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367A -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367A
KR20180111367A KR1020170042239A KR20170042239A KR20180111367A KR 20180111367 A KR20180111367 A KR 20180111367A KR 1020170042239 A KR1020170042239 A KR 1020170042239A KR 20170042239 A KR20170042239 A KR 20170042239A KR 20180111367 A KR20180111367 A KR 20180111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duct
exhaust pipe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174B1 (ko
Inventor
박성훈
서상원
김수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경엔지니어링
김수문
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경엔지니어링, 김수문, 박성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4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1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6Construction of inlets or outlets to the vortex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5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를 위한 각종 장비(크러셔, 선별기 등)에 설치되어 장비의 구동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력과 송풍력을 함께 이용하여 포집함으로써 분진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는, 대기오염원이 발생되는 장비의 서로 대향되는 곳에 하나 이상의 송풍노즐과 흡입노즐이 설치되는 송기관(20) 및 흡기관(30)과;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에 각각 설치되는 격자형 안전망과;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이 연결되는 한편 대기와 통하는 배기관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40)과;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 토출측과 상기 송기관 및 배기관과 연결되는 송풍기 케이스(51)를 통해 설치되며 상기 덕트 안에 있는 대기오염원과 공기를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기관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으로 유도하여 상기 사이클론 안에서 대기오염원을 선별하고 공기를 상기 송기관을 통해 상기 덕트 안으로 송풍하는 송풍기(50)와; 상기 배기관 내에서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센서(70)와;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를 통해 상기 배기관을 개폐하는 도어(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PUSH-PULL TYPE REMOVING DUST APPARATUS}
본 발명은 분진 등의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파쇄, 분쇄, 선별 등) 과정 등 분진이 발생되는 모든 장비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분진으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은 대개 파쇄(분쇄)와 입도 선별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되어 대기 중으로 비산되고 있어 대를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대기오염방지법은 공장 및 사업장에 있어서의 사업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매연의 배출 등을 규제하고, 아울러 자동차 배출가스에 관계된 허용한도를 정한 것이다. 대기의 오염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함과 동시에 생활환경을 보존하고, 또한 대기오염으로 사람의 건강에 관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사업자의 손해배상 책임에 대하여 정하는 등 피해자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매연 배출의 규제, 분진에 관한 규제, 자동차 배출가스에 관한 허용한도, 대기오염상황의 감시, 벌칙 등이 규정되고 있다.
이에 맞춰 이러한 최근의 골재 제조기술에서 골재와 분리된 분진을 집진 처리하는 집진장치의 기술로 사이클론 집진기와 백필터를 이용한 집진방식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백필터 집진방식은 주기적으로 확인하거나 교환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백이 손상되면 미세분진 및 분진이 그대로 대기 중에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아울러 집진시설의 유지 관리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고, 사이클론 집진기는 흡입 방식으로 골재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다량의 분진을 투입시킬 경우 어느 정도 입도가 큰 분진은 집진되나, 미세입자의 분진은 집진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629438호)은 원통형태로 구성된 외통의 하측에 원추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 스크류컨베이어가 설치된 한편 외통의 내부에 소정크기의 내통이 설치된 사이클론 집진기로 골재 제조장치에서 발생한 분진과 분진이 유입되어 집진 처리되는 기존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미세분진이 흡입되는 흡기관과 흡입된 미세분진이 송풍되는 송기관이 연결 설치되고 프레임 위에 고정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송풍기와; 송풍기에서 송기관을 통해 미세분진이 유입되며 바닥면에 스크류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소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한편 상부 한쪽에 배기구와 배기관이 설치된 집진탱크와; 송풍기의 송기관에 연결되게 집진탱크 안에 설치되고 미립자로 물을 분사시켜 미세분진을 집진하는 1차 집진쳄버와; 집진탱크 안에서 내부공기가 배기관으로 배출되는 배기구 위에 설치되고 미립자로 물을 분사시켜 미세분진을 집진하는 2차 집진쳄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제조용 집진장치로서, 송풍만을 통해 배기관으로 집진하는 것으로 분진의 집진효율이 낮다.
