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076B1 -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 Google Patents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076B1
KR102221076B1 KR1020200092798A KR20200092798A KR102221076B1 KR 102221076 B1 KR102221076 B1 KR 102221076B1 KR 1020200092798 A KR1020200092798 A KR 1020200092798A KR 20200092798 A KR20200092798 A KR 20200092798A KR 102221076 B1 KR102221076 B1 KR 10222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panel
opening
plat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한
이제호
Original Assignee
정종한
이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한, 이제호 filed Critical 정종한
Priority to KR102020009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05B17/085Fountains designed to produce sheets or curtains of liquid, e.g. wate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 E04G23/065Lifting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크레인에 견인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견인고리가 형성된 상판플레이트;와, 석면판넬을 감싸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양측에 하향 연장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에 적어도 2개 이상 수평 결합되어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사이로 진입된 석면판넬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해체되는 석면판넬의 낙하를 방지하는 개폐플레이트;와, 석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플레이트와 개폐플레이트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밀폐시키는 석면차단부; 및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플레이트는 개방에 의해 석면판넬을 내부로 진입시키고, 폐쇄에 의해 고정수단에 고정된 석면판넬이 지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고,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의 물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가 더 탑재되고, 상기 물분사수단은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SOUNDPROOF WALL DISMANTLING DEVICE FOR ASBESTOS PANEL}
본 발명은 기존 석면판넬로 이루어지는 방음벽을 해체할 때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석면판넬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면판넬을 해체할 때 석면판넬을 밀폐시켜 석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물을 분사하여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소음 저감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장벽 형태의 구조물로서, 도로의 주변에는 각종 차량으로 인한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바, 상기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에 인접한 학교나 병원, 주택가에는 필수적으로 방음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방음벽은 상기와 같이 주거 시설이 건설된 주거지역과 도로 사이에 설치되어 도로의 소음이 주거 시설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방음벽(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0058호)은 통상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지주(H빔)에 소음 흡수 기능이 뛰어난 석면패널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박음벽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석면패널로 이루어지는 방음벽은 노후에 의해 자연 훼손되면 석면가루가 비산되고, 이렇게 비산되는 석면가루를 흡입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다른 소재로 대체하는 공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석면패널로 이루어지는 방음벽을 해체하는데 있어, 통상 도 1과 같이 크레인을 통해 견인하여 해체하는데, 이 때 작업자는 석면가루의 흡입과 피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와 같은 특수복을 입고 일일이 해체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오픈된 상태에서 석면패널을 해체할 경우, 석면분진이 바람에 날려 인근 주변까지 바람에 날아가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 역시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00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기존 석면판넬로 이루어지는 방음벽을 해체할 때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석면판넬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석면판넬을 해체할 때 석면판넬을 밀폐시켜 석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물을 분사하여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크레인에 견인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견인고리가 형성된 상판플레이트;와, 석면판넬을 감싸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양측에 하향 연장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에 적어도 2개 이상 수평 결합되어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사이로 진입된 석면판넬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해체되는 석면판넬의 낙하를 방지하는 개폐플레이트;와, 석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플레이트와 개폐플레이트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밀폐시키는 석면차단부; 및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플레이트는 개방에 의해 석면판넬을 내부로 진입시키고, 폐쇄에 의해 고정수단에 고정된 석면판넬이 지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고,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의 물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가 더 탑재되고, 상기 물분사수단은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상판플레이트에는 유압발생기가 더 탑재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완충패드와, 완충패드와 유압로드의 사이에 개재되는 로드셀로 구성되고,상기 유압발생기는 외부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송수신모듈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석면차단부는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커튼막과, 상기 제1커튼막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봉과, 상기 무게추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플레이트까지 연장되는 제2커튼막과, 상기 제2커튼막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로 