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163B1 -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 Google Patents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163B1
KR102129163B1 KR1020180024404A KR20180024404A KR102129163B1 KR 102129163 B1 KR102129163 B1 KR 102129163B1 KR 1020180024404 A KR1020180024404 A KR 1020180024404A KR 20180024404 A KR20180024404 A KR 20180024404A KR 102129163 B1 KR102129163 B1 KR 10212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collecting
tex
dismantling equipment
disman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082A (ko
Inventor
이천헌
Original Assignee
이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헌 filed Critical 이천헌
Priority to KR102018002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1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에 부착된 석면텍스의 철거, 수거, 포장, 배출, 작업공간의 음압까지를 일원화하는 시스템에 의한 철거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밀폐 공간에서 작업의 편리성과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석면 텍스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체할 수 있고,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하여 석면 텍스를 해체함으로써, 주변에 석면 텍스 등의 유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면서 해체한 석면 텍스 및 잔여물 등을 깨끗하게 수거할 수 있어 주변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Process of removing asbestos tex using equipment collecting scattering asbestos and breaking asbestos tex}
본 발명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에 부착된 석면텍스의 철거, 수거, 포장, 배출, 작업공간의 음압까지를 일원화하는 시스템에 의한 철거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밀폐 공간에서 작업의 편리성과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석면 텍스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 기술의 발달로 많은 물질적 혜택을 입고 있는 한편으로, 그러한 기술 산업화의 폐해로서 유해 물질이 생활 주변 곳곳에 산재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 클린 환경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자정 노력에 따라 그러한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친환경적인 물질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의 유해 물질은 인간의 주거 환경에도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예컨대, 주로 건축용 천장재로 많이 사용되었던 석면 텍스는 폐암, 중피종, 석명폐, 피부질환 및 호흡기 질환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진 석면을 15-30%가량 함유하고 있는 석면 함유 물질(Asbestos Containing Materials: ACM)로서 유해 물질 중 하나에 속한다.
이렇듯, 많은 건물의 천장에는 석면이 함유된 천장텍스가 오래전부터 설치되어 왔다. 석면은 천장텍스의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 했으나 석면폐 및 악성 중피종등을 유발하는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현재는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석면이 함유된 천장텍스 철거시에는 천장텍스의 파손이나 드릴링으로 인한 석면 분진이 대기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석면 철거 작업중 석면 분진이 비산 되지 않도록 창문과 바닥에는 비닐등으로 밀봉조치를 해야 하고 작업자는 건강보호를 위해 방진마스크, 보호의, 안전모, 안전안경 등을 착용해야 한다.
이렇게 작업 조건이 까다로운 상황에서 작업자는 천장텍스에 도달하기 위해 사다리나 비계등 발판위에 올라서야 하고 손으로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를 천장텍스까지 들어 올려 천정텍스에 체결된 나사못을 풀어야 한다.
천장에서 분리된 천장텍스가 바닥에 떨어져 깨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나사못이 풀릴때에는 전동 스크류 드라이버를 들고 있지 않은 반대편 손으로 천장텍스를 받쳐주고 있어야 하며, 나사못이 다 해체되면 조심스럽게 천장텍스를 손으로 받아 아래에 있는 동료 작업자에게 건내주거나 허리를 숙여 지면에 내려 놓아야 한다. 천장텍스를 떼어낸 후 또 다른 천장텍스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발판에서 내려 온후 비계나 사다리의 위치를 이동한 후 다시 발판에 올라가 천장텍스를 제거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이러한 석면 텍스 천장재를 친환경 재료로 대체하는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해체 작업시 석면을 함유하는 분진이 발생됨으로써 작업자는 물론 그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727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천정에 부착된 석면텍스의 철거, 수거, 포장, 배출, 작업공간의 음압까지를 일원화하는 시스템에 의한 철거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밀폐 공간에서 작업의 편리성과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석면 텍스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작업자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에 탑승한 뒤, 해체할 석면 텍스까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이동되는 단계(S100);
상기 단계(S100) 후,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상부본체를 복수의 석면 텍스가 설치된 건물의 천장까지 구동시키고,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 내에 설치된 제 1 음압기와 포집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S200);
상기 단계(S200) 후, 상부본체의 내부에 위치된 복수의 석면 텍스에만 충격을 가하여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를 분리 해체하는 단계(S300);
상기 단계(S300) 후, 천장에서 분리된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가 석면 텍스 배출장치의 규격 봉투에 투입되고,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가 채워진 규격 봉투를 밀폐한 뒤 석면 텍스 배출장치를 통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400);
상기 단계(S300)와 단계(S400)를 진행하면서 복수의 석면 텍스에서 발생하는 비산석면을 제 1 음압기를 통해 포집하는 단계(S500);
상기 단계(S500)에서 다 포집되지 못한 비산석면 및 석면 텍스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유해물질을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하부본체에 설치된 포집장치를 통해 포집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S600)가 완료된 후, 분리 해체할 다른 석면 텍스까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동시켜 상기 단계별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이동되는 단계(S100)에서,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하부본체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전,후,좌,우,다방향 및 정위치에서 회전되도록 구동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하부본체 하단부에 형성되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받쳐주는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슬라이딩 축과;
