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486B1 - 산업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산업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486B1
KR101957486B1 KR1020170012559A KR20170012559A KR101957486B1 KR 101957486 B1 KR101957486 B1 KR 101957486B1 KR 1020170012559 A KR1020170012559 A KR 1020170012559A KR 20170012559 A KR20170012559 A KR 20170012559A KR 101957486 B1 KR101957486 B1 KR 10195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main body
foreign matter
lower sid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034A (ko
Inventor
동병길
김성규
Original Assignee
동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병길 filed Critical 동병길
Priority to KR102017001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4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이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흡입구를 관통하여 여과망 내부로 연결되고, 순수공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여과망을 통과하는 순수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하측에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여과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이물질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구비되어 제1배출구를 밀봉하고, 이물질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 때마다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적재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진공청소기{Industrial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산업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하측에 본체의 배출구를 밀봉하는 적재함이 구비되어 여과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외부에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본체 내부에 수거 백이 설치되지 않아도 되며 본체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산업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키며 청소하기가 용이해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산업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타입의 진공청소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를 빨아내는 헤드(100)와 공기를 포함한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여과하는 드럼본체(200)로 이루어진다.
헤드(100)는 덮개(101)가 구비되고, 덮개(101) 내에는 모터부의 회전구동으로서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송풍팬(p)이 제공되는 하우징(120)내에 구비되어 덮개(101) 내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하우징(120) 일측에는 공기배출구(121)가 설치되어 외부로 순수공기만을 배출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드럼본체(200) 내에는 일차적으로 부피와 비중이 있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거 백이 드럼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미세한 먼지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140)가 설치된다.
수거 백은 드럼본체(200)에 마련되는 공기흡입구(121)측과 연결 설치되고, 공기흡입구(121)로부터는 흡입호스를 포함한 흡입관, 흡입판이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하부터 흡입호스, 흡입관, 흡입판의 설명은 일반적이므로 부호의 설명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드럼본체(200) 내에 마련되는 필터(140)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두고 직각되게 함몰된 요홈원통부(141)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필터(140)의 상단은 드럼본체(200)의 상부에 걸쳐져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부(142)가 부착되고, 이 플랜지부(142)는 드럼본체(200)의 상부에 위치한 헤드(100)측 하우징(120)의 가장자리 저면으로부터 안착 설치되고, 덮개(101)의 폐쇄시 이와 함께 고정되는 구조로서 드럼본체(200) 내부에 부상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시 발생하는 강한 공기흡입으로 인해 필터의 여과면적으로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필터(140)의 내부 직경 및 요홈원통부(141)의 외측형상을 맞게 상부프레임(150)이 안내되고, 이 상부프레임(150)으로부터는 고정끈(T)을 필터(140)에 관통하는 방식으로 필터를 지지한다.
또한, 필터(140)의 저면 외측으로부터는 상부프레임(150)과 별도로 필터의 저면을 포함하는 요홈원통부(141)의 함몰된 내측을 지탱하는 하부프레임(160)이 위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60)과 필터(140)를 고정끈(T)으로서 필터(1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하부프레임(160)의 저면에는 지지고리(161)가 일체로 마련되고, 지지고리(161)에는 작동레버(170)의 일단이 관통 설치되며, 작동레버(170)의 타단은 드럼본체(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하부프레임(160)을 상하로 흔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일차적으로 수거 백에 부피가 있는 일반이물질을 송풍팬(p)의 공기 강제흡입작용으로서 수거함과 동시에, 수거백을 통과하는 미세 먼지 등은 그 상부에 설치된 필터(140)를 통해 순수한 공기만을 여과시키고, 여기서 순수한 공기는 송풍팬(p)이 설치된 하우징(120)측 공기배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환원시킨다.
