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005B1 -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005B1
KR102039005B1 KR1020187004275A KR20187004275A KR102039005B1 KR 102039005 B1 KR102039005 B1 KR 102039005B1 KR 1020187004275 A KR1020187004275 A KR 1020187004275A KR 20187004275 A KR20187004275 A KR 20187004275A KR 102039005 B1 KR102039005 B1 KR 102039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eparation chamber
separation
separator
clea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481A (ko
Inventor
야스시 다카이
히토시 스즈키
기요시 에베
겐지 고지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1/00Accessories, e.g. safety or control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gulators, valves in inlet or overflow du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04C5/2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원심분리부의 세척 및 그 후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 장치를 제안한다. 먼지 분리 장치(7)에는,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굵은 먼지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35)와, 제1 분리부(35)를 통과한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분리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원심분리부(36)는 미세한 먼지를 분리하는 제2 원심분리실(65)을 구획하는 제2 분리실측 측부(82)와, 제2 원심분리실(65)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71)를 갖고, 제2 분리실측 벽부(82)를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
본 발명에 의한 실시 형태는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원통 형상의 집진 용기 내에 선회류를 발생시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사이클론식의 먼지 분리 장치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4-14654호 공보
종래의 먼지 분리 장치는 굵은 먼지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제1 원심분리부와, 제1 원심분리부를 통과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더 미세한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는 제2 원심분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먼지 분리 장치는 제1 원심분리부의 외각으로서 컵 형상의 투명한 수지제 먼지 용기를 구비하고 있다. 투명한 먼지 용기는 축적된 먼지의 양을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먼지를 폐기할 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컵 형상의 먼지 용기는 오염이 눈에 보일 때에는 용이하게 물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한 먼지 용기는 건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원심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는 분말 형태로 미세하기 때문에, 습기나 정전기에 의해 제2 원심분리부의 내벽면에 부착되기 쉽다. 부착된 먼지가 습기를 흡수하여 내벽면에 부착되면, 제2 원심분리부의 분리 성능이 저하되거나, 위생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제2 원심분리부도 물세척 등의 방법으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 원심분리부는 제1 원심분리부보다 미세한 분말 형태의 먼지를 분리하므로, 일반적으로 제1 원심분리부보다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원심분리부보다 높은 원심력을 필요로 하는 제2 원심분리부는 제1 원심분리부보다 대폭 직경이 작은 한편, 먼지 함유 공기의 흡입구, 공기의 배기구, 및 먼지 폐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있고, 분리실 내부의 구석구석까지 세척 가능하고, 또한 육안으로 세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2 원심분리부의 세척과, 후속 확인이 용이한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를 제안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는,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굵은 먼지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 및 상기 제1 분리부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상기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분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원심분리부는 상기 미세한 먼지를 분리하는 원심 분리실을 구획하는 분리실측 벽부; 및 상기 원심 분리실로부터 공기가 흘러 나가게 하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실측 벽부를 개폐 자유롭게 닫는 분리실 뚜껑부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는 상기 분리실 뚜껑부를 개폐 자유롭게 지지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분리실 벽부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분리실 벽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실 뚜껑부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분리실 벽부측으로부터 상기 분리실 뚜껑부를 분리하는 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는 상기 힌지 기구 둘레에 상기 분리실 뚜껑부를 닫으면 상기 분리실 뚜껑부를 상기 분리실 측벽부에 고정하는 로킹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 및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제2 원심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이다. 전기 청소기(1)는 피청소면을 주행할 수 있는 청소기 본체(2)와,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로운 관부(3)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2)와 관부(3)는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2)는 본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5)의 좌우 각각의 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6)와, 본체 케이스(5)의 전반부에 배치된 착탈 자유로운 먼지 분리 장치(7)와, 본체 케이스(5)의 후반 부분에 수용되는 전동 송풍기(8)와, 주로 전동 송풍기(8)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9)와, 전동 송풍기(8)에 전력을 인도하는 전원 코드(11)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2)는 전원 코드(1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동 송풍기(8)를 구동시키고, 전동 송풍기(8)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negative pressure)을 관부(3)에 작용시킨다. 전기 청소기(1)는 관부(3)를 통해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함유한 공기(이하, 「먼지 함유 공기」라고 함)를 흡입하고,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분리 후의 먼지를 포집하고, 축적하는 동시에 먼지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배기한다.
본체 케이스(5)의 정면 부분에는 본체 접속구(1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접속구(12)는 청소기 본체(2)의 유체적인 입구이다. 본체 접속구(12)는 관부(3)와 먼지 분리 장치(7)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바퀴(6)는 대직경의 주행 바퀴이고, 청소기 본체(2)를 지지하고 있다.
먼지 분리 장치(7)는 청소기 본체(2)에 유입되는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먼지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전동 송풍기(8)에 보낸다.
또한, 먼지 분리 장치(7)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형상의 외관을 갖고 있다. 먼지 분리 장치(7)는, 청소기 본체(2)에 대해서 저부를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하고, 꼭대기부를 후방측으로 치우치도록 하여, 약간 후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청소기 본체(2)에 기대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먼지 분리 장치(7)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8)는 먼지 분리 장치(7)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즉, 흡입 음압)을 발생시킨다.
