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142B1 -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142B1
KR101263142B1 KR1020120111737A KR20120111737A KR101263142B1 KR 101263142 B1 KR101263142 B1 KR 101263142B1 KR 1020120111737 A KR1020120111737 A KR 1020120111737A KR 20120111737 A KR20120111737 A KR 20120111737A KR 101263142 B1 KR101263142 B1 KR 10126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scattering
wetting
wetting agent
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환
Original Assignee
구형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형건설(주) filed Critical 구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2011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의 기둥과, 다수의 상기 기둥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보를 구비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양측에 결합하며 상기 보에 걸치는 작업판과, 상기 지지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상기 기둥 사이에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가새와,상기 지지대와 상기 가새의 외부에 설치되며 비산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막을 구비하는 석면 비산 방지 비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Asbestos Tex Remo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넓고 높은 천장에 설치된 석면이 함유된 텍스를 제거할 때 발생하는 석면의 분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면은 호흡기를 통해 폐에 침입함으로써 유발되는 석면폐증, 중피종, 폐암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이 밝혀져있다. 그리고, 사무실과 같은 건축물은 통상 '텍스'라고 불리는 천장 마감재의 경우 백석면, 펄프와 시멘트, 석고 등을 압축하여 만든 석면 텍스를 볼트로 천장 구조물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석면 텍스를 철거할 때는 볼트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텍스를 천장 구조물에서 철거할 때 스크류 드라이버가 설치된 전동 스크류 드릴 등을 이용하여 텍스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볼트를 끼우고 천장 구조물에서 철거하게 되는데, 이때 텍스에서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해 분진은 방진 마스크를 통하여 미세 분진이 작업자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작업자에게 해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 후에도 미세 분진과 석면 분진이 오래도록 남아 있게 되어 그 공간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넓고 높은 천장이 있는 작업장의 천장에 형성된 석면 텍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비계를 설치하고 비계 외부로 비산하는 석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중에 비산하는 석면과 석면 텍스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고 내부에서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장에 석면 텍스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철물을 제거하여 석면 텍스가 분해되지 않고 처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의 기둥과, 다수의 상기 기둥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보를 구비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양측에 결합하며 상기 보에 걸치는 작업판과, 상기 지지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상기 기둥 사이에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가새와,상기 지지대와 상기 가새의 외부에 설치되며 비산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막을 구비하는 석면 비산 방지 비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은 상기 기둥의 내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비산 방지막을 천장에 닿게 하기 위한 보조기둥과, 상기 보조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천장으로 습윤제를 분무하는 분무장치와, 상기 분무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기둥과 상기 보조기둥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습윤제가 이동하는 습윤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습윤통로는 상기 습윤제가 이동하는 습윤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상기 작업판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하며 상기 작업자가 상부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 아래에서 상기 지지대에 결합하며 습윤탱크, 흡입탱크를 상부에 올릴 수 있는 고정선반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발판은 상기 습윤제에 의하여 고체화된 상기 석면이 하부로 통과하도록 매쉬로 형성된 슬라브와, 상기 슬라브를 통과한 상기 석면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각 측면이 중심을 향하여 하부로 경사를 유지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한 곳으로 모인 상기 석면이 수거되는 석면수거주머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브는 상기 천장에서 철거한 석면 텍스를 분해하지 않고 상기 수거부로 전달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기 석면수거주머니를 고정하며 상기 석면 텍스를 하부로 전달하는 수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는 상부로 상승하기 위한 유압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는 석면 텍스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철물을 유압에 의하여 공이를 돌출시켜 제거하는 철거공구와, 상기 철거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석면 텍스를 해체할 때 상기 석면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철거공구가 삽입될 때 상기 철거공구가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된 공구삽입부와,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하여 습윤제를 상기 