미세먼지는 드럼본체(200) 내에 수집하며, 진공청소기의 일정기간 사용 후 수거 백 내의 쓰레기 처리와 함께 필터로서 여과된 미세먼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는 필터(140)의 외부에 상당한 량이 부착되는바, 미세먼지의 부착 정도에 따라서는 여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럼본체(200)의 외부에서 작동레버(170)를 손으로 쥐고, 상하로 흔들어 주면, 상기 작동레버와 연계된 하부프레임(160)이 상하로 흔들거리면서 움직이는 동작으로 하여금 필터 외측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필터의 크기가 작아 여과면적이 좁으며, 미세먼지의 여과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이로 인해 산업진공청소기의 전반적인 성능 및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럼본체 내에 수거 백이 설치되어 드럼본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필터에서 여과된 이물질을 드럼본체의 내부에 수집하여 드럼본체의 무게도 무거워지게 되고, 이러한 산업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키며 청소하기에는 부피 및 무게 증가로 인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럼본체 내에 설치되는 수거 백에 여과된 이물질로 채워지면 주기적으로 수거 백을 수거한 후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체 하측에 본체의 배출구를 밀봉하는 적재함이 구비되어 여과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외부에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본체 내부에 수거 백이 설치되지 않아도 되며 본체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산업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키며 청소하기가 용이해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산업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적재함이 본체의 배출구를 밀봉하며 적재된 이물질을 외부에 자동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함이 일회용 봉투로 대체될 수 있어 회수함의 교체가 수월해지며 미세먼지량에 따라 회수함을 원하는 크기로 설치할 수 있는 산업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여과면적을 연장하여 넓히며, 필터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필터에 적재되어 있지 않고 본체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적재됨에 따라 미세먼지의 여과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산업진공청소기의 전반적인 성능 및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산업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이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흡입구를 관통하여 여과망 내부로 연결되고, 순수공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여과망을 통과하는 순수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하측에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여과망에 여과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이물질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구비되어 제1배출구를 밀봉하고, 이물질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 때마다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적재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하측에 본체의 배출구를 밀봉하는 적재함이 구비되어 여과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외부에 자동으로 배출시키고, 본체 내부에 수거 백이 설치되지 않아도 되며 본체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산업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키며 청소하기가 용이해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적재함이 본체의 배출구를 밀봉하며 적재된 이물질을 외부에 자동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함이 일회용 봉투로 대체될 수 있어 회수함의 교체가 수월해지며 미세먼지량에 따라 회수함을 원하는 크기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여과면적을 연장하여 넓히며, 필터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필터에 적재되어 있지 않고 본체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적재됨에 따라 미세먼지의 여과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산업진공청소기의 전반적인 성능 및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이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흡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여과망 내부로 연결되고, 순수공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망을 통과하는 순수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하측에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여과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밀봉하고, 상기 이물질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 때마다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적재함; 을 포함하며, 상기 순수 공기 배출구는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순수 공기는 상부로 배출되며, 이물질은 순수 공기와 반대인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공간의 저면에 상기 제2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함의 하측에 상기 제2배출구를 덮는 덮개가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적재함은 청소면에 대향하도록 산업진공청소기의 바닥에 설치되고, 하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의 깊이가 일측으로 갈수록 깊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구가 상기 하측면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배출구의, 스프링이 힌지 결합된 곳의 반대측인 청소면과 가까운 쪽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이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흡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여과망 내부로 연결되고, 순수공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망을 통과하는 순수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하측에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여과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밀봉하고, 