본체 제어부(9)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장치에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가 기억되어 있다.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는 관부(3)에서 접수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고 있다. 각각의 운전 모드에는 서로 상이한 입력값(전동 송풍기(8)의 입력값)이 설정되어 있다. 본체 제어부(9)는 관부(3)에서 접수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 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운전 모드에 따라서 전동 송풍기(8)의 운전을 제어한다.
전원 코드(11)는 배선용 삽입 접속기(도시 생략, 소위 콘센트)로부터 청소기 본체(2)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코드(11)의 자유단부에는 삽입 플러그(14)가 설치되어 있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로부터 작용하는 음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 함유 공기를 흡입하고 청소기 본체(2)로 안내한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조인트로서의 접속관(19)과, 접속관(19)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집진 호스(21)와, 집진 호스(21)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손잡이 조작관(22)과,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부(23)와, 파지부(23)에 설치된 조작부(24)와, 손잡이 조작관(22)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연장관(25)과, 연장관(25)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흡입구체(26)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관(19)은 본체 접속구(1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조인트이고, 본체 접속구(12)를 통해 먼지 분리 장치(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진 호스(21)는 길고 가요성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1)의 한쪽의 단부(즉, 여기서는, 후방 단부)는 접속관(19)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진 호스(21)는 접속관(19)을 통해 먼지 분리 장치(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와 연장관(25)을 중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관(22)의 한쪽 단부(즉, 여기서는 후방 단부)는 집진 호스(21)의 다른쪽 단부(즉, 여기서는 전방 단부)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순차적으로 통하여 먼지 분리 장치(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파지부(23)는 전기 청소기(1)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으로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조작부(24)는 각각의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4)는 전동 송풍기(8)의 운전 정지 조작을 접수하는 정지 스위치(24a)와, 전동 송풍기(8)의 운전 개시 조작을 접수하는 기동 스위치(24b)를 구비하고 있다. 정지 스위치(24a) 및 기동 스위치(24b)는 본체 제어부(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8)의 운전 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동 스위치(24b)는 전동 송풍기(8)의 운전 중에 운전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9)는 기동 스위치(24b)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모드를 강->중->약->강->...의 순서로 전환한다. 또한, 조작부(24)는 기동 스위치(24b)를 대신하여, 약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강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을 개별적으로 구비해도 좋다.
복수의 통 형상체가 중첩되어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의 연장관(25)은 신축 자유로운 세장형의 대략 원통형의 관이다. 연장관(25)의 한쪽 단부(여기서는, 후방 단부)에는 손잡이 조작관(22)의 다른쪽 단부(여기서는, 전방 단부)에 착탈 자유로운 조인트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연장관(25)은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해 먼지 분리 장치(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체(26)는 나무 바닥이나 카페트 등의 피청소면을 주행 가능 또는 활주 가능하고, 주행 상태 또는 활주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저면에 흡입구(28)를 갖고 있다. 또한, 흡입구체(26)는 흡입구(28)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 자유로운 회전 청소체(29)와, 회전 청소체(29)를 구동시키는 전동기(31)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26)의 한쪽 단부(여기서는, 후방 단부)에는 연장관(25)의 다른쪽 단부(여기에서는 전방의 단부)에 착탈 자유로운 조인트 구조(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 분리 장치(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흡입구체(26),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접속관(19) 및 집진 분리 장치(7)는 전동 송풍기(8)로부터 흡입구(28)로 통하는 흡입풍로이다.
전기 청소기(1)는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를 시동시킨다.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1)는 전동 송풍기(8)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우선 전동 송풍기(8)를 강 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다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를 중 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세 번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8)를 약 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기동 스위치(246)가 조작될 때마다 이하 동일하게 반복한다. 강 운전 모드, 중 운전 모드 및 약 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이며, 강 운전 모드, 중 운전 모드, 약 운전 모드의 순서로 전동 송풍기(8)에 대한 입력값이 작다. 운전 중의 전동 송풍기(8)는 먼지 분리 장치(7)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여 그 내부를 음압(즉, 흡입 음압)으로 한다.
먼지 분리 장치(7)의 음압은 본체 접속구(12), 접속관(19), 집진 호스(21), 손잡이 조작관(22), 연장관(25), 및 흡입구체(26)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흡입구(28)에 작용한다. 전기 청소기(1)는 흡입구(28)에 작용한 음압에 의해 피청소면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먼지 분리 장치(7)는 전기 청소기(1)에 흡입된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축적하는 한편, 먼지를 분리한 후의 청정한 공기를 전동 송풍기(8)로 보낸다. 전동 송풍기(8)는 먼지 분리 장치(7)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 먼지 분리 장치(7)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먼지 분리 장치(7)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청소기 본체(2)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하,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먼지 분리 장치(7)를 직립시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제2 원심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의 먼지 분리 장치(7)는 먼지 분리 장치(7)에 안내되는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굵은 먼지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35), 제1 분리부(35)를 통과하는 미세한 먼지를 포함하는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분리부(36), 및 제2 원심분리부(36)를 착탈 자유롭게 덮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먼지 분리 장치(7)는 제2 원심분리부(36)를 통과하는 공기를 전동 송풍기(8)로 보내는 배기 풍로(38)와, 배기 풍로(38)를 덮는 꼭대기부 커버(3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분리부(35)는 먼지 분리 장치(7)의 일방측, 구체적으로는 하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원심분리부(36),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 배기 풍로(38), 및 꼭대기부 커버(39)는 먼지 분리 장치(7)의 타방측, 구체적으로는 상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분리부(35)와 제2 원심분리부(36)는 원통형상의 먼지 분리 장치(7)의 높이 방향에 인접하여 적층 배치되어 있다.
