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516B1 - 돔형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돔형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16B1
KR101723516B1 KR1020140169699A KR20140169699A KR101723516B1 KR 101723516 B1 KR101723516 B1 KR 101723516B1 KR 1020140169699 A KR1020140169699 A KR 1020140169699A KR 20140169699 A KR20140169699 A KR 20140169699A KR 101723516 B1 KR101723516 B1 KR 10172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ome
work table
collecting
shaped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565A (ko
Inventor
조남식
조형진
Original Assignee
조남식
조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식, 조형진 filed Critical 조남식
Priority to KR102014016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09Prevention of static charge, e.g. by grou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돔형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차폐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돔형 덕트; 상기 돔형 덕트의 후면부와 연통되어, 상기 돔형 덕트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분진을 흡기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며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 챔버; 및상기 돔형 덕트 내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을 포집하는 작업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는 돔형 집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돔형 집진장치 {Dom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돔형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흐름을 집진 챔버의 연결 배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작업자의 그라인딩 작업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분진이 보다 원활하게 집진 챔버로 이동될 수 있도록하며, 작업시 발생한 분진이 작업 테이블 상에 잔존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돔형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집진장치는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유 먼지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로서 먼지 등의 분진을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현장 즉, 의류, 제사, 면방, 제분, 황토제품, 연마, 시멘트 등의 많은 공장이나 제철소와 같이 대기 중에 많은 분진, 냄새, 매연 등이 혼합되어 떠다니는 곳에서는 아주 필수적인 장치이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 또는 주변 사람들의 눈, 입, 코, 피부 등등 인체가 노출될 경우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암과 같은 위험한 산업질병의 발생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서 산업현장에는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등을 모아 처리하는 집진장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공장 굴뚝과 같은 연기를 배출하는 시설에는 연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는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그라인딩, 용접과 같은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0310133호의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가 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선행기술은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저부 모서리 가까이에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R)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양측면에는 차단판(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차단판(10)의 선단 저부에는 체결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후단 양측에는 힌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110)이 천공된 흡입 덕트(11)로 이루어져 있는 작업대(1)와, 상기 작업대(1)의 흡입 덕트(11) 하부에는 공간부(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20)의 후방 끝부에는 통로(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21)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덕트(2)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에는 여과포 털이봉(30)이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여과포 털이봉(30)이 여과포(31) 일단 끝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여과포(31)의 양단을 체결 고정한 상태이며 상기 통로(21)의 진입부에는 격판(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33) 양측에는 통기공(3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31)로 차단된 중앙부에는 통로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로공(32)을 통해 상기 여과포(31)를 거쳐서 통과되도록 구성된 공기여과실(3)과, 상기 공기여과실(3)의 상측 내부에는 흡입팬(40) 및 배출구(41)와 모우터(42)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배출공(430)이 무수히 천공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4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정면에는 컨트롤 판(44)이 장착되어 있는 모우터구동실(4)과, 상기 공기여과실(3)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5)과, 상기 공기여과실(3)과 집진실(5)의 외부에는 별도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도어(6)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분진이 발생하는 가공을 하기 위한 작업대(1)의 면적이 협소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작업대(1)의 전방과 측면만이 차단판(10)에 막혀 있기 때문에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 대기의 흐름을 타고 작업대(1)의 주변으로 퍼져갈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을 완전하게 포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선행기술의 집진장치는 작업대(1)의 하부로 분진을 빨아들여 처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마와 같은 작업 중에 발생하는 분진 중 일부는 작업대의 하부로 빨려들어가 포집할 수 있지만 강한 풍속을 발생시키는 페인팅,그라인딩과 같은 작업일 경우 작업현장의 대기조건 등에 따라서 작업대 분진 차단판으로부터 반사,상승하게 되며 널리 퍼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현장의 주변으로 퍼져나간 분진은 작업자의 호흡을 통해 체내에 축적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처리공정 없이 작업현장의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흡입팬(40)의 작동에 의해 먼지를 공기여과실(3)로 유도하고 난 후의 흡입 공기가 흡입팬(40)의 후방으로 배기되어 소실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한다.
