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245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245B1
KR100550245B1 KR1020030069639A KR20030069639A KR100550245B1 KR 100550245 B1 KR100550245 B1 KR 100550245B1 KR 1020030069639 A KR1020030069639 A KR 1020030069639A KR 20030069639 A KR20030069639 A KR 20030069639A KR 100550245 B1 KR100550245 B1 KR 10055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hamber
dust collecting
chamber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039A (ko
Inventor
타카하시유타카
하치스코오지
세키구치타케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사용중에 먼지의 흡인상태를 눈으로 보고 청감으로 확인되어 청소의 만족감 및 달성감을 향상시켜 주고, 또한 쓰기도 편리하게 하고, 청소작업을 즐겁게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공기의 흡입구(16)와, 흡입구(16)에서 흡인한 먼지를 일시적으로 보관해서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갖는 제1의 집진실(15)과, 제1의 집진실(15)의 하류측에 연통해서 공기를 통과시켜 배출시키는 동시에 먼지를 수납하는 수납수단을 갖는 제2의 집진실(5)과, 제1의 집진실(15)측에 위치하고 제1의 집진실(15)의 먼지를 선택적으로 제2의 집진실(5)측으로 이동 시키는 이동수단(21)을 설치하였다.
집진실,사이클론 출구,먼지연통공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진공청소기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제1집진실의 상면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작용을 표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를 버리는 동작시의 제1집진실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청소기 본체 5 : 제2의 집진실
11 : 먼지연통공 15 : 제1의 집진실
16 : 흡입구 18 : 사이클론 출구
19 : 깔때기면 21 : 필터부
본 발명은 한쪽의 집진실로부터 다른 집진실로 선택적으로 먼지를 이동시킬 수가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중에 흡입한 먼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1의 집진실에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이 먼지를 선택적으로 제2의집진실로 이동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로는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는 수단으로 헝겁이나 부직포를 사용한 필터식이나, 필터를 봉지상태로 해서 그속에 먼지를 저장해 봉지채로 버리는 종이팩식이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사이클론식 등이 있었다.
예를들면, 사이클론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해서 유동안내수단을 두어 분리한 먼지는 모두 사이클론실의 접선방향으로 구획된 집진상자에 원심력으로 투입되고, 집진실내의 공기는 비교적 동적이고 움직임이 적은 구성의 진공청소기가 있다(예를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허제3145086호 공보(제3 ~ 4 페이지 도 6 ~ 도 8)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관한 사이클론에 의한 먼지분리기술에서는 먼지의 압축효과가 없으므로 집진용량이 적고, 또 용량을 크게 하면 청소기로서의 사용감이 저하하는 등 상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진공청소기를 사용중에 먼지의 흡인상태를 눈으로 보거나 청감으로 확인할 수 있고, 청소의 만족감 및 달성감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사용감도 향상시켜 청소작업을 즐겁게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흡입구와, 이 흡입구에서 흡인한 먼지를 일시적으로 보관해서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먼지의 공기와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갖는 제1의 집진실과, 이 제1의 집진실의 하류측에 연통해서 먼지의 공기를 통과시켜서 배출시키는 동시에 먼지를 수납하는 수납수단을 갖는 제2의 집진실과, 제1의 집진실측에 위치해 이 제1의 집진실의 먼지를 선택적으로 제2의 집진실측에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진공청소기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제1집진실의 상면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진공청소기의 청소기본체(1)는 거의 역 L자형을 하고, 예를들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부 상방에는 청소기본체(1)를 이동하기 위한 핸들(2)이 설치되고, 저면에는 바닥을 이동하기 위한 캐스터(3) 및 후차륜(4)이 마련되고, 내부에는 흡인력을 얻기 위해 블로워모터, 급전용 코드릴 및 배기구(도시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기본체(1)와 일체로 상방이 개구된 제2의 집진실(5)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거의 중앙부에 먼지침입공을 갖는 대지(6)와, 이 대지(6)와 일체가 된 주머니 모양의 종이필터(7)가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고, 또 제2의 집진실 (5)과 블로워모터 사이에는 이들을 연통시키는 격자(8)가 설치되어 있다.
제2의 집진실(5)의 상방 개구부에는 이를 개폐하는 먼지버리기용 뚜껑(9)이 제1의 패킹(10)을 통해서 부착되어 있다. 또, 먼지버리기용 뚜껑(9)의 대략 중앙에는 먼지연통공(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먼지연통공(11)에 설치한 제2의 패킹(12)은 대지(6)에 당접해 있다.