제1 분리부(35), 제2 원심분리부(36),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 및 꼭대기부 커버(39)는 협동하여 먼지 분리 장치(7)의 외관을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1 분리부(35)에서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굵은 먼지는 주로 보풀이나 솜먼지 등의 섬유상의 먼지나 모래알과 같은 질량이 큰 먼지이고, 제2 원심분리부(36)에서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미세한 먼지는 입자 또는 분말 형태의 질량이 작은 먼지이다.
제1 분리부(35)는 원심분리방식(사이클론식)으로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한다. 제1 분리부(35)는 제1 원심분리실(41)의 외각으로서 컵 형상의 집진용기(42)와, 집진용기(42) 내에 배치되는 원통형 제1 필터부(43)와, 집진용기(42) 내에 배치되고 제1 필터부(43)에 연접되는 먼지 포집 컵(4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분리부(35)는 집진용기(42)의 측벽 외면에 설치되는 제2 손잡이(46)를 구비하고 있다.
집진용기(42)는 먼지 분리 장치(7)의 하반부의 외각이며, 제1 원심분리실(41) 및 집진실(47)의 외각을 겸하고 있다. 집진용기(42)의 측벽에는 흡기구(48)가 설치되어 있다. 집진용기(42)는 개방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대직경부(51)와, 대직경부(51)에 연접되어 소직경으로 감소되는 경사부(52)와, 경사부(52)에 연접하여 대략 일정한 직경 치수로 바닥벽에 도달하는 소직경부(53)를 구비하고 있다.
대직경부(51)와 소직경부(53) 사이의 연접 부분, 즉 경사부(52)는 집진용기(42) 내측에 대직경부(51)로부터 소직경부(53)를 향해서 좁아지는 경사면(55)을 갖고 있다.
소직경부(53)는 집진용기(42)의 바닥벽에 연접되어 있다.
제1 필터부(43)는 집진용기(42) 내에 수용되어 대략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필터부(43)와 집진용기(42)를 분리하는 환형 공간은 집진용기(42)의 흡기구(48)로부터 제1 분리부(35)에 유입되는 먼지 함유 공기를 선회시켜서 굵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분리실(41)이다.
제1 필터부(43)는 제2 원심분리부(36)에 고정되어, 집진용기(42) 내부에 돌출되고 집진용기(42)의 바닥벽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제1 필터부(43)는 제1 원심분리실(41)과 제2 원심분리부(36)를 유체적으로 접속하여 중계하고 있다. 제1 필터부(43)는 서로 이격되어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뼈대(56)를 구비하는 프레임(57)과, 프레임(57)의 주위를 원통 형상으로 둘러싸는 제1 메쉬 필터(58)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7)의 뼈대(56) 사이의 제1 개구(59)는 제1 원심분리실(41)로부터 제2 원심분리부(36)로 공기를 유출시킨다. 제1 필터부(43)의 측면, 상세하게는 제1 메쉬 필터(58)는 흡기구(48)를 마주하고 있다.
제1 메쉬 필터(58)는 전동송풍기(8)의 시동 직후나 정지 과도 등, 제1 원심 분리실(41) 내의 선회류가 충분히 발달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서, 또한 선회류가 발달한 후에도 당연히, 제1 분리부(35)로부터 제2 원심 분리부(36)측으로 굵은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1 필터부(43)는, 굵은 먼지가 하류측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정도에서, 반드시 제1 메쉬 필터(58)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43)의 프레임(57)이 굵은 먼지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는 정도로 눈이 미세한 격자의 형태이거나, 굵은 먼지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구멍을 갖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1 메쉬 필터(58)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먼지 포집 컵(45)은 제1 필터부(43) 중 집진용기(42)의 바닥벽에 가까운 단부, 즉 돌출 단부, 또는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이 있는 원통형 먼지 포집 컵(45)은 제1 필터부(43)에 연접되는 바닥벽과, 집진용기(42)의 바닥벽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먼지 포집 컵(45)은 집진용기(42)의 바닥벽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먼지 포집 컵(45)의 측벽은 간극을 두고 집진용기(42)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먼지 포집 컵(45)은 제1 필터부(43)보다 직경이 더 크고, 제1 필터부(43)에 연접하는 바닥벽에 제2 개구(61)를 갖고 있다.
먼지 포집 컵(45)과 집진용기(42)를 분리하는 공간은 제1 분리부(35)에서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47)이다. 집진실(47) 내의 공기는 제2 개구(61)를 통해서 제1 원심분리실(41)에 되돌아온다.
제2 개구(61)에는 제2 메쉬 필터(6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메쉬 필터(62)는 집진실(47) 내로 유입되는 굵은 먼지(보풀이나 솜먼지 등의 섬유상 먼지)가 제1 원심분리실(41)에 되돌아오지 않을 정도로 눈이 성긴 것이어도 좋다.