구성되고,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내측벽에는 상기 무게추봉의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석면차단부는 상기 상판플레이트의 저면에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분사파이프로 이루어져 하향 분사되는 물에 의해 수막커튼을 형성하여 석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측면플레이트에는 개폐플레이트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복수의 개폐실린더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각 개폐실린더의 유압로드는 상기 각 개폐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바와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에 따르면, 석면패널을 해체하는데 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음벽의 석면판넬을 해체하는데 있어서,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으로 석면판넬을 해체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면판넬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해체함으로써, 작업자가 석면가루의 흡입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음판넬을 해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방음판넬을 해체하는데 있어 특수복을 착용한 사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에 따른 석면차단부의 작동도,
도 5는 도 3의 횡단면도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에 따른 석면차단부의 작동도이며, 도 5는 도 3의 횡단면도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석면판넬로 이루어지는 방음벽(200)을 해체할 때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석면판넬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100)는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상판플레이트(10)와, 측면플레이트(20)와, 고정수단과, 개폐플레이트(40) 및 석면차단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플레이트(10)는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는 1개 또는 2개의 견인고리(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플레이트(20)는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양측에 일체로 하향 연장된 것으로, 방음벽지주(210)에 고정된 석면판넬(220)을 감싸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20)에 적어도 2개 이상 수평 결합되어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20)의 사이로 진입된 석면판넬(220)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은 실시예로 수동식 유압자키(30a)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압자키(30a)의 유압로드(R)에는 석면판넬(2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패드(31)를 결합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은 완충패드(31)를 통해 방음벽지주(210)에 적층된 석면판넬(220)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파손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플레이트(40)는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2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개방에 의해 석면판넬(220)을 내부로 진입시키고, 폐쇄에 의해 고정수단에 고정된 석면판넬(220)이 지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상기 각 개폐플레이트(40)는 자유단이 호퍼 형태로 상호 간 밀착되는 구성이며, 이 때 상기 개폐플레이트(40)의 밀착되는 부분에는 자력으로 임시 결속할 수 있는 영구자석과 더불어 이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결합방식의 결합핀(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석면차단부(5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20)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석면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석면차단부(50)는 견인에 의해 측면플레이트(20)가 하강하면, 방음벽지주(210) 또는 인접한 석면판넬(220)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승하고, 측면플레이트(20)가 상승하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측면플레이트(20)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기 석면차단부(50)는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커튼막(51)과, 상기 제1커튼막(51)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봉(511)과, 상기 무게추봉(5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플레이트(40)까지 연장되는 제2커튼막(52)과, 상기 제2커튼막(52)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20)의 내측벽에는 상기 무게추봉(511)의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1)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커튼막(51)과 무게추봉(511)은 상기 측면플레이트(20)를 밀폐시키고, 제2커튼막(52)과 무게추(521)는 개폐플레이트(40)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밀폐시켜 측면플레이트(20)와 개폐플레이트(40)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석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물분사수단은 제1분사파이프(6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저면에 고정되어 측면플레이트(20)의 내부로 물을 하향 분사시켜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상판플레이트(10)에는 물탱크(12) 및 펌프(13)가 더 탑재될 수 있고, 이외에 외부의 상하수도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크레인의 후크를 상기 견인고리(11)에 연결시켜 방음벽 해체장치(100)를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판넬(220)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개폐플레이트(40)는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방음벽 해체장치(100)를 하강시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판넬(220)을 측면플레이트(20)의 사이로 진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석면차단부(50)는 무게추(521)와 무게추봉(511)이 인접한 석면판넬(220) 또는 방음벽지주(210)에 걸려 상승하게 됨으로, 방음벽 해체장치(100)를 하강하는데 있어 석면판넬(220) 또는 방음벽지주(210)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사용자는 수동식 유압자키(30a)을 작동시켜 유압로드(R)에 결합된 완충패드(31)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판넬(220)의 양측면을 가압에 의해 파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물분사수단인 제1분사파이프(60)를 통해 석면판넬(220)로 물을 분사시켜 석면이나 분진이 비산되는 방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음벽 해체장치(100)를 상승시켜 방음벽지주(210)에서 석면판넬(220)을 이탈시킨다.