상기 이물질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 때마다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적재함;을 포함하며, 상기 순수 공기 배출구는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순수 공기는 상부로 배출되며, 이물질은 순수 공기와 반대인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공간의 저면에 상기 제2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함의 하측에 상기 제2배출구를 덮는 덮개가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적재함은 청소면에 대향하도록 산업진공청소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의 깊이가 일측으로 갈수록 깊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구가 상기 하측면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때 마다 이물질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배출구의, 스프링이 힌지 결합된 곳의 반대측인 청소면과 가까운 쪽이 개방되어 이물질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적재함의 저면 전체의 절반 이상이 상기 경사진 하측면에 의해 폐쇄되고, 제2배출구는 하측면에 연속하여 나머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구를 밀봉하는 덮개가 이물질의 자중에 의하여 개방되며,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힘은 상기 힌지 결합된 스프링의 영향을 받으며,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이물질을 상기 제1배출구로 이동시키는 보조배출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배출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모터와 함께 회전하는 방사상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출장치에 연속하여 상기 적재함과 제2배출구를 배치하며, 상기 보조배출장치의 날개가 이물질을 이동시켜 제2배출구로 배출시킴에 따라 적재함의 소정깊이 적재된 량을 초과하게 되면, 제2배출구를 밀봉하는 덮개의 탄성지지력보다 적재된 이물질이 덮개에 가하는 하중이 커지면서 제2배출구와 덮개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날개에는 그 하단부에 본체의 저면을 쓸어주는 브러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배출구의 일측단에 자석부를 구비하여, 스틸 재질인 덮개가 자석부의 자력과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으로 제2배출구를 밀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공기여과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의 미세먼지가 여과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의 미세먼지가 여과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산업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진공청소기는 내부에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240)이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호스(201)가 흡입구(220)를 관통하여 여과망(240) 내부로 연결되고, 순수공기 배출구(230)가 구비되어 여과망(240)을 통과하는 순수공기(508)를 외부로 배출하며 하측에 제1배출구(240)가 형성되어 여과망(240)에 걸러지는 이물질(509)을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200), 본체(2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이물질(509)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52)이 구비되어 제1배출구(240)를 밀봉하고, 이물질(509)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 때마다 이물질(509)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구(253)가 형성된 적재함(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산업진공청소기는 산업현장에서 소형 청소기 또는 대형 청소기가 이물질(509)이 섞인 미세먼지를 빨아들인 후 이물질(509)을 걸러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걸러낸 이물질(509)을 외부에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산업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진공청소기는 본체(200) 내부에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240)이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호스(201)가 흡입구(220)를 관통하여 여과망(240) 내부로 연결된다.
그리고, 미세먼지는 여과망(240)에 여과되어 순수공기(508)와 이물질(509)로 나눠지며, 여과망(240)을 통과하는 순수공기(508)는 본체(200) 상측에 형성되는 순수공기 배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여과망(240)으로 걸러진 이물질(509)은 본체(200) 하측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2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적재함(250)으로 배출된다.
적재함(250)은 본체(2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1배출구(24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509)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52)이 구비되어 적재함(250)에 적재된 이물질(509)이 제1배출구(240)를 밀봉하게 된다.
그리고, 적재함(250)의 저면에는 적재공간(252)에 이물질(509)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 때마다 이물질(509)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구(253)가 형성되며 제2배출구(253)는 스프링(654)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덮개(255)가 밀폐시키고 있어서 적재된 이물질(509)의 무게가 스프링(654)의 하중보다 무거워지는 경우 덮개(255)가 열리면서 이물질(509)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산업진공청소기의 구성 및 결합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00)는 일예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미세먼지를 순수공기(508)와 이물질(509)로 걸러내는 여과망(240)이 구비된다.
또한, 본체(200)에는 상측에 순수공기(508)가 배출되는 순수공기 배출구(230)가 형성되고 하측에 이물질(509)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240)가 형성된다.
여과망(240)은 본체(2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본체(200)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결합부(215)와 결합되며 하단부가 본체(200)의 저면에 결합되어 본체(200) 내부에 설치된다.