먼지 분리 장치(7)로부터 집진용기(42)를 분리하면, 제1 필터부(43) 및 먼지 포집 컵(45)은 제2 원심분리부(36)에 수반하여 집진용기(42)로부터 빠져 나온다.
또한, 제1 분리부(35)는, 원심분리방식(사이클론식) 이외에, 직진하는 공기와 먼지의 관성력의 차이에 의해 이들을 분리하는 직진 분리 등의 관성분리방식이나, 필터를 사용하는 여과분리방식이어도 좋다.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1 분리부(35)를 통과하는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미세한 먼지를 원심분리한다.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1 원심분리실(41)을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중계 풍로(63)와, 중계 풍로(6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미세한 먼지를 분리하는 제2 원심분리실(65)과, 미세한 먼지가 분해된 후에 제2 원심분리실(65)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전동 송풍기(8)에 안내하는 배기 풍로(38)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원심분리부(36)는 집진용기(42)에 착탈 자유롭게 연결되어 집진용기(42)의 개방단(42a)을 폐색하고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1 필터부(43) 및 먼지 포집 컵(45)을 집진용기(42)의 중심선(C)상에 지지하고 있다.
제2 원심분리부(36)의 외각에 상당하는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는 원통 형상이다.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의 내측에는, 복수의 제2 원심분리실(65)이 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환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원심분리실(65)의 내측에는, 환형의 중계 풍로(6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환형의 중계 풍로(63)의 내측이고 집진용기(42)의 중심선(C)의 연장선상, 또는 원통 형상의 제2 원심분리부(36)의 중심부에는 배기 풍로(38)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측으로부터 차례로, 환형으로 배치되는 제2 원심분리실(65), 환형의 중계 풍로(63) 및 배기 풍로(38)가 배치되는 3중 구조체이다.
중계 풍로(63)는 제1 필터부(4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먼지 함유 공기)를 집진용기(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도하고, 제2 원심분리실(65)에 안내한다.
제2 원심분리실(65)은 복수이고, 원통 형상의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의 내주를 따라, 또는 중계 풍로(63)를 둘러싸고 대략 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2 원심분리실(65)은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원통형 벽(66)과, 나선류를 발생시키는 원추대형 벽(67)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원심 분리실들(65)의 각각에 있어서, 원통형 벽(66) 및 원추대형 벽(67)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늘어서는 공통의 중심선(C2)을 갖고 있다. 이 중심선(C2), 즉 제2 원심분리실(65)의 중심선(C2)은 원통형상의 먼지 분리 장치(7)의 중심선(C)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실(65)의 중심선(C2)은, 제1 분리부(35)측에서 모이고, 제2 원심분리부(36)에서 확장되는 원추면을 그리도록, 방사상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제2 원심분리실(65) 전체에서 보면, 원통형상 벽(66) 및 원추대형 벽(67)의 중심선(C2)은 먼지 분리 장치(7)의 중심선(C)의 주위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추대형 벽(67)은 대직경의 상부 바닥과, 상부 바닥보다 직경이 더 작은 하부 바닥을 갖고 있다. 원추대형 벽(67)의 상부 바닥은 제1 분리부(35)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고, 하부 바닥은 제1 분리부(35)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원통형 벽(66)은 실질적으로 원추대형 벽(67)의 상부 바닥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있고, 원추대형 벽(67)의 상부 바닥에 연접되어 있다.
원통형 벽(66)은 원추대형 벽(67)보다 제1 분리부(35)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어 있다. 원통형상 벽(66)의 측벽에는, 먼지 함유 공기의 도입구(68)가 설치되어 있다. 도입구(68)는 원통형 벽(66)의 측면이고, 먼지 분리 장치(7)의 중심 측에 배치되고, 중계 풍로(6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벽(66)은 제1 분리부(35)로부터 가장 먼 부위에 바닥판을 갖고 있다. 원추대형 벽(67)의 바닥판에는 원통형 벽(66) 내를 중심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 형상의 내부통(69)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통(69)의 내측에는 제2 원심분리실(65)에서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분리된 청정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구(71)이다. 배기구(71)는 배기풍로(38)에 접속되어 있다. 내부통(69)의 외주면은 도입구(68)를 마주하고 있다. 내부통(69)과 원통형 벽(66)을 분리하는 환형상의 공간은 도입구(68)로부터 유입되는 먼지 함유 공기의 흐름을 선회시킨다.
또한, 원통형 벽(66)은 제1 분리부(35)에 가장 가까운 부위가 개방되어 있고, 원추대형 벽(67)의 상부 바닥의 개구에 이어져 있다.
원추대형 벽(67)은 제1 분리부(35)에 근접할수록 직경이 감소되어 있다. 원추대형 벽(67)의 상부 바닥은 원통형상 벽(66) 내에 이어지는 개구를 갖고, 원통형 벽(66)과 내부통(69) 사이에 발생한 선회류를 도입하여, 원추대형 벽(67) 내에 나선류를 발생시킨다. 원추대형 벽(67)의 하부 바닥은 집진 용기(42) 내에 연결되는 폐기구(72)를 갖고 있다.