본체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한 습윤제에 의하여 비산하는 석면을 응집시켜 흡입하는 흡입부를 구비하는 석면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석면 텍스 철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에서 원주가 작아지며 원뿔형으로 연장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판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접하는 작업면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케이스는 탄성이 낮은 폴리우레탄, 라텍스,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어 습윤호스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 유입되는 습윤제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상승하는 다수의 습윤가이드와, 상기 습윤가이드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 내부로 상기 습윤제를 분사하는 분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석면 텍스 철거 장치는 상기 습윤제를 저장하는 습윤탱크와, 상기 습윤탱크에 저장된 상기 습윤제에 의하여 응집된 상기 석면을 흡입하는 흡입탱크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습윤탱크와 상기 흡입탱크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방법은 (a)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지지대를 세우는 단계; (b) 상기 지지대에 작업판을 결합하고 반대 측면에 다른 지지대를 결합하는 단계; (c) 서로 대응하는 지지대의 기둥에 가새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작업판 위에 습윤탱크와 압축기와 흡입탱크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작업판의 호퍼 하부에 석면수거주머니를 고정하는 단계; (f)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가새의 외부에 비산방지막을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압축기와 상기 습윤탱크의 습윤호스를 상기 기둥의 습윤제인입구와 상기 석면 제거 장치의 분사부에 결합하는 단계; (h) 상기 흡입탱크의 흡입호스를 상기 석면 제거 장치의 흡입부에 결합하는 단계; (i) 작업자가 상기 작업판 위로 올라가는 단계; (j) 상기 비산방지막의 상측 제동부를 보조기둥의 고정고리에 결합하는 단계; (k) 상기 보조기둥을 천장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l) 상기 석면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석면 텍스의 고정철물을 제거하는 단계; (m) 상기 석면 텍스를 철거하여 상기 작업판의 상기 석면수거주머니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면 텍스는 상기 작업판의 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석면 텍스를 분해하지 않고 상기 석면수거주머니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석면 텍스 제거 장치는 비산방지막으로 내부가 밀봉된 석면 비산 방지 비계를 사용하여 석면 데크를 해체하므로 석면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석면 텍스 제거 장치는 석면 텍스를 제거할 때 습윤제를 분포하여 비산하는 석면을 응집시켜 매쉬로 형성된 발판을 통과해 석면수거주머니로 수거될 수 있으며 해체한 석면 데크를 발판의 개구부를 통해 석면수거주머니로 분해하지 않고 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석면 텍스 제거 장치는 철거공구의 공이를 이용하여 석면 데크의 고정철물을 제거하며 석면 제거 장치로 석면을 흡입하므로 석면 데크를 편리하게 철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지지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기둥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작업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비산방지막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텍스 철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석면 텍스 철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공구를 사용하여 석면 텍스를 해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에 유압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윤탱크와 흡입탱크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는 석면 텍스(10)를 천장에 고정하는 고정철물(30)을 제거하기 위한 석면 텍스 철거 장치(2000)와 석면 텍스(10)를 해체할 때 비산하는 석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를 구비한다.
상기 석면 텍스 제거 장치는 지하철이나 군대 막사 등과 같이 넓은 지역의 천장에 설치한 석면 텍스(10)를 제거할 수 있다. 지하철이나 군대 막사는 넓은 지역에 석면 텍스(10)가 설치되어 있어서 벽면에 석면이 외부로 방지할 수 있는 천막이나 비닐을 설치한다고 해도 석면이 비산하여 작업자(1)에게 석면의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석면 텍스 철거 장치(2000)는 석면으로 형성된 석면 텍스(10)가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못 등의 고정철물(30)을 제거하기 위한 철거공구(2100)와 상기 철거공구(2100)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철물(30)이 제거될 때 발생하는 석면이 상기 석면 텍스 철거 장치(2000)를 사용하는 작업자(1)에게 떨어지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석면 제거 장치(2200)를 구비한다.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는 상기 석면 텍스 철거 장치(2000)에 의하여 석면 텍스(10)의 고정출물을 제거하여 석면 텍스(10)를 천장에서 해체할 때 비산하는 석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는 천장에서 해체한 석면 텍스(10)를 석면을 폐기할 때 사용하는 석면수거주머니(1230)에 바로 투입하므로 석면 텍스(10)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석면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천장에서 석면 텍스(10)를 해체하는 작업을 하고 석면 텍스(10)를 다시 석면수거주머니(1230)에 넣는 이중작업을 하지 않는 편의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지지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기둥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작업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비산방지막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는 다수의 기둥(1110)과, 다수의 보(1120)를 구비하는 지지대(1100)와 작업판(1200)과 가새(1300)와 비산지막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1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의 기둥(1110)과, 다수의 