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284B1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284B1
KR100607284B1 KR1020030077288A KR20030077288A KR100607284B1 KR 100607284 B1 KR100607284 B1 KR 100607284B1 KR 1020030077288 A KR1020030077288 A KR 1020030077288A KR 20030077288 A KR20030077288 A KR 20030077288A KR 100607284 B1 KR100607284 B1 KR 10060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yclone cylinder
cyclone
dust collec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574A (ko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28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63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filter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가
싸이클론통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는,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함몰 성형되는 유니트장착홈에 장착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싸이클론통과; 상기 싸이클롤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통의 상면을 복개하여 밀폐시키는 카바와, 상기 카바가 상기 싸이클론통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체결수단과; 상기 카바가 상기 싸이클론통에 체결되도록 하는 제 2 체결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상기 싸이클론통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카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걸림 작용이 수행되는 회동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카바가 싸이클론통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카바와 싸이클론통을 동시에 본체의 유니트장착홈에서 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 힌지부, 걸림고리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A structure of dust filtering unit in vacuum clearner}
도 1은 일반적인 싸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집진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커버 하면을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싸이클론통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싸이클론통에 커버가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유니트장착홈 52: 본체유입구
54: 본체토출구 100: 집진유니트
110: 싸이클론통 111: 유니트유입구
113: 격벽 113a: 이물질낙하구
113b: 통공 115: 유니트토출구
130: 힌지부 131: 힌지봉
133: 지지편 135: 걸림홈
150: 카바 150': 손잡이홈
150a: 돌기홀 151: 핸들
155: 걸림고리 157: 회동돌기
157a: 걸림단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가
싸이클론통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팬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질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전기기기이다. 그리고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흡입되는 공기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링장치에서 여과된 다음 이물질은 본체 내부에 집진되고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간다.
흡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서는 종이필터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종이필터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그 내부에 집진되도록 한다. 즉, 이물질이 포 함된 상태로 공기가 흡입되면, 여과후 공기만 빠져나간다.
그러나 이물질을 여과하는 수단이 상기와 같은 종이필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장기간 사용하면 종이필터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종이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먼지봉투가 필요없는 싸이클론방식의 진공청소기가 제시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싸이클론방식의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싸이클론방식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팬모터가 내장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연결호스(4), 상기 연결호스(4)의 단부에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관(6),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바닥면에서 유입되는 흡입노즐(8)을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6)의 상단에는 상기 흡입노즐(8)을 옮기기 위해 잡는 손잡이(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6a)의 하방에는 팬모터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6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2)에는, 후방에서 착탈 가능한 집진유니트(10)가 설치된다. 상기 집진유니트(10)는 흡입노즐(8)에서 흡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킨 후, 내부에서 이물질을 싸이클론방식으로 집진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측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의 저면에는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바퀴(2b)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의 일측에는,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전원코드는 본체 내부의 코드릴(도시 생략)에 권취되면서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유니트장착홈(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니트장착홈(2c)의 내벽면 대략 상측에는 상기 흡입노즐(8)을 통해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집진유니트(10)로 유입되는 본체유입구(2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흡입노즐(8)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은 상기 본체유입구(2d)를 통해 집진유니트(10)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유니트장착홈(2c)의 내벽면 대략 하측에는 본체토출구(2e)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집진유니트(10)로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공기가 여과된 다음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집진유니트(1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집진유니트(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싸이클론통(11)과, 상기 싸이클론통(11)의 상면을 복개하는 카바(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싸이클론통(11)은 상기 흡입노즐(8)을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이 그 내부에 집진되는 집진통이다. 이와 같이 공기가 싸이클론통(11)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상기 싸이클론통(11) 상단에, 상기 본체흡입구(2d)와 대응되는 유니트 유입구(11a)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통(11) 내부에는 격벽(11b)이 형성되어, 상기 싸이클론통(11)을 상하로 분리시킨다. 상기 격벽(11b)의 대략 중심에는 통공(11b')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통공(11b')으로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집진유니트(10)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통(11)의 하단에는 상기 통공(11b')과 연통되는 유니트토출구(11c)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공(11b')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본체토출구(2e)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싸이클론통(11)의 상면에는 카바(15)가 복개되며, 그 하면에는 필터(15a)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15a)는 이물질과 함께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바(15)가 싸이클론통(11)에 장착되면, 상기 필터(15a)는 상기 통공(11b')의 외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유니트흡입구(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15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통과하여 상기 유니트배출구(11c)로 토출된다. 