상기 슬라이딩 축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전,후,좌,우,다방향 또는 정위치에서 수평으로 정/역회전시키는 바퀴부와;
상기 다수개의 바퀴부 중 앞,뒤를 한쌍으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 축을 따라 좌, 우 바퀴부 간에 폭을 조절하는 조절대와;
상기 프레임 몸체에 설치되어 바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석면 텍스 배출장치를 통해 복수의 석면 텍스를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석면 텍스 배출장치는,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상부본체 내에 돌출 구비되어 상,하부가 개방되는 석면 텍스 투입구와;
상기 석면 텍스 투입구 내에 구비되어 해체된 복수의 석면 텍스를 투입하여 저장하는 규격 봉투와;
상기 개방된 석면 텍스 투입구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석면 텍스 투입구 하부의 개폐에 따라 규격 봉투의 배출여부를 제어하는 개폐막과;
상기 개폐막의 외부에 설치되어 개폐막을 작동시키는 레버부와;
상기 석면 텍스 투입구의 하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본체의 내,외부로 회동되고, 상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개폐막의 개방으로 석면 텍스 투입구에서 배출되는 규격 봉투를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배출 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의 석면 텍스에서 발생하는 비산석면을 제 1 음압기를 통해 포집하는 단계(S500)에서,
상기 제 1 음압기는 상부본체 내에 발생되는 유해 분진이 흡입되도록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반대측에는 유해 분진이 필터링 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에는 유해 분진을 필터링할 수 있는 헤파필터가 교체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음압기의 내부에는 상부본체 내의 유해 분진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생하는 송풍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포집장치를 통해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S600)에서,
상기 포집장치는,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부본체 내에 낙하되는 석면 텍스 부위 및 유해 분진의 유해물질을 한곳으로 모아서 하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관통구 하단에 연결되어 관통구를 통해 전달된 유해물질을 이송시키는 이송덕트와;
상기 이송덕트의 끝단부와 연결되어 이송된 유해물질을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1차 포집하는 제 1 포집부와;
상기 제 1 포집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 1 포집부에서 포집하지 못한 유해물질이 이송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이송된 유해물질을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2차 포집하는 제 2 포집부와;
상기 제 2 포집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상부본체 내의 유해물질을 제 1 포집부와 제 2 포집부에 포집되도록 끌어들이고, 상기 제 2 포집부에서 포집되지 못한 나머지 유해물질을 3차 포집하는 제 2 음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포집부는 상측 외주연에 이송덕트가 연결되어 이송덕트를 통해 이송된 유해물질이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하측으로 포집되고, 상기 제 1 포집부의 하측은 유해물질이 포집되도록 제 1 포집통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포집부는 상측 외주연에 이송관이 연결되어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유해물질이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하측으로 포집되고, 상기 제 2 포집부의 하측은 유해물질이 포집되도록 제 2 포집통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송덕트는 내부 통로를 개폐하는 댐퍼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이송덕트의 외부면에는 청소용 부재가 부착되도록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석면 텍스의 해체작업이 완료되면 댐퍼를 통해 이송덕트 내를 차단시켜 상부본체 내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연결구에 청소용 부재를 연결한 뒤, 포집장치의 흡입을 작동시켜 청소용 부재를 통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주변을 청소하여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은 천정에 부착된 석면텍스의 철거, 수거, 포장, 배출, 작업공간의 음압까지를 일원화하는 시스템에 의한 철거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밀폐 공간에서 작업의 편리성과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석면 텍스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하여 석면 텍스를 해체함으로써, 주변에 석면 텍스 등의 유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면서 해체한 석면 텍스 및 잔여물 등을 깨끗하게 수거할 수 있어 주변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석면 텍스 철거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폭 조절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구동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석면 텍스 철거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폭 조절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구동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은 우선, 작업자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에 탑승한 뒤, 해체할 석면 텍스까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이동되는데(S100),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하부본체(11)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장치(50)에 의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전,후,좌,우,다방향 및 정위치에서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즉, 상기 구동장치(50)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좌측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전방 대각선 방향, 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제자리에서 정회전/역회전시킬 수 있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주행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구동장치(50)의 구조 및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렇게 이동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는 해체할 석면 텍스의 위치까지 이동한 뒤,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상부 본체(12)를 복수의 석면 텍스가 설치된 건물의 천장까지 구동시키고,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 내에 설치된 제 1 음압기(30)와 포집장치(40)를 작동시킨다(S200).