등록특허 제10-06294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를 위한 각종 장비(크러셔, 선별기 등)에 설치되어 장비의 구동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력과 송풍력을 함께 이용하여 포집함으로써 분진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는, 대기오염원이 발생되는 장비의 서로 대향되는 곳에 하나 이상의 송풍노즐과 흡입노즐이 설치되는 송기관 및 흡기관과;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에 각각 설치되는 격자형 안전망과;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이 연결되는 한편 대기와 통하는 배기관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 토출측과 상기 송기관 및 배기관과 연결되는 송풍기 케이스를 통해 설치되며 상기 덕트 안에 있는 대기오염원과 공기를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기관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으로 유도하여 상기 사이클론 안에서 대기오염원을 제거하고 공기를 상기 송기관을 통해 상기 덕트 안으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배기관 내에서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센서와;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를 통해 상기 배기관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비(크러셔, 선별기 등)에 설치되어 장비의 구동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력과 송풍력을 함께 이용하여 포집함으로써 편흡입으로 인한 송풍량 감소로 설비의 용량를 최소화하여 설비투자비 및 소요부지를 절감시키며 순환 송풍력을 활용하여 배출분진의 확산 차단용 에어커튼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하고, 대기오염방지에 관한 법률을 만족하여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에 덕트가 적용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에 적용된 덕트의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를 양흡입(양쪽 풀)으로 사용하는 예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도 1 내지 도 4는 덕트가 없는 예이고, 도 5는 덕트가 적용된 예이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는, 대기오염원이 발생되는 장비의 투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분진(본 발명에서 분진은 대기오염원인 입자상 물질을 총칭한다)의 포집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덕트(10), 덕트(10) 내부에 분진의 제거를 위하여 공기를 송풍하는 송기관(20), 덕트(10) 내부에서 흡입력에 의해 분진을 흡입하는 흡기관(30), 흡기관(30)에 의해 흡입되는 분진과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40), 송기관(20)을 통해 바람을 송풍(푸쉬, push)함과 아울러 흡기관(30)을 통해서는 흡입력(풀, pull)을 발생하여 덕트(10)(도 5에 도시됨) 내부에 있는 분진을 사이클론(40)에 포집하는 송풍기(50), 사이클론(40)에서 분리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6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분진이 발생되는 모든 장비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장비로는 건설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콘(cone)/죠(jaw) 크러셔(crusher), 스크린(screen) 등이 있고, 크러셔(1)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덕트(10)는 크러셔(1)에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한편 크러셔(1)에 설치를 위하여 하부가 개방되는 구조이고, 예를 들어 사각형의 틀의 형태이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덕트(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적용되지 않을 수 있고, 도 5처럼 적용될 수도 있다.
덕트(10)는 송기관(20) 및 흡기관(30)이 각각 연결되는 구멍인 송풍구와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구와 흡입구를 통해 분진 외에 골재가 유입될 수 있으며, 골재로 인한 파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송풍구와 흡입구[예를 들어 송기관(20)의 송풍노즐(21)과 흡기관(30)의 흡입노즐(31)]에는 격자형의 안전망(22,32)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자형의 안전망(22,33)은 분진은 통과하지만 골재는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다수의 홀을 갖는다.
덕트(10)는 크러셔(1)에 다양하게 고정되며, 고정브래킷을 덕트(10)와 상기 호퍼에 덧댄 후 각각 볼트를 체결하는 방법이 있다.
덕트(10)는 다양한 고정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고정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덕트(10)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의 크러셔(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크러셔(1)가 설치된 현장에서 크러셔(1)의 호퍼에 직접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덕트(10)는 내주면에 라이닝(lining)(11)이 덧대어질 수 있다. 라이닝(11)은, 고강도의 하이망간, 압축고무, 철 등을 재질로 하고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다.
송기관(20)은 일측이 송풍기(50)가 설치되는 송풍 케이스(51)에 연결되고 타측은 하나 이상의 송풍노즐(21)로서 직접 크러셔(1) 위의 호퍼에 직접 대응 설치되거나, 덕트(10)가 적용된 경우 덕트(10)의 송풍구에 연결된다.