그리고 이물질은 상기 필터(15a)에 의해 여과된 다음, 상기 싸이클론통(11) 내부에 집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집진유니트(10)는 상기 싸이클론통(11) 상단에 카바(15)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카바(15)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싸이클론통(11)과 조립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집진유니트(10)를 본체(2) 상면에 함몰 형성된 유니트장착홈(2c)로부터 들어올리면, 상기 카바(15)가 싸이클론통(11)에서 분리된다. 즉 상기 카바(15)는 빠져나오고, 싸이클론통(15)은 유니트장착홈 (2c)에 그대로 남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카바(15)가 싸이클론통(11)에 고정되지 않고 열리면, 그 내부에 집진된 먼지가 비산되어, 청소를 다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바가 싸이클론통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싸이클론통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카바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는,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함몰 성형되는 유니트장착홈에 장착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싸이클론통과; 상기 싸이클롤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통의 상면을 복개하여 밀폐시키는 카바와, 상기 카바가 상기 싸이클론통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체결수단과; 상기 카바가 상기 싸이클론통에 체결되도록 하는 제 2 체결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상기 싸이클론통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카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걸림 작용이 수행되는 회동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수단은, 상기 싸이클론통의 상단 타측으로부터 돌출 성형되는 힌지부와, 상기 카바의 타측에 돌출 성형되어 상기 힌지부와 걸림 동작이 수행되는 걸림고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어지는 힌지봉과; 상기 힌지봉이 싸이클론통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복수개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고리는 복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돌기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단이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에 의하면, 일정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카바가 싸이클론통에서 빠지지 않아, 싸이클론통을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집진유니트의 구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커버 하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싸이클론통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싸이클론통에 커버가 장착되는 과정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생성시켜, 바닥면 또는 카펫등과 같은 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팬모터가 내장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연결호스(3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호스(34)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호스(34)의 내부와 서로 연통되는 연장관(36)이 설치된다. 상기 연장관(36)은 그 길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연장관(36)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30) 내부에 구비되는 팬모터에 의한 흡입력으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36)의 상단,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호스(34)와의 사이에는 손잡이(36a)와, 스위치(36b)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6a)는 흡입노즐(38)을 원하는 위치로 옮기도록 손으로 잡는부위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6a)를 잡고 움직이면, 상기 흡입노즐(38) 또한 손잡이(36a)의 움직임에 따라 그 위치가 옮겨진다. 상기 스위치(36b)는 본체(30) 내부의 팬모터의 온오프 및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36b)를 조작하면, 상기 흡입노즐(38)을 통해 이물질이 본체(30)로 흡입된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 내부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부(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상기 본체(30)의 하면이 바닥면을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한쌍의 바퀴(30b)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본체(30)의 배면에는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30c)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전원코드(30c)는 본체(30) 내부의 코드릴(도시 생략)에 권취되면서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30)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유니트장착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니트장착홈(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100)가 장착되는 공간으로 그 깊이는 집진유니트(100)의 높이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니트장착홈(50)의 내벽면 대략 상측에는 상기 흡입노즐(38)을 통해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집진유니트(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본체유입구(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니트장착홈(50)의 내벽면 대략 하측에는 본체토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노즐(38)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은 상기 본체유입구(52)를 통해 집진유니트(100)로 유입되며, 집진유니트(100)로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공기는 여과된 다음 이물질은 집진되고 필터링된 공기만 상기 본체토출구(54)로 토출된다.
이러한 공기흐름을 위해 상기 본체유입구(52)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100)의 유니트유입구(111)와 서로 연통되고, 상기 본체토출구(54)는 집진유니트(100)의 유니트토출구(115)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유니트장착홈(50)에 장착되는 집진유니트(100)의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집진유니트(100)는 그 내부에 소정의 이물질 집진공간이 형성되는 싸이클론통(110)과,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상면을 복개하여 밀폐시키는 카바(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싸이클론통(11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싸이클론통(110)의 상단에는 상기 유니트장착홈(50)의 본체유입구(52)와 대응되는 유니트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니트유입구(111)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이 싸이클론통(110) 내부로 유입된 다. 상기 유니트유입구(111)의 하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싸이클론통(110)을 가로로 가로질러서는 격벽(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113)은 상기 싸이클론통(110)을 상하로 구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격벽(113)이 형성되면,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상측은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하측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공간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하측에 이물질이 집진되기 위해, 상기 격벽(113)의 일측에는 이물질낙하구(113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이물질낙하구(113a)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하측으로 낙하한다.