그리고, 먼지버리기용 뚜껑(9)의 전체는 청소기본체(1)의 위쪽에 배치된 베어링(13)에 지지되어서 제2의 집진실(5)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개폐용 거는금구(14)에 의해 록 되도록 되어 있다.
제1의 집진실(15)은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투명하고 원통상의 사이클론 구조로 되고, 그 상부에는 흡입구(16)를 소유하고, 또 내벽면에서의 회전을 부여하기 위한 제1의 집진실(15)의 사이클론부 보다도 소경의 사이클론 입구(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집진실(15)에는 그 중앙측에 경사한 깔때기면(19)이 설치되고, 그 하부중앙부에는 통상의 사이클론출구(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2의 패킹(12)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제1의 집진실(15)의 전체가 먼지버리기용 뚜껑(9)의 위쪽이 먼지연통공(11)과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수평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고, 착탈용 거는금구(20)에 의해 먼지버리기용 뚜껑(9)에 착탈이 자유롭게 감합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집진실(15)의 사이클론 출구(18)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먼지의 이동수단인 필터부(21)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틀재료에 의해 역누두형상으로 형성된 보존부(23)와 다수의 통기공(25)을 소유하고, 보존부(23)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저판(24)으로 된 본체부(22)를 소유하고, 저판(24)의 외경은 사이클론출구(18)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보존부(23)는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품이나 금속망으로 형성하고, 또 저판(24)도 금속망 등으로 형성하는 등 통기성을 갖는 구조이면 된다.
그리고, 보존부(23)의 외주는 솜털먼지 등의 큰먼지를 포획하는 선근필터 (26)로 덮혀 있고, 또 보존부(23)내에는 발포율이 작은 우레탄폼 재료 등의 가는 먼지필터(27)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부(22)의 상단부에는 필터부(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사이클론출구(18)를 개폐하는 슬라이드축(28)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축(28)에는 이를 외부로부터 조작하는 손잡이(29)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 운전시의 사이클론출구(18)가 필터부(21)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서 청소기본체(1)를 운전하면 공기와 먼지가 브러시, 파이프,호스 등의 부속품(도시않음)을 통과해서 흡입구(16)로부터 흡입된다.
그리고, 사이클론 입구(17)에 의해 먼지나 내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1의집진실(15)내로 흡인되고, 사이클론의 먼지분리기능에 의해 비중이 큰 솜털먼지 등 의 거친먼지는 투명한 제1의 집진실(15)의 내벽면에서 계속돌아 미세먼지는 거친먼지용 필터(26)와 미세먼지용 필터(27)에 의해 포집된다.
이렇게 해서 여과된 공기는 제2의 집진실(5)로 흐르고, 종이필터(7)를 통과해서 청소기본체(1)의 밖으로 배기된다.
운전정지 후에 다시 운전한 경우에도 제1의 집진실(15)내의 거친먼지는 다시 회전을 계속한다. 동시에 제1의 집진실(15)이 투명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흡인한 먼지의 회전정도가 먼지의 량에 따라 변화하므로 그 움직임에 의해 먼지량의 확인 및 먼지를 버리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다.
또, 바닥면에 먼지가 없을 때는 사이클론 입구(17)에서의 먼지의 회전이 없고, 공기만의 회전이 되므로 통과 먼지량이 투명도 확인으로부터 바닥면의 먼지제거를 판별할 수가 있다.
이것이 2차적으로는 소재의 달성감, 만족감을 얻는 것에 연결되어 즐겁게 소제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 슬라이드축(28)을 위로 이동시켜 운전시의 사이클론출구(18)가 필터부 (21)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서 청소기본체(1)를 운전하면 공기와 먼지, 바닥브러시, 파이프, 호스등의 부속품을 통과해 흡입구(16)로부터 흡입된다.
그리고, 사이클론입구(17)에 의해 먼지나 내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1의집진실(15)에 흡인되고, 사이클론의 먼지분리기능에 의해 비중이 큰 솜털먼지 등의 거친먼지는 투명한 제1의 집진실(15) 내벽면에서 회전을 계속해 미세번지는 사이클 론출구(18)를 통과해서 제2의 집진실(5)의 종이필터(7)에 의해 포집되고, 여과된 공기는 청소기본체(1)밖으로 배기된다.