송풍노즐(21)은 바람직하게 고압분사를 위하여 송풍단이 다른 구간보다 통기면적이 좁은 형태이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기관(30)은 일측이 사이클론(40)의 흡입포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하나 이상의 흡입노즐(31)로서 직접 크러셔(1) 위의 호퍼에 직접 대응 설치되거나, 덕트(10)가 적용된 경우 덕트(10)의 흡입구에 연결된다. 흡기관(30)은 분진의 효율적인 분리를 위하여 사이클론(40)의 둘레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다.
송풍노즐(21)과 흡입노즐(31)은 후드(hood)의 형태로서 송풍노즐(21)과 흡입노즐(31)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송풍노즐(21)의 송풍에 의해 밀리는 분진을 흡입노즐(31)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하는 것이고, 또는 송풍노즐(21)이 흡입노즐(31)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어 송풍노즐(21)을 통해 송풍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에어커튼 하부에서 흡입력에 의해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송풍노즐(21)과 흡입노즐(31)에는 송풍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그릴(23,33)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릴(23,33)은 송기관(20)과 흡기관(30)의 단부에 회동 또는 슬라이딩 장착되어 송기관(20)과 흡기관(30)을 통해 송풍 또는 흡입되는 방향을 조절하고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은 풍량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송풍과 흡입방향은 송기관(20)과 흡기관(30)을 플렉시블 관으로 구성하여 풍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송기관(20)과 흡기관(30) 및 배기관(60)의 재질은 pvc, sus, 알루미늄, 철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고, 덕트(10)와 사이클론(40) 간의 거리에 맞춰 2개 이상이 관이음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용이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각각 덕트(10) 등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송기관(20)과 흡기관(30)은 덕트(10) 내부의 모든 곳에서 송풍력과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덕트(10)에 2개 이상의 송풍구와 흡입구를 형성하여 2개 이상의 송기관(20)과 흡기관(30)을 사용한다.
송기관(20)과 흡기관(30) 모두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배기관(60)은 일측이 송풍기 케이스(51)의 토출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개방형 배출구이다.
사이클론(40)은 원통부와 원추부를 갖는 구조로서 상측 둘레부에 흡기관(30)이 연결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분진이 분리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분진 배출부는 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분진을 수거하는 분진 수거함(수거낭)이 연결된다.
사이클론(40)은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2개 이상의 경우 덕트(10)에 연결된 흡기관(30)은 분기관을 통해 2개 이상의 사이클론(40)에 연결된다. 상기 분기관은댐퍼를 통해 개폐되고 따라서 2개 이상의 사이클론(40)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어느 하나의 사이클론(40)만 사용될 수도 있다.
송풍기(50)는 송풍기 케이스(51)를 통해 사이클론(40)의 공기 배출구와 연결 설치되며, 예를 들어 배기관(60)의 아래쪽 지면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사이클론(40)과 연결되는 흡입팬일 수 있다.
송풍기 케이스(51)는 송기관(20)과 배기관(60)이 연결됨과 아울러 사이클론(40) 내부와 통하는 구조 예를 들어 3개의 개방부를 갖는 티(T)형이며, 송기관(20)과 배기관(60)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거나 하나의 관으로 모아진 후 연결되는 토출구 및 사이클론(40)과 통하는 흡입구가 구성된다.
송풍기(50)는 흡입구를 통해 사이클론(40)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송기관(20)과 배기관(60)으로 송풍한다.
송기관(20)과 배기관(60)은 송풍기(50)에 의해 공기를 송기관(20)에 송풍하는 것과 공기를 배기관(60)으로 송풍하는 것이 가능한 전제 하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사이클론(40)에서 분진이 분리된 공기는 송기관(20)을 통해 덕트(10)에 공급되고 또는 배기관(60)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며, 배기관(6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는 정화 공기이고, 이를 위하여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센서(70), 배기관(60)을 개폐하는 도어(80)가 갖추어진다.
오염센서(70)는 예를 들어 대기오염방지법에서 규정하는 위치 즉, 배기관(60)에 설치되어 배기관(60)을 통해 배기되는 공기의 오염농도를 감지한다. 물론, 오염센서(70)는 배기관(6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송풍기 케이스(51) 안에 설치되어 배기되기 이전의 오염농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80)는 오염농도를 근거로 하여 배기관(60)을 개폐하며, 현재 오염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낮으면 배기관(60)을 개방하고, 현재 오염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으면 배기관(60)을 폐쇄한다.