즉, 먼지를 공기여과실(3)의 여과포(31)로 이동시키기 위해 흡입팬(40)이 작동하게 되는데, 작업대(1)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공기여과실(3)의 여과포(31)로 흡입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흡입력을 필요로 하게 되며 따라서, 흡입팬(40)과 연계된 모터(42)의 용량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모터(42)의 용량 증가는 결국 전기 에너지의 소모를 증가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먼지를 여과포(31)에 흡착시킨 공기는 흡입팬(40)의 후방으로 배기되어 버려지기 때문에 작업대(1)의 먼지를 지속적으로 공기여과실(3)로 흡기하기 위해서는 모터(42)에 전기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고 따라서 에너지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101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그라인딩 작업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분진이 보다 원활하게 집진 챔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시 발생한 분진이 작업 테이블 상에 잔존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돔형 집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작업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최대한 이용하여 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함으써 유지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돔형 집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차폐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돔형 덕트; 상기 돔형 덕트의 후면부와 연통되어, 상기 돔형 덕트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분진을 흡기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며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 챔버; 및상기 돔형 덕트 내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을 포집하는 작업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는 돔형 집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작업 테이블 유닛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홀이 천공된 평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 및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돔형 덕트의 내부에 체류하는 분진이 상기 돔형 덕트 외부로 날리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절곡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 테이블 유닛은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단면이 반원 또는 타원형의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를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된 분진을 포집부로 유도하는 분진 유도부; 및 상기 분진 유도부의 하부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분진 유도부를 통하여 이동된 분진을 수집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방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단부는 돔형 덕트의 내부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작업 테이블 유닛은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를 지지하되, 단부에 바퀴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작업 테이블 지지부; 및 상기 분진 유도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시켜서 상기 분진 유도부의 내측벽에 붙어있는 분진을 떨어뜨려 포집부로 이동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작업 테이블 유닛은 상기 분진 유도부의 하부와 포집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의 상부와 분진 유도부 내부에 존재하는 분진을 포집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집진 챔버와 돔형 덕트를 연결시키며, 상기 집진 챔버를 거쳐서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돔형 덕트에 공급하기 위한 피드백 배관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그라인딩 작업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분진이 보다 원활하게 집진 챔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함으써 유지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 테이블을 메쉬 형태 형성하거나 또는 다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시 발생한 분진이 작업 테이블 하부에 설치된 포집 유닛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작업 테이블 상에 잔존되는 분진량을 최소활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3b는 분진 유도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작업자의 작업시 분진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3b는 분진 유도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작업자의 작업시 분진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는 돔형 덕트(100), 집진 챔버(200) 및 작업 테이블 유닛(300)을 포함한다.
돔형 덕트(100)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그라인딩, 연마 등의 작업과 같은 분진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차폐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집진 챔버(200)는 돔형 덕트(100)의 후면부와 연통되어, 돔형 덕트(100)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분진을 흡기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며 분진을 포집한다.
작업 테이블 유닛(300)은 돔형 덕트(100) 내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중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을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돔형 덕트(100)는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으로 이루어져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작업 대상물을 위치시켜 연마, 그라인딩 등과 같은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후방 돔(120)에 연결된 연결 배관 유닛(400)을 통하여 집진 챔버(200)를 이용하여 포집하게 된다.