그러면 석면차단부(50)는 무게추(521)와, 무게추봉(511)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측면플레이트(20)과 개폐플레이트(40)의 일측 전방과 타측 후방을 밀폐시켜 석면이 유출되는 방지할 수 있다.
이 후 개방된 2개의 개폐플레이트(40)를 상호 간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합핀(42)을 통해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동하고자는 지점까지 크레인의 견인에 의해 석면판넬(220)을 이동시키고, 개폐플레이트(40)의 개방과, 수동식 유압자키(30a)의 구속을 해제하여 석면판넬(220)을 지상에 안착시킨다.
상술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석면의 접촉을 피하면서, 안정적으로 석면판넬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석면차단부(50)는 수막커튼을 형성하는 제2분사파이프(53)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자동 유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석면차단부(50)는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분사파이프(53)로 이루어져 하향 분사되는 물에 의해 수막커튼을 형성하여 석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분사파이프(53)는 상기 상판플레이트(10)에 탑재되는 물탱크(12)의 물을 공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30b)와, 유압로드(R)의 단부에 결합되는 완충패드(31)와, 완충패드(31)와 유압로드(R)의 사이에 개재되는 로드셀(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32)은 유압로드(R)의 유압을 측정하여 과도한 가압으로 인해 석면판넬(2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상판플레이트(10)에는 유압실린더(30b)를 가동시키기 위한 유압발생기(14)가 탑재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중장비의 유압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유압커넥터(미도시)가 더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압발생기(14)의 경우 컨트롤러(7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송수신모듈(141)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측면플레이트(20)에는 개폐플레이트(4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복수의 개폐실린더(43)가 하향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실린더(43) 역시 상기 유압발생기(14)와 연결되어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개폐실린더(43)의 유압로드(R)는 상기 각 개폐플레이트(40)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바(44)와 링크 연결된다.
상기에서 유압로드(R)가 개폐실린더(43)에 인입될 경우, 상기 유압로드(R)와 결합된 링크바(44)가 상승되어 상기 개폐플레이트(40)를 개방시키고, 반대로 상기 유압로드가 개폐실린더(43)에 인출될 경우, 상기 유압로드(R)가 결합된 링크바(44)가 하강하여 상기 개폐플레이트(40)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개폐플레이트(40)의 자유단에는 실링을 위해 실링패드(41)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수막커튼을 통해 손쉽게 측면플레이트(20)와 개폐플레이트(40)의 개방면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무선 연결되는 컨트롤러(70)를 통해 유압발생기(14)를 제어하여 석면판넬(220)을 자동으로 파지하고, 더불어 펌프(13)의 가동여부에 따라 제1,2분사파이프(53,60)로 물을 자동분사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는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자키를 높이방향을 따라 2단 결합시켜 한번에 2개의 석면판넬을 해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상판플레이트 11: 견인고리 12: 물탱크
13: 펌프 14: 유압발생기
141: 송수신모듈
20: 측면플레이트 21: 가이드레일
30a: 유압자키 30b: 유압실린더 31: 완충패드
32: 로드셀
40: 개폐플레이트 41: 실링패드 42: 결합핀
43: 개폐실린더 44: 링크바
50: 석면차단부 51: 제1커튼막 511: 무게추봉
52: 제2커튼막 521: 무게추
53: 제2분사파이프
60: 제1분사파이프
70: 컨트롤러
100: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R: 유압로드
200: 방음벽 210: 방음벽지주 220: 석면판넬

Claims (5)

  1. 석면판넬로 이루어지는 방음벽 해체장치에 있어서,
    크레인에 견인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견인고리(11)가 형성된 상판플레이트(10);
    석면판넬(220)을 감싸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양측에 하향 연장되는 측면플레이트(20);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20)에 적어도 2개 이상 수평 결합되어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20)의 사이로 진입된 석면판넬(220)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2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해체되는 석면판넬(220)의 낙하를 방지하는 개폐플레이트(40);
    석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플레이트(20)와 개폐플레이트(40)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밀폐시키는 석면차단부(50); 및
    석면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저면에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플레이트(40)는 개방에 의해 석면판넬(220)을 내부로 진입시키고, 폐쇄에 의해 고정수단에 고정된 석면판넬(220)이 지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고,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는 물탱크(12) 및 상기 물탱크의 물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13)가 더 탑재되고,