상기 기둥(1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보(11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를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을 결합하였을 때 상기 지지대(1100)의 외부에 상기 비산방지막(14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둥(1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1110)의 내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비산 방지막을 천장에 닿게 하기 위한 보조기둥(1111)과, 상기 보조기둥(1111)의 상부에는 천장으로 습윤제(20)를 분무하는 분무장치(1112)와, 상기 분무장치(1112)와 연결되며 상기 기둥(1110)과 상기 보조기둥(111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습윤제(20)가 이동하는 습윤통로(111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둥(1110)의 하부에는 습윤통로(1114)로 습윤제(20)를 투입하는 습윤제인입구(1113)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기둥(1111)은 상기 기둥(1110)의 상부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둥(1111)의 상부에는 석면 텍스(10)를 제거할 때 비산하는 석면을 응집시키기 위한 분무장치(11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기둥(1111)은 상기 기둥(111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를 결합한 후 천장까지 상기 비산방지막(1400)을 상부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둥(1111)의 내부에는 습윤제(20)가 이동하여 상기 분무장치(1112)로 습윤제(20)를 분무할 수 있도록 습윤통로(11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무장치(1112)는 작업자(1)가 석면 텍스(10)를 천장에 지지하는 고정철물(30)을 제거한 뒤 석면 텍스(10)를 해체할 때 비산하는 석면을 응집시켜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하락하도록 습윤제(20)를 분무한다. 일반적으로 석면이 비산하는 것은 작업자(1)의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작업자(1)의 몸속으로 들어가 폐질환이나 암 등을 유발시킨다. 그러므로 석면 해체 작업을 할 때는 습윤제(20)를 공기 중에 분사하여 비산하는 석면을 응집시키며 작업을 한다. 하지만, 비산하는 석면을 향하여 습윤제(20)를 분사할 때 작업장이 넓으면 습윤제(20)에 의하여 응집되지 않는 석면이 대다수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 내부에서 외부로 석면이 방출되지 않게 하여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 내부에 습윤제(20)를 분무하여 눈에 보이지 않은 석면이 외부로 방출되기 전에 습윤제(20)로 응집시켜 처분하여야 한다. 상기 분무장치(1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의 기둥(1110)마다 구비되어 있어서 비산하는 석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응집시켜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하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습윤통로(1114)는 기둥(1110)과 보조기둥(1111) 내부에서 상기 습윤제(20)가 하부의 습윤탱크(4000)에서 이동하여 보조기둥(1111) 상부의 분무장치(1112)까지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상기 습윤통로(1114)는 고무 또는 철제 등의 호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기둥(1111)이 천장까지 상승할 때 상기 습윤호스(5000)도 보조기둥(1111)과 동일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윤통로(1114)는 기둥(1110)의 하부에 형성된 습윤제인입구(1113)에서 습윤제(20)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습윤제인입구(1113)는 기둥(1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둥(1110) 외부에 커플러(111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커플러(1116)는 압축기(3000)에서 연장되는 호스의 끝단에 구비된 커플러(1116)와 결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윤탱크(4000)의 습윤제(20)를 압축기(3000)에서 공급하는 습윤제(20)를 상기 습윤제인입구(1113)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1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윤탱크(4000)의 습윤제(20)를 압축기(3000)에서 공급하여 각각의 기둥(1110)으로 습윤제(20)를 동시에 공급하여 보조기둥(1111) 상부의 분무장치(1112)에서 동시에 습윤제(20)를 분무할 수 있다.
상기 기둥(1110)의 하부와 상기 보조기둥(1111)의 상부에는 상기 비산방지막(140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고리(1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둥(1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1115b)는 상기 비산방지막(1400)이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폐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보조기둥(1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1115a)는 상기 비산방지막(1400)이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비산방지막(1400)을 분리하기 편리하도록 상부가 열려있고 하부만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보(1120)는 다수의 상기 기둥(1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보(1120)는 상기 작업판(1200)이 걸릴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1120)는 상기 작업자(1)가 상기 작업판(1200)으로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 역할을 하기 위하여 등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보(1120)는 상기 기둥(111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자(1)가 작업판(1200) 위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1120)가 상기 기둥(1110)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둥(1110) 중간에 결합된 상기 보(1120)는 양측의 기둥(1110)과 기둥(1110)을 연결하지 않고 양측의 기둥(1110)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기둥(1110) 사이에 작업자(1)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판(1200)은 상기 지지대(1100)에 결합하며 작업자(1)가 상부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발판(1210)과, 상기 발판(1210) 아래에서 상기 지지대(1100)에 결합하며 