즉, 돔형 덕트(100)는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의 기류가 유입되며 작업자가 작업에 임할 수 있게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전방 돔(110) 및 전방 돔(110)의 타측과 연결되며 전방 돔(110)의 개구와 마주하는 벽면에 연통부가 형성된 후방 돔(120)으로 구성되어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방 돔(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며 타측은 후방 돔(120)과 연결되도록 플랜지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전방 돔(110)은 개구가 형성된 일측에서 후방 돔(120)과 연결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율 반경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방 돔(110)이 개구가 형성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율 반경을 갖게 되면 전방 돔(110)의 외부 공기가 개구를 통해 유입될 때 좁은 개구를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져 후방 돔(120)에 형성된 연통부를 향해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개구를 지나면서 빨라지는 유속은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신속하게 연결 배관 유닛(400)을 통하여 집진 챔버(200)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전방 돔(110)의 개구 끝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돔(120)에 형성된 연통부를 향해 둥글게 벤딩 절곡되어 개구의 내측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가 연통부를 향해 둥글게 벤딩 절곡된 개구 끝단에 안내되어 돔형 덕트(100)의 내부 기류는 전방 돔(110)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지 않고 그 유속이 상승하며 항상 집진 챔버(200)를 향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한편, 후방 돔(120)은 전방 돔(110)의 개구와 마주하는 벽면에서 전방 돔(110)의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곡율 반경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방 돔(120)은 전방 돔(110)의 개구와 마주하는 벽면에 연통부가 형성되어 전방 돔(110)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기류는 연통부를 향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체류하는 분진은 연통부를 향해 흐르는 기류에 의해 연결 배관 유닛(400)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연통 배관 유닛(400)으로 이동된 분진은 집진 챔버(200)에 의해 포집된다.
집진 챔버(200)는 후방 돔(120)에 형성된 연통부와 연결 배관 유닛(400)을 통하여 연결되고, 돔형 덕트(100)의 내부에 체류하는 분진을 포함한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팬과 분진을 포집하는 여과필터로 구성된다.
작업 테이블 유닛(300)은 돔형 덕트(100) 내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중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을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작업 테이블 유닛(300)은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 절곡 가이드부(320), 분진 유도부(330) 및 포집부(340)를 포함한다.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는 피가공물을 안치시키거나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메쉬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홀이 천공된 형태로 형성된다.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를 메쉬 형태 또는 다수의 홀이 천공된 형태로 형성하면,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 중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은 그 무게로 인하여 작업 테이블 상판부에 잔존하게 되는 데, 이러한 분진을 그 하부로 통과시켜서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에 분진이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절곡 가이드부(320)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의 일 단에 형성되며, 돔형 덕트(100)의 내부에 체류하는 분진이 돔형 덕트(100)의 외부로 날리지 않도록 차단시킨다. 또한, 작업자가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연마 작업을 수행할 때, 그라인더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서 분진이 돔형 덕트(100)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러한 절곡 가이드부(320)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방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단부는 후방돔(120)의 연통부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 기류가 후방돔의 연통부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진 유도부(330)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를 통과하여 이동된 분진을 포집부(340)로 모으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진 유도부(330)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상측 개방부는 넓고 하측 개방부는 좁게 만곡진 형태(즉, 만곡진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를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된 분진이 별도의 장치 없이도 포집부(340)로 미끄러져 내려가 모일 수 있도록 한다.
분진 유도부(330)의 하단부 즉, 포집부(340)와 연결되는 부분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진 형태로 형성되어 분진이 포집부(340)로 이동되는 것을 보다 원활하게 해준다.
포집부(340)는 분진 유도부(330)의 하부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분진 유도부(330)를 통하여 이동된 분진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작업자의 작업시 분진 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작업자가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연마 작업 또는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그라인더의 회전력에 의해서 돔형 덕트(100) 내부에는 돔형 덕트의 전방돔 개구로부터 후방돔의 연통부를 향하여 기류가 형성되고, 이러한 기류에 의해서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이 집진 챔버(200)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집진 챔버의 흡입팬의 작동을 지속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돔형 덕트 내부의 분진을 충분히 포집할 수 있게 되어 돔형 집진장치의 유지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쉬 형태 또는 다수의 홀이 천공된 형태로 형성된 작업 테이블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 중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은 그 무게로 인하여 작업 테이블 상판부를 통과하여 그 하부에 설치된 포집부로 포집되어 작업 테이블 상판부에 분진이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분진의 포집 효율을 증대시켜서 작업자가 분진으로 인하여 작업에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작업 테이블 유닛의 구성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상술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는 돔형 덕트(100), 집진 챔버(200) 및 작업 테이블 유닛(300)을 포함한다.
