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667B1 - 이동식 포집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667B1
KR100771667B1 KR1020060042119A KR20060042119A KR100771667B1 KR 100771667 B1 KR100771667 B1 KR 100771667B1 KR 1020060042119 A KR1020060042119 A KR 1020060042119A KR 20060042119 A KR20060042119 A KR 20060042119A KR 100771667 B1 KR100771667 B1 KR 10077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charge pipe
blocking plate
coupled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동
한규상
Original Assignee
김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동 filed Critical 김일동
Priority to KR102006004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의 바닥 청소 및 공사 시에 사용하는 이동식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분진 발생을 최소화 하며, 흡입되는 흡입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 포집되게 함으로 해서 필터의 막힘 현상 없이 장시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이동식 포집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각 구성부재들을 지지하도록 사각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바닥과 접하는 캐스터(2)가 구비되고 일측에 손잡이(3a)가 마련된 본체(3)와; 본체(3)에 고정 설치되며 하측이 점차 좁아지는 밀폐된 원통형 집진호퍼(11)와, 집진호퍼(11)의 상단에 접선 유입식으로 편심되게 결합된 흡입관(4)과, 집진호퍼(11)의 상하측에 수직방향으로 제2포집부(20)로 흡입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2) 및 내부로 유입된 흡입물 중 중량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3)과, 배출관(13)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핀(16)으로 결합되는 차단판(15) 및 차단판(15)의 외측에 형성된 브래킷에 설치하여 차단판(15)을 배출관(13)에 밀착하는 중량추(14)와, 배출관(13)에 결합되는 포집포대(6)를 포함하는 사이클론(Cyclone) 원리를 이용한 제1포집부(10)와; 본체(3)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커버(21a)에 의해 밀폐되는 함체(21)와, 함체(21)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필터설치부(21b)와 유입공간(21c)을 형성하며 상하 관통되는 통기공(22a)이 형성되며 아래쪽에 테이퍼형 유도관(22b)이 형성된 격벽(22)과, 제1포집부(10)의 공급관(12)과 관체(4)로 연결되도록 유입공간(21c)에 접선 유입식으로 형성한 유입관(23)과, 유입공간(21c) 하측으로 형성된 깔때기형 배출관(24)과, 배출관(24)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핀(27)으로 결합되는 차단판(26) 및 차단판(26)의 외측에 형성된 브래킷에 설치하여 차단판(26)을 배출관(24)에 밀착하는 중량추(25)와, 배출관(24) 하측에 결합되는 포집포대(6)와, 필터설치부(21b)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3포집부(40)로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공급관(28)과, 격벽(22)에 형성된 통기공(22a)에 결합되는 백 필터(29)를 포함하는 제2포집부(20)와; 본체(3)에 고정 설치되는 밀폐된 함체(41)와, 제2포집부(20)의 공급관(28)과 관체(5)로 연결되도록 함체(41) 상측에 형성한 유입관(42)과, 공기흡입기(50)와 연결되도록 함체(41) 하측에 형성한 연결관(44)과, 0.3㎛ 이상의 미세먼지를 포집하도록 함체(41) 내부에 설치한 필터(43)를 포함하는 제3포집부(40)로 구성된 것으로서, 각종 공사현장 등에서의 청소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건식 연마기 등과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사무실 등의 청소 시 집기류 등을 비닐지 등으로 커버링 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청소가 가능한 것이며, 종래 습식 연마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동식 포집기, 포집포대, 포집부, 백 필터, 필터, 공기흡입기

Description

이동식 포집기{ Movable collector system }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이동식 포집기 2:캐스터
3:본체 3a:손잡이
4:흡입관 5:관체
6:포집포대 10:제1포집부
11:집진호퍼 12:공급관
13:배출관 14,14':중량추
15,15':차단판 16,16':핀
17:보조집진호퍼 20:제2포집부
21:함체 21a:커버
21b:필터설치부 21c:유입공간
22:격벽 22a:통기공
22b:유도관 23:유입관
24:배출관 25:중량추
26:차단판 27:핀
28:공급관 29:백 필터
29a:고리 30:손잡이
31:지지체 32:지주
40:제3포집부 41:함체
42:유입관 43:필터
50:공기흡입기
본 발명은 실내외의 바닥 청소 및 공사 시에 사용하는 이동식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진 발생을 최소화 하며, 흡입되는 흡입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 포집되게 함으로 해서 필터의 막힘 현상 없이 장시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이동식 포집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건축물의 바닥연마, 아스팔트 연마 등의 경우 통상 습식 연마작업을 행하였다.