일예로, 본체(200) 내부에 여과망(240)이 고정 설치되도록, 결합부(215)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부(216)가 구비되어 여과망(240)의 상단부가 결합되며 본체(200)의 저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부(217)가 구비되어 여과망(240)의 하단부가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망(240)의 원통면에 이물질(509)이 걸러지며, 순수공기(508)가 여과망(240)의 원통면을 통과하여 순수공기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되고 여과된 이물질(509)은 하측에 적재되어 제1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여과망(240)은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테이퍼원통부(211)가 더 구비되며 여과망(240)에 테이퍼원통부(211)가 형성되어 하단부의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제1배출구(240)의 크기도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배출구(240)의 크기가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배출구(240)를 보다 수월하게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퍼원통부(211)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2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테이퍼원통부(211)와 연장부(213)가 형성되어 여과망(240)의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순수공기 배출구(230)는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순수공기(508)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p)이 설치되고, 스위치가 온/오프됨에 따라 송풍팬(p)이 구동되어 본체(200) 내부가 진공상태로 된다.
그리고, 흡입호스(201)를 통해 흡입된 외부의 미세먼지들은 여과망(240)으로 걸러지며 여과망(240)을 통과한 순수공기(508)가 순수공기 배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송풍팬(p)은 팬모터(225)와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팬모터(225)는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어부(20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여과망(240)에 여과되는 이물질(509)은 본체(200)의 하측에 적재되며, 하측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240)를 통해 적재함(250)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제1배출구(240)는 본체(200)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본체(200)의 하측에 제1배출구(240)와 연결되는 적재함(250)이 구비되어 제1배출구(240)를 밀봉한다.
또한, 본체(200)의 하측에는 외측 둘레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202)가 구비되며, 보호부(202) 내측에 적재함(250)이 설치되어 주변구조와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적재함(250)에는 이물질(509)이 적재되는 적재공간(252)이 구비되며 적재공간(252)의 저면에 제2배출구(253)가 형성되고, 적재함(250)의 하측에 제2배출구(253)를 덮는 덮개(255)가 힌지결합되는데, 힌지축(356)에 스프링(654)이 설치된다.
여기서, 스프링(654)은 일측이 적재함(250)의 하측면에 고정되며 타측이 덮개(255)에 고정되어 덮개(255)를 적재함(250)쪽으로 탄성지지하며, 덮개(255)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힌지축(356)과 스프링(654)은 일예로 스프링경첩일 수 있으며, 덮개(255)에 결합되어 제2배출구(253)를 밀폐시키는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며 덮개(255)가 제2배출구(253)를 밀폐시키고 있어서 적재공간(252)에 적재된 이물질(509)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적재공간(252)에 이물질(509)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되어 덮개(255)의 탄성지지력보다 적재된 이물질(509)의 무게가 가하는 하중이 큰 경우, 적재함(250)의 제2배출구(253)와 덮개(255) 사이가 벌어지면서 제2배출구(253)와 덮개(255)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509)이 외부로 배출된다.
즉, 덮개(255)가 스프링(654)으로 힌지 결합되어 제2배출구(253)를 밀폐시키고 있어서, 적재공간(252)에 이물질(509)이 소정량 적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1배출구(240)를 밀봉함에 따라 본체(20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될 수 있으며, 적재공간(252)에 이물질(509)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 때마다 이물질(509)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함(250)이 청소면에 대향하도록 산업진공청소기의 바닥에 설치되고, 하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재공간(252)의 깊이가 일측으로 갈수록 깊어지게 형성되며, 제2배출구(253)가 하측면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의 자중에 의하여 제2배출구(253)의, 스프링이 힌지 결합된 곳의 반대측인 청소면과 가까운 쪽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이물질이 배출된다.
또한, 덮개(255)가 제2배출구(253)를 안정적으로 밀봉하도록, 덮개(255)에는 힌지 결합부위의 반대편에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357)가 구비되며 절곡부(357)가 적재함(250)을 감싸 덮개(255)가 제2배출구(253)를 안정적으로 밀봉한다.
