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810B1 - 돔형 집진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돔형 집진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810B1
KR101317810B1 KR1020130002630A KR20130002630A KR101317810B1 KR 101317810 B1 KR101317810 B1 KR 101317810B1 KR 1020130002630 A KR1020130002630 A KR 1020130002630A KR 20130002630 A KR20130002630 A KR 20130002630A KR 101317810 B1 KR101317810 B1 KR 10131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dust
work
suction duct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식
조형진
Original Assignee
조형진
조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진, 조남식 filed Critical 조형진
Priority to KR102013000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810B1/ko
Priority to PCT/KR2014/000211 priority patent/WO20141095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08B17/04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by using removable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6By s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의 기류가 유입되며 작업자가 작업에 임할 수 있게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전방 돔 및 상기 전방 돔의 타측과 연결되며 전방 돔의 개구와 마주하는 벽면에 흡입 덕트가 형성된 후방 돔으로 구성되어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 냄새, 매연 등이 상기 흡기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흡입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연마, 용접, 페인트 등으로 가공시 분진, 냄새, 매연 등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분진이 작업현장의 주변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전방 돔과 후방 돔에 안내되어 흡입 덕트를 통해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작업자가 건강에 해로운 분진을 흡입하여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돔형 집진흡입장치{Dom typ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흐름을 흡입구 중앙으로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입체 곡면구조물을 전,후방에 2개 접합체결한 내부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페인팅,연마와 같은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을 발생하는 페인팅, 그라인딩, 음식조리, 냉,온의 공기순환,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 처리하는 흡입 덕트를 형성함으로써,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들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흡입 처리할 수 있게하여 작업자의 건강과 환경을 해치는 물질들로부터 작업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여 청정환경으로 자연을 순환시키고자 하는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집진장치는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유 먼지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로서 먼지 등의 분진을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현장 즉, 의류, 제사, 면방, 제분, 황토제품, 연마, 시멘트 등의 많은 공장이나 제철소와 같이 대기 중에 많은 분진, 냄새, 매연 등이 혼합되어 떠다니는 곳에서는 아주 필수적인 장치이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 또는 주변 사람들의 눈, 입, 코, 피부 등등 인체가 노출될 경우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암과 같은 위험한 산업질병의 발생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서 산업현장에는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등을 모아 처리하는 집진장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공장 굴뚝과 같은 연기를 배출하는 시설에는 연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는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그라인딩, 용접과 같은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0310133호의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가 있다. 이를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선행기술은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형상으로 저부 모서리 가까이에 이동이 용이토록 바퀴(R)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양측면에는 차단판(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차단판(10)의 선단 저부에는 체결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후단 양측에는 힌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은 무수히 많은 흡입공(110)이 천공된 흡입구(11)로 이루어져 있는 작업대(1)와, 상기 작업대(1)의 흡입구(11) 하부에는 공간부(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부(20)의 후방 끝부에는 통로(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21)가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덕트(2)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에는 여과포 털이봉(30)이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여과포 털이봉(30)이 여과포(31) 일단 끝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여과포(31)의 양단을 체결 고정한 상태이며 상기 통로(21)의 진입부에는 격판(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판(33) 양측에는 통기공(3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31)로 차단된 중앙부에는 통로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로공(32)을 통해 상기 여과포(31)를 거쳐서 통과되도록 구성된 공기여과실(3)과, 상기 공기여과실(3)의 상측 내부에는 흡입팬(40) 및 배출구(41)와 모우터(42)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배출공(430)이 무수히 천공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4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정면에는 컨트롤 판(44)이 장착되어 있는 모우터구동실(4)과, 상기 공기여과실(3)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5)과, 상기 공기여과실(3)과 집진실(5)의 외부에는 별도로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도어(6)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분진이 발생하는 가공을 하기 위한 작업대(1)의 면적이 협소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작업대(1)의 전방과 측면만이 차단판(10)에 막혀 있기 때문에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 대기의 흐름을 타고 작업대(1)의 주변으로 퍼져갈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을 완전하게 포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선행기술의 집진장치는 작업대(1)의 하부로 분진을 빨아들여 처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마와 같은 작업 중에 발생하는 분진 중 일부는 작업대의 하부로 빨려들어가 포집할 수 있지만 강한 풍속을 발생시키는 페인팅,그라인딩과 같은 작업일 경우 작업현장의 대기조건 등에 따라서 작업대 분진 차단판으로부터 반사,상승하게 되며 널리 퍼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현장의 주변으로 퍼져나간 분진은 작업자의 호흡을 통해 체내에 축적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처리공정 없이 작업현장의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10133호 (2003.03.