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162B1 -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162B1
KR101205162B1 KR1020110051615A KR20110051615A KR101205162B1 KR 101205162 B1 KR101205162 B1 KR 101205162B1 KR 1020110051615 A KR1020110051615 A KR 1020110051615A KR 20110051615 A KR20110051615 A KR 20110051615A KR 101205162 B1 KR101205162 B1 KR 101205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weight
filter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석봉
박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5)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유입구(7) 및 공기 배출구(9)가 구비된 하우징(3)과, 상기 공간부(5)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7)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속도를 줄여 상기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복수의 여과판부재(11)와, 상기 여과판부재(11)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의 공간부(5)를 구획하고 중앙에 배출로(13a,15a)가 형성된 구획 프레임(13,15)과, 상기 구획 프레임(13,15)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로(13a,15a)를 차폐하며 낙하하여 포집된 분진의 중량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배출로(13a,15a)를 개방하는 댐퍼부재(17,1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장 및 각종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되어 포집된 분진을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집진 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및 각종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 제강공장, 자동차 제조 공장, 선박 제조 공장, 산업 기계 제조 공장 및 화력 발전소 등의 공장에는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며, 다량의 분진이 포함된 오염공기 상에서 작업자들이 노출될 경우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집진 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및 각종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되어 포집된 분진을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속도를 줄여 상기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복수의 여과판부재와; 상기 여과판부재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의 공간부를 구획하고 중앙에 배출로가 형성된 구획 프레임과; 상기 구획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로를 차폐하며 낙하하여 포집된 분진의 중량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배출로를 개방하는 댐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여과판부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측에서 공기 배출구측을 향하여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구획 프레임은 2개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구획 프레임에 힌지를 매개로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단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배출로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고정하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집진 장치는 공장 및 각종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되어 포집된 분진을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집진 장치 내부에 포집된 분진 배출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다양한 오염공기에 작업자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집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집진 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집진 장치는, 공장 및 각종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되어 포집된 분진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집진 장치(1)는 내부에 공간부(5)가 형성되고 상측에 공기 유입구(7) 및 공기 배출구(9)가 구비된 하우징(3)과, 공간부(5)에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7)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속도를 줄여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복수의 여과판부재(11)와, 여과판부재(11)의 하부로 설치되어 하부의 공간부(5)를 구획하고 중앙에 배출로(13a,15a)가 형성된 구획 프레임(13,15)과, 구획 프레임(13,15)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로(13a,15a)를 차폐하며, 낙하하여 포집된 분진의 중량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배출로(13a,15a)를 개방하는 댐퍼부재(17,19)를 포함한다.
공간부(5)는 상부 공간부(5a)와 하부 공간부(5b)로 구분할 수 있다. 상부 공간부(5a)에 여과판부재(11)가 설치되고 하부 공간부에 댐퍼부재(17,19)가 설치된다.
상부 공간부(5a) 및 하부 공간부(5b)는 분진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각 하부가 호퍼형상으로 형성된다.
공기 유입구(7)와 공기 배출구(9)는 여과판부재(11)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3)의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어 공기 유입구(7)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여과판부재(11)에 충돌한 후 여과판부재(11)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공기 배출구(9)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과판부재(11)는 공기 유입구(7)를 통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와 충돌하여 공기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분진은 하부로 낙하하고 분진이 제거된 공기만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과판부재(11)는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흡착하는 필터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여과판부재(11)는 공기 유입구(7)측에서 공기 배출구(9)측을 향하여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진 형태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여과판부재(11)와 여과판부재(11)는 일부분이 서로 겹쳐지게 배치하여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획 프레임(13,15)은 2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획 프레임(13,15)은 하부 공간부(5b)에 상하로 2개가 설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에 설치된 구획 프레임(13)을 상부 구획 프레임, 하부에 설치된 구획 프레임(15)을 하부 구획 프레임이라 칭할 수 있다.