습식연마의 경우 많은 량의 용수가 필요하고, 용수와 함께 배출되는 연마물이 하수로 유입되므로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환경오염 및 공해방지 등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건식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건식 연마작업의 경우 연마작업 과정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하므로 작업환경이 열악(劣惡)하며, 또한 사용 중인 사무실 바닥 등의 청소를 위해서는 휴일이나 야간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과, 집기류 등을 비닐 등으로 덮은 상태에서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이동식 포집기가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건식 연마작업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흡입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분류하여 집진 및 포집토록 함으로 해서 필터의 막힘 현상이 없게 하고, 분진 발생을 최소화함으로 해서 작업환경 개선은 물론이고, 사용 중인 사무실의 청소 혹은 건식 연마작업도 이루어질 수 있게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식 포집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구성부재들을 지지하도록 사각 프레임 등으로 구성되며 바닥과 접하는 캐스터(2)가 구비되고 일측에 손잡이(3a)가 마련된 본체(3)와, 흡입관(4)이 접선 유입식으로 연결되는 사이클론(Cyclone) 원리를 이용한 제1포집부(10)와, 제1포집부(10)와 관체(5)로 연결되는 백 필터 구성의 제2포집부(20)와, 제2포집부(20)와 관체(5)로 연결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제3포집부(40)와, 제3포집부(40)와 연결되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공기흡입기(50)로 대분된다.
상기 사이클론(Cyclone) 원리를 이용한 제1포집부(10)는 본체(3)에 고정 설치되며 하측이 점차 좁아지는 밀폐된 원통형 집진호퍼(11)의 상단에 흡입관(4)을 접선 유입식으로 편심되게 결합하여 흡입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집진호퍼(11)의 상하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포집부(20)로 흡입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2)과 집진호퍼(11) 내부로 유입된 흡입물 중 중량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3)을 설치한다.
이때 집진호퍼(11)와 배출관(13)은 분리되게 구성하고, 본체(3)도 집진호퍼(11)가 설치된 측을 분리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공급관(12)의 하단은 집진호퍼(11) 내측의 중간 정도까지 연장 형성하며, 배출관(13)의 단부에는 차단판(15)이 회동 가능하게 핀(16)으로 결합하며, 차단판(15)의 외측에는 브래킷을 형성하고 이에 중량추(14)를 설치하여 차단판(15)이 집진호퍼(11) 측으로 밀착되게 하며, 배출관(13) 하측에는 포집포대(6)가 결합된다.
상기 제1포집부(10)의 배출관(13) 하단에는 차단판(15')을 회동 가능하게 핀(16')으로 결합하며, 차단판(15')의 외측에는 브래킷을 형성하고 이에 중량추(14')를 설치한 보조집진호퍼(17)를 추가로 설치하고, 보조집진호퍼(17)에 포집포대(6)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판(15)(15')을 가압하는 중량추(14)(14')의 중량은 흡입관(4)에 제공되는 공기압력보다 조금 크게 구성된다.
상기 백 필터 구성의 제2포집부(20)는 상부가 커버(21a)에 의해 밀폐되는 함체(21)의 내부 하단에 격벽(22)을 설치하여 필터설치부(21b)와 유입공간(21c)을 형성하고, 격벽(22)에는 수개의 통기공(22a)을 형성하여 필터설치부(21b)와 유입공간(21c)이 연통되게 하며, 격벽(22) 하측으로는 유입공간(21c) 내에 위치하는 테이퍼형 유도관(22b)을 형성한다.
