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166B1 - 다기능 폴리싱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폴리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166B1
KR101435166B1 KR1020140050589A KR20140050589A KR101435166B1 KR 101435166 B1 KR101435166 B1 KR 101435166B1 KR 1020140050589 A KR1020140050589 A KR 1020140050589A KR 20140050589 A KR20140050589 A KR 20140050589A KR 101435166 B1 KR101435166 B1 KR 10143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polishing
housing
wat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민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민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민기공
Priority to KR102014005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1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폴리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다수의 연마패드가 회전됨에 따라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과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수단,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수단, 연마수단을 포집수단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연마수단을 물분사수단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마대상물을 건식 또는 습식으로 연마시킬 수 있어 작업환경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은 물론, 작업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폴리싱장치{Multi-polishing machine}
본 발명은 폴리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환경에 따라 건식이나 습식을 선택 후, 연마할 수 있게 하여 비용은 물론,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폴리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장치인 폴리싱장치는 연마대상물인 석재의 면을 연마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싱장치는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되며, 습식은 물을 뿌리며 연마를 하는 방식이고, 건식은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방식이다.
습식은 마찰열을 감소시키고, 발생되는 분진이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연마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주로 대리석 등의 표면을 연마하여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대신, 물 사용량이 많아 비용이 증가되며, 분진을 포함한 처리수의 처리비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건식은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여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습식과 다르게 물을 사용하지 않아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어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식 폴리싱장치는 종래 등록특허 제10-0406324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연마석과 연마석 주변을 감싸는 가이드, 가이드에 존재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건식 폴리싱장치는 가이드가 연마석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도, 가이드의 하단이 연마대상물의 표면과 일정 간격 이격됨에 따라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어 작업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작업장에서 공기 오염의 경우, 환기에 의해 해결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않지만, 이러한 분진이 별도의 처리과정이 없이 배출될 경우,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조건에 맞도록 건식 또는 습식으로 연마작업을 실시하여 환경문제를 방지 또는 최소화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몸체프레임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과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수단,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수단, 연마수단을 포집수단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연마수단을 물분사수단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어 연마대상물을 건식 또는 습식으로 연마시킬 수 있어 작업환경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은 물론, 작업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폴리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손잡이를 갖는 손잡이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다수의 연마패드가 회전됨에 따라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수단,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수단, 상기 연마수단을 포집수단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상기 연마수단을 물분사수단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마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 전단부에 구비되는 연마하우징, 상기 연마하우징에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다수의 연마패드를 갖는 연마헤드, 및 상기 연마헤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연마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마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내부에 포집공간부를 갖는 포집하우징, 상기 포집하우징의 포집공간부에 구비되어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한 포집필터, 상기 포집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분진이 포집되는 포집통, 상기 연마하우징에 구비되어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포집공간부를 연결하여 흡입구로 흡입된 분진을 포집공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집호스, 및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분진이 상기 흡입구와 포집호스를 통해 포집공간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포집하우징에 구비되는 포집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포집필터는, 상기 포집하우징의 포집공간부에 구비되어 분진을 1차 필터링하기 위한 제1포집필터, 및 상기 제1포집필터에 의해 1차 필터링 된 공기를 2차 필터링하는 제2포집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포집필터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분진을 1차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포집망, 및 상기 포집망의 내측에 구비되어 포집망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포집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연마하우징에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포집호스는, 각 흡입구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1포집호스, 및 일단이 상기 다수의 제1포집호스와 연통되며, 타단부는 상기 포집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포집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포집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마구동부의 전원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받고, 상기 포집펌프의 전원은 상기 연마구동부로 인가된 전원으로부터 인가받되, 상기 연마구동부와 포집펌프 사이에 변압부가 더 구비되어 연마구동부의 전원을 감압시켜 포집펌프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물분사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기 위한 물탱크, 상기 연마하우징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 상기 물탱크와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물을 이동되기 위해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물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분사호스, 및 상기 분사호스의 일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분사호스가 개방되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분사호스와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필터는 포집하우징의 