상기 격벽(113)의 대략 중심에는 통공(113b)이 천공 형성되는데, 이러한 통공(113b)은 아래에서 설명할 카바(150)의 필터(F)를 통과한 공기가 유니트토출구(115)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싸이클론통(110)의 외연 상측에는 힌지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130)는 아래에서 설명할 카바(150)의 걸림고리(155)가 걸어지는 곳으로, 실질적으로 카바(150)의 걸림고리(155)가 걸리는 힌지봉(131)과, 상기 힌지봉(131)이 싸이클론통(110)의 외연에 소정거리를 두고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편(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봉(131)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형봉으로, 상기 지지편(133)의 외측 단부에 2개의 지지편(133)의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힌지봉(131)의 형상은 원형봉 뿐만아니라 각형봉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133)은 싸이클론통(110)의 외연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싸이클론통(110)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지지편(133)은 별도부재를 싸이클론통(110)의 외연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편(133) 사이의 폭,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봉(131)의 폭은 아래에서 설명할 카바(150)의 걸림고리(155)와 대응된다. 이러한 것은 상기 지지편(133) 사이에 카바(150)의 걸림고리(155)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이다.
상기 힌지부(130)와 대향되는 싸이클론통(110)의 외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카바(150)의 회동돌기(157)의 걸림단(157a)이 삽입되는 걸림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상단에 카바(150)가 복개되면, 상기 걸림홈(135)에는 회동돌기(157)의 걸림단(157a)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싸이클론통(110)의 상단에는 카바(150)가 복개된다. 상기 카바(150)는 대략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외형과 대응된다. 상기 카바(150)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손잡이홈(150')이 형성되며, 이러한 손잡이홈(150')을 가로질러서는 핸들(1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151)은 이후 상기 카바(150)가 싸이클론통(110)의 상단에 고정된 다음, 상기 싸이클론통(110)을 동시에 들어올리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홈(150')의 벽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동돌기(157)가 삽입되는 돌기홀(150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돌기홀(150a)에 회동돌기(157)가 삽입되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은 상기 카바(150)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카바(150)의 하단에는 집진유니트(100)가 본체(30)의 유니트장착 홈(50)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153)가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고정돌기(153)는 상기 핸들(151)의 하면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핸들(151)을 잡으면, 상기 고정돌기(153)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카바(150)의 후방 하단에는 상기 힌지부(130)의 힌지봉(131)에 걸어지는 걸림고리(15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리(155)는 상기 카바(1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부재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걸림고리(155)는 2곳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리(155)의 갯수와 상기 힌지부(130)의 갯수는 대응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 힌지부(130)가 단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걸림고리(155) 또한 그에 대응된다.
상기 카바(150)의 돌기홀(150a)에는 회동돌기(157)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회동돌기(157)는 카바(150)의 일측이 상기 싸이클론통(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역할을 위해 상기 회동돌기(157)의 하단에는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걸림홈(135)에 삽입되는 걸림단(157a)이 더 형성된다. 상기 회동돌기(157)와 돌기홀(150a) 사이에는 스프링(S)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S)은 회동돌기(157)를 탄성지지하며, 회동돌기(157)가 동작된 다음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카바(150)의 하면에는 필터(F)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F)는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유니트흡입구(111)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F)의 내부는 비어있어, 필터(F)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통공(113b)을 통해 유니트토출구(115)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싸이클론통(110)과 카바(150)가 서로 조립되어는 것을 첨부된 도면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힌지부(130)와 걸림홈(135)이 형성된 상태의 싸이클론통(110)을 마련하고, 걸림고리(155)와 회동돌기(157)이 형성된 카바(150)를 마련한다. 이후 상기 카바(150)의 걸림고리(155)를 힌지부(130)의 힌지봉(131) 하방으로 넣은 다음 올리면, 상기 힌지봉(131)에 걸림고리(155)가 걸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싸이클론통(110)과 카바(150)의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카바(150)를 싸이클론통(110) 상단으로 덮으면, 상기 카바(150)의 하면이 싸이클론통(110)의 상단 테두리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카바(150)에 탄성 지지되어 있는 회동돌기(157)의 걸림단(157a)이 싸이클론통(110)의 걸림홈(135)에 삽입된다. 즉, 상기 싸이클론통(110)의 상단에 카바(150)가 걸림고리(155) 및 걸림단(157a)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카바(150)를 열기 위해서는, 상기 카바(150)의 회동돌기(157)를 당기면 된다. 즉 상기 회동돌기(157)가 동작하면, 상기 회동돌기(157)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단(157a)이 걸림홈(135)으로부터 빠져나와 카바(150)가 열린다. 이때 상기 카바(150)의 일측은 상기 걸림고리(155)가 힌지봉(131)에 걸려있어,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는다. 