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927B1 -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 Google Patents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927B1
KR101280927B1 KR1020120140079A KR20120140079A KR101280927B1 KR 101280927 B1 KR101280927 B1 KR 101280927B1 KR 1020120140079 A KR1020120140079 A KR 1020120140079A KR 20120140079 A KR20120140079 A KR 20120140079A KR 101280927 B1 KR101280927 B1 KR 101280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e
suction
case
ai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이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관 filed Critical 이종관
Priority to KR102012014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못 등)를 절단한 다음, 이 슬레이트의 요홈부 및 굴곡부에 흡착케이스를 흡착하여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지붕 및 벽면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적은 인원과 적은 힘으로 슬레이트 자체가 깨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전하여 제거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레이트 제거시 발생 되는 유해물질인 석면 분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물을 분사하고, 흡입모터의 흡입력으로써 이를 흡입하여 헤파필터를 통과시키며, 별도로 처리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종래 슬레이트 제거시 건물 전체에 이동식 비계 및 방진막을 설치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Asbestos have slate take and harmful substance handing machine}
본 발명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용 장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못 등)를 절단한 다음, 이 슬레이트의 요홈부 및 굴곡부에 흡착케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지붕 및 벽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해체 작업에는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 관건으로 하고 있다. 특히 슬레이트와 같이 공해물질인 석면이 함유된 지붕의 해체는 석면 분진이 발생 되지 않도록 깨뜨리지 않고 해체하도록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에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붕의 해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지붕의 상부에 올라가 지붕을 깨뜨리지 않고 해체하여야 한다. 즉, 이는 경사지게 슬레이트가 설치된 건축물의 상부로 작업자가 올라가 별도의 도구(절단용구)를 이용하여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못 등)의 상단을 절단 또는 제거한 후 슬레이트를 지붕으로부터 분리하고 있다. 그런데 해체되는 지붕은 노후화로 작업자가 작업 도중 낙하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지붕 해체 작업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규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10-0985867호(발명의 명칭: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지붕 제거장치 및 방법)와, 공개특허 10-2011-0135792호(발명의 명칭 :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및 공개특허 10-2011-0135791호(발명의 명칭: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중 등록번호 10-0985867호(발명의 명칭: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지붕 제거장치 및 방법)는 슬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이 유지되는 형상의 요입홈 및 돌출편이 저면에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슬레이트의 표면에 견고히 부착시키도록 지지부재의 저면에 도포된 에폭시 본드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끼움공이 구비된 고정편과,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고 크레인의 후크에 줄걸이 되는 견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지붕에서 제거할 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슬레이트를 진공 흡착하여 지붕에서 제거시 슬레이트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지지부재를 슬레이트 표면에 견고히 부착시키기 위하여 엑포시 본드를 사용함으로써 그 흡착력이 약해 슬레이트가 땅에 떨어져 깨지게 됨에 따라 유해 물질인 석면 분진이 작업자의 안전과 지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규모가 큰 건물(예컨대, 공장 건물)의 슬레이트를 제거하기는 적합하지 않고, 작업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지 못하여 작업자의 인체에 해를 입힐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선행기술 공개특허 10-2011-0135792호 및 10-2011-0135791호는, 크로스바의 중단에 가로방향으로 수납대를 설치하여 공구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수납대 위에 슬레이트로부터 비산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진공 흡입기나, 슬레이트 위에 습윤제 또는 고착제를 분무시키기 위한 분무탱크 또는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컨 등을 탑재시켜, 분진 발생시 즉각 진공 흡입기로 흡입토록 하고, 분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분무탱크로부터 습윤제 또는 고착제를 뿌릴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방진복(체크밸브형 방진복)에게 시원한 공기를 직접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하고, 석면의 비산으로 인한 피해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작업자가 작업대에 직접 배치 및 탑승하여 슬레이트를 수거하여 적재부에 적재한 다음, 작업대를 지면으로 내려 수거작업을 하는 것으로, 이는 작업자가 슬레이트를 직접 수거를 하여 작업자가 힘이 많이 들어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분진 발생시 흡입할 수 있는 진공 흡입기와, 분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분무탱크로부터 습윤제 또는 고착제를 뿌릴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수단은 구체적인 실시 예가 제시되지 못하여 효과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못 등)를 절단한 다음, 이 슬레이트의 요홈부 및 굴곡부에 흡착케이스를 진공 흡착하여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지붕 및 벽으로부터 분리시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가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제거시 발생 되는 유해물질인 분진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외부에서 별도로 처리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붕 또는 벽면에 설치된 규격품인 슬레이트를 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사각으로 조립 유지되는 사각패널과; 상기 사각패널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전면패널과; 상기 사각패널 후면에 고정된 후면패널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지붕에 설치된 슬레이트를 흡입력으로써 분리하기 위한 흡착케이스; 상기 흡착케이스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를 흡착 분리하는 동시에 발생 되는 유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 중앙 영역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부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흡착케이스 행거장치; 및 상기 사각패널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어 흡착케이스의 흡입력으로써 지붕으로부터 흡착 분리된 슬레이트를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붕에 설치된 소골 또는 대골로 이루어진 슬레이트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각으로 조립 유지되는 사각패널과; 상기 사각패널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전면패널과; 상기 사각패널 후면에 고정된 후면패널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지붕에 설치된 슬레이트를 흡입력으로써 분리하기 위한 흡착케이스; 상기 흡착케이스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를 분리하는 동시에 유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 상기 흡착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를 수직으로 매달아 상부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흡착케이스 행거장치; 및 상기 흡착케이스의 사각패널 상하부에 구비되어 흡착케이의 흡입력으로써 벽면으로부터 흡착 분리된 슬레이트를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벽면에 설치된 소골 또는 대골로 이루어진 슬레이트를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못 등)를 절단한 다음, 이 슬레이트의 요홈부 및 굴곡부에 흡착케이스를 흡착하여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를 지붕 및 벽면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적은 인원과 적은 힘으로 슬레이트 자체가 깨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전하여 제거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레이트 제거시 발생 되는 유해물질인 석면 분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물+계면활성제+고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분사하고, 흡입모터의 흡입력으로써 이를 흡입하여 헤파필터를 통과시키며, 별도로 처리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종래 슬레이트 제거시 건물 전체에 이동식 비계 및 방진막을 설치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붕 및 벽면에 설치되는 규격품인 슬레이트의 골 크기[대골(6개), 소골(11개)]에 따라 흡입케이스의 후면패널을 교체하여 선택적으로 슬레이트를 제거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평면 및 저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동작상태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도 4의 "A"부분 및 도 7의 "B"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
도 10은 도 7의 "C"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 및 습식 분사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정면 및 배면 구성도.