습윤탱크(4000), 흡입탱크(6000)를 상부에 올릴 수 있는 고정선반(12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판(1200)은 상기 지지대(1100)의 보(1120)에 걸치기 위한 결합고리(1213)를 양측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판(1210)은 상기 습윤제(20)에 의하여 고체화된 상기 석면이 하부로 통과하도록 매쉬로 형성된 슬라브(1211)와, 상기 슬라브(1211)를 통과한 상기 석면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각 측면이 중심을 향하여 하부로 경사를 유지하는 호퍼(1212)와, 상기 호퍼(1212)를 통해 한 곳으로 모인 상기 석면이 수거되는 석면수거주머니(1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브(1211)는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의 각각의 구성들을 결합한 후 상기 석면 텍스(10)를 제거할 때 비산하는 석면이 하부로 내려왔을 때 통과되도록 다수의 홀을 구비하는 매쉬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의 내부에서 석면 텍스(10)를 제거할 때 비산하는 석면을 분무장치(1112)에서 분무하는 습윤제(20)에 의하여 응집시키면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하락할 수 있다. 이때, 응집된 석면이 발판(1210)에 쌓이게 되면 석면에 혼합된 습윤제(20)가 마르게 되어 석면이 다시 비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판(1210)을 다수의 홀이 구비된 매쉬로 형성하여 습윤제(20)에 의하여 응집된 석면이 하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브(1211)는 작업자(1)의 무게를 견디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브(1211)의 이동을 위하여 다수로 분리되어 조립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브(1211)의 면 내부에는 개구부(1217)가 구비되어 있어서 천장에서 제거한 석면 텍스(10)를 분해하지 않고 슬라브(1211)를 통과해서 아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호퍼(1212)는 상기 슬라브(1211)의 하부에서 상기 슬라브(1211)를 통과한 습윤제(20)에 의하여 응집된 석면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상기 호퍼(1212)의 각 측면이 중심을 향하여 하부로 경사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호퍼(1212)는 하부로 모이는 피라미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피라미드 형상과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슬라브(1211)를 고정하는 고정턱(1216)을 구비하며 상기 호퍼(1212)의 측면에는 결합고리(1213)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대(1100)의 보(1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1212)의 하부에는 호퍼(1212)의 경사면을 통해 응집된 석면이 하부로 전달되는 수거부(12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1214)의 하단에는 석면수거주머니(1230)를 걸었을 때 상기 석면수거주머니(12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턱(12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거부(1214)는 상기 슬라브(1211)의 개구부(1217)를 통해 전달되는 석면 텍스(10)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석면수거주머니(1230)는 석면 폐기물을 담을 수 있는 석면 전용 수거 주머니로 상기 호퍼(1212)의 고정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면수거주머니(1230)는 상기 슬라브(1211)의 개구부(1217)와 호퍼(1212)의 수거부(1214)를 통해 전달되는 다수의 석면 텍스(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석면수거주머니(1230)에 상기 석면 텍스(10) 또는 응집된 석면을 전달하거나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를 이동할 때 석면수거주머니(1230)가 흔들리지 않도록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새(1300)는 상기 작업판(1200)의 양측에 결합된 지지대(1100)가 중심을 잡고 수직으로 서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판(1200)의 양측에 결합된 지지대(1100)의 기둥(1110)에 교차하여 결합한다. 상기 가새(1300)는 대응하는 지지대(1100)의 기둥(1110) 사이에 교차하여 결합되며 상기 기둥(1110)의 측면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막(1400)은 천막이나 비닐로 형성된 비산방지부(1420)와 상기 비산방지부(1420)를 말거나 펼칠 수 있는 제동부(141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1410)는 상기 비산방지부(1420)의 상하 끝 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동부(1410)에는 상기 비산방지부(1420)가 말려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하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동부(1410)를 펼치면 상기 비산방지부(1420)가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부(1410)에는 스프링과 걸림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힘을 가해서 상기 제동부(1410)의 간격을 벌리면 비산방지부(1420)가 펼쳐지지만 힘을 가했던 제동부(1410)에 힘을 빼면 상기 제동부(1410)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제동부(1410)가 회전을 하여 상기 비산방지부(1420)가 상기 제동부(1410)에 말리게 된다.
상기 비산방지막(1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부(1410)가 상기 기둥(1110)의 고정고리(1115b)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고리(1115b)는 상기 제동부(1410)에서 상기 비산방지부(1420)가 걸리지 않는 부위를 고정하여 상기 비산방지부(1420)가 펼쳐질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기둥(1111)에 구비된 고정고리(1115a)와 상기 기둥(1110) 하부에 고정된 고정고리(1115b)에 상기 제동부(1410)가 각각 고정되므로 상기 보조기둥(1111)을 상부로 상승하면 상기 제동부(1410)간의 거리가 벌어지면서 상기 비산방지부(1420)가 펼쳐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의 기둥(1110)에는 바퀴(1130)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텍스 철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석면 텍스 철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공구를 사용하여 석면 텍스를 해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텍스 철거 장치(2000)는 석면 텍스(10)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철물(30)을 제거하는 철거공구(2100)와 비산하는 석면을 제거하는 석면 제거 장치(2200)를 구비한다.