그런 다음, 상기, 상부본체(12)의 내부에 위치된 복수의 석면 텍스에 석면 텍스 해체장치(1)를 이용하여 충격을 가한 뒤,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를 분리 해체하는데(S300), 상기 석면 텍스 해체장치(1)는 드릴장치, 전기톱, 볼트해체드릴 등 다양한 해체장치를 이용하여 석면 텍스를 분리 해체하기에 별도의 석면 텍스 해체장치는 설명하지는 않는다.
상기 천장에서 분리된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가 석면 텍스 배출장치(20)의 규격 봉투에 투입되고,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가 채워진 규격 봉투를 밀폐한 뒤 석면 텍스 배출장치(20)를 통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외부로 배출한다(S400). 이때, 상기 석면 텍스 배출장치(20)의 구조 및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를 분리 해체하여 석면 텍스 배출장치(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때, 복수의 석면 텍스에서 발생하는 비산석면을 제 1 음압기(30)를 통해 포집하는데(S500), 상기 제 1 음압기(30)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상부 본체(12) 내에 압력을 조정하면서 발생되는 비산석면을 포집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제 1 음압기(30)의 구조 및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분리하는 석면 텍스에서 발생하는 비산석면, 분진 등을 제 1 음압기(30)를 통해서 포집하기도 하고 장비 내에 설치된 습윤제 장치(미도시)를 통해 공기 중에 물을 분사하여 비산석면, 분진 등을 포집한 뒤, 아래로 낙하시켜 포집장치를 통해 포집시키는 공정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음압기(30)를 통해 발생하는 비산석면 등의 유해물질이 완전하게 포집되면 이하의 포집장치(40)를 통한 포집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반대로 상기 제 1 음압기(30)를 통해 유해물질이 다 포집되지 못하면 비산석면 및 석면 텍스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유해물질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하부본체(11) 측으로 낙하하고, 그렇게 낙하한 유해물질은 작동하는 포집장치(40)에 의해 단계별로 포집된다(S600). 여기서, 상기 포집장치(40)의 구조 및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은 공법과정을 통해 석면 텍스를 분리 해체 처리하는데,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 텍스가 없으면 작업공정이 완료되고, 그렇지 못하다면 다시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분리 해체할 석면 텍스에 이동(S100)시켜 상기와 같은 공법(S100~S600)을 다시 시행하며, 더 이상 분리 해체할 석면 텍스가 없으면 포집장치(40)의 이송덕트(42)에 돌출 형성된 연결구(49)에 청소용 부재(진공청소기용 주름관과 브러쉬 등의 부재물)를 연결한 뒤, 포집장치(40)의 흡입을 작동시켜 청소용 부재를 통해 혹시 모를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주변에 낙하한 이물질을 청소하여 마무리한다.
이렇게 마무리 청소까지 완료하면 모든 작업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이용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기술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면 텍스 철거공법에 이용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는 본체(10)와, 석면 텍스 배출장치(20)와, 제 1 음압기(30)와, 포집장치(40)와, 구동장치(50)와, 습윤제장치와, 제어장치(1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석면 텍스는 석면 등이 포함된 텍스 또는 텍스타일 또는 스레트석면 텍스 등의 부재물을 뜻한다.