도 15는 도 12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16 및 도 17은 도 13의 "G"부분 및 도 15의 "H"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 및 습식 분사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평면 및 저면 구성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동작상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는 지붕에 설치된 슬레이트(1)를 흡입력으로써 흡착 분리하기 위한 흡착케이스(10)와; 흡착케이스(10)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1)를 분리하는 동시에 슬레이트(1)에서 발생되는 유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와; 흡착케이스(10)의 전면 중앙 영역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10)의 각도를 조절하고, 흡착케이스(10)를 상부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흡착케이스 행거장치(30)와; 흡착케이스(10)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어 흡착케이스(10)로써 슬레이트(1)를 분리 흡착 후 슬레이트(1)를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장치(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케이스(10)는 사각으로 조립 유지되는 사각패널(12)과; 사각패널(12)의 전면에 볼트(14a)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전면패널(14)과; 사각패널(12) 후면에 고정된 후면패널(16)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패널(16)은 슬레이트(1)와 동일하게 요홈부(16a)와 굴곡부(16b)가 형성되고, 이 요홈부(16a)와 굴곡부(16b)에는 공간부(13)와 연통되게 다수의 공기 흡착공(16a-1)이 관통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에는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패킹부재(18)가 부착되어, 흡착케이스(10)의 흡입력을 높이게 된다.
이때, 패킹부재(18)는 연질의 합성수지로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후술되는 흡입모터(27)의 흡입력 발생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흡입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흡착케이스(10)는 가로 40cm, 세로 60cm로 이루어져 표준 규격인 가로 74cm, 세로 180cm 또는 가로 74cm, 세로 210cm로 이루어진 슬레이트(1)에 적용되는 크기로 제작된다.
이때, 슬레이트(1)는 소골(11개) 또는 대골(6개)이 형성되고, 흡착케이스(10)의 후면패널(16)은 소골 또는 대골에 대응되는 요홈부(16a)와 굴곡부(16b)가 형성되어, 슬레이트(1) 골의 크기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흡착케이스(10)의 전면패널(14)에는 세로 방향으로 손잡이(19)가 구비되어 작업자 현장에서 파지하여 흡착케이스(10)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는 흡착케이스(10)의 전면패널(14)에, 공간부(13)와 연통되게 구비된 흡입연결구(21)와; 흡입연결구(21)와 보관케이스(22) 외측에 장착된 호스 릴 장치(69) 사이에 외부흡입호스(23)로써 연결되어 슬레이트의 유입물질이 흡입되고, 호스 릴 장치(69)와 내부흡입호스(24)로써 연결되어 유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하여 보관케이스(22) 하부 내측에 장착된 헤파필터(25)와; 헤파필터(25)의 출구측과 연결관(26)으로써 연결되고, 보관케이스(22) 하부 내측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10)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1)를 흡착시키는 동시에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별도로 배출처리하기 위한 흡입모터(27)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관(26)에는 흡입모터(27)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공기 흡입밸브(27a)가 장착되고, 이 공기 흡입밸브(272a)는 흡입모터(27)의 흡입력으로써 흡착케이스(10)로써 슬레이트(1)를 분리한 다음, 슬레이트 파지장치(40)의 동작으로 분리된 슬레이트(1)를 안정되게 파지한 후,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흡착케이스(10) 내부의 흡입력이 해제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공기 흡입밸브(27a)의 개방으로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어 흡착케이스(10)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해제됨에 따라 흡입모터(27)의 부하를 줄이게 된다.
상기 흡착케이스 행거장치(30)는 흡착케이스(10)의 전면패널(14) 중앙 영역에 장착되고, 내측에 대응되게 가이드 홈(31a)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31)와; 케이스(31)의 가이드 홈(3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에 연결공(32a)이 형성된 조절이동구(32)와; 조절이동구(32)의 하부에 고정되고, 조절 나사공(33a)이 형성된 조절너트(33)와; 케이스(31)의 양단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조절너트(33)의 조절 나사공(33a)에 결합된 조절장볼트(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조절이동구(32) 상부의 연결공(32a)에는 슬레이트(1)의 설치 위치로 흡착케이스(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연결고리(35)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연결고리(35)에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높이 및 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한 호이스트(36)를 걸게 되며, 이 호이스트(36)는 카고 크레인에 매달아 사용하게 된다.
즉, 카고 크레인에 호이스트(36)를 매달아 놓고, 작업장의 전체적인 높이에 길이를 세팅한 다음, 호이스트(36)를 조절하면서 흡착케이스(10)를 동작시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슬레이트 파지장치(40)는 흡착케이스(10)의 사각패널(12) 좌우 양단에 동일 길이로 각각 고정된 수평프레임(42)과; 수평프레임(42)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티자형 연결프레임(44)과; 티자형 연결프레임(44)의 양측 상부에 장착되어 슬레이트(1)의 양측 폭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레이트 파지수단(50)은 티자형 연결프레임(44)의 양측 상부 중앙 영역에 대응되게 장착된 에어실린더(51)(52)와; 에어실린더(51)(52)에 신축 및 신장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53)와; 피스톤로드(53)의 양단부에 상단이 상단회동핀(54)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티자형 연결프레임(44)의 양측 상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55)에 상부 영역이 상부회동핀(56)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레이트(1)의 세로방향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회동 파지레버(57)(58)로 이루어진다.