유입공간(21c)에는 제1포집부(10)의 공급관(12)에 일단이 결합된 관체(5)가 결합되는 유입관(23)을 접선 유입식으로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깔때기형 배출관(24)을 설치하며 배출관(24)의 하부에는 배출관(24)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핀(27)으로 차단판(26)을 결합하고 차단판(26)의 외측에 형성된 브래킷에는 차단판(26)을 배출관(24)에 밀착하는 중량추(25)을 설치하며, 배출관(24) 하측에는 포집포대(6)를 결합한다.
필터설치부(21b)의 상단에는 제3포집부(40)로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공급 관(28)이 결합되며, 격벽(22)에 설치된 통기공(22a)에는 상부가 밀폐된 백 필터(29)(부직포필터)의 하단을 끼워서 고정 설치한다.
상기 백 필터(29) 상단에는 고리(29a)를 형성하고, 고리(29a)는 함체(21)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되는 손잡이(30)와 연결되며, 격벽(22)측으로 세워진 수개의 지주(32)를 갖는 지지체(31)에 고정하여 필요에 따라 백 필터(29)를 흔들어서 틀 수 있게 한다.
상기 함체(21)는 격벽(22) 하측을 기준으로 상하 분할하고, 이들에 브래킷(33)을 형성하여 핀(34)으로 결합하며, 브래킷(33) 반대측에는 고정수단(35)을 설치하여 함체(21)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백 필터(29) 등의 교환 및 내부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8)과 연결되는 관체(5)에는 릴리프 밸브(28a)를 설치하여 상기 백 필터(29)의 막힘 발생 시 외부 공기가 공급되면서 공기흡입기(50)의 과부하 발생이 생기지 않게 한다.
상기 제3포집부(40)는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폐된 함체(41)의 상측으로 제2포집부(20)의 공급관(28)과 연결되어 있는 관체(5)가 결합되는 유입관(42)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연결관(44)을 형성하여 공기흡입기(50)와 연결 구성하며, 함체(41)의 내부에는 0.3㎛ 이상의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필터(43)를 내장한다.
상기 필터(43)의 결합은 필터(43)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함체(41) 내부에 원통형 필터(43)를 세우고, 필터(43)의 내경 중 하 측을 밀폐되게 고정하고, 개방된 측을 유입관(42)과 연결하고, 함체(41)와 공기흡입기(50)을 연결관(44)로 연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식 포집기(1)는 공사가 끝난 먼지가 많은 실내외에서의 청소 및 건식 연마 혹은 바닥 교체공사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출물 처리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용은 공기흡입기(50)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1포집부(10)의 집진호퍼(11)의 상단에 접선 유입식으로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는 흡입관(4)을 연장하여 청소코자 하는 바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본체(3)에 마련된 손잡이(3a)를 잡고 이동식 포집기(1)를 이동하면서 청소하면 되는데, 이때 바닥에 있는 각종 쓰레기(이하 '흡입물' 아라 한다.) 등이 흡입관(4)을 통해 제1포집부(10)의 집진호퍼(11)로 유입된다.
집진호퍼(11)에 접선 유입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흡입관(4)을 통해 유입되는 흡입물은 집진호퍼(11)의 바깥쪽 면을 따라 소용돌이치면서 하측으로 낙하되는데, 이때 못이나 바닥재 등과 같은 기타 중량물은 집진호퍼(11)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13)측으로 낙하되고, 반대로 미세먼지 및 경량의 흡입물은 집진호퍼(11)의 내측 중간 정도까지 내입되게 설치되는 공급관(12)으로 유입되어 관체(5)를 통해 제2포집부(20)로 공급된다.
배출관(13)측으로 낙하된 못이나 기타 중량물이 일정량 모이면 배출관(13)을 막고 있는 차단판(15)이 핀(16)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될 때 포집포대(6)로 낙하되고, 차단판(15)은 중량추(14)에 의해 배출관(13)을 다시 밀폐하게 된다.