청소기본체(1)의 운전을 정지하면 제1의 집진실(15)의 깔때기면(19)에 의해 거친먼지가 미끄러져 떨어져 사이클론출구(18)에 가까워져, 또 재운전시의 스타트시는 회전력이 부가되지 않으므로 제1의 집진실(15)내의 거친먼지는 제2의 집진실(5)에 흡인되어 종이필터(7)에 의해 포집되고, 여과된 공기는 본체의 밖으로 배기된다.
이때 흡인한 먼지의 회전정도가 먼지의 량에 따라 변화하나 제1의 집진실 (15)이 투명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움직임으로 먼지량의 확인 및 먼지를 버리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다.
또, 바닥면에 먼지가 없을 때는 사이클론입구(17)에서 먼지의 회전이 없고, 공기만의 회전이 되므로 통과 먼지량의 투명도 확인으로부터 바닥면의 먼지제거를 판별할 수가 있다.
또, 제1의 집진실(15)내의 먼지가 수납력 이상, 즉 수용용적 이상이 되고, 또 그 이상의 먼지나 흡인된 경우는 자동적으로 제2의 집진실(5)측에 흡인된다. 이것이 2차적으로는 소제의 달성감, 만족감을 얻는 것에 연결되어 청소를 즐겁게 할 수가 있다.
다음, 제1의 집진실(15)의 먼지를 버리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의 집진실(15)의 착탈용 걸림금구(20)를 조작해서 청소기본체(1)로부터 제1의 집진실(15)을 분리하고,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먼지상자(30)위에서 손 잡이(29)를 잡고 필터부(21)를 조작해서 사이클론 출구(18)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거친먼지는 깔때기면(19)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 사이클론 출구(18)로부터 배출된다. 제1의 집진실(15)에 진동을 주면 깔때기면(19)에 의해 사이클론출구(18)로부터 분상의 먼지도 미끄러져 떨어지고 배출된다.
제1의 집진실(15)이 투명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먼지의 배출찌꺼기도 확인할 수가 있다.
다음, 제2의 집진실(5)의 먼지버림에 대해 설명한다.
개폐용 거는금구(14)를 조작해서 먼지버리기용 뚜껑(9)을 개방하고(제1의 집진실(15)의 부착여부에 관계없이) 대지(6)와 종이필터(7)로 된 내부 일체의 종이팩을 인출해서 신규의 종이팩과 교환한다.
다음, 제1의 집진실(15)이 제2의 집진실(5)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제2의 집진실(5)의 상부를 개폐하는 먼지버리기용 뚜껑(9)에 흡입구(16)를 갖는 제1의 집진실(15)이 수평회동이 자유롭게, 또 착탈용 걸림금구(20)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입구(16)에 호스를 접속해서 운전하면 청소기본체 (1)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흡입구(16)를 360°회전할 수가 있으므로 주위를 소제할 수가 있다.
이때, 먼지의 흡인용량 및 흡인상태는 사용자 및 주위의 사람을 포함해서 이들 사람들이 어느 위치에 있어도 확인할 수가 있다.
제1의 집진실(15)이 원통상이고, 사이클론 기능을 갖는 것 및 먼지버리기용 뚜껑(9)의 먼지 연통공(11)과 제1의 집진실(15)이 동심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2의 집진실(5)의 상부가 가장 작은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고, 제작 코스트나 개발 코스트를 적게 할 수 있다.
특히, 청소기본체(1)의 컴팩트화가 중요시 되므로 상품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이를 달성하는 수단으로는 가장 효과가 크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제1의 집진실(15)을 투명재료로 구성하고, 이 투명재료에 의해 먼지의 움직임이나 먼지의 판별, 용량을 확인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먼지의 센싱에 의해 액정표시의 목시나 음색의 종류로 변환한 확인방법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투명한 재료로되는 제1의 집진실(15)에 흡인된 먼지가 일차 보관되고, 여기서 먼지용량을 확인하고, 먼지 흡인의 판별, 흡인먼지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사용자는 대단히 편리하고, 또 청소의 달성감, 만족감을 얻을 수가 있다.
또, 그 먼지로 선택적으로 제2의 집진실(5)에 이동할 수가 있고, 제1의 집진실(15)은 매회의 청소의 먼지용량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작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제2의 집진실(5)에서는 여러번의 청소의 먼지용량을 정리해서 먼지투기가 되므로 제1의 집진실(15)에서의 빈번한 먼지투기의 번거로움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제1의 집진실(15)로부터 제2의 집진실(5)에의 먼지의 이동수단이 제1의 집진실(15)에 있고, 단독으로 청소기본체(1)에 착탈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으므 로 제1의 집진실(15)의 기능만으로 청소기를 사용할 수가 있고, 사용자의 선택폭이 넓어지게 된다.