제2 원심분리실(65)은 도입구(68)로부터 먼지 함유 공기를 도입한다. 도입구(68)로부터 제2 원심분리실(65)로 유입되는 먼지 함유 공기는 원통형 벽(66)의 내면을 따라서 선회하고, 또한 원추대형 벽(67)의 내면을 따라서 폐기구(72)로 향하는 소용돌이 나선류를 발생시켜서, 공기로부터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한다. 분리된 미세 먼지는 폐기구(72)로부터 집진용기(42)측으로 배출된다. 먼지가 분리된 청정한 공기는 제2 원심분리실(65)의 중심선(C2), 즉 원통형 벽(66) 및 원추대형 벽(67)의 중심선(C2)상을 유동하여 내부통(69) 내를 통해서 배기구(71)로부터 배기 풍로(38)로 흘러 나간다.
제2 원심분리실(65)의 폐기구(72)의 끝에는 먼지 포착 우산(75)이 설치되어 있다. 먼지 포착 우산(75)은 제1 분리부(35)와 제2 원심분리부(36)를 구획하는 격벽을 겸하여 제1 필터부(43)의 근원에 설치되어 있다. 먼지 포착 우산(75)의 외부 직경은 제2 원심분리부(36)보다 작고 제1 필터부(43)보다 크다. 먼지 포착 우산(75)은 제2 원심분리실(65)의 폐기구(72)로부터 배출되는 미세한 먼지를 집진용기(42)로 인도하는 한쪽의 면(75a)과, 집진 용기(42) 내로 향하여 확대되어 경사지는 다른쪽 면(75b)을 갖는다.
또한, 먼지 포착 우산(75)은 집진용기(42)의 경사부(52)에 접촉되어 집진용기(42)를 폐색하고 있다. 집진용기(42)의 대직경부(51), 경사부(52) 및 먼지 포착 우산(75)은 제2 원심분리실(65)로부터 배출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미세먼지 집진실(76)을 구획하고 있다. 미세먼지 집진실(76)은 대직경부(51)의 내면, 경사부(52)의 경사면, 및 먼지 포착 우산(75)의 한쪽의 면(75a)에 끼워져 제2 원심분리실(65)로부터 멀어질수록, 즉 제2 원심분리실(65)의 폐기구(72)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대략 쐐기 형상(wedge-shaped)의 단면을 갖는 환형상의 공간이다.
먼지 포착 우산(75)의 다른쪽 면(75b)은 제1 필터부(43) 및 먼지 포집 컵(45)보다 직경이 크고, 제1 필터부(43) 및 먼지 포집 컵(45)을 향해서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배기 풍로(38)는, 제2 원심분리실(65)에 덮어씌워지도록 하여 배기구(71)에 접속되는 최외주부로부터 직경이 축소되면서 제2 원심분리부(36)의 중심부측을 향하고, 집진용기(42)의 중심선(C) 상에서 중계 풍로(63)의 중심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배기 풍로(38)는 복수의 제2 원심분리실(65)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으로부터 집진용기(42)의 중심선(C)의 연장선(먼지 분리 장치(7)의 중심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2 원심분리부(36)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2 배기구(77)에 도달한다. 배기 풍로(38)는 제1 분리부(35)로부터 가장 먼 부분이고, 꼭대기부 커버(39)에 인접하는 부분에 제1 분리부(35)를 향하여 오목한 오목부(78)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풍로(38)는 제2 원심분리실(65)의 배기구(71)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를 먼지 분리 장치(7)의 중심측을 향해 집약하면서 오목부(78)에 의해 일단, 제1 분리부(35)로 지향시키고, 그 후에 대략 직각으로 흐름의 방향을 변경하여 제2 배기구(77)로 배출한다.
여기에서, 제2 원심분리부(36)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 이외에, 제2 원심분리실(65) 중 원통형 벽(66)을 포함하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 제2 원심분리실(65) 중 원추대형 벽(67)을 포함하는 제2 분리실측 벽부(82), 및 제2 분리실측 벽부(82)의 외각으로서의 제2 분리부 하부 커버(83), 및 제2 원심분리실(65)로 먼지 함유 공기를 인도하는 중계 풍로(63)와 제2 원심분리실(65)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 풍로(38)를 인접하게 구획하는 공통격벽(85)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분리실측 벽부(82)는 미세 먼지를 분리하는 제2 원심분리실(65)의 대부분을 구획하고 있다. 제2 분리실측 벽부(82)는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원추대형 벽(67)을 포함하고 있다.
제2 분리실 뚜껑부(81)는 제2 원심분리실(65)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배기구(71)를 갖고 제2 분리실측 벽부(82)를 개폐 자유롭게 닫는다. 제2 분리실 뚜껑부 (81)는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형 벽(66)을 포함하며, 제2 분리실측 벽부(82)의 원추대형 벽(67)에 원통형 벽(66)을 합치시키는 형상, 크기를 갖고 있다.
또한, 원추대형 벽(67)의 도입구(68)를 갖는 측벽 부분은 제2 분리실측 벽(82)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분리실 뚜껑부(81)는 원추대형 벽(67) 중 배기구(71)를 갖는 바닥판 부분과, 바닥판 부분에 일체의 내부통(6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원심분리실(65)을 획정하는 벽, 즉 원통형 벽(66) 및 원추대형 벽(67)), 더 나아가 제2 분리실 뚜껑부(81) 및 제2 분리실측 벽부(82)는 적어도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의 내면을 마주하는 부분,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가 투명 또는 반투명이어도 좋다.