물론 분리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걸림고리(155)를 힌지봉(131)에서 빼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는, 이물질이 집진되 는 싸이클론통의 상면을 복개하는 카바가 걸림고리 및 걸림단에 의해 싸이클론통에 고정되도록 함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싸이클론통의 힌지부,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봉에 카바의 걸림고리가 걸어지고, 싸이클론통의 걸림홈에 카바의 걸림단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카바가 싸이클론통의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그 사이로 집진된 이물질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카바가 싸이클론통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상기 카바와 싸이클론통을 동시에 본체의 유니트장착홈에서 빼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즉 싸이클론통만 유니트장착홈에 남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진유니트에 다량의 이물질이 쌓여 비워야 할 때에는 상기 카바를 열수 있어 싸이클론통 내부 청소가 쉬워지며, 청소가 끝난후에는 카바를 견고하게 재 고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와 같이 카바가 싸이클론통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열릴 수 있도록 집진유니트가 이루어지면, 청소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인지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도 기대된다.

Claims (7)

  1.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함몰 성형되는 유니트장착홈에 장착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싸이클론통과;
    상기 싸이클롤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싸이클론통의 상면을 복개하여 밀폐시키는 카바와,
    상기 카바가 상기 싸이클론통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체결수단과;
    상기 카바가 상기 싸이클론통에 체결되도록 하는 제 2 체결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제 2 체결수단은 상기 싸이클론통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카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걸림 작용이 수행되는 회동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수단은 상기 싸이클론통의 상단 타측으로부터 돌출 성형되는 힌지부와, 상기 카바의 타측에 돌출 성형되어 상기 힌지부와 걸림 동작이 수행되는 걸림고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어지는 힌지봉과;
    상기 힌지봉이 싸이클론통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복수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는 복수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기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단이 더 돌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기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KR1020030077288A 2003-11-03 2003-11-03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KR10060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288A KR100607284B1 (ko) 2003-11-03 2003-11-03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288A KR100607284B1 (ko) 2003-11-03 2003-11-03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574A KR20050042574A (ko) 2005-05-10
KR100607284B1 true KR100607284B1 (ko) 2006-07-28

Family

ID=3724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288A KR100607284B1 (ko) 2003-11-03 2003-11-03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2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94B1 (ko) * 2007-11-14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CN107847096A (zh) * 2015-07-13 2018-03-27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灰尘分离装置和电动扫除机
KR102157261B1 (ko) * 2019-10-31 2020-09-18 주식회사 미로 싸이클론 집진장치 및 청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94B1 (ko) * 2007-11-14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CN107847096A (zh) * 2015-07-13 2018-03-27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灰尘分离装置和电动扫除机
KR20180034481A (ko) * 2015-07-13 2018-04-04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2039005B1 (ko) * 2015-07-13 2019-11-26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2157261B1 (ko) * 2019-10-31 2020-09-18 주식회사 미로 싸이클론 집진장치 및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574A (ko)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06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6064B1 (ko) 진공청소기
KR100912314B1 (ko) 진공청소기
KR100933188B1 (ko) 진공청소기
KR200377056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63382B1 (ko) 진공청소기
RU2453261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ылесос
KR100880492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44746B1 (ko) 진공청소기
US6484350B2 (en) Bagless canister vacuum cleaner
KR20050091829A (ko) 진공청소기
CA2361932A1 (en) Improved bagless vacuum cleaner
US20100306955A1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KR20060118803A (ko) 진공청소기
KR20060118795A (ko) 진공청소기
KR20060066530A (ko) 진공청소기
KR10096338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1800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0728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93619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US20070056135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3665683A (en) Vacuum cleaner having pre-filter and dust bag
EP1674015B1 (en) Electric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