상기 철거공구(2100)는 압력 또는 전기를 활용하여 공이(2110)를 외부로 순간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철거공구(2100)에서 돌출되는 공이(2110)의 순간적인 힘으로 상기 석면 텍스(10)를 천장에 고정하는 못이나 나사 등의 고정철물(30)의 머리 부분에 타격을 가하여 상기 고정철물(30)이 석면 텍스(10)를 뚫고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고정철물(30)을 석면 텍스(1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철거공구(2100)에는 압축기(3000)에 의하여 에어를 활용하여 공이(2110)를 돌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기를 활용하는 모터를 사용하여 공이(2110)를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이(2110)는 고정철물(30)의 머리 부분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철물(30) 이외의 석면 텍스(10)를 파괴하여 석면이 비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석면 제거 장치(2200)는 내부 공간이 보이는 투명한 재질의 본체(2300)와, 습윤제(20)를 분사하는 분사부(2500)와, 철거공구(2100)를 삽입하는 공구삽입부(2400)와, 석면을 흡입하는 흡입호스(2610)와 결합하는 흡입부(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3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2310)와, 상기 상부케이스(2310)의 하단에서 원주가 작아지며 원뿔형으로 연장되는 하부케이스(2320)와, 상기 하부케이스(232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판(2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2300)는 철거공구(2100)를 삽입하였을 때 작업할 위치와 고정철물(30) 등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310)의 상단에는 탄성이 낮은 폴리우레탄, 라텍스,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된 탄성케이스(2700)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2300)와 접하는 작업면의 형상에 따라 탄성케이스(270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결 형상의 슬레이트나 높낮이가 다른 텍스플레이트에 본체(2300)의 상단과 접하게 하여 철거공구(2100)를 작동시킨다. 철거공구(2100)를 작동시킬 때 발생하는 석면이나 미세한 분진이 발생하는데, 물결 형상의 슬레이트나 높낮이가 다른 텍스에 본체(2300)의 상단을 접할 때 본체(2300)의 상단이 탄성이 없는 재질일 경우에 틈이 발생하게 되면 석면이나 미세한 분진이 틈으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2300)의 상단을 탄성이 낮은 라텍스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면 하부에서 작은 힘을 가해도 탄성케이스(2700)와 접하는 작업면의 형상에 따라 탄성케이스(2700)의 형상이 변하여 틈을 없앨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320)는 상기 상부케이스(2310)의 하단에서 원주가 작아지며 원뿔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320)는 원형이나 일 측면이 경사지게 하여 본체(2300)의 내부 측면의 석면이나 분진이 하부케이스(2320) 아래로 내려올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32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판(2330)은 상기 하부케이스(2320)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2330)에는 철거공구(2100)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본체(2300) 내부의 석면이나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500)는 습윤호스(5000)와 결합하는 결합부(2520)와, 습윤제(20)가 본체(2300)의 내부로 상승하는 다수의 습윤가이드(2510)와, 본체(2300) 내부로 상기 습윤제(20)를 분사하는 분무장치(1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20)는 상기 본체(2300) 하부의 고정판(2330)에 형성되어 습윤호스(50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20)는 커플러(1116) 등과 같이 부속철물을 사용하여 습윤호스(50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습윤가이드(2510)는 상기 결합부(2520)를 통하여 본체(2300) 내부로 유입된 습윤제(20)가 상부의 다수 구비된 분사구로 이동하는 가이드통로이며, 상기 습윤가이드(2510)는 고정판(2330)에서 상기 본체(2300)의 측면을 따라 다수의 분사구로 각각 이동하는 가이드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분무장치(1112)는 다수의 분사구에 구비되어 석면을 응집시키기 위하여 습윤가이드(2510)를 통하여 전달된 습윤제(20)를 분무한다.
상기 공구삽입부(2400)는 상기 본체(2300)의 고정판(2330)과 결합하며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구삽입부(2400)는 주름관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공구삽입부(2400)에 철거공구(2100)를 삽입하였을 때 철거공구(2100)가 사방으로 움직이거나 철거공구(2100)를 상기 본체(2300) 내부로 밀어 넣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구삽입부(240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철거공구(2100)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작업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철거공구(2100)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면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정철물(30)를 제거해야 하는데 고정철물(30)이 깊이 들어가 있거나 돌출될 수 있다. 그런데, 철거공구(2100)가 삽입된 공구삽입부(2400)가 플라스틱 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면 고정철물(30)이 깊이 들어가 있을 경우에 철거공구(2100)가 고정철물(30)에 닿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고정철물(30)이 돌출되어 있으면 철거공구(2100)가 공구삽입부(2400)와 밀착되지 않으므로 작업중에 석면 제거 장치(2200)가 흔들리거나 아래로 움직이게 되어 석면 제거 장치(2200)와 작업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석면 제거 장치(2200)와 작업면 사이의 틈으로 석면의 분진이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구삽입부(2400)를 주름관으로 형성하면 철거공구(2100)를 상기 본체(230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주름관은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철거공구(2100)를 사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면의 고정철물(30)이 마모가 되거나 고정철물(30)이 작업면에 삽입된 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철물(30)이 작업면에 삽입된 각도가 15도라면 고정철물(3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철거공구(2100)도 고정철물(30)와 일직선이 되도록 15도를 기울여 고정철물(30)를 제거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정철물(30)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어서 고정철물(30)를 제거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공구삽입부(2400)가 플라스틱 등과 같이 철거공구(2100)를 일직선으로 고정하는 재질을 사용하면 철거공구(2100)를 사방으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철거공구(2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공구삽입부(2400)와 결합되는 고정판(2330)은 탄성이 낮은 고무재질로 홈이 형성되어 공구삽입부(2400)를 통해 철거공구(2100)를 상기 본체(2300)에 삽입하였을 때 철거공구(2100)가 삽입된 공간으로 석면이 방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공구삽입부(2400)는 탄성이 낮은 고무재질의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철거공구(2100)를 삽입하면 탄성이 낮은 고무재질인 원통형이 늘어나서 철거공구(2100)와 밀착한 상태로 철거공구(2100)를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부(2600)는 상기 본체(2300)의 고정판(2330)에 형성된 흡입구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2600)는 커플러(1116)를 사용하여 흡입호스(261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2600)는 상기 분사부(2500)에서 분무한 습윤제(20)에 의하여 응집된 석면이나 미세한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1110에서는 기둥(1110)과 보(1120)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1100)를 대응되도록 세운다.