또한, 적재함(250)이 본체(200)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적재함(250)은 상측단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부(359)가 형성되며 체결부재(305)가 플랜지부(359)를 관통하여 본체(200)의 하측면에 체결되고, 적재함(250)이 체결부재(305)로 본체(200)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또한, 적재함(250)은 하측면이 경사지는 경사면(251)으로 형성되는데 적재공간(252)의 깊이가 일측으로 갈수록 깊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배출구(253)가 적재공간(252)의 일측에 형성된다.
즉, 제2배출구(253)는 적재함(250)의 경사면(251) 중 깊이가 깊은 경사면(25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적재공간(252)의 가장 저면에 적재된 이물질(509)부터 배출되도록 하며, 적재함(250)에 적재된 이물질(509)이 무게로 인한 하중을 덮개(255)의 힌지 결합부위의 반대편에 집중적으로 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과망(240)에 걸러지는 이물질(509)이 본체(200)의 저면에 적재되면, 적재된 이물질(509)이 제1배출구(240)로 이동되어 배출되도록, 본체(200)의 하측에는 이물질(509)을 제1배출구(240)로 이동시키는 보조배출장치(270)가 구비된다.
이때, 제1배출구(240)는 본체(200)의 저면에 형성되는데, 본체(200)의 저면의 중심에서부터 여과망(240)이 결합되는 일측단까지 길게 형성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200)의 저면 중 제1배출구(24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이물질(509)이 적재되는 경우 보조배출장치(270)가 이물질(509)을 제1배출구(240)로 이동시켜 배출시킨다.
이러한 보조배출장치(270)는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축(273)이 본체(200)의 중심에 위치하는 모터(271)와, 회전축(273)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모터(271)와 함께 회전하는 방사상의 날개(275)를 포함한다.
이때, 모터(271)는 저속모터로 구비되어 분당 60m 내지 120m의 속력을 내며 날개(275)를 회전시키며, 본체(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는데 본체(2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어부(20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된다.
날개(275)는 모터(271) 구동시 회전축(273)과 함께 회전하며 본체(200)의 저면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어 날개(275)가 회전하면서 이물질(509)을 회전시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날개(275)는 회전축(27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275)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275)는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축(27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물질(509)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회전축(27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날개(275)는 하측으로 갈수록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며, 날개(275)의 상단부(275a)가 이물질(509)의 상측을 감싸며 하단부(275b)가 이물질(509)을 이동시키므로 이물질(509)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산업진공청소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미세먼지는 흡입호스(201)로 흡입되며 흡입호스(201)가 여과망(240) 내부로 연결되어 있어서 미세먼지가 여과망(240) 내부로 흡입된다.
여과망(240) 내부로 흡입된 미세먼지는 여과망(240)으로 순수공기(508)와 이물질(509)로 걸러지며, 여과망(240)을 통과하는 순수공기(508)는 상측에 형성된 순수공기 배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여과망(240)에 걸러지는 이물질(509)은 본체(200)의 저면에 적재되는데, 일부는 제1배출구(240)를 통해 적재함(250)으로 배출되며, 나머지는 본체(200)의 저면에 적재되어 있다가 보조배출장치(270)의 날개(275)로 인해 제1배출구(240)로 이동하여 적재함(250)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적재함(250)에 배출된 이물질(509)은 다시 적재함(250)에 적재되며 적재함(250)의 소정깊이(a) 적재된 량을 유지한다.
반면, 보조배출장치(270)의 날개(275)가 이물질(509)을 이동시켜 제2배출구(253)로 배출시킴에 따라 적재함(250)의 소정깊이(a) 적재된 량을 초과하게 되면, 제2배출구(253)를 밀봉하는 덮개(255)의 탄성지지력보다 적재된 이물질(509)이 덮개(255)에 가하는 하중이 커지면서 제2배출구(253)와 덮개(255)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 틈새 사이로 적재함(250)의 저면에 적재되어 있던 이물질(509)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적재함(250)의 하측에는 적재함(25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509)을 회수하는 회수함(507)이 더 구비되어 이물질(509)을 별도 공간에 저장해두었다가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수함(507)은 일예로, 별도의 회수함(507)으로 구비되거나 재활용 봉투로 구비될 수 있어서 배출되는 이물질(509)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날개(275)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하단부(275b)에 본체(200)의 저면을 쓸어주는 브러시부(77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브러시부(772)는 본체(200) 저면에 닿아 본체(200) 저면에 적재되어 있는 이물질(509)을 쓸어 이물질(509)의 이동이 수월해진다.