한편, 흡착케이스(10)의 후면패널(16), 슬레이트 파지수단(50)의 회동 파지레버(57)(58)에 각각 연결되고,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가 내설된 보관케이스(22) 상부에 슬레이트(1)에서 발생 되는 분진의 발생을 제거하기 위한 습식 분사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습식 분사장치(60)는 후면패널(16)의 요홈부(16a)와 굴곡부(16b) 영역에 단부의 분사노즐(61)이 노출되게 삽입 고정되고, 혼합물 연결구(62)와 에어 연결구(63)가 구비된 다수의 제1분사구(64)와; 회동 파지레버(57)(58)의 내측에 대응되게 장착되고, 단부에 분사노즐(61)이 구비되며, 혼합물 연결구(62)와 에어 연결구(63)가 구비된 제2분사구(65)와; 제1,2분사구(64)(65)의 혼합물 연결구(62) 및 에어 연결구(63)와 보관케이스(22) 외측에 장착된 호스 릴 장치(69) 사이에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66a)와 외부 에어 공급호스(67a)로써 연결되고, 호스 릴 장치(69)에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66b)와 내부 에어 공급호스(67b)로써 각각 연결되어 혼합물과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혼합물탱크(66)와 에어컴프레셔(67)로 이루어진다.(도 11참조)
이때, 보관케이스(22) 상부 내측에는 혼합물탱크(66)와 에어컴프레셔(67)가 장착된다. 또한, 혼합물탱크(66)에는 수중펌프(68)가 내장되어 혼합물탱크(66) 내부의 혼합물을 공급하여 제1,2분사구(64)(65)의 혼합물 연결구(62)를 통해 혼합물을 공급하고, 에어컴프레셔(67)에서는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제1,2분사구(64)(65)의 에어 연결구(63)를 통해 압축 에어가 공급되어, 분사노즐(61)을 통하여 압축된 혼합물을 외부, 즉 작업장으로 분사시키게 된다.(도 8 및 도 9참조)
이때, 혼합물은 물+계면활성제+고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혼합물의 혼합비는 물 80중량%+계면활성제 10중량%+고착제 10중량% 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 릴 장치(69)는 보관케이스(22)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헤타필터(25)에 연결된 내부흡입호스(24), 혼합물탱크(66)에 연결된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66b) 및 에어컴프레셔(67)에 연결된 내부 에어 공급호스(67b)가 연결되며, 흡입연결구(21)에 연결된 외부흡입호스(23), 혼합물 연결구(62)에 연결된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66a) 및 에어 연결구(63)에 연결된 외부 에어 공급호스(67a)의 중앙 영역이 판 스프링(미도시)으로써 인출 가능하게 감겨져 보관되고, 외부흡입호스(23),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66a) 및 외부 에어 공급호스(67a)의 타단이 상기 내부흡입호스(24),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66b) 및 내부 에어 공급호스(67b)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흡착물을 흡입하여 처리하고, 혼합물과 에어를 공급하여 슬레이트(1)로 분사하여 분진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헤파필터(25), 흡입모터(27), 혼합물탱크(66), 에어컴프레셔(67) 및 호스 릴 장치(69)가 장착된 보관케이스(22)는 카고 크레인의 포켓에 장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정면 및 배면 구성도이며, 도 15는 도 12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도 13의 "G"부분 및 도 15의 "H"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 및 습식 분사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도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11의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의 제2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는 벽면에 설치된 슬레이트(1)를 흡입력으로써 흡착 분리하기 위한 흡착케이스(200)와;
흡착케이스(200)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1)를 분리하는 동시에 슬레이트(1)에서 발생되는 유해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10)와;
흡착케이스(200)의 상부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200)를 수직으로 매달아 상부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흡착케이스 행거장치(220)와; 흡착케이스(200)의 전면 상하부에 구비되어 흡착케이스(200)로써 슬레이트(1)를 분리 흡착 후 슬레이트(1)를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장치(230)로 이루어져 벽면의 슬레이트(1)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흡착케이스(200)는 사각으로 조립 유지되는 사각패널(201)과; 사각패널(201)의 전면에 볼트(204a)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전면패널(204)과; 사각패널(201) 후면에 고정된 후면패널(205)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패널(205)은 슬레이트(1)와 동일하게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가 형성되고, 이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에는 공간부(202)와 연통되게 다수의 공기 흡착공(205a-1)이 관통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에는 적정 두께로 이루어진 패킹부재(206)가 부착되어, 흡착케이스(200)의 흡입력을 높이게 된다.
이때, 패킹부재(206)는 연질의 합성수지로서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후술되는 흡입모터(217)의 흡입력 발생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흡입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흡착케이스(200)는 가로 40cm, 세로 60cm으로 구성되어 규격품인 가로 74cm, 세로 180cm 또는 가로 74cm, 세로 210cm로 이루어져 벽면에 시공된 슬레이트(1)에 적용된다.
이때, 슬레이트(1)는 소골(11개) 또는 대골(6개)이 형성되고, 흡착케이스(200)의 후면패널(205)은 소골 또는 대골에 대응되는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가 형성되어, 슬레이트(1) 골의 크기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흡착케이스(200)의 전면패널(204)에는 가로 방향으로 손잡이(208)가 구비되어 작업자 현장에서 파지하여 흡착케이스(2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10)는 흡착케이스(200)의 전면패널(205)에 공간부(202)와 연통되게 구비된 흡입연결구(211)와; 흡입연결구(211)와 보관케이스(212) 외측에 장착된 호스 릴 장치(270) 사이에 외부흡입호스(213)로써 연결되어 유입물질이 흡입되고, 호스 릴 장치(150)와 내부흡입호스(214)로써 연결되어 유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해 보관케이스(212) 하부 내측에 장착된 헤파필터(215)와; 헤파필터(215)의 출구측과 연결관(216)으로써 연결되고, 보관케이스(212) 하부 내측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200)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1)를 흡착시키는 동시에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별도로 배출처리하기 위한 흡입모터(217)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관(216)에는 흡입모터(217)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공기 흡입밸브(218)가 장착되고, 이 공기 흡입밸브(218)는 흡입모터(217)의 흡입력으로써 흡착케이스(200)로써 슬레이트(1)를 분리한 다음, 슬레이트 파지장치(230)의 동작으로 분리된 슬레이트(1)를 안정되게 파지한 후,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흡착케이스(200)로써 내부의 흡입력이 해제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공기 흡입밸브(218)의 개방으로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어 흡착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해제됨에 따라 흡입모터(217)의 부하를 줄이게 된다. 이때, 흡착케이스(200)의 후면패널(205) 가장 자리에는 패킹부재(206)가 부착되어 흡입모터(127)의 흡입력 발생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흡입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흡착케이스 행거장치(220)는 흡착케이스(200)의 사각패널(201) 상부에 수평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상부수평프레임(221)과; 상부수평프레임(221)의 상단에 구비된 한쌍의 안전고리(222)(223)와; 안전고리(222)(223)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224)로 이루어지고, 이 와이어(224)에는 연결고리(225)가 연결되며, 이 연결고리(225)에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높이 및 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한 호이스트(226)가 연결되며, 이 호이스트(226)는 카고 크레인에 매달아 사용하게 된다.