각 구획 프레임(13,15)의 배출로(13a,15a)에 댐퍼부재(17,19)가 설치된다. 댐퍼부재(17,19)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구조로 상부에 낙하한 분진이 체적되면 그 중량으로 인해 회동하고 배출로(13a,15a)를 개방하여 분진을 하부로 자동 배출한다.
분진을 하부로 자동 배출하는 댐퍼부재(17,19)의 구성은 인력이 직접 투입되어 수동으로 집진 장치 내부의 청소 및 포집된 분진 배출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다양한 오염공기에 작업자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건비도 절감시킨다.
구획 프레임(13,15)을 2개 설치하고 각 구획 프레임(13,15)에 댐퍼부재(17,19)를 설치하는 것은 하우징(3)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압에 의해 댐퍼부재(17,19)를 통한 분진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댐퍼부재(17,19)가 하부 공간부(5b)에 상하 2개로 설치되는 경우, 상부 댐퍼부재(17) 개방시에는 하부 댐퍼부재(19)가 폐쇄되어 분진이 하부로 원활히 배출되며 하부 댐퍼부재(19)의 개방시에는 상부 댐퍼부재(17)가 폐쇄되어 하부의 분진 배출이 원활하다.
댐퍼부재(17,19)는 회동부(17a,19a)와 중량부(17c,19c)로 구성된다. 회동부(17a,19a)와 중량부(17c,19c)는 한 몸체를 이루며 그 중앙부분이 구획 프레임(13,15)에 힌지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댐퍼부재(17,19)는 구획 프레임(13,15)에 힌지를 매개로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배출로(13a,15a)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동부(17a,19a)와, 회동부(17a,19a)의 타단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회동부(17a,19a)가 배출로(13a,15a)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고정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
회동부(17a,19a)와 중량부(17c,19c)는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다. 회동부(17a,19a)와 중량부(17c,19c)가 이루는 각도는 자중에 의한 회동부(17a,19a)의 회동을 용이하게 한다.
중량부(17c,19c)는 말단에 무게추를 구비한다. 무게추는 중량부(17c,19c)의 무게를 회동부(17a,19a)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하여 회동부(17a,19a)의 상면에 설정치 이상의 분진이 포집되지 않을 경우에는 회동부(17a,19a)가 배출로(13a,15a)를 차폐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중량부(17c,19c)는 말단에 무게추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중량부(17c,19c) 자체를 회동부(17a,19a)에 비해 무거운 중량의 재질로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공기 유입구(7)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방의 여과판부재(11)와 충돌하여 속도가 줄어들고 분진은 하부로 낙하한다. 이 과정에서 속도가 줄어든 공기는 여과판부재(11) 사이의 틈을 통해 이동하여 반대편의 공기 배출구(9)로 배출된다.
하부로 낙하한 분진은 상부 공간부(5a)의 호퍼형상 구조로 인해 상부 댐퍼부재(17)의 회동부(17a) 상면에 포집된다. 회동부(17a) 상면에 포집된 분진이 체적되어 중량부(17c)의 무게추 중량 이상이 되면, 회동부(17a)는 자중에 의해 일단이 힌지(17b)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힌지(17b)를 중심으로 한 회동부(17a)의 회동은 회동부(17a) 상면에 포집된 분진을 하부로 낙하시키게 되며, 낙하된 분진은 하부 댐퍼부재(19)의 회동부(19a) 의 상면에 포집된다.
하부 댐퍼부재(19)의 회동부(19a)에 포집된 분진은 상부 댐퍼부재(17)의 회동부(17a)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는 하부의 회동부(19a)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고, 하부로 낙하한 분진은 포집슈트(21)에 포집된다.