도어(80)의 개폐는 관리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수동식,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한 자동식이 가능하다.
도어(80)는 버터플라이 밸브 등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관리자가 모니터에 화면 출력되는 현재 오염도를 확인하여 도어(80)의 구동수단(모터 등)을 온/오프 조작하고, 후자의 경우 컨트롤러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현재 오염농도와 기준 농도를 비교하여 현재 오염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낮으면 배기관(60)을 개방 제어하고 반대로 현재 오염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으면 배기관(60)을 폐쇄 제어한다.
도어(80)는 송기관(20)과 배기관(60)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송기관(20)과 배기관(60)을 반대로 개폐하는 것 즉 송기관(20)의 개방(폐쇄)시 배기관(60)을 폐쇄(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배기관(60)에 도어(8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송기관(20)과 배기관(60)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에 의한 분진 집진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설치.
송풍노즐(21)과 흡입노즐(31)[또는 덕트(10)]을 크러셔(1)의 호퍼에 고정 설치하고, 크러셔(1) 주위에 사이클론(40)과 송풍기(50) 및 배기관(60)(이들은 일체로 사용됨)을 설치하며, 송기관(20)과 흡기관(30)을 덕트(10)와 사이클론(40)에 연결한다.
2. 분진 제거.
크러셔(1)와 송풍기(50)를 가동하고, 크러셔(1) 안에 투입물을 투입한다.
송풍기(50)의 가동에 의해 크러셔(1)의 상부에는 송풍력(푸쉬)과 흡입력(풀)이 함께 발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기관(30) - 사이클론(40) - 송풍기(50)의 흡입포트는 흡입경로를 조성하고, 송풍기(50)의 송기관쪽 토출포트 - 송기관(20)는 송풍경로를 조성하며, 도어(80)에 의한 배기관(60)의 개방시 송풍기(50)의 배기관쪽 토출포트 - 배기관(60)은 배기경로를 조성한다.
송풍기(50)가 가동하면 상기 흡입경로에는 흡입력이 생기는 반면 상기 송풍경로에는 송풍력이 생기며, 따라서, 크러셔(1)의 상부에는 송기관(20)에서 송풍되는 송풍력 및 흡기관(30)을 향하는 흡입력이 공존하여 송풍력으로 분진을 밀고 흡입력으로 분진을 흡입하여 사이클론(40)으로 유도한다. 예를 들어 송풍력만 있는 경우 송풍구에서 먼 곳으로 가면서 송풍력이 약하고 반대로 흡입력만 있는 경우 흡입구에서 먼 곳에는 흡입력이 약하여 분진의 제거 효율이 낮지만, 본 발명은 흡입구와 먼 곳에서 송풍력이 발생하고 또한 송풍구와 먼 곳에서 흡입력이 발생하여 덕트(10) 내부에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풍력(송풍력, 흡입력)이 없는 사각지대가 없어 분진의 제거효율이 매우 뛰어나다.
이러한 송풍력과 흡입력에 의해 덕트(10) 내부의 분진은 공기와 함께 흡기관(30)을 통해 사이클론(40)에 유입되고, 사이클론(40) 안에서 분진과 공기가 분리된다.
분진은 사이클론(40) 하부의 분진 수거함에 낙하 수거되고, 공기는 상부의 송풍기(50)로 상승한다.
3. 대기중 배기.
한편, 사이클론(40)에서 분진으로부터 분리된 공기가 송풍기 케이스(51)를 통과할 때 오염센서(70)는 오염도를 감지한다.
오염센서(70)에서 감지한 오염도는 모니터에 수치 등으로 출력될 수 있고, 이때, 기준 농도가 함께 화면 출력되어 관리자가 현재 오염도를 한 눈에 판단하도록 한다.
현재 오염도가 기준 농도보다 낮으면 도어(80)를 통해 배기관(60)을 개방하여 분진이 분리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기한다. 이 공기는 오염도 측정 결과 대기를 오염하지 않을 정도의 정화 공기이다. 도어(80)의 개방은 관리자의 수동 제어, 미리 저장된 기준 농도와 현재 오염도의 비교를 근거로 하는 컨트롤러의 자동 제어 모두가 가능하다.