작업 테이블 유닛(300)은 돔형 덕트(100) 내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중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을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 테이블 유닛(300)은 이러한 작업 테이블 유닛(300)은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 절곡 가이드부(320), 분진 유도부(330), 포집부(340), 작업 테이블 지지부(350), 흡입팬부(360) 및 진동부(370)를 포함한다.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는 피가공물을 안치시키거나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메쉬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홀이 천공된 형태로 형성된다.
절곡 가이드부(320)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의 일 단에 형성되며, 돔형 덕트(100)의 내부에 체류하는 분진이 돔형 덕트(100)의 외부로 날리지 않도록 차단시킨다. 이러한 절곡 가이드부(320)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방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단부는 후방돔(120)의 연통부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 기류가 후방돔의 연통부를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진 유도부(330)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를 통과하여 이동된 분진을 포집부(340)로 모으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진 유도부(330)는 그 단면이 반원 또는 타원형의 만곡진 형태의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를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된 분진이 별도의 장치 없이도 포집부(340)로 미끄러져 내려가 모일 수 있도록 한다.
포집부(340)는 분진 유도부(330)의 하부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분진 유도부(330)를 통하여 이동된 분진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작업 테이블 지지부(350)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단부에 바퀴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흡입팬부(360)는 분진 유도부(330)의 하부와 포집부(340)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 테이블 상판부(310)의 상부와 분진 유도부(330) 내부에 존재하는 분진을 포집부(34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진동부(370)는 분진 유도부(330)의 측부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시켜서 분진 유도부(330)의 내측벽에 붙어있는 분진을 떨어뜨려 포집부(34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돔형 집진 장치는 돔형 덕트(100), 집진 챔버(200), 작업 테이블 유닛(300), 연결 배관 유닛(400) 및 피드백 배관 유닛(500)을 포함한다.
돔형 덕트(100)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그라인딩, 연마 등의 작업과 같은 분진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차폐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집진 챔버(200)는 돔형 덕트(100)의 연통부와 연결 배관 유닛(400)을 통하여 연결되어, 돔형 덕트(100)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분진을 흡기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며 분진을 포집한다.
작업 테이블 유닛(300)은 돔형 덕트(100) 내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중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을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드백 배관 유닛(500)은 집진 챔버(200)와 돔형 덕트(100)를 연결시키며, 집진 챔버(200)를 거쳐서 분진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를 돔형 덕트(100)에 공급하여 돔형 덕트(1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원활하게 연통부 및 연결 배관 유닛(400)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피드백 배관 유닛(500)의 일 단은 집진 챔버(200)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 단은 돔형 덕트(100)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집진 챔버(200)에 설치된 흡입팬(220)의 후방과 돔형 덕트(100)를 연결하여 흡입팬(22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돔형 덕트(100)로 순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흡입팬(220)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돔형 덕트(100)의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분진을 포함한 공기가 연결 배관 유닛(400)을 통해 빨려들어가 여과필터(210)에서 분진이 포집되며, 분진이 제거된 공기는 흡입팬(220)의 후방과 연결된 피드백 배관 유닛(50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돔형 덕트
200 : 집진 챔버
300 : 작업 테이블 유닛
310 : 작업 테이블 상판부
320 : 절곡 가이드부
330 : 분진 유도부
340 : 포집부
350 : 작업 테이블 지지부
360 : 흡입팬부
370 : 진동부
400 : 연결 배관 유닛
500 : 피드백 배관 유닛

Claims (7)

  1. 돔형 집진 장치에 있어서,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차폐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돔형 덕트;
    상기 돔형 덕트의 후면부와 연통되어, 상기 돔형 덕트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분진을 흡기할 수 있게 흡입력을 제공하며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 챔버; 및
    상기 돔형 덕트 내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집진 챔버로 이동하지 못한 분진을 포집하는 작업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테이블 유닛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홀이 천공된 평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상판부;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측 개방부는 넓고 하측 개방부는 좁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를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된 분진을 포집부로 유도하는 분진 유도부;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를 지지하되, 단부에 바퀴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작업 테이블 지지부; 상기 분진 유도부의 하부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분진 유도부를 통하여 이동된 분진을 수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분진 유도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시켜서 상기 분진 유도부의 내측벽에 붙어있는 분진을 떨어뜨려 포집부로 이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테이블 유닛은,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돔형 덕트의 내부에 체류하는 분진이 상기 돔형 덕트 외부로 날리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절곡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방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단부는 돔형 덕트의 내부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테이블 유닛은,
    상기 분진 유도부의 하부와 포집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테이블 상판부의 상부와 분진 유도부 내부에 존재하는 분진을 포집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챔버와 돔형 덕트를 연결시키며, 상기 집진 챔버를 거쳐서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돔형 덕트에 공급하여, 상기 돔형 덕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연결 배관 유닛으로 유도하기 위한 피드백 배관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배관 유닛은 상기 돔형 덕트의 후면부와 상기 집진 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돔형 덕트 내부에서 발생한 분진을 상기 집진 챔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 장치.