단계 1120에서는 단계 1100에서 대응되도록 세운 지지대(1100)의 사이에 작업판(1200)의 결합고리(1213)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고리(1213)가 결합되는 상기 호퍼(1212) 위에 상기 발판(121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호퍼(1212)의 하부에 작업판(1200)의 고정선반(1220)을 지지대(1100)의 사이에 결합시킨다.
단계 1130은 지지대(1100)의 기둥(1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세운 지지대(1100)의 기둥(1110) 사이에 교차하도록 가새(1300)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1100)가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1140에서는 단계 1120에서 지지대(1100)의 사이에 결합한 작업판(1200)의 고정선반(1220) 위에 습윤탱크(4000)와 압축기(3000)와 흡입탱크(600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설치한다.
단계 1150은 단계 1120에서 지지대(1100)의 사이에 결합한 호퍼(1212)의 하부에 형성된 수거부(1214)에 석면수거주머니(1230)를 설치하여 상기 석면수거주머니(123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단계 1160은 지지대(1100)의 기둥(1110) 하부에 형성된 고정고리(1115b)에 비산방지막(1400)의 하측 제동부(1410)를 고정하여 지지대(1100)와 가새(1300)의 외부에 비산방지막(1400)이 설치되도록 한다.
단계 1170은 단계 1140에서 설치한 압축기(3000)와 습윤탱크(4000)의 호스를 지지대(1100)의 기둥(1110)에 형성된 습윤제인입구(1113)와 상기 석면 제거 장치(2200)의 분사부(2500)에 결합하여 습윤제(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1180은 단계 1140에서 설치한 흡입탱크(6000)의 호스를 상기 석면 제거 장치(2200)의 흡입부(2600)에 결합하여 상기 석면 제거 장치(2200) 내부에 발생하는 석면을 흡입할 수 있다.
단계 1190은 작업자(1)가 지지대(1100)의 보(1120)를 사다리로 활용하여 작업판(1200)의 발판(1210) 위로 올라간다.
단계 1200은 단계 1160에서 기둥(1110) 하부에 형성된 고정고리(1115b)에 고정한 비산방지막(1400)의 상측 제동부(1410)를 들어올려 보조기둥(1111) 상부에 형성된 고정고리(1115a)에 고정한다.
단계 1210은 단계 1200에서 비산방지막(1400)을 고정한 보조기둥(1111)을 작업장의 천장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단계 1220에서는 작업자(1)가 석면 제거 장치(2200)를 철거공구(2100)에 삽입하여 석면 텍스(10)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철물(30)을 철거공구(2100)의 공이(2110)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단계 1230은 단계 1220에서 고정철물(30)을 제거하여 천장에서 분리되는 석면 텍스(10)를 분해하지 않고 발판(1210)의 개구부(1217)와 호퍼(1212)의 수거부(1214)를 통하여 석면수거주머니(1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에 유압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의 지지대(1100)를 구성하는 기둥(1110)의 하부에 유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는 천장이 높은 지하철, 창고 등의 석면 텍스(10)를 제거하기 위하여 보조기둥(1111)을 상부로 상승시킨다. 하지만, 보조기둥(1111)을 상부로 상승시킨다 하여도 작업판(1200)의 위치가 처음 작업장에서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를 조립한 위치이므로 작업을 하다 천장이 높은 곳은 작업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10)마다 유압장치를 설치하여 작업판(1200)까지 상부로 상승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압장치는 에어를 이용하여 상부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유압장치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2330) 위에 설치한 압축기(3000)를 사용하여 유압장치에 에어를 공급하여 유압장치를 상부로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장치는 에어를 방출하여 상기 기둥(1110)을 하부로 하락 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윤탱크와 흡입탱크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의 습윤탱크(4000)와 흡입탱크(6000)는 상기 습윤탱크(4000)는 저장되어 있는 습윤제(20)를 상기 본체(2300)와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1000)의 기둥(1110)으로 전달하는 습윤호스(5000)와, 상기 습윤탱크(4000)를 조작하는 조작부(7000)를 구비한다. 상기 습윤호스(5000)의 끝단에는 커플러(1116)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본체(2300)의 분사부(2500)와 상기 기둥(1110)의 습윤제인입구(1113)에 구비된 커플러(1116)와 결합한다. 그리고, 조작부(7000)는 상기 습윱탱크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하면 압축기(3000)에 의하여 습윤탱크(40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습윤호스(5000)로 습윤제(20)를 전달한다.