이 때, 배기관(60)만 개방하여 송기관(20)을 폐쇄하는 것, 배기관(60)과 송기관(20)을 동시에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크러셔(1)의 가동 정지시가 바람직할 것이며, 하지만 송기관(20)을 폐쇄하더라도 흡입력에 의한 분진이 가능하므로 크러셔(1)의 가동 중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배기와 함께 송풍력을 발생하여 송풍력과 흡입력에 의해 분진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덕트(1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덕트(10)의 상부가 개방된 경우 일부 분진이 덕트(10)의 외부 즉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덕트(10)의 상측 개방부가 폐쇄되면서 둘레부에 투입물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부(12)가 구성될 수 있다.
덕트(10)의 상측 개방부는 커버(14)에 의해 개폐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호퍼부(12)가 없고 덕트(10)의 상측 개방부에 커버만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푸쉬풀과 양흡입 모두가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도 포함된다.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송기관(20)과 흡기관(30)을 연결하는 양흡입 안내관(90), 양흡입 안내관(90)의 개폐를 위한 제1,2밸브(91,92)가 구성된다.
양흡입 안내관(90)은 양측이 송기관(20)과 흡기관(30)에 각각 연결되고, 제1,2밸브(91,92)는 송기관(20)을 통해 흡입이 가능하도록 관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밸브(91)는 흡기관(30)과 양흡입 유도관(9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이 중 하나를 개방(나머지 하나는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제2밸브(92)는 양흡입 유도관(90)과 송풍기(50) 사이 바람직하게 양흡입 유도관(90)과 송기관(20)이 연결되는 부분에 근접되는 곳에 설치되어 송기관(20)에 흡입력이 생기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덕트, 20 : 송기관
30 : 흡기관, 40 : 사이클론
50 : 송풍기, 60 : 배기관
70 : 오염센서, 80 : 도어
90 : 양흡입 유도관, 91,92 : 제1,2밸브

Claims (5)

  1. 대기오염원이 발생되는 장비의 서로 대향되는 곳에 하나 이상의 송풍노즐과 흡입노즐이 설치되는 송기관(20) 및 흡기관(30)과;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에 각각 설치되는 격자형 안전망과;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이 연결되는 한편 대기와 통하는 배기관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40)과;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 토출측과 상기 송기관 및 배기관과 연결되는 송풍기 케이스(51)를 통해 설치되며 상기 덕트 안에 있는 대기오염원과 공기를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기관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으로 유도하여 상기 사이클론 안에서 대기오염원을 선별하고 공기를 상기 송기관을 통해 상기 덕트 안으로 송풍하는 송풍기(50)와;
    상기 배기관 내에서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센서(70)와;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를 통해 상기 배기관을 개폐하는 도어(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2. 대기오염원이 발생되는 장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서로 대향되는 곳에 하나 이상의 송풍구와 흡입구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장비에 분진의 포집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덕트(10)와;
    상기 덕트의 송풍구와 흡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격자형 안전망과;
    상기 덕트의 송풍구 및 흡입구에 각각 연결되는 송기관(20) 및 흡기관(30)과;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이 연결되는 한편 대기와 통하는 배기관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40)과;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 토출측과 상기 송기관 및 배기관과 연결되는 송풍기 케이스(51)를 통해 설치되며 상기 덕트 안에 있는 대기오염원과 공기를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기관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으로 유도하여 상기 사이클론 안에서 대기오염원을 선별하고 공기를 상기 송기관을 통해 상기 덕트 안으로 송풍하는 송풍기(50)와;
    상기 배기관 내에서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센서(70)와;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며 상기 오염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는 수동 또는 자동 제어를 통해 상기 배기관을 개폐하는 도어(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에 연결되는 양흡입 유도관(90), 상기 송기관을 상기 양흡입 유도관과 연결하여 상기 송기관과 흡기관에 흡입력이 생겨 양흡입에 의한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기관과 상기 흡기관에 장착되어 풍향 또는 풍향과 풍량을 제어하는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부가 폐쇄되는 구조이면서 둘레부에 투입물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KR1020170042239A 2017-03-31 2017-03-31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KR10197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239A KR101971174B1 (ko) 2017-03-31 2017-03-31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239A KR101971174B1 (ko) 2017-03-31 2017-03-31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367A true KR20180111367A (ko) 2018-10-11