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페인팅,연마, 용접, 가공,등으로 작업시 분진, 냄새, 매연 등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페인트, 각종 분진, 냄새, 매연 등 오염 물질이 작업현장의 주변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흡입 덕트로 포집되는 돔형 집진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작업이 수행될 때 작업현장의 대기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돔형 집진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에 작업공구에서 발생하는 페인트, 분진 등과 공구사용시 발생하는 풍압이 전면과, 상,하부, 좌,우, 양측면으로 진출되며 흡입구로 흡입되지만 일부는 차단판 등에 반사되어 굴절되어 작업자의 눈, 코, 입 피부 등에 접촉되므로 각종 오염 물질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오염 물질 등이 작업자의 인체에 접촉 또는 도달하지 못하고 흡입 덕트쪽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후방에 후방 돔을 마련하여 흡입 덕트로 페인트, 분진, 냄새, 매연 등이 효율 높게 빨려들어 가도록 하며 공구 사용시 발생하는 분진풍압 등이 후방 돔에 반사되어 앞으로 나오는 것을 전방 돔의 개구측 곡면에서 또 한번 반사 되게 하였고 그래도 작업자 쪽으로 향하는 잔여 오염 분진이 남으므로 전방 돔 끝단을 한번 더 밴딩 절곡하여 오염된 공기를 후방 돔 흡입 덕트 쪽으로 또 한번 반사시켜, 흡입 덕트로 흡입되도록 하였다. 후방 돔 흡입기 쪽으로 풍향이 변곡된 기류는 그 풍속도가 후방돔 흡입기에서 생성된 흡입풍속과 공구 사용시 발생한 높은 풍압의 반사 풍류와 합류되면서 그 풍속이 더한층 상승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페인트, 분진, 냄새, 매연 등에 노출되는 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이상적 돔형 집진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공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와 중량에 적합토록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높이, 길이, 폭을 확장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료, 공구등를 업지르지 않고 교환시키며 손쉬운 위치에 비치할 수 있는 공구 안치대를 부착시킨 작업대를 함께 설치할 수 있는 돔형 집진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흡입기에서 흡입을 시작할 때 일측이 개구되어 있어서 외부의 기류가 흡입되면 공기의 흐름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환경속에서 작업자가 공작물의 높이,사용공구의 위치 작업방향 등이 최적의 상황을 연출할 수 있도록 전,후방돔 내부에 작업공간을 조종될 수있게 하였으며 전방 돔과 전방 돔의 개구측과 마주하는 벽면에 흡입 덕트가 형성된 후방 돔을 후렌치에 볼트로서 체결하므로서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작업분진 등이 상기 흡기 덕트로 일정한 방향으로 흡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돔은 개구가 형성된 일측에서 후방 돔과 연결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율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 돔은 전방 돔의 개구와 마주하는 벽면에서 전방 돔의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율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방 돔의 개구 끝단은 후방 돔에 형성된 흡입 덕트를 향해 밴딩시켜 끝단이 둥글게 말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돔과 후방 돔은 플랜지에 의해 볼트 체결로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작업 테이블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작업 테이블은 상면이 승강될 수 있도록 유압 실린더가 설치되고, 승강하는 작업 테이블의 상면에 회전, 정지, 위치이동을 쉽게할 수 있는 바퀴가 부착된 공작물받임 원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 돔과 후방 돔 사이에 길이 가변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길이가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 돔의 벽면에 형성된 흡입 덕트를 기준으로 후방 돔과 전방 돔이 이등분 되어 상부 돔과 하부 돔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돔과 하부 돔 사이에 높이 가변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높이가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의하면 페인팅,연마, 용접 가공과 같은 오염물질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분진 등 오염물질이 작업현장의 주변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전방 돔과 후방 돔에 안내되어 흡입 덕트를 통해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등 오염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작업자가 건강에 해로운 분진등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접촉 흡입하므로서 일어나는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연마, 용접 가공과 같은 작업이 수행될 때 작업현장의 공기 흐림을 흡입구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전방 돔과 후방 돔을 곡면처리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청정 환경을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전방 돔과 후방 돔 사이에 길이 가변플레이트 또는 높이 가변플레이트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가공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문제점 등을 해결,보완한 작업테이블을 추가 설치할 수 있게하여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고,안전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선행기술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평면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작업 테이블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설치되는 작업 테이블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길이 가변플레이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길이 가변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높이 가변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센서와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는 크게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작업 대상물을 위치시켜 작업 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후방 돔(120)에 형성된 흡입 덕트(122)를 통해 빨아들여 포집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의 기류가 유입되며 작업자가 작업에 임할 수 있게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전방 돔(110) 및 상기 전방 돔(110)의 타측과 연결되며 전방 돔(110)의 개구(112)와 마주하는 벽면에 흡입 덕트(122)가 형성된 후방 돔(120)으로 구성되어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상기 흡입 덕트(122)로 유입된다.