상기 본체(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본체(11)와, 상기 하부본체(1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천장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되면서 구동되는 상부본체(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본체(12)는 하부본체(11)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본체(11)의 외측에 상부본체(12)가 상,하 구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본체(11)는 골격 프레임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지만 다양한 형태로의 골격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으며, 외벽없이 외부와 관통되도록 개방되지만 바닥면에는 별도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하부본체(11)의 내부에 포집장치(40), 습윤제장치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본체(11)의 측면에는 작업자가 상부본체(12) 내에 탑승하기 위해 별도의 사다리(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습윤제장치는 석면 텍스 해체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장치로써, 별도의 기술은 더 이상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12)는 골격 프레임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본체(11)와 동일하게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지만 다양한 형태로의 골격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12)의 외측면에는 밀폐막(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12)의 상부는 개방되어 작업자가 석면 텍스를 해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막은 상부본체(12)의 내부가 투영될 수 있도록 투명한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막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부본체(12) 내에 탑승할 수 있도록 출입문(미도시)이 별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된 상부본체(12)의 최상부에는 석면 텍스 해체시, 유해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내부로 유입되도록 분진 차단막(13)이 형성되며, 상기 분진 차단막(13)은 천장에 접촉시 상호 간에 파손되지 않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깔대기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며, 탄성 재질에 의해 석면 텍스의 미 해체작업시에는 하측으로 내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본체(12)의 하측부에는 하부본체(11)와 연결되어 상부본체(12)를 상,하 구동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압축실린더(14)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압축실린더(14)는 별도의 소형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어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압축실린더(14)를 구동시켜 상부본체(12)를 상,하 구동시키거나 작업자가 해체 작업 공간에 맞춰 상부본체(12)를 수동으로 높이 조절한 뒤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동으로 상부본체(12)를 상,하 구동시켜놔도 압축실린더(14) 내의 압력에 의해 상부본체(12)는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압축실린더(14)는 하부본체(11)의 수직 골격 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본체(12)의 수평 골격 프레임에 연결되는데, 상기 압축실린더(14)의 연결부위에는 압축실린더(14)의 양끝단 연결위치에 따라 상부본체(12)의 높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5)가 하부본체(11)와 상부본체(12)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석면 텍스 배출장치(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본체(1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부본체(12)와 하부본체(11) 내에 구비되고, 상기 해체된 석면 텍스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석면 텍스 투입구(21)와, 규격 봉투(미도시)와, 개폐막(22)과, 레버부(23)와, 배출 슈트(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석면 텍스 투입구(21)는 하부본체(11)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상부본체(12) 내에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직사각형의 통 형태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런 상기 석면 텍스 투입구(21) 내부에 규격 봉투가 거치되어 있는데, 상기 규격 봉투는 폐기물용 봉투로써, 국가에서 지정한 규격 봉투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규격 봉투는 석면 텍스 투입구(21)에 거치된 상태에서 입구 측이 개방되어 작업자가 해체한 석면 텍스를 투입하여 채워 넣고, 다 채워지면 작업자는 케이블 타이 또는 끈 등을 이용하여 규격 봉투의 입구측을 밀봉한다.
또한, 상기 석면 텍스 투입구(21)의 개방된 하부에는 개방된 하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막(22)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막(22)은 석면 텍스 투입구(21)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차단시에는 규격 봉투를 받쳐주며, 개방시에는 규격 봉투를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개폐막(22)의 일측에는 개폐막(22)을 작동시킬 레버부(23)가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23)는 작업자의 조작으로 작동시키면 개폐막(22)이 구동되어 규격 봉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 슈트(24)는 석면 텍스 투입구(21)의 하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본체(11)의 내,외부로 형성되는데, 장비의 이동이나 미작업시에는 하부본체(11) 내에 구비되고, 해체 작업시에는 하부본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석면 텍스 투입구(21)에서 배출되는 규격 봉투를 외부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 슈트(24)는 상부본체(12)가 하측으로 내려온 상태에서는 힌지결합이기에 하부본체(11) 내에 구비되고, 상부본체(12)가 상측으로 올라가면 하부본체(11)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슈트(24)는 상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석면 텍스 투입구(21)에서 배출되는 규격 봉투가 배출 슈트(24)의 끝단부에 정지하여 외부의 다른 작업자가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 슈트(24)를 따라 규격 봉투가 외부로 배출되면 바닥에 낙하되어 규격 봉투가 터질 수 있고 그로 인해 내부의 석면 텍스가 외부로 노출되어 환경 오염들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 슈트(24)의 끝단부에서 정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슈트(24)의 하단부에는 규격 봉투가 끝단부에 정지했을 때 무게감에 의해 배출 슈트(24)가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 1 음압기(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본체(11)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부본체(12) 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본체(12) 내에 발생되는 유해 분진을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음압기(30)는 일측에 상부본체(12) 내에 발생되는 유해 분진이 흡입되도록 흡입구(3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31)의 반대측에는 유해 분진이 필터링 된 깨끗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32)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31)와 배출구(32)에는 유해 분진을 필터링할 수 있는 헤파필터가 교체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31)는 상부본체(12) 내에 발생되는 유해 분진이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음압기(30)의 내부에는 상부본체(12) 내의 유해 분진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생하는 송풍기(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31)가 형성된 제 1 음압기(30)의 일측에는 상부본체(12) 내에 탑승한 작업자가 석면 텍스의 해체를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착석 의자(70)가 설치되고, 상기 착석 의자(70)는 등받이가 접이식으로 장비의 이동이나 미작업시에는 등받이를 접어둔다.