포집공간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와 포집통은 포집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포집통은 포집공간부와만 연통되도록 밀폐되며, 상기 포집하우징에 개폐도어가 더 구비되어 포집통을 포집공간부에 수납 또는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 후단부에 지렛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렛대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렛대, 상기 지렛대의 하측 회전을 제한하며,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하단스토퍼, 및 상기 지렛대의 상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상단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스토퍼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지렛대를 하측으로 누르면 이동바퀴를 기준으로 몸체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마수단을 연마대산물과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내부에 포집공간부를 갖는 포집하우징, 상기 포집하우징의 포집공간부에 구비되어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한 포집필터, 상기 연마하우징에 구비되어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포집공간부를 연결하여 흡입구로 흡입된 분진을 포집공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집호스, 및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분진이 상기 흡입구와 포집호스를 통해 포집공간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포집하우징에 구비되는 포집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분사수단은, 물이 저장되되, 하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연마하우징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 상기 물탱크의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마개, 상기 마개가 분리된 배출구에 구비되는 연결밸브, 및 일단부가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탱크에 연결된 연결밸브에 연결되어 물을 이동되기 위한 분사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는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포집공간부 하측에 위치되어 필터링된 분진이 물속으로 떨어져 포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폴리싱장치에 의하면, 연마대상물을 건식 또는 습식으로 연마시킬 수 있어 작업환경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은 물론, 작업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의 포집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집수단의 흡입구와 흡입호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수단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의 물분사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에 지렛대부가 더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의 포집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집수단의 흡입구와 흡입호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수단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의 물분사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에 지렛대부가 더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폴리싱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폴리싱장치(10)는 몸체프레임(100)과 연마수단(200), 포집수단(300), 물분사수단(400), 조작부(500) 및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몸체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20)이 수평프레임(110)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손잡이(132)를 갖는 손잡이프레임(130)이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10)의 후단 하측에 이동바퀴(140)가 설치되어 몸체프레임(100)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손잡이프레임(130)은 수직프레임(120)에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키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손잡이(132)는 손잡이프레임(13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파지하고 좋은 위치로 손잡이(132)를 위치시키며,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134)가 구비됨이 당연하다.
즉, 작업자의 체형이 큰 경우 손잡이(132)를 손잡이프레임(130)에서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손잡이(132)의 위치를 손잡이프레임(130)에 고정하고, 작업자의 체형이 작은 경우 손잡이(132)를 손잡이프레임(130)에서 하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손잡이(132)의 위치를 손잡이프레임(130)에 고정하면 작업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연마수단(200)은 몸체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10)에 구비되어 다수의 연마패드(222)가 회전됨에 따라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포집수단(300)은 연마수단(200)의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구비되고, 물분사수단(400)은 연마수단(200)의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조작부(500)는 연마수단(200)을 포집수단(300)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연마수단(200)을 물분사수단(400)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부(500)는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레버와 연마수단(20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 돌발상황 발생 시, 연마수단(200)을 긴급 정지시키는 긴급정지버튼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조작부(500)의 조작에 의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기능 폴리싱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조작부(500)의 모드선택레버를 조작하여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선택한 후,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연마수단(2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한, 연마수단(200)은 연마하우징(210)과 연마헤드(220) 및 연마구동부(230)로 구성된다.
연마하우징(210)은 몸체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10) 전단부에 구비되고, 연마헤드(220)는 연마하우징(210)에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다수의 연마패드(2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마구동부(230)는 연마헤드(220)를 회전시키도록 연마하우징(2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연마헤드(220)와 다수의 연마패드(222)가 회전된다.
여기서, 연마헤드(200)와 각 연마패드(222)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은 종래 폴리싱장치와 동일함이 당연하다.
또한 포집수단(300)은 포집하우징(310)과 포집필터(320), 포집통(330), 흡입구(340), 포집호스(350) 및 포집펌프(360)로 구성된다.
포집하우징(310)은 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며, 내부에 포집공간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포집필터(320)는 포집하우징(310)의 포집공간부(312)에 구비되어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되며, 포집통(330)은 포집필터(320)에 의해 필터링된 분진이 포집된다.
흡입구(340)는 연마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구비되며, 포집호스(350)는 흡입구(340)와 포집공간부(312)를 연결하여 흡입구(340)로 흡입된 분진을 포집필터(320)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포집펌프(360)는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분진이 흡입구(340)와 포집호스(350)를 통해 포집공간부(312)로 이동되도록 포집하우징(310)에 구비된다.
여기서, 포집필터(320)는 제1포집필터(322)와 제2포집필터(324)로 구성된다.
제1포집필터(322)는 포집하우징(310)의 포집공간부(312)에 구비되어 분진을 1차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포집필터(324)는 제1포집필터(322)에 의해 1차 필터링 된 공기를 2차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1포집필터(322)는 포집망(322a)과 포집프레임(322b)으로 구성된다.
포집망(322a)은 하측으로 돌출되며, 분진을 1차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통과시키게 된다.