상기 전방 돔(110)은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의 기류가 유입되며 작업자가 작업에 임할 수 있게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돔(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112)가 형성되며 타측은 후방 돔(120)과 연결되도록 플랜지(114)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전방 돔(110)은 개구(112)가 형성된 일측에서 후방 돔(120)과 연결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율 반경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방 돔(110)이 개구(112)가 형성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율 반경을 갖게 되면 전방 돔(110)의 외부 공기가 개구(112)를 통해 유입될 때 좁은 개구(112)를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져 후방 돔(120)에 형성된 흡입 덕트(122)를 향해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개구(112)를 지나면서 빨라지는 유속은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신속하게 흡입 덕트(122)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 돔(110)의 개구 끝단(124)은 후방 돔(120)에 형성된 흡입 덕트(122)를 향해 둥글게 밴딩 절곡되어 개구(112)의 내측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가 흡입 덕트(122)를 향해 둥글게 밴딩 절곡된 개구 끝단(124)에 안내되어 본 발명의 돔형 집진흡입장치(100) 내부의 기류는 전방 돔(110)의 개구(112)를 통해 외부로 역류하지 않고 그 유속이 상승하며 항상 흡입 덕트(122)를 향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돔(110)의 타측은 후방 돔(120)과 연결되어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체류하는 기류를 흡입 덕트(122)로 안내하게 된다. 특히, 상기 후방 돔(120)은 전방 돔(110)의 개구(112)와 마주하는 벽면에서 전방 돔(110)의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율 반경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방 돔(120)은 전방 돔(110)의 개구(112)와 마주하는 벽면에 흡입 덕트(122)가 형성되어 전방 돔(110)의 개구(112)를 통해 유입된 기류는 곧장 흡입 덕트(122)를 향해 흐르게 되며 그 중 일부는 전방 돔(110)의 내측면과 후방 돔(120)의 내측면에 안내되어 흡입 덕트(122)를 향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체류하는 분진은 흡입 덕트(122)를 향해 흐르는 기류에 의해 흡입 덕트(122)로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흡입 덕트(122)로 이동된 분진은 흡입 덕트(122)의 관로 상에 설치된 필터(미도시)에 의해 포집된다.
이와 같이 후방 돔(120)의 벽면에 형성되는 흡입 덕트(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팬(미도시)과 관으로 연결되어 흡기 팬의 작동에 의해 흡입 덕트(122)에 부압을 형성해 돔형 집진흡입장치(100) 내부의 기류를 빨아들이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 돔(120)에 형성되는 흡입 덕트(122)는 후방 돔(120)의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후방 돔(120)의 중앙에서 우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흡입 덕트(122)가 후방 돔(120)의 중앙에서 우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되는 경우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 중앙에 작업 대상물을 안치시켜 그라인더와 같은 공구에 의해 연마 가공할 때 흡입 덕트(122)가 가공부분과 가까워져 가공시 발생하는 분진이 원활하게 흡입 덕트(122)로 빨려들어가게 됨으로써,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 작업자의 눈, 코, 입, 피부 등에 접촉하지 않고 그 즉시 흡입 덕트(122)로 흘러가기 때문에 우수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은 플랜지(114)(126)에 의해 결합되어 그 내부가 밀폐된 돔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돔(110)의 타측과 후방 돔(120)의 일측은 각각 플랜지(114)(126)가 형성되며 이러한 플랜지(114)(126)는 서로가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조립됨으로써 일체화된다.