즉, 카고 크레인에 호이스트(226)를 매달아 놓고, 작업장의 전체적인 높이에 길이를 세팅한 다음, 호이스트(226)를 조절하면서 흡착케이스(200)를 동작시키면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슬레이트 파지장치(230)는 사각패널(201)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하부수직프레임(232)과; 상부수평프레임(221)의 양측과 하부수직프레임(232)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수직의 슬레이트(1)의 상부 양측과 하부를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수단(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레이트 파지수단(240)은 상부수평프레임(221)의 양측 상부에 대응되게 장착된 상부에어실린더(241)(242)와; 상부에어실린더(241)(242)에 신축 및 신장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피스톤로드(243)와; 상부피스톤로드(243)의 단부에 상단이 상단회동핀(244)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수평프레임(221)의 양측 상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45)에 상부 영역이 상부회동핀(246)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레이트(1)의 상부 양단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상부회동 파지레버(247)(248)와; 하부수직프레임(23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수직연결프레임(234)과; 하부수직연결프레임(234)의 상부에 장착된 하부에어실린더(249)와; 하부에어실린더(249)에 신축 및 신장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피스톤로드(250)와; 하부피스톤로드(250)의 단부에 상단이 상단회동핀(25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수직연결프레임(234)의 양측 상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52)에 상부 영역이 상부회동핀(25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레이트(1)의 하단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하부회동 파지레버(254)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케이스(200)의 후면패널(205)과 슬레이트 파지장치(230)의 상,하부회동 파지레버(247)(248)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0)가 내설된 보관케이스(212) 상부에 구비되어, 혼합물을 슬레이트(1)로 분사하여 유해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습식 분사장치(260)가 구비된다.
상기 습식 분사장치(260)는 후면패널(205)의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 영역에 단부의 분사노즐(261)이 노출되게 삽입 고정되고, 혼합물 연결구(262)와 에어 연결구(263)가 구비된 다수의 제3분사구(264)와; 상부회동파지레버(247)(248) 및 하부회동파지레버(254)의 내측에 대응되게 장착되고, 단부에 분사노즐(261)이 구비되며, 혼합물 연결구(262)와 에어 연결구(263)가 구비된 제4분사구(265)와; 제3,4분사구(264)(265)의 혼합물 연결구(262) 및 에어 연결구(263)와 보관케이스(212) 외측에 장착된 호스 릴 장치(270) 사이에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266a)와 외부 에어 공급호스(268a)로써 연결되고, 호스 릴 장치(270)에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266b)와 내부 에어 공급호스(268b)로써 각각 연결되어 혼합물과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혼합물탱크(266)와 에어컴프레셔(268)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관케이스(212) 상부 내측에는 혼합물탱크(266)와 에어컴프레셔(268)가 장착된다.
또한, 혼합물탱크(266)에는 수중펌프(267)가 내장되어 혼합물탱크(266) 내부의 혼합물을 공급하여 제3,4분사구(264)(265)를 통해 공급하고, 에어컴프레셔(268)에서는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제3,4분사구(264)(265)를 통해 압축 에어가 공급되어, 분사노즐(261)을 통하여 압축된 혼합물을 외부, 즉 작업장으로 분사시키게 된다.(도 16 및 도 17참조)
이때, 혼합물은 물+계면활성제+고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혼합물의 혼합비는 물 80중량%+계면활성제 10중량%+고착제 10중량% 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 릴 장치(270)는 보관케이스(212)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헤타필터(215)에 연결된 내부흡입호스(214), 혼합물탱크(266)에 연결된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266b) 및 에어컴프레셔(268)에 연결된 내부 에어 공급호스(268b)가 연결되며, 흡입연결구(211)에 연결된 외부흡입호스(213), 혼합물 연결구(262)에 연결된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266a) 및 에어 연결구(263)에 연결된 외부 에어 공급호스(268a)의 중앙 영역이 판 스프링(미도시)으로써 인출 가능하게 감겨져 보관되고, 외부흡입호스(213),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266a) 및 외부 에어 공급호스(268a)의 타단이 상기 내부흡입호스(214),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266b) 및 내부 에어 공급호스(268b)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흡착물을 흡입하고, 혼합물과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헤파필터(215), 흡입모터(217), 혼합물탱크(266), 에어컴프레셔(268) 및 호스 릴 장치(270)가 장착된 보관케이스(212)는 카고 크레인의 포켓에 장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하게 된다.
한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의 제1,2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 슬레이트 파지장치 및 습식 분사장치는 제어장치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전체적인 동작이 제어되는데, 이러한 제어장치는 관용기술이라 도면에 도시를 생략하였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의 제1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여기서 사용되는 흡착케이스(10)는 크기가 가로 40cm, 세로 60cm로 구성되어 규격품인 가로 74cm, 세로 180cm 또는 가로 74cm, 세로 210cm로 이루어진 슬레이트(1)에 적용되고, 흡착케이스(10)의 후면패널(16)에 형성된 요홈부(16a)와 굴곡부(16b)는 슬레이트(1)의 소골 또는 대골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먼저, 대골로 이루어진 슬레이트(1)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슬레이트(1)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못 등)를 순차적으로 절단한 다음, 카고 크레인에 호이스트(36)를 매달아 놓고, 카고 크레인을 작업장의 전체적인 높이로 세팅한 후 호이스트(36)를 연결고리(35)로써, 전면패널(14) 중앙 영역의 흡착케이스 행거장치(30)를 구성하는 조절이동구(32)의 연결공(32a)에 연결하여 흡착케이스(10)를 매달아 무게 중심을 잡게 된다.(도 7참조)
이때, 흡착케이스(10)의 무게 중심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 조절장볼트(34)를 회전시키면, 조절장볼트(34)가 조절너트(33)의 조절 나사공(33a)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절이동구(32)가 케이스(31)의 가이드 홈(31a)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10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면패널(14)의 손잡이(19)를 잡고 흡착케이스(10)의 후면패널(16)을 슬레이트(1) 영역으로 위치시킨 다음, 후면패널(16)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패킹부재(18)를 슬레이트(1) 상부의 굴곡부에 밀착시키면, 요홈부(16a)와 굴곡부(16b)가 밀착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흡입력을 높이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제어장치(미도시)를 동작시키면, 제어장치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습식 분사장치(60)가 동작 되어 슬레이트(1)에서 발생 되는 분진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습식 분사장치(60)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1에서와 같이 혼합물탱크(66) 내부의 수중펌프(68)가 동작되어, 혼합물탱크(66) 내부의 혼합물이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66b)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69) 내부로 공급되어, 혼합물 연결구(62)에 연결되고, 중앙 영역이 호스 릴 장치(69)의 외부에 판 스프링(미도시)로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66a)를 통하여 제1분사구(64)의 혼합물 연결구(62)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컴프레셔(67)가 동작되어, 압축공기가 내부 에어 공급호스(67b)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69)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에어 연결구(63)에 연결되고, 중앙 영역이 호스 릴 장치(69)의 외부에 판 스프링(미도시)으로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외부 에어 공급호스(67a)를 통하여 제1분사구(64)의 혼합물 연결구(62)로 공급됨에 따라, 후면패널(16)의 요홈부(16a)와 굴곡부(16b) 영역에 구비된 분사노즐(61)을 통하여 혼합물을 외부, 즉 슬레이트(1)로 분사시켜 1차로 분진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도 9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면패널(14)의 손잡이(19)를 잡고, 흡착케이스(10)의 후면패널(16)을 슬레이트(1)의 중앙에 밀착시키게 된다. 