또한, 브러시부(772)가 본체(200) 저면을 쓸어 이물질(509)을 한번에 수월하게 이동시키며 제1배출구(240)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본체(200) 저면의 구석에 적재된 이물질(509)도 제1배출구(240)로 이동시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배출구(253)의 일측단과 덮개(255)의 힌지 결합부위 반대편 중 어느 한쪽에는 자석부(85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적재함(250)과 덮개(255)는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일예로, 도 8에는 제2배출구(253)의 일측단에 자석부(858)가 구비되며, 덮개(255)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덮개(255)는 자석부(858)의 자력과 스프링(654)의 탄성지지력으로 제2배출구(253)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이물질(509)이 적재함(250)에 적재되다가, 적재된 이물질(509)이 덮개(255)에 가하는 하중이 자석부(858)의 자력과 덮개(255)의 탄성지지력 보다 커지면서 제2배출구(253)와 덮개(255)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이물질(509)이 자동으로 배출된다.
특히, 자석부(858)는 자력으로 덮개(255)의 힌지 결합부위 반대편과 제2배출구(253) 사이의 틈새를 없애 덮개(255)가 제2배출구(253)를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본체(200)를 밀봉하는 적재함(250)이 제1배출구(240)를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체 하측에 본체의 배출구를 밀봉하는 적재함이 구비되어 여과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외부에 자동으로 배출시키고, 본체 내부에 수거 백이 설치되지 않아도 되며 본체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산업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키며 청소하기가 용이해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적재함이 본체의 배출구를 밀봉하며 적재된 이물질을 외부에 자동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함이 일회용 봉투로 대체될 수 있어 회수함의 교체가 수월해지며 미세먼지량에 따라 회수함을 원하는 크기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여과면적을 연장하여 넓히며, 필터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필터에 적재되어 있지 않고 본체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적재됨에 따라 미세먼지의 여과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산업진공청소기의 전반적인 성능 및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본체 201: 흡입호스
202: 보호부 203: 제어부
210: 여과망 211: 테이퍼원통부
213: 연장부 215: 결합부
216: 제1고정부 217: 제2고정부
220: 흡입구 230: 순수공기 배출구
240: 제1배출구 250: 적재함
251: 경사면 252: 적재공간
253: 제2배출구 255: 덮개
270: 보조배출장치 271: 모터
273: 회전축 275: 날개
305: 체결부재 356: 힌지축
357: 절곡부 359: 플랜지부
507: 회수함 654: 스프링
772: 브러시부 858: 자석부

Claims (8)

  1. 내부에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이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흡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여과망 내부로 연결되고, 순수공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망을 통과하는 순수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하측에 제1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여과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밀봉하고, 상기 이물질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 때마다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적재함;
    을 포함하며,
    상기 순수 공기 배출구는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순수 공기는 상부로 배출되며, 이물질은 순수 공기와 반대인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공간의 저면에 상기 제2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함의 하측에 상기 제2배출구를 덮는 덮개가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적재함은 청소면에 대향하도록 산업진공청소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의 깊이가 일측으로 갈수록 깊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구가 상기 하측면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소정량을 초과하여 적재될때 마다 이물질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배출구의, 스프링이 힌지 결합된 곳의 반대측인 청소면과 가까운 쪽이 개방되어 이물질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적재함의 저면 전체의 절반 이상이 상기 경사진 하측면에 의해 폐쇄되고, 제2배출구는 하측면에 연속하여 나머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구를 밀봉하는 덮개가 이물질의 자중에 의하여 개방되며,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힘은 상기 힌지 결합된 스프링의 영향을 받으며,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이물질을 상기 제1배출구로 이동시키는 보조배출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배출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모터와 함께 회전하는 방사상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출장치에 연속하여 상기 적재함과 제2배출구를 배치하며,
    상기 보조배출장치의 날개가 이물질을 이동시켜 제2배출구로 배출시킴에 따라 적재함의 소정깊이 적재된 량을 초과하게 되면, 제2배출구를 밀봉하는 덮개의 탄성지지력보다 적재된 이물질이 덮개에 가하는 하중이 커지면서 제2배출구와 덮개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날개에는 그 하단부에 본체의 저면을 쓸어주는 브러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배출구의 일측단에 자석부를 구비하여, 스틸 재질인 덮개가 자석부의 자력과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으로 제2배출구를 밀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진공청소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에서 배출되는 상기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진공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상측단에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진공청소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의 상기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여과망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테이퍼원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진공청소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회전축에 경사져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진공청소기.