제2 분리실 뚜껑부(81)는 힌지 기구(86)를 통해서 제2 원심분리부(36)에 설치되어 있다. 힌지 기구(86)는 분리실 뚜껑부로서의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분리실측 벽부로서의 제2 분리실측 벽부(82)에 개폐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힌지 기구(86)는 제2 분리실측 벽부(82)에 설치되는 베어링(87)과, 제2 분리실 뚜껑부(81)측에 설치되고, 제2 분리실 뚜껑부(81)가 미리 정해지는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베어링(87)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 분리실 벽부(82)측으로부터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분리하는 축부(88)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87)과 축부(88)는 각각 한쌍이고,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축부(88)의 선단에는 노치(notch))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87)은 탄성 변형되는 아암부(도시생략)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축부(88)의 노치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개방하고자 하는 힘에 의해 축부(88)가 베어링(87)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아암부가 이 추진력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베어링(87)으로부터 축부(88)가 이탈되고, 제2 분리실측 벽부(82)로부터 제2 분리실 뚜껑부(81)가 분리된다.
또한, 제2 분리실 뚜껑부(81)는 로킹 기구(91)를 통해 제2 분리실측 벽부(82)에 고정되어 있다. 로킹 기구(91)는, 힌지 기구(86) 둘레에 제2 분리실 뚜껑부(81)가 닫히면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제2 분리실측 벽부(82)에 고정한다. 로킹 기구(91)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에 설치되는 클로부(claw)(92)와, 제2 분리실측 벽부(82)에 설치되고, 힌지 기구(86) 둘레에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닫으면 클로부(92)에 걸리는 클로-수용 오목부(9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의 주위를 환형으로 둘러싸며,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의 성형품이다.
제2 분리부 하부 커버(83)는 제2 분리실측 벽부(82)의 주위를 환형으로 둘러싸고 있다. 제2 분리부 하부 커버(83)는 유색, 투명 및 반투명이어도 좋다.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 및 제2 분리부 하부 커버(83)는 제2 원심분리실(65)을 협동하여 둘러싸는 커버이고, 적어도 어느 한쪽이 투명 또는 반투명이면 제2 원심분리실(65)을 획정하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 및 제2 분리실측 벽부(82) 중 어느 것인가를 투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분리실측 벽부(82)와 제2 분리실 뚜껑부(81) 사이에는 원추대형 벽(67)과 원통형 벽(66)의 접속부분에 끼워지는 패킹(95)이 설치되어 있다. 패킹(95)은 원추대형 벽(67)과 원통형 벽(66)의 간극을 폐색함과 동시에 중계 풍로(63)의 조인트를 폐색하기도 하고 있다.
공통격벽(85)은 제2 분리실 뚜껑부(81)의 내측 에지부에 끼워지고, 중계 풍로(63)와 배기 풍로(38)를 분리하고 있다. 공통격벽(85)은 꼭대기부 커버(39)측에 고정되어 있다.
꼭대기부 커버(39)는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에 일체화되어 있다. 꼭대기부 커버(39)는 제2 원심분리부(36)의 꼭대기부를 폐색하는 천판(97)과, 천판(97)에 설치되는 요동 자유로운 손잡이(98)를 구비하고 있다.
천판(97)에는 제2 원심분리부(36)측으로 향해 오목해진 오목부(99)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99)는 배기 풍로(38)의 오목부(78)에 대응하여 오목해져 있다.
또한, 천판(97)에는 손잡이(98)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힌지 기구(10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힌지 기구(101)는 천판(97)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힌지 기구(101)는 손잡이(98)를 요동시킴으로써 손잡이(98)와 천판(97) 사이의 간극(102)의 개구 높이(h)를 확대시킨다. 즉, 제2 힌지 기구(101)는 통상시 간극(102)의 개구 높이(h)를 평균적인 손가락의 두께보다 낮게 설정해 두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제2 힌지 기구(101)는 간극(102)에 진입하는 손가락으로 손잡이(98)를 요동시켜 간극(102)의 개구 높이(h)를 확대시킨다.
손잡이(98)는 꼭대기부 커버(39)의 꼭대기부(즉, 먼지 분리 장치(7)의 꼭대기부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98)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먼지 분리 장치(7)를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손잡이(98)는 천판(97)의 오목부(99)와 협동하여 손가락을 삽입 분리 가능하게 개방하는 간극(102)을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꼭대기부 커버(39)는 먼지 분리 장치(7)와 청소기 본체(2)를 연결하는 클램프(103)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2)에는 클램프(103)와 협동하여 먼지 분리 장치(7)를 청소기 본체(2)에 고정하는 로킹 폴(locking pawl)(105)이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103)는 간극(102)의 개구 높이(h)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손잡이(98)를 추종하여 로킹 폴(105)로부터 벗어나는 한편, 먼지 분리 장치(7)를 청소기 본체(2)에 장착할 때에는 단독으로 요동하여 로킹 폴(105)에 의해 걸린다.
클램프(103)는 먼지 분리 장치(7)와 청소기 본체(2)를 연결하는 한편, 손잡이(98)가 요동하는 한 동작에 연동하여 청소기 본체(2)와 먼지 분리 장치(7)의 연결을 해제하여 청소기 본체(2)로부터 먼지 분리 장치(7)를 분리 가능하게 한다.