상기 흡입탱크(6000)는 상기 본체(2300) 내부에서 철거공구(2100)로 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석면이 습윤제(20)에 의하여 응집되어 고정판(2330)으로 내려온 것을 흡입하는 흡입호스(2610)와, 상기 흡입호스(2610)에 의하여 전달되는 석면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흡입호스(2610)의 끝단에는 커플러(1116)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본체(2300)의 흡입부(2600)에 구비된 커플러(1116)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장치는 흡입호스(2610)에 의하여 흡입된 석면이 저장되며, 상기 저장장치에는 석면 등과 같은 폐기물을 담는 전용봉투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윤탱크(4000)와 상기 흡입탱크(6000)를 결합하면 하나의 조작장치로 습윤제(20)를 분무하여 응집된 석면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윤탱크(4000)와 상기 흡입탱크(6000)를 결합한 장치는 사용자가 작업자세에서 손이나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작부(70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윤탱크(4000)와 흡입탱크(6000)를 별도로 분리하여 조작을 하면 철거공구(2100)를 사용하여 고정철물(30)를 제거하는 등의 간단한 작업을 할 때 번거로워진다. 그러므로, 상기 습윤탱크(4000)와 상기 흡입탱크(6000)를 일체화시켜 철거공구(2100)를 작동하기 전에 조작부(7000)를 발로 밟는 등의 간단한 조작으로 철거공구(2100)를 사용하면서 석면 텍스(10)의 고정철물(30)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작업자 10: 석면 텍스
20: 습윤제 30: 고정철물
1000: 석면 비산 방지 비계 1100: 지지대
1110: 기둥 1111: 보조기둥
1120: 보 1200: 작업판
1210: 발판 1220: 고정선반
1230: 석면수거주머니 1300: 가새
1400: 비산방지막 2000: 석면 텍스 철거 장치
2100: 철거공구 2200: 석면 제거 장치
2300: 본체 2400: 공구삽입부
2500: 분사부 2600: 흡입부
2700: 탄성케이스 3000: 압축기
4000: 습윤탱크 5000: 습윤호스
6000: 흡입탱크 7000: 조작부

Claims (17)

  1.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의 기둥과, 다수의 상기 기둥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보를 구비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양측에 결합하며 상기 보에 걸치는 작업판과,
    상기 지지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상기 기둥 사이에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가새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가새의 외부에 설치되며 비산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막을 구비하는 석면 비산 방지 비계를 구비하고,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상기 작업판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하며 상기 작업자가 상부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 아래에서 상기 지지대에 결합하며 습윤탱크, 흡입탱크를 상부에 올릴 수 있는 고정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의 발판은 습윤제에 의하여 고체화된 상기 석면이 하부로 통과하도록 매쉬로 형성되고 상기 작업자의 무게를 견디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는 슬라브와,
    상기 슬라브를 통과한 상기 석면이 한 곳으로 모이도록 각 측면이 중심을 향하여 하부로 경사를 유지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한 곳으로 모인 상기 석면이 수거되는 석면수거주머니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브는 천장에서 철거한 석면 텍스를 분해하지 않고 상기 석면수거주머니로 전달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석면 비산 방지 비계는 상부로 상승하기 위한 유압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텍스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기둥의 내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비산 방지막을 천장에 닿게 하기 위한 보조기둥과,
    상기 보조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천장으로 습윤제를 분무하는 분무장치와,
    상기 분무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기둥과 상기 보조기둥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습윤제가 이동하는 습윤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텍스 제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통로는 상기 습윤제가 이동하는 습윤호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텍스 제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석면수거주머니를 고정하며 상기 석면 텍스를 하부로 전달하는 수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텍스 제거 장치.