KR1020170012559A 2017-01-26 2017-01-26 산업진공청소기 KR10195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59A KR101957486B1 (ko) 2017-01-26 2017-01-26 산업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59A KR101957486B1 (ko) 2017-01-26 2017-01-26 산업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34A KR20180088034A (ko) 2018-08-03
KR101957486B1 true KR101957486B1 (ko) 2019-03-12

Family

ID=6325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59A KR101957486B1 (ko) 2017-01-26 2017-01-26 산업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179A (ko) * 2020-04-08 2021-10-18 이중호 산업용 청소기에 탈부착가능한 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0272A (zh) * 2021-07-12 2021-10-29 重庆昕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清洁的自来水消毒液生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45B1 (ko) * 2003-02-20 2006-02-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청소기
KR101205162B1 (ko) * 2011-05-30 2012-11-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656B2 (ja) * 1997-07-10 2001-07-16 啓一 小沢 固液分離処理装置
KR20130128632A (ko) * 2012-05-17 2013-11-27 최인덕 오물 수거장치
KR20140118434A (ko) * 2013-03-29 2014-10-08 조한국 산업용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45B1 (ko) * 2003-02-20 2006-02-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청소기
KR101205162B1 (ko) * 2011-05-30 2012-11-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179A (ko) * 2020-04-08 2021-10-18 이중호 산업용 청소기에 탈부착가능한 집진장치
KR102362520B1 (ko) * 2020-04-08 2022-02-11 이중호 산업용 청소기에 탈부착가능한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34A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5907B1 (ko) 진공 청소기
JP3953386B2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4798637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58569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100539762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KR102161872B1 (ko) 필터 청소 부재를 갖는 봉투 없는 진공 청소기
KR100560327B1 (ko) 진공청소기
KR101524170B1 (ko)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KR100474807B1 (ko) 진공청소기
DE60031800D1 (de) Staubsammelvorrichtung für Staubsauger und Stielstaubsauger
KR101957486B1 (ko) 산업진공청소기
KR20160008731A (ko) 집진장치
JP2012065877A (ja) 電気掃除機
EP0245224B1 (en) Suction apparatus
RU2257835C2 (ru) Сепаратор для мусоро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вакуумного действия
KR20170079579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JP2010035771A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
US5902386A (en) Reduced diameter separator for a vacuum cleaner apparatus
KR101452468B1 (ko) 집진기
KR20160133872A (ko) 먼지떨이 기능이 구비된 산업용 진공 청소기
KR20210075527A (ko) 원심 분리와 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
US8562704B2 (en) Integral vacuum fan housing
KR100444551B1 (ko) 사이클론방식 진공청소기
KR100444320B1 (ko) 사이클론방식 진공청소기
US20070056255A1 (en) Cartridge filter rot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