KR101971174B1 KR101971174B1 (ko) 2019-04-22

Family

ID=6386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239A KR101971174B1 (ko) 2017-03-31 2017-03-31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1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220B1 (ko) * 2019-03-27 2019-10-01 동산산업(주) 플랜트설비 감시시스템
KR20210088134A (ko) * 2020-01-06 2021-07-14 최문성 친환경 파지배출시스템
CN113798300A (zh) * 2021-10-13 2021-12-17 中国矿业大学 一种煤廊运输皮带散落煤颗粒净化回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680B1 (ko) * 2020-03-20 2020-09-07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푸시풀 배기 설비
KR20230061163A (ko) 2021-10-28 2023-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도장공장 VOCs 배출을 위한 푸쉬풀 환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38B1 (ko) 2004-12-22 2006-09-27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골재 제조용 집진장치
CN203408576U (zh) * 2013-08-20 2014-01-29 章丘市环境保护局 一种可控烟气除尘脱硫装置
KR20140006049U (ko) * 2013-05-23 201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 룸의 철 분진 집진순환기
CN204735179U (zh) * 2015-04-07 2015-11-04 福建铁拓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除尘功能的配料站
KR101716709B1 (ko) * 2016-08-26 2017-03-20 백운석 밀도차 분리를 이용한 순환 토사 내 이물질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38B1 (ko) 2004-12-22 2006-09-27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골재 제조용 집진장치
KR20140006049U (ko) * 2013-05-23 201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 룸의 철 분진 집진순환기
CN203408576U (zh) * 2013-08-20 2014-01-29 章丘市环境保护局 一种可控烟气除尘脱硫装置
CN204735179U (zh) * 2015-04-07 2015-11-04 福建铁拓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除尘功能的配料站
KR101716709B1 (ko) * 2016-08-26 2017-03-20 백운석 밀도차 분리를 이용한 순환 토사 내 이물질 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220B1 (ko) * 2019-03-27 2019-10-01 동산산업(주) 플랜트설비 감시시스템
KR20210088134A (ko) * 2020-01-06 2021-07-14 최문성 친환경 파지배출시스템
CN113798300A (zh) * 2021-10-13 2021-12-17 中国矿业大学 一种煤廊运输皮带散落煤颗粒净化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174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174B1 (ko) 푸쉬 풀형 대기오염원 집진 장치
US4968333A (en) Apparatus for cleaning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US20060207230A1 (en) Vacuum loader with filter doors
JPH01151919A (ja) 排気流濾過装置
US20070226950A1 (en) Vacuum loader with louvered tangential cyclone separator
US9399184B2 (en) Deflagration suppression screen for portable cyclonic dust collector/vacuum cleaner
KR100771667B1 (ko) 이동식 포집기
KR20080086633A (ko) 집진장치
CA1329784C (en) Filtration removal of matter from gas streams, with off-line cleaning of filters
CN109481994A (zh) 除尘系统的清灰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498282B1 (ko) 유해물질 배출 및 환기 시스템
KR101796734B1 (ko) 중앙 집중식 집진기
CN108057292A (zh) 车间粉尘处理设备
JP3323843B2 (ja) 洗浄装置
KR20100009691U (ko) 사이크론 전기집진기
CN107101210B (zh) 一种垃圾焚烧炉一次风口滤网自清洁的装置和方法
CN207941320U (zh) 车间粉尘处理设备
KR200421933Y1 (ko) 환기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CN105395129A (zh) 柜式吸尘装置
CN213824040U (zh) 一种焊接用吸尘装置
US4190014A (en) Industrial dust collector cleaning system and method
CN209696537U (zh) 工业排粉尘装置
CN106110779A (zh) 一种用于粮食仓储清理中心的扁布筒除尘器
KR100919846B1 (ko) 고층 건축물의 쓰레기 회수 설비의 쓰레기 수집기
KR102115404B1 (ko) 타이어 생산설비용 복합 오염물질의 완벽한 대기오염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