이렇게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이 플랜지(114)(126)에 의해 결합되면 상기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내측면은 매끈한 유선형의 면을 형성하게 되어 개구(112)를 통해 유입된 기류는 흡입 덕트(122)를 향해 원만하게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돔(120)의 배면에는 작업자가 본 발명의 돔형 집진흡입장치(100)에 대한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101)과 캐스터(다리바퀴)(10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를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핸들(101)을 잡은 상태에서 전방 돔(110)이 지면으로부터 들여지게 기울여 돔형 집진흡입장치(100)의 하중을 캐스터(102)에 집중시킨 후 핸들(101)을 밀어 운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는 작업 테이블(1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도 7a 및 도 7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작업 테이블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설치되는 작업 테이블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작업 테이블(130)이 설치된다. 상기 작업 테이블(130)은 다수의 수직 프레임(132)을 기초로 상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 테이블(130)은 필요에 따라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게 캐스터(바퀴다리)가 수직 프레임(132)에 설치되어 작업 테이블(130)의 운반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 아래에는 다수의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구 안치대(135)가 마련된다. 상기 공구 안치대(135)는 평탄한 판의 형상을 갖고 그 상면에 공구를 안치시킬 수 있는 수납 홈(135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인트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건을 공구 안치대(135)에 안정적으로 안치시킬 수 있도록 공구 안치대(135)의 상면에 스프레이 건이 안치되는 수납 홈(135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공구 안치대(135)의 수납 홈(135a)에 위치시켜 보관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공구를 찾아 사용할 수 있어 결국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구 안치대(135)에 형성되는 수납 홈(135a)은 앞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 테이블(130) 상에 위치하는 작업 대상물을 가공할 공구에 맞는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구 안치대(135)는 사용할 공구에 맞게 교체가능하도록 작업 테이블(13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 하부에는 인출 가이드(134)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 가이드(134)에 삽입되는 암(135b)이 공구 안치대(135)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암(135b)이 인출 가이드(134)에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할 공구에 부합하게 공구 안치대(135)를 교체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구 안치대(135)와 함께 서랍(미도시)이 마련되어 서랍에 공구를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서랍에서 공구를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 테이블(130)의 하부에는 다층의 선반이 형성되어 공구 안치대(135) 또는 서랍에 들어가지 않는 비교적 부피가 큰 공구를 선반에 안치시켜 보관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작업 테이블(130)은 작업 대상물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에 작업 대상물이 안치되면 작업 대상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높이에 작업 대상물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 테이블(130)의 하부에는 유압 실린더(138)가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138)의 작동에 따라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이 소정의 높이로 승강하게 된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실린더(138)는 작업 테이블(130)의 하부에 마련된 선반에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138)의 로드는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138)의 승강에 따라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이 승강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에 작업 대상물을 올려놓는 원판(136)이 설치되며, 상기 원판(136)의 저면에 다수의 롤러(136a)가 설치되어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에서 원판(136)이 회전, 이동 정지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원판(136)에 안치된 작업 대상물은 원판(136)에 안치된 상태로 작업이 편리한 방향으로 회전, 이동,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원판(136)이 회전, 이동, 정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 대상물을 가공하기 위해 작업자가 근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이리저리 이동시킬 필요 없이 간편하게 위치를 변경하며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 테이블(130)의 상면 중 작업자와 인접한 선단에는 작업 대상물의 가공 중 발생하는 분진이 작업자의 후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 가이드(131a)가 형성되며, 작업 테이블(130)의 기단에는 작업 중 발생한 분진을 흡입 덕트(122)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후방 가이드(131b)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는 그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길이 가변플레이트(140) 또는 높이 가변플레이트(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도 8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길이 가변플레이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길이 가변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는 그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길이 가변플레이트(140)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 가변플레이트(140)는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 가변플레이트(140)의 양 끝단은 각각 전방 돔(110)의 타측 테두리와 후방 돔(120)의 일측 테두리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길이 가변플레이트(140)의 양 끝단은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어 전방 돔(110)의 타측 테두리와 후방 돔(120)의 일측 테두리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일체화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높이 가변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높이 가변플레이트(150)는 상기 후방 돔(120)의 벽면에 형성된 흡입 덕트(122)를 기준으로 후방 돔(120)과 전방 돔(110)이 이등분되어 상부 돔(100a)과 하부 돔(100b)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돔(100a)과 하부 돔(100b) 사이에 높이 가변플레이트(150)가 설치되어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는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높이 가변플레이트(150) 역시 상부 돔(100a)과 하부 돔(100b)과 마주하는 양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부 돔(100a)의 하단 테두리와 하부 돔(100b)의 상단 테두리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일체화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센서와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는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각종 센서와 제어부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센서는 작업중 발생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센서들로 그 예로써, 이물질 감지센서, 유량센서, 필터 감지센서, 공기압력 센서, 흡입 모터속도 감지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흡입공기 흐르는 량을 감지하는 공기와 혼합된 이물질 량 센서부, 풍량 센서부, 배기관내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공기압력 센서부, 흡입전용 모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센서부,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원 입력단자, 이물질 량 센서 민감도를 조절하는 가변저항, 풍량센서 민감도를 조절하는 가변저항, 공기압력 센서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가변저항, 모터속도 감지센서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가변저항, 공기흐름 센서의 민감도 판단부, 공기 흡입량 센서의 민감도 판단부, 공기압력 센서의 민감도 판단부, 모터속도 감지센서의 민감도 판단부,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서의 시정수 값을 판단하여 제어하는 자동제어부, 기능의 이상 유무시 경고음 또는 경고등으로 경고하는 경고부, 공장내 상황에 따라 모터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인버터 또는 모터의 속도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디머(Dimmer) 스위치(미도시), 흡입전용 모터의 신호데이터에 의한 모터속도조절 출력단자 등을 구비한다.