상기 포집장치(4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본체(11) 내에 설치되어 상부본체(12) 내에 낙하되는 석면 텍스 부위 및 분진의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다수번에 의해 필터링하는 포집장치(40)로써, 호퍼부(41)와, 이송덕트(42)와, 제 1 포집부(43)와, 이송관(44)과, 제 2 포집부(45)와, 제 2 음압기(4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부(41)는 하부본체(11)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부본체(12) 내에 낙하되는 석면 텍스 부위 및 유해 분진의 유해물질을 한곳으로 모아서 하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관통구(4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41a)는 호퍼부(41)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부(41)는 측단면상 관통구(41a)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본체(12) 내에 낙하되는 석면 텍스 부위 및 유해 분진의 유해물질이 원활하게 관통구(41a)로 모아져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호퍼부(41)의 관통구(41a) 하단에는 관통구(41a)를 통해 전달된 유해물질을 이송시키는 이송덕트(42)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덕트(42)의 끝단부는 제 1 포집부(43)의 상부측 외주연에 연결되어 유해물질을 제 1 포집부(43)에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포집부(43)는 이송덕트(42)의 끝단부와 연결되어 이송된 유해물질을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1차 포집하는데, 상기 제 1 포집부(43)는 이송덕트(42)를 통해 이송된 유해물질이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하측으로 포집되고, 상기 제 1 포집부(43)의 하측은 유해물질이 포집되도록 제 1 포집통(4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포집통(43a)은 제 1 포집부(43)의 하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별도의 규격 봉투가 거치되어 유해물질이 규격 봉투에 포집되고, 상기 제 1 포집통(43a)을 탈락시켜 규격 봉투를 밀봉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제 1 포집통(43a)의 청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포집부(43)의 상부면에는 이송관(44)이 연결되어 제 1 포집부(43)에서 포집하지 못한 유해물질이 이송되고, 상기 이송관(44)의 끝단부는 제 2 포집부(45)의 상부측 외주연에 연결되어 유해물질을 제 2 포집부(45)에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제 2 포집부(45)는 이송관(44)을 통해 이송된 유해물질을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2차 포집하는데, 유해물질이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하측으로 포집되고, 상기 제 2 포집부(45)의 하측은 유해물질이 포집되도록 제 2 포집통(45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포집통(45a)은 제 2 포집부(45)의 하측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유해물질이 포집된 제 2 포집통(45a)은 탈락시킨 뒤, 제 2 포집통(45a) 상부를 덮개 등으로 밀봉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새로운 제 2 포집통(45a)을 제 2 포집부(45)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관(44)은 중간에 다수개로 분기되어 다수의 제 2 포집부(45)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 2 포집부(45)는 각각 연결관(47)에 의해 제 2 음압기(46)와 연결됨으로써, 많은 양의 유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포집부(45)의 상부면에는 연결관(47)으로 연결되어 제 2 포집부(45)에서 다 포집하지 못한 유해물질이 이송되고, 상기 연결관(47)의 끝단부는 제 2 음압기(46)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음압기(46)는 제 2 포집부(45)와 연결관(47)으로 연결되어 상부본체(12) 내의 유해물질을 제 1 포집부(43)와 제 2 포집부(45)에 포집되도록 끌어들이고, 상기 제 2 포집부(45)에서 포집되지 못한 나머지 유해물질을 3차 포집하는데, 상기 제 2 음압기(46)는 일측(외측과 연통되는 면)에 유해물질이 필터링 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48)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48)에는 유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헤파필터가 교체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부본체(12) 내의 유해물질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생하는 송풍기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파필터는 정밀한 필터링을 위해 제 2 음압기(46)의 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제 2 음압기(46)의 송풍기에 의해 상부본체(12) 내의 유해물질을 빨아들여서 제 1 포집부(43)와 제 2 포집부(45)에서 포집시키고, 상기 제 1 포집부(43)와 제 2 포집부(45)에서 다 포집하지 못한 유해물질은 제 2 음압기(46)에서 한번 더 필터링(포집)하여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호퍼부(41)의 관통구(41a)와 이송덕트(42) 사이 또는 이송덕트(42) 내에는 내부 통로를 개폐하는 댐퍼(미도시)가 더 설치되고, 상기 댐퍼는 외부에서 레버조작으로 작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덕트(42)의 외부면 중 댐퍼의 하측부위에는 청소용 연결구(49)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청소용 연결구(49)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용 