상기 배출관(13)의 하단에 하측으로 중량추(14')의 무게에 의해 작동하는 차단판(15')을 회동 가능하게 핀(16')으로 결합한 보조집진호퍼(17)를 추가로 설치하고, 보조집진호퍼(17)에 포집포대(6)를 결합할 경우 못이나 기타 중량물이 집진호퍼(11)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공급관(12)과 연결된 관체(5)를 통해 제2포집부(20)의 유입공간(21c)에 접선 유입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입관(23)으로 공급되는 흡입물은 유입공간(21c) 내벽과 격벽(22)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형 유도관(22b)을 따라 와류 되면서 집진호퍼(11)에서 배출되지 않은 못이나 기타 중량물이 재차 걸러져 유입공간(21c) 하측의 깔때기형 배출관(24)을 통해 배출관(24)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포집포대(6)로 낙하되고, 나머지는 테이퍼형 유도관(22b) 내측을 통해 격벽(22)에 결합되어 있는 백 필터(29)로 공급되어 대부분의 흡입물이 필터링된 후 미세먼지들이 공급관(28)을 통해 제3포집부(40)로 공급된다.
상기 백 필터(29)에 흡입물이 과도하게 필터링되어 그 기능성이 떨어질 경우 함체(21)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30)를 흔들면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백 필터(29) 상단에 고리(29a)를 형성하고, 고리(29a)를 함체(21)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되는 손잡이(30)와 연결되며, 격벽(22)측으로 세워진 수개의 지주(32)를 갖는 지지체(31)에 고정한 구성이므로 손잡이(30)를 흔들게 되면 백 필터(29)가 흔들리면서 백 필터(29) 내부에 필터링 된 흡입물이 유입공간(21c) 하측의 깔때기형 배출 관(24)으로 낙하되고, 일정량의 흡입물이 모이면 깔대기형 배출관(24)을 막고 있는 차단판(26)이 핀(27)을 중심으로 해동되어 개방되고 이대 흡입물이 포집포대(6)로 낙하되며, 흡입물이 낙하된 후 차단판(26)은 중량추(25)의 무게에 의해 배출관(24)을 다시 밀폐하게 된다. 상기 작동 시 공기흡입기(50)를 OFF시킨 경우 백 필터(29) 청소를 완료한 후 공기흡입기(50)를 재 구동하여 청소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이동식 포집기(1)를 구동 중에도 상기에서와 같이 손잡이(30)를 흔들어서 백 필터(29)를 청소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2포집부의 공급관(28)과 연결되는 관체(5)에 릴리프 밸브(28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백 필터(29)의 막힘 발생 시 릴리프 밸브(28a)를 통해 외부 공기가 공급되므로 공기흡입기(50)의 과부하 발생으로 인한 고장 등의 염려를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관(28)을 통해 제3포집부(40)로 공급되는 먼지들은 함체(4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43)를 통과하면서 0.3㎛ 이상의 미세먼지가 필터링 된 상태에서 공기흡입기(50)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포집기(1)에 의하면 흡입물의 중량을 이용하여 1차 필터링 하고, 백 필터(29)를 통해 입자가 굵은 흡입물을 2차 필터링 하고, 최종적으로 미세먼지를 필터링 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각종 공사현장 등에서의 청소 및 바닥 공사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건식 연마기 등과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사무실 등의 청소 시 집기류 등을 비닐지 등으로 커버링 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청소가 가능한 것이며, 종래 습식 연마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포집부(20)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30)를 이용하여 백 필터(29)를 수시로 청소할 수 있어 연속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릴리프 밸브(28a)가 설치되어 있어 공기흡입기(50)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의 염려도 일소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각 구성부재들을 지지하도록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바닥과 접하는 캐스터(2)가 구비되고 일측에 손잡이(3a)가 마련된 본체(3)와;
    본체(3)에 고정 설치되며 하측이 점차 좁아지는 밀폐된 원통형 집진호퍼(11)와, 집진호퍼(11)의 상단에 접선 유입식으로 편심되게 결합된 흡입관(4)과, 집진호퍼(11)의 상하측에 수직방향으로 제2포집부(20)로 흡입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2) 및 내부로 유입된 흡입물 중 중량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3)과, 배출관(13)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핀(16)으로 결합되는 차단판(15) 및 차단판(15)의 외측에 형성된 브래킷에 설치하여 차단판(15)을 배출관(13)에 밀착하는 중량추(14)와, 배출관(13)에 결합되는 포집포대(6)를 포함하는 사이클론(Cyclone) 원리를 이용한 제1포집부(10)와;