필요에 따라 자동제어부의 신호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용어에 의하여 그 기능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인버터는 작업환경, 작업조건, 가공할 제품의 용적, 작업량, 생산량 등등 상항에 따라 각종 센서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 검토하여 자동으로 모터의 입력전압 과 주파수를 조절하여 적절한 모터의 회전속도를 바꾸는 변환장치로서 작업량이 많을 때는 모터속도를 빠르게, 작업량이 적을 때는 속도를 느리게 회전하게 됨으로 전기 동력 소비 율을 약 30%이사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100)에 이물질 감지센서, 유량센서, 필터 감지센서, 공기압력 센서, 흡입 모터속도 감지센서 등이 설치되면 어떠한 작업환경에서도 유해한 물질이 인체에 일체 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한 이물질이 발생하는 범위 또는 용량에 따라 이물질의 흡입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적절하게 제어하므로 경제적으로 절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이물질 감지센서, 유량센서, 필터 감지센서, 공기압력 센서, 흡입 모터속도 감지센서 등은 흡입 덕트(122)를 통하여 흡입된 분진, 악취 및 연기 등의 이물질을 흡수하였을 때 배기관 내에서 이물질 량, 풍량, 압력 및 모터속도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데이터 분석 검토하여 그 데이터 값을 알고리즘에 의해 마이컴이 판단하여 자동제어가 되도록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분진, 연기, 냄새 등을 흡입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적절한 이물질 흡입량을 넘었을 때나, 부족할 때에 자동으로 모터의 속도를 인버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하여 작업환경에 적합한 공기 흡입량을 흡입하여 배출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전동공구(그라인드)를 사용시 그라인더의 속도, 분진발생 범위, 발생량 등을 각종센서가 감지하여 제어장치에 의해 모터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는 연마, 용접 가공과 같은 분진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분진이 작업현장의 주변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에 안내되어 흡입 덕트(122)를 통해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작업자가 건강에 해로운 분진을 흡입하여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마, 용접 가공과 같은 작업이 수행될 때 작업현장의 대기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분진을 포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집진흡입장치(100)는 전방 돔(110)과 후방 돔(120) 사이에 길이 가변플레이트(140) 또는 높이 가변플레이트(15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가공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테이블(130)이 비치될 수 있어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돔형 집진흡입장치 101 : 핸들
102 : 캐스터 110 : 전방 돔
112 : 개구 114,126 : 플랜지
120 : 후방 돔 122 : 흡입 덕트
124 : 개구 끝단 130 : 작업 테이블
132 : 수직 프레임 134 : 인출 가이드
135 : 공구 안치대 136 : 원판
138 : 유압 실린더 140 : 길이 가변플레이트
150 : 높이 가변플레이트 100a : 상부 돔
100b : 하부 돔

Claims (9)

  1.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의 기류가 유입되며 작업자가 작업에 임할 수 있게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전방 돔;
    상기 전방 돔의 타측과 연결되며, 벽면에 흡입 덕트가 형성된 후방 돔;으로 구성되어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상기 흡입 덕트로 유입되며, 상기 흡입 덕트는 상기 후방 돔의 중앙에서 일측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 돔은 개구가 형성된 일측에서 후방 돔과 연결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률 반경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 돔의 개구 끝단은 후방 돔에 형성된 흡입 덕트를 향해 둥글게 밴딩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방 돔은 상기 개구와 마주하는 벽면에서 전방 돔의 타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넓어지는 곡률 반경을 형성하되,
    상기 후방 돔의 배면 중앙에 구비되는 핸들;
    상기 핸들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외면에 곡률을 형성하는 후방 돔의 배면 하부에 구비되는 캐스터; 및
    상기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작업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테이블은,
    상면이 승강하도록 설치된 유압 실린더와, 승강하는 작업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회전하는 원판과, 상기 작업 테이블의 상면중 작업자와 인접한 선단에 후방 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전방 가이드와, 상기 작업 테이블의 기단에 후방 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후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흡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돔과 후방 돔 사이에 길이 가변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길이가 확장되고,
    상기 후방 돔의 벽면에 형성된 흡입 덕트를 기준으로 후방 돔과 전방 돔이 이등분 되어 상부 돔과 하부 돔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 돔과 하부 돔 사이에 높이 가변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전방 돔과 후방 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높이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집진흡입장치.