연결구(49)와 댐퍼의 역할은 우선, 댐퍼를 통해 이송덕트(42) 내를 차단한 뒤, 청소용 연결구(49)에 청소용 호스와 헤더 등의 청소용 부재를 부착하고,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 2 음압기(46)를 작동시키면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어 장비 주변을 청소용 부재에 의해 청소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구동장치(5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본체(1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본체(10)를 받쳐주면서 장비를 이동시키는데, 상기 장비가 전,후,좌,우 및 다방향으로 구동시키고, 또 정위치에서 360도로 회전되어 구동되도록 프레임 몸체(51)와, 슬라이딩 축(52)과, 바퀴부와, 조절대(53)와, 동력부(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몸체(51)는 하부본체(11)의 하단부에 골격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본체(10)를 받쳐주는데, 상기 본체(10)의 형태에 맞춰 형성되고, 본 발명에서는 본체(10)와 동일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축(52), 바퀴부, 조절대(53), 동력부(54)가 프레임 몸체(51)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축(52)은 프레임 몸체(51)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데,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 몸체(51)와 직교로 형성되어 프레임 몸체(51)에 고정 설치되고, 본 발명에서는 바퀴 개수에 맞춰 두 개의 슬라이딩 축(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퀴부는 슬라이딩 축(52)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어장치(100)에 의해 본체(10) 즉 장비를 전,후,좌,우,다방향 또는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퀴부는 본 발명에서는 4개 형성되고, 하나의 슬라이딩 축(52)에 두개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대(53)는 다수개의 바퀴부 중 앞,뒤를 한쌍으로 연결하는데, 즉, 두개의 슬라이딩 축(52)의 좌측에 형성된 바퀴부끼리 조절대(53)에 의해 연결되고, 반대측 바퀴부끼리 조절대(53)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이며, 상기 슬라이딩 축(52)을 따라 좌, 우 바퀴부 간에 폭이 조절된다.
이렇듯, 도 7에서처럼 상기 조절대(53)에 의해 슬라이딩 축(52)의 좌,우측에 설치된 바퀴부가 조절됨으로써, 장비가 출입구나 협소한 공간을 이동할 때 바퀴부를 내측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주행하고, 해체작업 공간에서는 바퀴부를 외측으로 조절하여 장비가 넘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대(53)를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바퀴부의 상호 간 폭을 조절하는데 상기 바퀴부의 바퀴(56)에 형성된 휠이 면 또는 선 접촉이 아니고 점 접촉이기에 바퀴부의 상호 간 폭조절이 원활하게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몸체(51)에 설치되어 바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54)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동력부(54)는 배터리 등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거나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은 충전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바퀴부는 슬라이딩 축(52)에 연결되면서 상부에 조절대(53)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조절대(53)에 의해 슬라이딩 축(52)을 따라 좌, 우로 슬라이딩되는 바퀴 몸체부(55)와; 상기 바퀴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가 전,후,좌,우,다방향 또는 정위치에서 회전되도록 메카넘휠(Mecanum wheel)로 형성되는 바퀴(56)와; 상기 바퀴(56)와 연결되어 제어장치(100)의 신호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57)와; 상기 바퀴 몸체부(55)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조절대(53)에 고정되어 바퀴(56)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제어하는 서스팬션(5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56)에 형성된 메카넘휠 구조는 알루미늄 휠에 45˚로 기울어진 다수의 우레탄롤러(타원형 형태의 롤러)가 장착되어 전,후,좌,우,다방향 또는 정위치에서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조로써, 통상의 메카넘휠 구조와 유사하기에 더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모터(57)는 메카넘휠의 바퀴(56)가 각각 독립 구동되어야 하기에 바퀴에 맞춰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50)의 조종 및 제 1 음압기(30), 포집장치(40)의 작동 및 습윤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상기 구동장치(50)의 방향 조종 및 속도를 제어하는 조종장치와; 상기 구동장치(50)의 시동 및 제 1 음압기(30), 포집장치(40), 습윤제장치의 ON/OFF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종장치와 컨트롤장치는 상부본체(12) 내에 구비된 착석 의자(7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착석 의자(70)에 앉은 상태로 전방을 주시하며 장비를 주행하다 후방으로 주행시 장비의 후방을 불편하게 주시하지 않고 운행할 수 있도록 상부본체(12)의 후방에 장비의 후방을 감지하는 후방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본체(12) 내의 전방에는 후방카메라에서 감지한 신호를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장비를 주행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하부본체