즉, 후면패널(16)의 요홈부(16a)와 굴곡부(16b)를 슬레이트(1)의 요홈부와 굴곡부에 일치시키게 된다. 이때, 흡착케이스(10)가 슬레이트(1)의 중앙 영역에 밀착되고, 슬레이트 파지장치(40)를 구성하는 슬레이트 파지수단(50)이 슬레이트(1)의 양측에 위치된다.(도 6 및 도 7참조)
그 다음으로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를 구성하는 흡입모터(27)가 동작되어 후면패널(16)의 공기 흡착공(16a-1)을 통하여 흡입모터(27)의 강한 흡입력이 발생 됨에 따라 슬레이트(1)가 후면패널(16)에 달라붙게 되어 지붕으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이때, 인체에 유해물질인 미세 분진은 후면패널(16)의 공기 흡착공(16a-1)을 통하고, 공간부(13)와 연통되게 구비된 흡입연결구(21) 및 외부흡입호스(23)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69)로 공급되고, 호스 릴 장치(69)에 연결된 내부흡입호스(24)를 통해 헤파필터(25)로 유입되어 필터링 되고, 나머지 공기는 흡입모터(27)를 통하여 별도로 배출되어 처리된다.(도 11참조)
이와 동시에 슬레이트 파지장치(40)를 구성하는 에어실린더(51)(52)가 동작하여 피스톤로드(53)가 신장하게 됨에 따라 상단회동핀(54)과 상부회동핀(56)을 중심으로 회동 파지레버(57)(58)가 내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슬레이트(1)의 세로방향을 안정되게 파지하게 된다.(도 6참조)
이후, 슬레이트 파지수단(50)의 회동 파지레버(57)(58) 사이에 구비된 습식 분사장치(60)가 동작 되어 슬레이트(1)에서 발생 되는 미세 분진의 발생을 2차로 차단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혼합물탱크(66)에 내장된 수중펌프(68)의 동작으로 혼합물탱크(66) 내부의 혼합물이,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66b)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69) 내부로 공급되고, 호스 릴 장치(69)에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66a)를 통하여 제2분사구(65)의 혼합물 연결구(62)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컴프레셔(67)가 동작되어, 압축공기가 내부 에어 공급호스(67b)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69)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 에어 공급호스(67a)를 통하여 제2분사구(65)의 혼합물 연결구(62)로 공급됨에 따라, 분사노즐(61)을 통하여 혼합물을 외부, 즉 슬레이트(1)로 분사시켜 2차로 분진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도 8참조)
이와 같이 슬레이트 파지장치(40)를 구성하는 회동 파지레버(57)(58)로써 슬레이트(1)의 세로방향을 안정되게 파지하게 되면, 연결관(26)에 장착된 공기 흡입밸브(27a)가 개방되어 내부로 외부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흡착케이스(10) 내부의 흡입력이 해제되어, 흡입모터(27)의 부하를 줄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이스트(36)를 조작하여 흡착케이스(10)를 지면으로 내리면, 슬레이트 파지장치(40)가 동작되어 회동 파지레버(57)(58)가 슬레이트(1)로부터 분리되면, 분리된 슬레이트를 적재한 다음 다시 호이스트(36)로써 흡착케이스(10)를 작업 위치로 이동하여 반복적으로 슬레이트(1)를 제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도 6 및 도 7참조)
이때, 외부흡입호스(23),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66a) 및 외부 에어 공급호스(67a)는 호스 릴 장치(69)에 판 스프링(미도시)으로써 인출 가능하게 감겨져 보관되어 호이스트(36)의 조작으로 흡착케이스(10)의 이동시 풀리거나 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대골로 이루어진 슬레이트(1)를 해체한 다음, 소골로 이루어진 슬레이트(1)에 대한 해제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볼트(14a)의 체결력을 해제하여 전면패널(14)을 사각패널(12)로부터 분리하고, 슬레이트 파지장치(40)를 구성하는 수평프레임(42)을 티자형 연결프레임(44)으로부터 분리한 후, 슬레이트(1)의 소골에 적절한 요홈부(16a)와 굴곡부(16b)가 형성된 흡착케이스(10)의 후면패널(16)을 선택하고 사각패널(12)에 전면패널(14)을 볼트(14a)로써 체결 고정한 다음, 슬레이트 파지장치(40)를 구성하는 수평프레임(42)을 티자형 연결프레임(44)에 체결 고정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8에서와 같이 벽면에 설치된 슬레이트(1)를 해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벽면용 슬레이트(1)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슬레이트(1)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못 등)를 순차적으로 절단한 다음, 카고 크레인에 호이스트(226)를 매달아 놓고, 카고 크레인을 작업자의 전체적인 높이를 세팅한 후 호이스트(226)를 조절하면서 흡착케이스(200)의 안전고리(222)(223)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224)를 이동시켜 무게 중심을 잡게 된다.(도 13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면패널(204)의 손잡이(208)를 잡고 흡착케이스(200)의 후면패널(205)을 슬레이트(1) 영역으로 위치시킨 다음, 후면패널(205)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패킹부재(206)를 슬레이트(1) 상부의 굴곡부에 밀착시키면,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가 밀착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흡입력을 높이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제어장치(미도시)를 동작시키면, 제어장치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습식 분사장치(260)가 동작 되어 슬레이트(1)에서 발생 되는 분진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혼합물탱크(266) 내부의 수중펌프(267)가 동작되어 혼합물탱크(266) 내부의 혼합물이,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266b)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270) 내부로 공급되어, 혼합물 연결구(262)에 연결되고, 중앙 영역이 호스 릴 장치(270)의 외부에 판 스프링(미도시)로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266a)를 통하여 제3분사구(264)의 혼합물 연결구(262)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컴프레셔(268)가 동작되어 압축공기가, 내부 에어 공급호스(268b)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270) 내부로 공급되어 에어 연결구(263)에 연결되고, 중앙 영역이 호스 릴 장치(270)의 외부에 판 스프링(미도시)로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외부 에어 공급호스(268a)를 통하여 제3분사구(264)의 혼합물 연결구(263)로 공급됨에 따라, 후면패널(205)의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 영역에 구비된 분사노즐(261)을 통하여 혼합물을 외부, 즉 슬레이트(1)로 분사시켜 1차로 분진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도 17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면패널(204)의 손잡이(208)를 파지하고, 흡착케이스(200)의 후면패널(205)을 슬레이트(1)에 밀착시키게 된다. 즉, 후면패널(205)의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를 슬레이트(1)의 요홈부와 굴곡부에 일치시키게 된다.