  9. 삭제
KR1020130002630A 2013-01-09 2013-01-09 돔형 집진흡입장치 KR10131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630A KR101317810B1 (ko) 2013-01-09 2013-01-09 돔형 집진흡입장치
PCT/KR2014/000211 WO2014109551A1 (ko) 2013-01-09 2014-01-08 돔형 집진흡입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집진 배출 에너지 피드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630A KR101317810B1 (ko) 2013-01-09 2013-01-09 돔형 집진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810B1 true KR101317810B1 (ko) 2013-10-15

Family

ID=4963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630A KR101317810B1 (ko) 2013-01-09 2013-01-09 돔형 집진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624A (ko) * 2018-03-30 2019-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우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5376A1 (en) * 2008-02-25 2009-08-27 A1 Envirosciences Limited Laboratory containment system
JP2010512477A (ja) * 2006-12-26 2010-04-22 ワールド ドーム ハウス シーオー エルティディ ドーム型構造物
KR20120087694A (ko) * 2011-01-28 2012-08-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접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2477A (ja) * 2006-12-26 2010-04-22 ワールド ドーム ハウス シーオー エルティディ ドーム型構造物
US20090215376A1 (en) * 2008-02-25 2009-08-27 A1 Envirosciences Limited Laboratory containment system
KR20120087694A (ko) * 2011-01-28 2012-08-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접용 지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624A (ko) * 2018-03-30 2019-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우터
KR102144704B1 (ko) * 2018-03-30 2020-08-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720B1 (en) Portable airborne contamina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a main and remote unit
TW201600172A (zh) 智慧氣簾排氣櫃
CN104588387B (zh) 用于抛光、打磨、拉丝平台铝镁粉尘的控制收集装置
US5655253A (en) Bench top dust collector
KR20180111367A (ko)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KR101317810B1 (ko) 돔형 집진흡입장치
KR101723516B1 (ko) 돔형 집진장치
CN104984972A (zh) 一种实验室用通风柜
CN205095814U (zh) 一种双风幕换笼工作站
KR101275847B1 (ko) 애견 미용 테이블
US20210178311A1 (en) Air purifier
CN212634484U (zh) 机械加工用零件切割装置
EP4005429A1 (en) Device for purifying air in the workspace of a nail artist
JP4925998B2 (ja) 集塵機能を備えた作業台
CN205817438U (zh) 一种机床除屑装置
CN207104668U (zh) 具有高效除尘的打磨装置
KR101387616B1 (ko) 집진 배출 에너지 피드백 시스템
US6974375B1 (en) Double vent dust collection hood with inspection lighting, storage shelf and sandpaper dispensers
CN214264682U (zh) 一种电梯轿厢拆卸装置
WO2014109551A1 (ko) 돔형 집진흡입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집진 배출 에너지 피드백 시스템
CN209407056U (zh) 一种通风橱
KR102661153B1 (ko) 절단가공시스템
CN215240091U (zh) 一种安全型用于插头壳体加工的抛光设备
CN211414071U (zh) 一种方便调节的激光切割装置
CA3235150A1 (en) Scalable cabin system for spot processing of a surface, mobile cabin, and method here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