    상기 물분사수단은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저면에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파이프(60)로 구성되며,
    상기 석면차단부(50)는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커튼막(51)과, 상기 제1커튼막(51)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봉(511)과, 상기 무게추봉(5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플레이트(40)까지 연장되는 제2커튼막(52)과, 상기 제2커튼막(52)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521)로 구성되고,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20)의 내측벽에는 상기 무게추봉(511)의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플레이트(10)에는 유압발생기(14)가 더 탑재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측면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30b)와, 유압로드(R)의 단부에 결합되는 완충패드(31)와, 완충패드(31)와 유압로드(R)의 사이에 개재되는 로드셀(32)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발생기(14)는 외부 컨트롤러(7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송수신모듈(141)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차단부(50)는 상기 상판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분사파이프(53)로 이루어져 하향 분사되는 물에 의해 수막커튼을 형성하여 석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20)에는 개폐플레이트(4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복수의 개폐실린더(43)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각 개폐실린더(43)의 유압로드(R)는 상기 각 개폐플레이트(40)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바(44)와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KR1020200092798A 2020-07-27 2020-07-27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KR10222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798A KR102221076B1 (ko) 2020-07-27 2020-07-27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798A KR102221076B1 (ko) 2020-07-27 2020-07-27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076B1 true KR102221076B1 (ko) 2021-02-25

Family

ID=7473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798A KR102221076B1 (ko) 2020-07-27 2020-07-27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058Y1 (ko) 2001-09-13 2002-01-10 박성현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KR101280927B1 (ko) * 2012-12-05 2013-07-05 이종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KR101540095B1 (ko) * 2015-07-07 2015-07-29 주식회사 디엔씨철거 폐석면자재 운반용 함체
KR101610264B1 (ko) * 2015-09-04 2016-04-07 권순웅 이동식 원료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058Y1 (ko) 2001-09-13 2002-01-10 박성현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KR101280927B1 (ko) * 2012-12-05 2013-07-05 이종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KR101540095B1 (ko) * 2015-07-07 2015-07-29 주식회사 디엔씨철거 폐석면자재 운반용 함체
KR101610264B1 (ko) * 2015-09-04 2016-04-07 권순웅 이동식 원료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82650B6 (cs) Vyztužovací zařízení
KR102221076B1 (ko)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CN204173140U (zh) 人孔保护装置
CN204029268U (zh) 地震模拟及救援训练系统
CN207159953U (zh) 南水北调闸门启闭用电动葫芦的检修平台
CN219011213U (zh) 一种钢管桩沉桩导向架装置
CN204737563U (zh) 一种施工现场电梯接料平台防护门
CN106958309A (zh) 一种集成机电管线的装配式墙体及其施工方法
CN206328110U (zh) 一种定制吊篮用具
CN216512739U (zh) 一种检查井重型井盖启闭设备
CN206706978U (zh) 一体化预制格栅井
CN104912100B (zh) 综合管廊综合安装口
CN204785056U (zh) 海上平台原油立管维修更换装置
CN105781610A (zh) 用于人工挖孔作业的安全舱
CN206874209U (zh) 一种翻转式多用途围栏门
CN219950325U (zh) 一种防攀爬的定型化塔吊司机通道
CN209651685U (zh) 施工吊笼及自动式施工升降机
CN206692183U (zh) 翻板式电梯门
CN110747905A (zh) 一种用于综合管廊水平洞口的折叠防火盖板
CN105952192B (zh) 一种智能水井房
CN202175951U (zh) 拔桩装置
CN215829987U (zh) 一种绿色建筑玻璃幕墙安全施工吊台
CN218815691U (zh) 一种电梯井防护围栏结构
CN209212247U (zh) 一种闸门开闭式的洞门钢结构密封装置
CN114293562B (zh) 封闭式施工围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