이때, 흡착케이스(200)가 슬레이트(1)의 중앙 영역에 밀착되고, 흡착케이스(200)의 슬레이트 파지장치(230)를 구성하는 슬레이트 파지수단(240)이 슬레이트(1) 상부의 양측과 하단에 위치된다.
그 다음으로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10)를 구성하는 흡입모터(217)가 동작되어, 후면패널(205)의 공기 흡착공(205a-1)을 통하여 흡입모터(217)에서 발생되는 강한 흡입력으로써 슬레이트(1)가 후면패널(205)에 달라붙게 되어 벽면으로부터 이탈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 되는 인체에 유해물질인 미세 분진은 후면패널(205)의 공기 흡착공(205a-1)을 통하고, 공간부(202)와 연통되게 구비된 흡입연결구(211) 및 외부흡입호스(213)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270)로 공급되고, 호스 릴 장치(270)에 연결된 내부흡입호스(214)를 통하여 헤파필터(215)로 유입되어 필터링 되고, 나머지 공기는 흡입모터(217)를 통하여 별도로 배출되어 처리된다.(도 18참조)
이와 동시에 슬레이트 파지장치(230)를 구성하는 슬레이트 파지수단(240)의 상부에어실린더(241)(242)와 하부에어실린더(249)가 동시에 동작 되어, 상부피스톤로드(243)와 하부피스톤로드(250)가 신장하게 됨에 따라 상단회동핀(244)(251)과 상부회동핀(244)(253)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상부회동 파지레버(247)(248)와 하부회동 파지레버(254)가 회동하게 되어 슬레이트(1)의 상부와 하단을 안정되게 파지하게 된다.(도 15참조)
이후, 슬레이트 파지수단(240)의 상부회동 파지레버(247)(248)와 하부회동 파지레버(254) 사이에 구비된 습식 분사장치(260)가 동작되어 슬레이트(1)에서 발생 되는 미세 분진의 발생을 2차로 차단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혼합물탱크(266) 내부의 수중펌프(267)가 동작 되어, 혼합물탱크(266) 내부의 혼합물이,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266b)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270) 내부로 공급되고, 호스 릴 장치(270)에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266a)를 통하여 제4분사구(265)의 혼합물 연결구(262)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컴프레셔(268)가 동작되어, 압축공기가 내부 에어 공급호스(268b)를 통하여 호스 릴 장치(270)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 에어 공급호스(268a)를 통하여 제4분사구(265)의 혼합물 연결구(262)로 공급됨에 따라, 분사노즐(261)을 통하여 혼합물을 외부, 즉 슬레이트(1)로 분사시켜 2차로 분진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도 16참조)
이와 같이 슬레이트 파지장치(230)를 구성하는 상부회동 파지레버(247)(248)와 하부회동 파지레버(254)로써 슬레이트(1)의 상부 양단과 하단이 안정되게 파지하게 되면, 연결관(216)에 장착된 공기 흡입밸브(218)가 개방되어 내부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흡착케이스(200) 내부의 흡입력이 해제되어, 흡입모터(217)의 부하를 줄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이스트(226)를 조작하여 흡착케이스(200)를 지면으로 내리면, 슬레이트 파지장치(230)가 동작 되어, 상부회동 파지레버(247)(248)와 하부회동 파지레버(254)가 슬레이트(1)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슬레이트를 적재한 다음 다시 호이스트(226)로써 흡착케이스(200)를 작업 위치로 이동하여 반복적으로 슬레이트(1)를 제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외부흡입호스(213),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266a) 및 외부 에어 공급호스(268a)는 호스 릴 장치(270)에 판 스프링(미도시)으로써 인출 가능하게 감겨져 보관되어 호이스트(226)의 조작으로 흡착케이스의 이동시 풀리거나 감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2실시예의 흡착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후면패널(205)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슬레이트(1)의 소골 또는 대골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가 형성되어 선택하여 사용된다.
또한, 슬레이트(1)의 소골 또는 대골에 따른 흡착케이스(200)의 후면패널(205)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볼트(204a)의 체결력을 해제하여 전면패널(204)을 사각패널(202)로부터 분리하고, 상부수평프레임(221)과 하부수직연결프레임(234)로부터 분리한 후, 슬레이트(1)의 소골 또는 대골에 적절한 요홈부와 굴곡부가 형성된 흡착케이스(200)의 후면패널(205)을 선택하고 사각패널(201)에 전면패널(204)을 볼트(204a)로써 체결 고정한 다음, 하부수직프레임(232)에 하부수직연결프레임(234)을 체결 고정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하게 된다.