또, 먼지의 이동수단의 조작은 사이클론 출구(18)가 깔때기면인 것으로부터 운전스타트는 먼지가 회전하지 않는 저입력운전 및 간홀운전 등의 제어에 의한 이동수단이 생각된다.
또, 제1의 집진실(15)이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고, 내부의 먼지를 목시해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재로 된 사이클론 본체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적은 제작비용으로 먼지의 움직임, 즉 회전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
또, 제1의 집진실(15)이 제2의 집진실(5)의 상방에 있어 수평회전할 수가 있으므로 제조비를 싸게 할 수 있고, 또 사용자 및 주위의 사람이 어느쪽에서든지 먼지를 쉽게 목시 확인할 수가 있어 사용에 편리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사용중에 먼지흡인상태를 볼 수 있고, 청감으로 확인할 수가 있고, 청소의 만족감 및 달성감을 향상 할 수 있고, 더나아가서는 쓰기에 좋고, 청소작업을 즐겁게 할 수가 있다.



Claims (5)

  1. 공기의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인한 먼지를 일시적으로 보관해서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 및 사이클론 출구를 갖는 제1 집진실;
    상기 제1 집진실 하류측에 상기 사이클론 출구를 통해 상기 공기를 통과시켜 배출시키는 동시에 먼지를 수납하는 수납수단을 갖는 제2 집진실; 및
    상기 제1 집진실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집진실의 먼지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집진실측으로 이동시키는 먼지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먼지이동수단이 상기 사이클론 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실은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는 사이클론식의 분리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내부의 먼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있는 투명재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실은 상기 제2 집진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집진실의 연통구와 제1 집진실의 사이클론축이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집진실이 대략 수평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이동수단이 먼지여과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집진실의 상기 사이클론 출구는 깔때기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먼지이동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 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실이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30069639A 2003-02-20 2003-10-07 진공청소기 KR100550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2164A JP4000521B2 (ja) 2003-02-20 2003-02-20 電気掃除機
JPJP-P-2003-00042164 2003-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039A KR20040078039A (ko) 2004-09-08
KR100550245B1 true KR100550245B1 (ko) 2006-02-08

Family

ID=3302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39A KR100550245B1 (ko) 2003-02-20 2003-10-07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00521B2 (ko)
KR (1) KR100550245B1 (ko)
CN (1) CN10039488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034A (ko) * 2017-01-26 2018-08-03 동병길 산업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7782A (zh) * 2017-09-27 2017-12-22 无锡市求盛纺织机械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纺织机械用去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7275B2 (ja) * 1987-09-03 1997-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H03267032A (ja) * 1990-03-16 1991-11-27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JPH0711729Y2 (ja) * 1991-03-28 1995-03-22 小松ゼノア株式会社 清掃機
CN1163186C (zh) * 2000-02-23 2004-08-25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旋风式真空吸尘器
JP3885454B2 (ja) * 2000-03-16 2007-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02125896A (ja) * 2000-10-26 2002-05-08 Hitachi Ltd 掃除機のゴミ排出機構
JP3729726B2 (ja) * 2000-11-13 2005-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034A (ko) * 2017-01-26 2018-08-03 동병길 산업진공청소기
KR101957486B1 (ko) * 2017-01-26 2019-03-12 동병길 산업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4880C (zh) 2008-06-18
JP4000521B2 (ja) 2007-10-31
CN1572218A (zh) 2005-02-02
JP2004248868A (ja) 2004-09-09
KR20040078039A (ko)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1318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3092931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587099B1 (ko) 사이클론 방식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CA2448359C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CA2435435C (en) Dirt container for cyclonic vacuum cleaner
KR10093606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6810558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use in vacuum cleaner
KR100912314B1 (ko) 진공청소기
KR100933188B1 (ko) 진공청소기
US20100306955A1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JP2004113760A (ja) 湿乾式掃除機
US7343643B2 (en) Selective bag or bagless cleaning system
KR20050091836A (ko) 진공청소기
KR2006001800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50245B1 (ko) 진공청소기
JP4521159B2 (ja) 電気掃除機
CN210124714U (zh)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CN209953473U (zh)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KR10060728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CN218338338U (zh) 尘杯组件及立式吸尘器
KR20060018009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2006061540A (ja) 電気掃除機
CA2461238C (en) Selective bag or bagless cleaning system
KR20060018008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22955A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