KR1020140169699A 2014-12-01 2014-12-01 돔형 집진장치 KR10172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699A KR101723516B1 (ko) 2014-12-01 2014-12-01 돔형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699A KR101723516B1 (ko) 2014-12-01 2014-12-01 돔형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65A KR20160065565A (ko) 2016-06-09
KR101723516B1 true KR101723516B1 (ko) 2017-04-05

Family

ID=5613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699A KR101723516B1 (ko) 2014-12-01 2014-12-01 돔형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5166A (zh) * 2016-11-17 2017-03-08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防扬尘式实验台清洁装置
KR101954526B1 (ko) * 2017-08-23 2019-05-23 (주) 아름 네일아트용 분진 필터링 장치
WO2020175746A1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프라임덴탈 치과전용 휴대집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810A (ja) * 2001-04-24 2002-11-05 Hideo Suzuki 集塵装置
WO2014109551A1 (ko) * 2013-01-09 2014-07-17 Cho Nam Sik 돔형 집진흡입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집진 배출 에너지 피드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511A (ja) * 1998-02-23 1999-08-31 Kuroda Precision Ind Ltd エアブロー用ボック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収装置
KR100310133B1 (ko) 1999-05-17 2001-11-01 조충환 진동충격을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 경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810A (ja) * 2001-04-24 2002-11-05 Hideo Suzuki 集塵装置
WO2014109551A1 (ko) * 2013-01-09 2014-07-17 Cho Nam Sik 돔형 집진흡입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집진 배출 에너지 피드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65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449B1 (ko) 휴대용 흄 집진기
KR101723516B1 (ko) 돔형 집진장치
KR20110102074A (ko) 오일미스트용 포터블 집진기
CN106002462A (zh) 一种机床除屑装置
KR20140118434A (ko) 산업용 진공 청소기
JP6178973B2 (ja) 除塵ブース
CN206957293U (zh) 焊接车间
CN205817438U (zh) 一种机床除屑装置
RU26058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увания очищенного воздуха
CN207104668U (zh) 具有高效除尘的打磨装置
CN107803750A (zh) 一种双工位水洗式轮毂打磨系统
KR100517905B1 (ko) 무균동물 사육용 청정 작업대
JP3323843B2 (ja) 洗浄装置
KR101387616B1 (ko) 집진 배출 에너지 피드백 시스템
CN210732847U (zh) 一种可减少扬尘的瓷砖切割装置
KR101317810B1 (ko) 돔형 집진흡입장치
KR20100103130A (ko) 용접 흄 및 분진 제거 시스템
JP5724965B2 (ja) ナノマテリアル取扱施設用エアシャワー室及びナノマテリアルの取扱施設
WO2014077255A1 (ja) 誘導気流発生装置
KR102616445B1 (ko) 진공청소기
US6824459B1 (en) Gold jewelry lapping machine with shroud
JPH1151432A (ja) 粉塵除去用エアーシャワーシステム
CN218458011U (zh) 一种粉尘清理装置
CN211053461U (zh) 一种拉丝机的集尘装置
CN218610775U (zh) 除尘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