1 : 슬레이트 10,200 : 흡착케이스
12,201 : 사각패널 13,202 : 공간부
14,204 : 전면패널 16,205 : 후면패널
16a,205a : 요홈부 16b,205b : 굴곡부
16a-1,205a-1 : 공기 흡착공 18,206 : 패킹부재
21,81a : 흡입연결구 22,82,212 : 보관케이스
23,213 : 외부흡입호스 24,214 : 내부흡입호스
25,215 : 헤파필터 26,216 : 연결관
27,217 : 흡입모터 27a,218 : 공기 흡입밸브
30,220 : 흡착케이스 행거장치 31,92 : 케이스
31a,91a : 가이드 홈 32,92 : 조절이동구
32a,92a : 연결공 33,93 : 조절너트
33a,93a : 조절 나사공 34,94 : 조절장볼트
35,225 : 연결고리 40,230 : 슬레이트 파지장치
42 : 수평프레임 44 : 티자형 연결프레임
50,240 : 슬레이트 파지수단 51,52 : 에어실린더
53,243 : 피스톤로드 54,244 : 상단회동핀
55,245 : 지지프레임 56,246 : 상부회동핀
57,58 : 회동 파지레버 60,260 : 습식 분사장치
61,261 : 분사노즐 62,262 : 혼합물 연결구
63,263 : 에어 연결구 64,65 : 제1,2분사구
66,266 : 혼합물탱크 67,268 : 에어컴프레셔
232 : 하부수평프레임 234 : 하부수직연결프레임
241,242 : 상부에어실린더 247,248 : 상부회동 파지레버
249 : 하부에어실린더 254 : 하부회동 파지레버
264,265 : 제3,4분사구 20,210 :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
66a,266a :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 66b,266b :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
67a,268a : 외부 에어 공급호스 67b,268b : 내부 에어 공급호스

Claims (15)

  1. 사각패널(12)과; 사각패널(12)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전면패널(14)과; 사각패널(12) 후면에 고정된 후면패널(16)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지붕에 설치된 슬레이트(1)를 흡입력으로써 분리하기 위한 흡착케이스(10);
    상기 흡착케이스(10)의 공간부(13)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1)를 지붕으로부터 흡착 분리하는 동시에 슬레이트(1)에서 발생 되는 유해 물질을 별도 처리하기 위한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
    상기 전면패널(14)의 전면 중앙 영역에 장착되어 슬레이트(1)의 설치 위치로 흡착케이스(10)의 각도를 조절하고, 흡착케이스(10)를 상부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흡착케이스 행거장치(30);
    상기 사각패널(12)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어 흡착케이스(10)의 흡입력으로써 지붕으로부터 흡착 분리된 슬레이트(1)를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장치(40); 및
    상기 흡착케이스(10)의 후면패널(16)과 슬레이트 파지장치(40)의 회동 파지레버(57)(58)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가 내설된 보관케이스(22) 상부에 구비되어, 혼합물을 슬레이트(1)로 분사하여 유해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습식 분사장치(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16)은
    상기 슬레이트(1)와 동일 요홈부(16a)와 굴곡부(16b)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6a)와 굴곡부(16b)에는 공간부(13)와 연통되게 다수의 공기 흡착공(16a-1)이 관통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킹부재(18)가 부착되어, 흡착케이스(10)의 흡입력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는
    상기 흡착케이스(10)의 전면패널(14)에, 공간부(13)와 연통되게 구비된 흡입연결구(21)와;
    상기 흡입연결구(21)와 보관케이스(22) 외측에 장착된 호스 릴 장치(69) 사이에 외부흡입호스(23)로써 연결되어 유입물질이 흡입되고, 호스 릴 장치(69)와 내부흡입호스(24)로써 연결되어 유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해 보관케이스(22) 하부 내측에 장착된 헤파필터(25)와;
    상기 헤파필터(25)의 출구측과 연결관(26)으로써 연결되고, 보관케이스(22) 하부 내측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10)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1)를 흡착시키는 동시에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처리하기 위한 흡입모터(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6)에는
    상기 흡입모터(27)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밸브(27a)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케이스 행거장치(30)는
    상기 전면패널(14) 중앙 영역에 장착되고, 내측에 대응되게 가이드 홈(31a)이 형성된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가이드 홈(3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에 연결공(32a)이 형성된 조절이동구(32)와;
    상기 조절이동구(32)의 하부에 구비되고, 조절 나사공(33a)이 형성된 조절너트(33)와;
    상기 케이스(31)의 양단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조절너트(33)의 조절 나사공(33a)에 결합된 조절장볼트(34)와;
    상기 조절이동구(32)의 연결공(32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레이트(1)의 설치 위치로 흡착케이스(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연결고리(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트 파지장치(40)는
    상기 흡착케이스(10)의 사각패널(12) 좌우 양단에 동일 길이로 각각 고정된 수평프레임(42)과;
    상기 수평프레임(42)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티자형 연결프레임(44)과;
    상기 티자형 연결프레임(44)의 양측 상부에 장착되어 슬레이트(1)의 양측 폭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트 파지수단(50)은
    상기 티자형 연결프레임(44)의 양측 상부 중앙 영역에 대응되게 장착된 에어실린더(51)(52)와;
    상기 에어실린더(51)(52)에 신축 및 신장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53)와;
    상기 피스톤로드(53)의 양단부에 상단이 상단회동핀(54)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티자형 연결프레임(44)의 양측 상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55)에 상부 영역이 상부회동핀(56)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레이트(1)의 세로방향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회동 파지레버(57)(5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분사장치(60)는
    상기 후면패널(16)의 요홈부(16a)와 굴곡부(16b) 영역에 분사노즐(61)이 노출되게 삽입 고정되고, 혼합물 연결구(62)와 에어 연결구(63)가 구비된 다수의 제1분사구(64)와;
    상기 회동 파지레버(57)(58)의 내측에 대응되게 장착되고, 단부에 분사노즐(61)이 구비되며, 혼합물 연결구(62)와 에어 연결구(63)가 구비된 제2분사구(65)와;
    상기 제1,2분사구(64)(65)의 혼합물 연결구(62) 및 에어 연결구(63)와 보관케이스(22) 외측에 장착된 호스 릴 장치(69) 사이에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66a)와 외부 에어 공급호스(67a)로써 연결되고, 호스 릴 장치(69)에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66b)와 내부 에어 공급호스(67b)로써 각각 연결되어 혼합물과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보관케이스(22) 상부 내측에 장착된 혼합물탱크(66) 및 에어컴프레셔(6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9. 사각패널(201)과; 사각패널(201)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전면패널(204)과; 사각패널(201) 후면에 고정된 후면패널(205)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202)가 형성되어 벽에 설치된 슬레이트(1)를 흡입력으로써 분리하기 위한 흡착케이스(200);
    상기 흡착케이스(200)의 공간부(202)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1)를 벽으로부터 흡착 분리하는 동시에 유해 물질을 별도 처리하기 위한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10);
    상기 흡착케이스(200)의 사각패널(201) 상부 영역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200)를 수직으로 매달아 상부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흡착케이스 행거장치(220);
    상기 흡착케이스(200)의 사각패널(201) 상하부에 구비되어 흡착케이스(200)의 흡입력으로써 벽면으로부터 흡착 분리된 슬레이트(1)를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장치(230); 및
    상기 흡착케이스(200)의 후면패널(205)과 슬레이트 파지장치(230)의 상,하부회동 파지레버(247)(248)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00)가 내설된 보관케이스(212) 상부에 구비되어, 혼합물을 슬레이트(1)로 분사하여 유해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습식 분사장치(2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205)은
    상기 슬레이트(1)와 동일하게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에는 공간부(202)와 연통되게 다수의 공기 흡착공(205a-1)이 관통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킹부재(206)가 부착되어, 상기 흡착케이스(200)의 흡입력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발생 및 유해물질처리장치(210)는
