳니 형태로 형성한 것은 소음이 전달되었을 때 소음이 바로 반사되지 않고 맴돌이 현상에 의해 일정시간 머무르면서 흡음판에 충분히 흡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경량골재는로 이루어진 흡음판(24)은 기포가 많은 골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다공성의 재료로서 우수한 흡음 효과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의 흡음패널(20)은 구조재로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22)이 사용되는데, 이 철근 콘크리트 벽체(22)은 프레스트레스(Prestressd)법에 의해 제작되므로 그 강도가 350 ~ 400㎏/㎟ 정도이므로 흡음패널(20)의 길이를 기존의 금속패널의 길이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즉, 강도가 크므로 길이를 늘려도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흡음성능이 우수한 경량골재를 이용함으로써 흡음이 잘되고,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므로 흡음패널의 길이를 길게 할 수있으므로 기초대와 기초대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적은 수량의 기초대, 개토량의 감소, 지주기둥 소요수량의 감소가 이루어지고, 접속부분의 감소 및 공사현장에서의 작업실시로 방음벽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음패널을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미관이나 디자인을 고려한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 위에 세워지는 지주대와;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일면에 다공성인 경량골재로 제조된 흡음판을 결합시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와 지주대 사이에 끼워지는 흡음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의 외면 전체에는 일정간격으로 그 측단면이 동물의 송곳니 형태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흡음돌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KR2020010028229U 2001-09-13 2001-09-13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KR200260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229U KR200260058Y1 (ko) 2001-09-13 2001-09-13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229U KR200260058Y1 (ko) 2001-09-13 2001-09-13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058Y1 true KR200260058Y1 (ko) 2002-01-10

Family

ID=7306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229U KR200260058Y1 (ko) 2001-09-13 2001-09-13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0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518A (ko) * 2002-07-03 2004-01-13 박성현 일체형 경량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4597B1 (ko) * 2013-10-08 2014-01-22 주식회사지이티-피씨 고속철도 터널 시공용 흡음벽체
KR102221076B1 (ko) 2020-07-27 2021-02-25 정종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518A (ko) * 2002-07-03 2004-01-13 박성현 일체형 경량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4597B1 (ko) * 2013-10-08 2014-01-22 주식회사지이티-피씨 고속철도 터널 시공용 흡음벽체
KR102221076B1 (ko) 2020-07-27 2021-02-25 정종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575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합성 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8590240B2 (en) Compressive force transmitting connection element
KR100514122B1 (ko) 방음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
KR102296587B1 (ko) 강관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방음벽
KR200260058Y1 (ko)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KR20090009903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0822065B1 (ko) 지주와 방음패널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방음벽
KR100815254B1 (ko) 방음벽 및 방음블록
KR100721121B1 (ko) 흡음성 복합 콘크리트 방음패널 제작방법과 방음패널을갖춘 방음벽
KR200324444Y1 (ko) 이중구조의 흡음형 경량 pc 방음판
KR102397998B1 (ko) 목재부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방음벽 시스템
CN110016977A (zh) 一种预制混凝土构件
KR200331600Y1 (ko) 터널형 방음시설의 흡음패널 결합구조
KR102542927B1 (ko)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KR100419113B1 (ko) 고정식 구조물로 이루어진 대나무 방음벽
CN220847688U (zh) 一种装配式钢挡土墙
KR200368851Y1 (ko) 콘크리트 방음벽체
KR100342057B1 (ko) 합성수지재 일체형 방음판넬의 고정빔
CN210458999U (zh) 一种组装式轻质骨料隔声墙
KR200283346Y1 (ko) 흡음형 경량 콘크리트 방음벽
CN210529522U (zh) 一种整体式槽基直埋无机非金属声屏障
KR200283345Y1 (ko) 흡음형 경량 콘크리트 방음벽
KR200453808Y1 (ko) 전도 안정성 향상 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2119927B1 (ko) 방음용 구조물
KR200208844Y1 (ko) 합성수지재 일체형 방음판넬의 고정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