12 : 상부본체 13 : 분진 차단막
14 : 압축실린더 15 : 간격조절부
20 : 석면 텍스 배출장치 21 : 석면 텍스 투입구
22 : 개폐막 23 : 레버부
24 : 배출 슈트
30 : 제 1 음압기 31 : 흡입구
32, 48 : 배출구
40 : 포집장치 41 : 호퍼부
41a : 관통구 42 : 이송덕트
43 : 제 1 포집부 43a : 제 1 포집통
44 : 이송관 45 : 제 2 포집부
45a : 제 2 포집통 46 : 제 2 음압기
47 : 연결관 49 : 청소용 연결구
50 : 구동장치 51 : 프레임 몸체
52 : 슬라이딩 축 53 : 조절대
54 : 동력부 55 : 바퀴 몸체부
56 : 바퀴 57 : 모터
58 : 세스팬션
70 : 착석의자 100 : 제어장치

Claims (5)

  1. 작업자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에 탑승한 뒤, 해체할 석면 텍스까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이동되는 단계(S100);
    상기 단계(S100) 후,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상부본체를 복수의 석면 텍스가 설치된 건물의 천장까지 구동시키고,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 내에 설치된 제 1 음압기와 포집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S200);
    상기 단계(S200) 후, 상부본체의 내부에 위치된 복수의 석면 텍스에만 충격을 가하여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를 분리 해체하는 단계(S300);
    상기 단계(S300) 후, 천장에서 분리된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가 석면 텍스 배출장치의 규격 봉투에 투입되고,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가 채워진 규격 봉투를 밀폐한 뒤 석면 텍스 배출장치를 통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400);
    상기 단계(S300)와 단계(S400)를 진행하면서 복수의 석면 텍스에서 발생하는 비산석면을 제 1 음압기를 통해 포집하는 단계(S500);
    상기 단계(S500)에서 다 포집되지 못한 비산석면 및 석면 텍스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유해물질을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하부본체에 설치된 포집장치를 통해 단계별로 포집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S600)가 완료된 후, 분리 해체할 다른 석면 텍스까지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동시켜 상기 단계별로 작업이 이루어지며,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이동되는 단계(S100)에서,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하부본체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가 전,후,좌,우,다방향 및 정위치에서 회전되도록 구동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하부본체 하단부에 형성되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받쳐주는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슬라이딩 축과;
    상기 슬라이딩 축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전,후,좌,우,다방향 또는 정위치에서 수평으로 정/역회전시키는 바퀴부와;
    상기 다수개의 바퀴부 중 앞,뒤를 한쌍으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 축을 따라 좌, 우 바퀴부 간에 폭을 조절하는 조절대와;
    상기 프레임 몸체에 설치되어 바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 텍스 배출장치를 통해 복수의 석면 텍스를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석면 텍스 배출장치는,
    상기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상부본체 내에 돌출 구비되어 상,하부가 개방되는 석면 텍스 투입구와;
    상기 석면 텍스 투입구 내에 구비되어 해체된 복수의 석면 텍스를 투입하여 저장하는 규격 봉투와;
    상기 개방된 석면 텍스 투입구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석면 텍스 투입구 하부의 개폐에 따라 규격 봉투의 배출여부를 제어하는 개폐막과;
    상기 개폐막의 외부에 설치되어 개폐막을 작동시키는 레버부와;
    상기 석면 텍스 투입구의 하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본체의 내,외부로 회동되고, 상측으로 곡선지게 형성되어 개폐막의 개방으로 석면 텍스 투입구에서 배출되는 규격 봉투를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배출 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석면 텍스에서 발생하는 비산석면을 제 1 음압기를 통해 포집하는 단계(S500)에서,
    상기 제 1 음압기는 상부본체 내에 발생되는 유해 분진이 흡입되도록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반대측에는 유해 분진이 필터링 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에는 유해 분진을 필터링할 수 있는 헤파필터가 교체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음압기의 내부에는 상부본체 내의 유해 분진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흡입력이 발생하는 송풍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장치를 통해 유해물질을 단계별로 포집하는 단계(S600)에서,
    상기 포집장치는,
    상기 하부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부본체 내에 낙하되는 석면 텍스 부위 및 유해 분진의 유해물질을 한곳으로 모아서 하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관통구 하단에 연결되어 관통구를 통해 전달된 유해물질을 이송시키는 이송덕트와;
    상기 이송덕트의 끝단부와 연결되어 이송된 유해물질을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1차 포집하는 제 1 포집부와;