    본체(3)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커버(21a)에 의해 밀폐되는 함체(21)와, 함체(21)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필터설치부(21b)와 유입공간(21c)을 형성하며 상하 관통되는 통기공(22a)이 형성되며 아래쪽에 테이퍼형 유도관(22b)을 형성한 격벽(22)과, 제1포집부(10)의 공급관(12)과 관체(4)로 연결되도록 유입공간(21c)격벽으로 형성한 유입관(23)과, 유입공간(21c) 하측으로 형성된 깔때기형 배출관(24)과, 배출관(24)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핀(27)으로 결합되는 차단판(26) 및 차단판(26)의 외측에 형성된 브래킷에 설치하여 차단판(26)을 배출관(24)에 밀착하는 중량추(25)와, 배출관(24) 하측에 결합되는 포집포대(6)와, 필터설치부(21b)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3포집부(40)로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공급관(28)과, 격벽(22)에 형성된 통기공(22a)에 결합되는 백 필터(29)를 포함하는 제2포집부(20)와;
    본체(3)에 고정 설치되는 밀폐된 함체(41)와, 제2포집부(20)의 공급관(28)과 관체(5)로 연결되도록 함체(41) 상측에 형성한 유입관(42)과, 공기흡입기(50)와 연결되도록 함체(41) 하측에 형성한 연결관(44)과, 0.3㎛ 이상의 미세먼지를 포집하도록 함체(41) 내부에 설치한 필터(43)를 포함하는 제3포집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포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집부(10)의 배출관(13)의 하단에는 차단판(15')을 회동 가능하게 핀(16')으로 결합하며, 차단판(15')의 외측에는 브래킷을 형성하고 이에 중량추(14')를 설치한 보조집진호퍼(17)를 추가로 설치하며, 포집포대(6)는 보조집진호퍼(17)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포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집부(20)의 백 필터(29) 상단에는 고리(29a)를 형성하고, 고리(29a)는 함체(21)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되는 손잡이(30)와 연결되며 지주(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체(31)에 고정하여 필요에 따라 백 필터(29)를 흔들어서 틀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포집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8)과 연결되는 관체(5)에는 릴리프 밸브(28a)를 설치하여 공기흡입기(50)의 과부하 발생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포집기.
KR1020060042119A 2006-05-10 2006-05-10 이동식 포집기 KR10077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119A KR100771667B1 (ko) 2006-05-10 2006-05-10 이동식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119A KR100771667B1 (ko) 2006-05-10 2006-05-10 이동식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667B1 true KR100771667B1 (ko) 2007-11-01

Family

ID=3906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119A KR100771667B1 (ko) 2006-05-10 2006-05-10 이동식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66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037B1 (ko) * 2012-02-14 2012-11-12 케이에프이엔지주식회사 중앙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집진장치
KR101205162B1 (ko) 2011-05-30 2012-11-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KR101435166B1 (ko) 2014-04-28 2014-08-29 주식회사 세민기공 다기능 폴리싱장치
CN104248901A (zh) * 2014-09-30 2014-12-31 无锡雪浪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焚烧电厂室内粉尘处理系统
CN105771437A (zh) * 2016-03-07 2016-07-20 苏州保酚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除尘器
KR101820749B1 (ko) * 2015-12-08 201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CN111282361A (zh) * 2018-12-10 2020-06-16 溆浦县宏利石材有限责任公司 一种方便检修的脉冲袋式收尘器
CN115118995A (zh) * 2017-08-22 2022-09-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KR200497709Y1 (ko) * 2022-09-13 2024-02-02 주식회사 한결이엔에스 집진장치
CN117581709A (zh) * 2024-01-19 2024-02-23 黑龙江郝旺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谷物处理的脱粒筛分一体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581Y1 (ko) 1999-11-15 2000-04-15 주식회사솔텍 이동식집진장치
KR20010068435A (ko) * 2000-01-05 2001-07-23 황해웅 집진장치