  8. 삭제
  9. 석면 텍스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철물을 유압에 의하여 공이를 돌출시켜 제거하는 철거공구와,
    상기 철거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석면 텍스를 해체할 때 상기 석면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철거공구가 삽입될 때 상기 철거공구가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된 공구삽입부와,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하여 습윤제를 상기 본체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한 습윤제에 의하여 비산하는 석면을 응집시켜 흡입하는 흡입부를 구비하는 석면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석면 텍스 철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에서 원주가 작아지며 원뿔형으로 연장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접하는 작업면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케이스는 탄성이 낮은 폴리우레탄, 라텍스,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의 고정판에 형성되어 습윤호스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 유입되는 습윤제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상승하는 다수의 습윤가이드와, 상기 습윤가이드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 내부로 상기 습윤제를 분사하는 분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텍스 제거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 텍스 철거 장치는 상기 습윤제를 저장하는 습윤탱크와,
    상기 습윤탱크에 저장된 상기 습윤제에 의하여 응집된 상기 석면을 흡입하는 흡입탱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텍스 제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탱크와 상기 흡입탱크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텍스 철거 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20111737A 2012-10-09 2012-10-09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26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737A KR101263142B1 (ko) 2012-10-09 2012-10-09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737A KR101263142B1 (ko) 2012-10-09 2012-10-09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142B1 true KR101263142B1 (ko) 2013-05-15

Family

ID=4866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737A KR101263142B1 (ko) 2012-10-09 2012-10-09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1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822B1 (ko) 2015-12-02 2016-10-10 (주)가디언 천장패널 철거장치
KR20170091057A (ko) * 2017-04-04 2017-08-08 조영환 석면 철거 공법
JP2018076696A (ja) * 2016-11-09 2018-05-17 株式会社大林組 繊維状物質含有セメント系部材の除去方法
KR101961749B1 (ko) * 2017-12-29 2019-03-25 대박종합기술 주식회사 비산석면 포집 및 방지 해체 작업장치
KR20190104082A (ko) * 2018-02-28 2019-09-06 이천헌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KR20200000408U (ko) * 2018-08-10 2020-02-20 서울특별시 종로구 고소작업대
KR102465641B1 (ko) 2022-04-07 2022-11-11 (주)삼육오컴퍼니 분진 비산 방지 천정 패널 해체 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576A (ja) * 2006-08-03 2008-02-21 Shinyo Sangyo Kk アスベスト等の無塵埃剥離撤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576A (ja) * 2006-08-03 2008-02-21 Shinyo Sangyo Kk アスベスト等の無塵埃剥離撤去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822B1 (ko) 2015-12-02 2016-10-10 (주)가디언 천장패널 철거장치
JP2018076696A (ja) * 2016-11-09 2018-05-17 株式会社大林組 繊維状物質含有セメント系部材の除去方法
KR20170091057A (ko) * 2017-04-04 2017-08-08 조영환 석면 철거 공법
KR101939897B1 (ko) * 2017-04-04 2019-01-17 조영환 비산먼지 제거액 및 비닐보양제를 이용한 석면 철거 공법
KR101961749B1 (ko) * 2017-12-29 2019-03-25 대박종합기술 주식회사 비산석면 포집 및 방지 해체 작업장치
KR20190104082A (ko) * 2018-02-28 2019-09-06 이천헌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KR102129163B1 (ko) * 2018-02-28 2020-07-03 이천헌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KR20200000408U (ko) * 2018-08-10 2020-02-20 서울특별시 종로구 고소작업대
KR200491882Y1 (ko) * 2018-08-10 2020-07-09 서울특별시 종로구 고소작업대
KR102465641B1 (ko) 2022-04-07 2022-11-11 (주)삼육오컴퍼니 분진 비산 방지 천정 패널 해체 공법
KR102528909B1 (ko) 2022-04-07 2023-05-03 (주)삼육오컴퍼니 해체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 패널 해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142B1 (ko)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16211185A (ja) 作業用ゴンドラ
US8234822B2 (en) Mobile environment containment unit
KR20090053024A (ko) 유해 분진 비산 방지용 텐트 구조물
KR100886774B1 (ko) 석면해체방법 및 해체장치
KR102094162B1 (ko) 석면 분진 제거용 분무장치
KR20100046097A (ko) 석면 천장텍스 철거 기구 와 이를 사용한 석면 천장텍스철거 공법
JP2009235838A (ja) アスベスト除去装置
CN210347338U (zh) 一种建筑工程监理用检测装置
KR20120132814A (ko)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JP2003176911A (ja) 煙突解体装置及び煙突解体方法
KR101280927B1 (ko)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KR100776397B1 (ko)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JP2004036158A (ja) 構造物解体方法
KR101272890B1 (ko) 석면 제거 장치
AU2020100156A4 (en) Containment Unit
KR102129163B1 (ko)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KR101662793B1 (ko) 석면함유건축자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식 보양틀
KR100923314B1 (ko) 석면 해체 장치
KR101939897B1 (ko) 비산먼지 제거액 및 비닐보양제를 이용한 석면 철거 공법
CN212948514U (zh) 一种建筑施工用打孔装置
KR101609864B1 (ko)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101961749B1 (ko) 비산석면 포집 및 방지 해체 작업장치
KR102228679B1 (ko)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CN219622233U (zh) 高大模板施工钢管脚手架快速拆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