꼭대기부 커버(39)는, 제2 원심분리부(36)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3 로킹 기구(107)와, 꼭대기부 커버(39)의 이면에 설치되는 클로(도시생략)와, 제2 분리실 뚜껑부(81)에 설치되어 클로에 걸리는 클로-수용 오목부(도시생략)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7)는, 집진용기(42)를 분리함으로써, 제1 분리부(35) 및 제2 원심분리부(36)가 포집한 먼지를 폐기할 수 있다. 먼지 분리 장치(7)는 집진 용기(42)가 분리되면, 제1 분리부(35)가 집진실(47)에 축적한 굵은 먼지, 및 제2 원심분리부(36)가 미세먼지 집진실(76)에 축적한 미세 먼지가 집진용기(42)내에 모아져, 일괄하여 폐기할 수 있다. 집진용기(42)가 더러워진 경우에는, 집진용기(42)를 물로 세척하는 등에 의해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집진용기(42)는 제2 손잡이부(46)에 설치되는 제2 로킹 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제2 원심분리부(36)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7)는, 꼭대기부 커버(39)를 분리함으로써, 제2 원심분리실(65)을 획정하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노출시킨다. 제2 분리부 상부 커버(37)는 꼭대기부 커버(39)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꼭대기부 커버(39)가 분리되면, 제2 분리실 뚜껑부(81)가 노출된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7)는 로킹 기구(91)를 해제하여 제2 분리실 뚜껑부(81)을 요동시키면, 제2 원심분리실(65)을 개방한다.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개방함으로써, 제2 원심분리실(65) 중 원통형 벽(66)의 내측과, 원추대형 벽(67)의 내측이 노출되고, 직접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세척상태를 구석구석까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분리 장치(7)는 힌지 기구(86)를 통해서 제2 분리실 뚜껑부(81) 를 제2 분리실측 벽부(82)에 연결하고 있으므로, 양자가 해체되지 않고 일체로 취급될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 분리 장치(7)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개방하면, 힌지 기구(86)의 베어링(87)으로부터 축부(88)가 이탈되어 제2 분리실 뚜껑부(81)와 제2 분리실측 벽부(82)가 분리되어 나누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원심분리부(36)가 복수의 부위로 나누어지므로 취급의 번잡도가 증가하지만, 양쪽 부위의 세척의 용이성이 증가하고 건조시에는 양쪽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각각 개별적으로 통기시키기 쉬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먼지 분리 장치(7)는 세척 및 건조가 종료된 후에는 반대 순서로(도 8, 도 7, 도 6, 도 5의 순서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7) 및 전기 청소기(1)는 제2 원심분리실(65)을 구획하는 제2 분리실측 벽부(82)와, 제2 분리실(65)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배기구(71)를 갖고 제2 분리실측 벽부(82)를 개폐 자유롭게 닫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구비함으로써, 제2 원심분리실(65)의 내측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세척할 수 있고, 또한 세척후의 상태도 당연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7) 및 전기 청소기(1)는 힌지 기구(86)를 구비함으로써, 제2 분리실측 벽부(82)와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일체로 취급하면서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수의 부위를 따로따로 취급하는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7) 및 전기 청소기(1)는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개방하면 힌지 기구(86)로 제2 분리실측 벽부(82)와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각각의 부위를 보다 확실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7) 및 전기 청소기(1)는 로킹 기구(91)를 구비함으로써, 제2 분리실측 벽부(82)와 제2 분리실 뚜껑부(81)를 힌지 기구(86)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구성하는 한편, 양자를 확실히 고정하여 제2 원심분리실(65)에서의 공기 누출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7) 및 전기 청소기(1)에 의하면, 제2 원심분리부(36)의 세척과 그 후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1)는 캐니스터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업라이트형, 스틱형, 및 핸디형 등의 다른 유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전기 청소기 2: 청소기 본체
3: 관부 5: 본체 케이스
6: 바퀴 7: 먼지 분리 장치
8: 전동 송풍기 9: 본체 제어부
11: 전원 코드 12: 본체 접속구
14: 삽입 플러그 19: 접속관
21: 집진 호스 22: 손잡이 조작관
23: 파지부 24: 조작부
24a: 정지 스위치 24b: 기동 스위치
25: 연장관 26: 흡입구체
28: 흡입구 29: 회전 청소체
31: 전동기 35: 제1 분리부
36: 제2 원심분리부 37: 제2 분리부 상부 커버
38: 배기 풍로 39: 꼭대기부 커버
41: 제1 원심분리실 42: 집진용기
42a: 개방단 43: 제1 필터부
45: 먼지 포집 컵 46: 제2 손잡이
47: 집진실 48: 흡기구
51: 대직경부 52: 경사부
53: 소직경부 55: 경사면
56: 뼈대 57: 프레임
58: 제1 메쉬 필터 59: 제1 개구
61: 제2 개구 62: 제2 메쉬 필터
63: 중계 풍로 65: 제2 원심분리실
66: 원통형 벽 67: 원추대형 벽
68: 도입구 69: 내부통
71: 배기구 72: 폐기구
75: 먼지 포착 우산 75a: 한쪽 면
75b: 다른쪽 면 76: 미세먼지 집진실
77: 제2 배기구 78: 오목부
81: 제2 분리실 뚜껑부 82: 제2 분리실측 벽부
83: 제2 분리부 하부 커버 85: 공통격벽
86: 힌지 기구 87: 베어링
88: 축부 91: 로킹 기구
92: 클로(claw) 93: 클로-수용 오목부
95: 패킹 97: 천판
98: 손잡이 99: 오목부
101: 제2 힌지 기구 102: 간극
103: 클램프(clamp) 105: 로킹 폴(locking pawl)
107: 제3 로킹 기구

Claims (11)

  1.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로부터 굵은 먼지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
    상기 제1 분리부를 통과하는 미세한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로부터 상기 미세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 및
    상기 제2 원심 분리부를 착탈 자유롭게 덮는 제2 분리부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심 분리부는,
    상기 미세한 먼지를 분리하는 원심분리실을 구획하는 분리실측 벽부; 및
    상기 원심분리실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실측 벽부를 개폐 자유롭게 닫는 분리실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리부 상부 커버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분리실 뚜껑부가 노출되는, 먼지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 상부 커버는,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의 상기 배기구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풍로를 구획하는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먼지 분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실 뚜껑부를 개폐 자유롭게 지지하는 힌지 기구를 포함하는, 먼지 분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분리실 벽부측에 설치된 베어링; 및