KR20010070670A (ko) * 2001-05-30 2001-07-27 오석인 축열식 폐기물 소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581Y1 (ko) 1999-11-15 2000-04-15 주식회사솔텍 이동식집진장치
KR20010068435A (ko) * 2000-01-05 2001-07-23 황해웅 집진장치
KR20010070670A (ko) * 2001-05-30 2001-07-27 오석인 축열식 폐기물 소각 시스템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62B1 (ko) 2011-05-30 2012-11-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KR101200037B1 (ko) * 2012-02-14 2012-11-12 케이에프이엔지주식회사 중앙집중식 진공흡입 시스템의 집진장치
KR101435166B1 (ko) 2014-04-28 2014-08-29 주식회사 세민기공 다기능 폴리싱장치
CN104248901A (zh) * 2014-09-30 2014-12-31 无锡雪浪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焚烧电厂室内粉尘处理系统
KR101820749B1 (ko) * 2015-12-08 201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CN105771437A (zh) * 2016-03-07 2016-07-20 苏州保酚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除尘器
CN115118992A (zh) * 2017-08-22 2022-09-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CN115118994B (zh) * 2017-08-22 2024-02-0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比特流生成设备
CN115118994A (zh) * 2017-08-22 2022-09-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CN115118993A (zh) * 2017-08-22 2022-09-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CN115118995B (zh) * 2017-08-22 2024-02-0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比特流生成设备
CN115150613A (zh) * 2017-08-22 2022-10-0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CN115118995A (zh) * 2017-08-22 2022-09-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CN115118993B (zh) * 2017-08-22 2024-02-0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方法、和比特流生成方法
CN115150613B (zh) * 2017-08-22 2024-02-0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比特流生成设备
CN115118992B (zh) * 2017-08-22 2024-02-0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器、图像解码器、和比特流生成设备
CN111282361A (zh) * 2018-12-10 2020-06-16 溆浦县宏利石材有限责任公司 一种方便检修的脉冲袋式收尘器
KR200497709Y1 (ko) * 2022-09-13 2024-02-02 주식회사 한결이엔에스 집진장치
CN117581709A (zh) * 2024-01-19 2024-02-23 黑龙江郝旺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谷物处理的脱粒筛分一体化装置
CN117581709B (zh) * 2024-01-19 2024-05-14 监利县常发精米有限公司 一种用于谷物处理的脱粒筛分一体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667B1 (ko) 이동식 포집기
RU2257830C2 (ru) Пылесос
AU2008203359B2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CN101730495B (zh) 旋流式通用真空装置
CN110258398B (zh) 垃圾除尘系统及具有其的清扫车
JP2000166829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を持つ真空掃除機
US7080425B2 (en) Vacuum canister and mounting bracket for use therewith
CN206663163U (zh) 一种过滤式简易除尘工作台
CN213103239U (zh) 环保型矿石粗筛选装置
KR10076712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N218421578U (zh) 一种米糠粕生产用除尘设备
GB2427841B (en) Cyclone separator
CN105395129A (zh) 柜式吸尘装置
CN214347146U (zh) 一种破碎机粉尘回收装置
CN214172419U (zh) 一种印刷制品车间用空气净化装置
KR101202842B1 (ko) 분진 분리장치
KR10057833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JP2002349918A (ja) 空気清浄機
KR100789837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957606B1 (ko) 이동형 집진기
CN214595702U (zh) 一种家用中央吸尘器
CN209240270U (zh) 石材切割的除尘降噪系统
CN218074850U (zh) 用于清洁机的分离模块及清洁机
CN210584018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16535180U (zh) 一种用于清洁机的灰尘分离模块及清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