즉, 여과판부재(11)와 충돌하여 낙하한 분진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두 댐퍼부재(17,19)에 의해 자동으로 포집슈트(21)로 포집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 댐퍼부재(17) 개방시에는 하부의 댐퍼부재(19)가 폐쇄되어 분진이 하부로 원활히 배출되며 하부 댐퍼부재(19)의 개방시에는 상부 댐퍼부재(17)가 폐쇄되어 하부의 분진 배출이 원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집진 장치 3:하우징
5:공간부 5a:상부 공간부
5b:하부 공간부 7:공기 유입구
9:공기 배출구 11:여과판부재
13,15:구획 프레임 13a,15a:배출로
17,19:댐퍼부재 17a,19a:회동부
17b,19b:힌지 17c,19c:중량부
21:포집슈트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속도를 줄여 상기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복수의 여과판부재와;
    상기 여과판부재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의 공간부를 구획하고 중앙에 배출로가 형성된 구획 프레임과;
    상기 구획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로를 차폐하며 낙하하여 포집된 분진의 중량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배출로를 개방하는 댐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여과판부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측에서 공기 배출구측을 향하여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 프레임은 2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구획 프레임에 힌지를 매개로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단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배출로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고정하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KR1020110051615A 2011-05-30 2011-05-30 집진 장치 KR101205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15A KR101205162B1 (ko) 2011-05-30 2011-05-30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15A KR101205162B1 (ko) 2011-05-30 2011-05-30 집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162B1 true KR101205162B1 (ko) 2012-11-27

Family

ID=4756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615A KR101205162B1 (ko) 2011-05-30 2011-05-30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1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54B1 (ko) * 2013-09-26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활성탄 배출장치
WO2014181965A1 (ko) * 2013-05-08 2014-11-13 주식회사 제이콘 산업용 폐기물질 수거장치
KR101617359B1 (ko) 2015-06-01 2016-05-02 주식회사 포스코 스케일 제거장치
KR20180088034A (ko) * 2017-01-26 2018-08-03 동병길 산업진공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67B1 (ko) 2006-05-10 2007-11-01 김일동 이동식 포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67B1 (ko) 2006-05-10 2007-11-01 김일동 이동식 포집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1965A1 (ko) * 2013-05-08 2014-11-13 주식회사 제이콘 산업용 폐기물질 수거장치
GB2527237A (en) * 2013-05-08 2015-12-16 J Con Co Ltd Apparatus for collecting industrial waste
JP2016534852A (ja) * 2013-05-08 2016-11-10 ジェイコ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J Con Co.,Ltd. 産業廃棄物回収装置
GB2527237B (en) * 2013-05-08 2021-06-23 J Con Co Ltd Apparatus for collecting industrial waste
KR101455354B1 (ko) * 2013-09-26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활성탄 배출장치
KR101617359B1 (ko) 2015-06-01 2016-05-02 주식회사 포스코 스케일 제거장치
KR20180088034A (ko) * 2017-01-26 2018-08-03 동병길 산업진공청소기
KR101957486B1 (ko) * 2017-01-26 2019-03-12 동병길 산업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78307A (ja) 粉塵回収装置付き研磨作業用テーブル装置
KR101205162B1 (ko) 집진 장치
KR20160008731A (ko) 집진장치
CN110812967B (zh) 智能振动除尘器
CN205413575U (zh) 一种土木工程用无尘筛沙机
KR102727178B1 (ko) 금속절단장치
KR200461282Y1 (ko) 그라인더 작업대
CN212652161U (zh) 一种高效率水平式矿山筛分设备
CN207857337U (zh) 振动筛选装置
CN210647268U (zh) 一种粮食生产用筛选装置
CN205592043U (zh) 工程机械发动机的空气预滤器
CN210968315U (zh) 密封式抛光打磨房
CN212192532U (zh) 一种新型干式打磨台
CN211359629U (zh) 一种谷物去石机的筛分装置
CN209034864U (zh) 一种生物制药用筛选设备
CN210585897U (zh) 一种金属粉末的除杂装置
CN115183370A (zh) 一种室内净化器
CN218424106U (zh) 一种大米加工用净化过滤设备
CN109663448A (zh) 一种工业加工设备除尘设备
CN216827226U (zh) 一种防尘式矿山用分选机
CN214513536U (zh) 一种颗粒机除尘装置及颗粒机
CN112704973B (zh) 一种多层除尘袋
CN219631960U (zh) 粉末筛分装置
CN211385173U (zh) 一种半导体制造用收料装置
CN216800579U (zh) 一种粮食加工用精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