    상기 분리실 뚜껑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실 뚜껑부가 미리 정해지는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분리실 벽부측으로부터 상기 분리실 뚜껑부를 분리하는 축부;를 포함하는, 먼지 분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 둘레에 상기 분리실 뚜껑부가 폐색되면, 상기 분리실 뚜껑부를 상기 분리실측 벽부에 고정하는 로킹 기구를 포함하는, 먼지 분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 둘레에 상기 분리실 뚜껑부가 폐색되면, 상기 분리실 뚜껑부를 상기 분리실측 벽부에 고정하는 로킹 기구를 포함하는, 먼지 분리 장치.
  7.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먼지 분리 장치; 및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전동 송풍기;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8.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제 3 항에 기재된 먼지 분리 장치; 및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전동 송풍기;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9.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제 4 항에 기재된 먼지 분리 장치; 및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전동 송풍기;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10.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제 5 항에 기재된 먼지 분리 장치; 및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전동 송풍기;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11.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제 6 항에 기재된 먼지 분리 장치; 및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전동 송풍기;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87004275A 2015-07-13 2016-07-11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2039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9594 2015-07-13
JP2015139594A JP6716212B2 (ja) 2015-07-13 2015-07-13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PCT/JP2016/070474 WO2017010466A1 (ja) 2015-07-13 2016-07-11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481A KR20180034481A (ko) 2018-04-04
KR102039005B1 true KR102039005B1 (ko) 2019-11-26

Family

ID=5775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275A KR102039005B1 (ko) 2015-07-13 2016-07-11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323337A4 (ko)
JP (1) JP6716212B2 (ko)
KR (1) KR102039005B1 (ko)
CN (1) CN107847096B (ko)
TW (1) TWI619466B (ko)
WO (1) WO20170104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284B1 (ko) * 2003-11-03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82Y2 (ko) * 1971-12-22 1981-03-31
KR20060026574A (ko) * 2004-09-21 2006-03-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783143B1 (ko) * 2007-02-05 2007-12-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1558980B (zh) * 2008-04-17 2012-07-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真空吸尘器的尘埃分离装置
JP5126273B2 (ja) * 2010-03-31 2013-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JP4866477B1 (ja) * 2010-09-01 2012-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202113009U (zh) * 2011-05-23 2012-01-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具有可拆式尘杯上盖的吸尘器
JP2013236671A (ja) * 2012-05-11 2013-11-28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JP5368645B1 (ja) * 2013-02-07 2013-12-18 株式会社東芝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362840B2 (ja) * 2013-09-27 2018-07-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284B1 (ko) * 2003-11-03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3337A4 (en) 2019-03-06
CN107847096A (zh) 2018-03-27
JP2017018407A (ja) 2017-01-26
JP6716212B2 (ja) 2020-07-01
EP3323337A1 (en) 2018-05-23
KR20180034481A (ko) 2018-04-04
TWI619466B (zh) 2018-04-01
WO2017010466A1 (ja) 2017-01-19
CN107847096B (zh) 2020-06-16
TW201707628A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2009B2 (ja) 塵埃分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KR101390549B1 (ko) 전기 청소기
JP2005081137A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WO2021100296A1 (ja) 電気掃除機
GB2447716A (en) Upright vacuum cleaner
KR101981446B1 (ko) 전기청소기
KR20230019904A (ko) 청소기
KR102178458B1 (ko) 진공 청소기
JP6362840B2 (ja) 電気掃除機
JP6800566B2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2039005B1 (ko) 먼지 분리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7489426B2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969898B2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033807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6182179A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2049860B1 (ko) 청소기
JP5840811B2 (ja) 電気掃除機
JP5840809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4089263A (ja) 電気掃除機
JP2014033879A (ja) 塵埃分離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847575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6100870B2 (ja) 電気掃除機
JP6063546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5840810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20220046861A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세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