    상기 제 1 포집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 1 포집부에서 포집하지 못한 유해물질이 이송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이송된 유해물질을 싸이클링 방식에 의해 2차 포집하는 제 2 포집부와;
    상기 제 2 포집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상부본체 내의 유해물질을 제 1 포집부와 제 2 포집부에 포집되도록 끌어들이고, 상기 제 2 포집부에서 포집되지 못한 나머지 유해물질을 3차 포집하는 제 2 음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덕트는 내부 통로를 개폐하는 댐퍼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이송덕트의 외부면에는 청소용 부재가 부착되도록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석면 텍스의 해체작업이 완료되면 댐퍼를 통해 이송덕트 내를 차단시켜 상부본체 내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연결구에 청소용 부재를 연결한 뒤, 포집장치의 흡입을 작동시켜 청소용 부재를 통해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의 주변을 청소하여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5. 삭제
KR1020180024404A 2018-02-28 2018-02-28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KR10212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04A KR102129163B1 (ko) 2018-02-28 2018-02-28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04A KR102129163B1 (ko) 2018-02-28 2018-02-28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082A KR20190104082A (ko) 2019-09-06
KR102129163B1 true KR102129163B1 (ko) 2020-07-03

Family

ID=6795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404A KR102129163B1 (ko) 2018-02-28 2018-02-28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641B1 (ko) 2022-04-07 2022-11-11 (주)삼육오컴퍼니 분진 비산 방지 천정 패널 해체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8725A (ja) 2006-10-03 2008-04-17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アスベスト除去方法
KR101263142B1 (ko) * 2012-10-09 2013-05-15 구형건설(주)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278253B1 (ko) 2012-10-17 2013-06-26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대형 관로 임펠러 블라스팅 시스템
JP2013194429A (ja) * 2012-03-19 2013-09-30 Kajima Corp 粉塵の拡散抑制方法および拡散抑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24A (ko) * 2007-11-22 2009-05-27 최호경 유해 분진 비산 방지용 텐트 구조물
KR20100007273A (ko) 2008-07-12 2010-01-22 한광진 이동식 석면 함유 천장 텍스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면함유 천장 텍스 철거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8725A (ja) 2006-10-03 2008-04-17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アスベスト除去方法
JP2013194429A (ja) * 2012-03-19 2013-09-30 Kajima Corp 粉塵の拡散抑制方法および拡散抑制装置
KR101263142B1 (ko) * 2012-10-09 2013-05-15 구형건설(주)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278253B1 (ko) 2012-10-17 2013-06-26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대형 관로 임펠러 블라스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641B1 (ko) 2022-04-07 2022-11-11 (주)삼육오컴퍼니 분진 비산 방지 천정 패널 해체 공법
KR102528909B1 (ko) 2022-04-07 2023-05-03 (주)삼육오컴퍼니 해체 작업성을 향상시킨 천정 패널 해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082A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30747A2 (en) Removal of airborne contaminant
CN207314096U (zh) 混凝土抹光机
KR20140072484A (ko) 휴대용 흄 집진기
JP7147428B2 (ja) 自律走行型清掃装置
JP6397232B2 (ja) 有害物質含有塗装材除去システム
KR102129163B1 (ko)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CN109623753A (zh) 一种硒鼓拆卸平台
CN112139194B (zh) 一种建筑机械用的通风装置
CN107088539B (zh) 一种铜精矿样品加工一体化操作平台
CN206508672U (zh) 一种焊烟尘净化机
CN107881963A (zh) 一种建筑工地除尘装置
JPH0351481A (ja) 吹付けアスベスト層の除去方法とその装置
KR101723516B1 (ko) 돔형 집진장치
KR101961749B1 (ko) 비산석면 포집 및 방지 해체 작업장치
JPH0351480A (ja) 吹付けアスベスト層の除去方法とその装置
KR101449938B1 (ko) 에어 샤워 장치
JP3323843B2 (ja) 洗浄装置
KR20180109777A (ko) 덕트청소 시스템
CN2664836Y (zh) 具吸除粉尘功能的研磨机
AU2020100156A4 (en) Containment Unit
CN209348337U (zh) 一种机器人打磨除尘器
CN206391779U (zh) 一种中央集尘工作站
CN208973664U (zh) 一种室内装饰施工灰尘隔离装置
CN105344660A (zh) 机箱清洁装置
CN213356308U (zh) 一种原料堆存用防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