    상기 흡착케이스(200)의 전면패널(205)에 공간부(202)와 연통되게 구비된 흡입연결구(211)와;
    상기 흡입연결구(211)와 보관케이스(212) 외측에 장착된 호스 릴 장치(270) 사이에 외부흡입호스(213)로써 연결되어 유입물질이 흡입되며, 상기 호스 릴 장치(150)와 내부흡입호스(214)로써 연결되어 유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해 보관케이스(212) 하부 내측에 장착된 헤파필터(215)와;
    상기 헤파필터(215)의 출구측과 연결관(216)으로써 연결되고, 보관케이스(212) 하부 내측에 장착되어 흡착케이스(200)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슬레이트(1)를 흡착시키는 동시에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처리하기 위한 흡입모터(2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케이스 행거장치(220)는
    상기 사각패널(201) 상부에 수평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상부수평프레임(221)과;
    상기 상부수평프레임(221)의 상단에 구비된 안전고리(222)(223)와;
    상기 안전고리(222)(223)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224)와;
    상기 와이어(244)의 중심 부위에 연결되어 호이스트(226)가 연결되는 연결고리(225)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트 파지장치(230)는
    상기 사각패널(201)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하부수직프레임(232)과;
    상기 흡착케이스 행거장치(220)의 상부수평프레임(221) 양측 상부와 하부수직프레임(232)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수직의 슬레이트(1)의 상부 양측과 하부를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슬레이트 파지수단(2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트 파지수단(240)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221)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피스톤로드(243)가 신축 및 신장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에어실린더(241)(242)와;
    상기 상부피스톤로드(243)의 단부에 상단이 상단회동핀(244)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수평프레임(221)의 양측 상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45)에 상부 영역이 상부회동핀(246)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레이트(1)의 상부 양단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상부회동 파지레버(247)(248)와;
    상기 하부수직프레임(23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하부수직연결프레임(234)과;
    상기 하부수직연결프레임(234)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피스톤로드(250)가 신축 및 신장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에어실린더(249)와;
    상기 하부피스톤로드(250)의 단부에 상단이 상단회동핀(25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수직연결프레임(234)의 양측 상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52)에 상부 영역이 상부회동핀(25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레이트(1)의 하단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하부회동 파지레버(2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분사장치(260)는
    상기 후면패널(205)의 요홈부(205a)와 굴곡부(205b) 영역에 분사노즐(261)이 노출되게 삽입 고정되고, 혼합물 연결구(262)와 에어 연결구(263)가 구비된 다수의 제3분사구(264)와;
    상기 상부회동파지레버(247)(248) 및 하부회동파지레버(254)의 내측에 대응되게 장착되고, 단부에 분사노즐(261)이 구비되며, 혼합물 연결구(262)와 에어 연결구(263)가 구비된 제4분사구(265)와;
    상기 제3,4분사구(264)(265)의 혼합물 연결구(262) 및 에어 연결구(263)와 보관케이스(212) 외측에 장착된 호스 릴 장치(270) 사이에 외부 혼합물 공급호스(266a)와 외부 에어 공급호스(268a)로써 연결되고, 호스 릴 장치(270)에 내부 혼합물 공급호스(266b)와 내부 에어 공급호스(268b)로써 각각 연결되어 혼합물과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보관케이스(212) 상부 내측에 장착된 혼합물탱크(266) 및 에어컴프레셔(26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KR1020120140079A 2012-12-05 2012-12-05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KR10128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79A KR101280927B1 (ko) 2012-12-05 2012-12-05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79A KR101280927B1 (ko) 2012-12-05 2012-12-05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927B1 true KR101280927B1 (ko) 2013-07-05

Family

ID=4899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079A KR101280927B1 (ko) 2012-12-05 2012-12-05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9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698B1 (ko) 2015-03-13 2015-09-25 (주)경진디에스 합판 제조용 분진처리장치
KR20150137401A (ko) * 2014-05-29 2015-12-09 최재형 지붕작업장치
KR102221076B1 (ko) * 2020-07-27 2021-02-25 정종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9547A (ja) 2006-09-13 2008-03-27 Yasuhiro Sakakibara 石綿回収装置
JP4170368B1 (ja) 2007-07-09 2008-10-22 矢馬ピー.イー.エム株式会社 小規模アスベスト施工面のアスベスト除去方法
KR20100071518A (ko) * 2008-12-19 2010-06-29 김성주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지붕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160458B1 (ko) 2010-11-02 2012-06-27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9547A (ja) 2006-09-13 2008-03-27 Yasuhiro Sakakibara 石綿回収装置
JP4170368B1 (ja) 2007-07-09 2008-10-22 矢馬ピー.イー.エム株式会社 小規模アスベスト施工面のアスベスト除去方法
KR20100071518A (ko) * 2008-12-19 2010-06-29 김성주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지붕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160458B1 (ko) 2010-11-02 2012-06-27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401A (ko) * 2014-05-29 2015-12-09 최재형 지붕작업장치
KR101589375B1 (ko) * 2014-05-29 2016-01-27 최재형 지붕작업장치
KR101555698B1 (ko) 2015-03-13 2015-09-25 (주)경진디에스 합판 제조용 분진처리장치
KR102221076B1 (ko) * 2020-07-27 2021-02-25 정종한 석면판넬 방음벽 해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0701A (en) Portable decontamination unit for spot abatement of asbestos or similar contaminants
KR101280927B1 (ko)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US20180355625A1 (en) Work gondola
US4883512A (en) Portable isolation enclosure
KR101160458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US6973997B2 (en) Pollution containment apparatus for making a penetration in a ceiling or wall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KR101263142B1 (ko)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16211185A (ja) 作業用ゴンドラ
KR101160459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WO2007105755A1 (ja) 石綿含有建材の除去システム、石綿含有建材の除去作業装置
KR20120003419A (ko) 원격 조종에 의한 고층건물의 외벽 자동 도색 장치
JP5432303B2 (ja) 加工装置
JP5136353B2 (ja) 被覆材除去装置及び被覆材除去方法
JP2009235838A (ja) アスベスト除去装置
JP2009109421A (ja) 原子力発電所の使用済燃料プール内の清掃方法と清掃装置
KR101033312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 방법
US20110168486A1 (en) Fall-arresting system
KR101533921B1 (ko) 천정형 에어컨 실내기 세척용 오염수 비산방지 장치
KR101662793B1 (ko) 석면함유건축자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식 보양틀
JP2003176911A (ja) 煙突解体装置及び煙突解体方法
KR101263586B1 (ko) 무인 석면 봉합 처리시스템 및 그 공법
CN110978748B (zh) 一种大型承印物的自动化丝印方法
AU2020100156A4 (en) Containment Unit
KR102322464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및 작업방법
JP2004083225A (ja) 床石ハンドリング装置と床石の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