또한 포집프레임(322b)은 포집망(322a)의 내측에 구비되어 포집망(322a)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포집프레임(322b)은 형태를 유지하도록 수지나 금속으로 제작되며, 본 발명에서는 금속으로 제작되어 포집망(322a)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흡입구(340)는 연마하우징(210)에 다수 개 구비되고, 포집호스(350)는 제1포집호스(352)와 제2포집호스(354)로 구성된다.
제1포집호스(352)는 각 흡입구(340)에 연결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고, 제2포집호스(354)는 일단이 다수의 제1포집호스(352)와 연통되며, 타단부는 포집공간부(312)와 연통되도록 포집하우징(310)에 구비되어 각 흡입구(340)를 통해 흡입되는 분진을 포집통(330)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마구동부(230)의 전원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받고, 포집펌프(360)의 전원은 연마구동부(230)로 인가된 전원으로부터 인가받되, 연마구동부(230)와 포집펌프(360) 사이에 변압부(240)가 더 구비되어 연마구동부(230)의 전원을 감압시켜 포집펌프(360)로 공급된다.
이러한 연마구동부(2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은 380V이며, 변압부(240)는 이 전압을 220V로 감압하여 포집펌프(360)를 공급함에 따라 낮은 전압으로 포집펌프(360)를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 변압부(240)는 포집수단(300)의 하측인 수평프레임(1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어부(600)의 하측인 수직프레임(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변압부(240)는 포집수단(300)의 크기 및 용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분사수단(400)은 물탱크(410)와 분사노즐(420), 분사호스(430) 및 개폐밸브(440)로 구성된다.
물탱크(410)는 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기 위해 구비되고, 분사노즐(420)은 연마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분사호스(430)는 물탱크(410)와 분사노즐(420)을 연결하여 물을 이동되기 위해 구비되되, 일단부가 물탱크(41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개폐밸브(440)는 분사호스(430)의 일단부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어 물탱크(410)의 물이 연마대상물로 분사된다.
다시 말해, 개폐밸브(440)에 의해 분사호스(430)가 개방되면 물탱크(410)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분사호스(430)와 분사노즐(420)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물탱크(410)에는 수위센서가 더 구비되어 저장된 물의 량을 측정하며, 측정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물 보충에 대한 경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포집필터(320)는 포집하우징(310)의 포집공간부(312) 상단부에 구비되고, 물탱크(410)와 포집통(330)은 포집공간부(312)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포집통(330)은 포집공간부(312)와만 연통되도록 밀폐되며, 포집하우징(310)에 개폐도어(314)가 더 구비되어 포집통(330)을 포집공간부(312)에 수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개폐도어(314)는 포집하우징(310)의 측면이나 후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포집통(330)을 포집하우징(310)에서 용이하게 수납 또는 분리하도록 가이드부(37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가이드부(370)는 가이드레일(372)과 이동프레임(374) 및 이동롤러(376)로 구성된다.
가이드레일(372)은 한 쌍으로, 포집하우징(310)에 구비되고, 이동프레임(374)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372)에 대응되도록 포집통(330)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롤러(376)는 가이드레일(372)과 이동프레임(374)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프레임(374)이 가이드레일(372)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포집통(33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70)의 일 실시 예로, 가이드레일(372)은 포집하우징(310)의 포집공간부(312) 저면에 구비되고, 이동프레임(374)은 포집통(330)의 하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10) 후단부에 지렛대부(150)가 더 구비된다.
이 지렛대부(150)는 지렛대(152)와 하단스토퍼(154) 및 상단스토퍼(156)로 구성된다.
지렛대(152)는 수평프레임(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단스토퍼(154)는 지렛대(152)의 하측 회전을 제한하며,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수평프레임(1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단스토퍼(156)는 지렛대(152)의 상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수직프레임(120)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렛대부(15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하단스토퍼(154)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지렛대(152)를 하측으로 누르면 이동바퀴(140)를 기준으로 몸체프레임(100)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연마수단(200)을 연마대상물과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다기능 폴리싱장치(10)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으며, 연마하고자 하는 위치로 방향 전환 후, 지렛대(152)를 상단스토퍼(156)에 접촉하도록 상측으로 회전시켜 연마를 시작하게 된다.
물론, 상측으로 회전된 지렛대(152)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158)가 더 구비되며, 이 고정부(158)는 고리와 걸쇠 또는 금속과 자석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지렛대(152)는 수평프레임(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물탱크(410)와 포집통(330)은 포집공간부(312)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포집통(330)은 포집공간부(312)와만 연통하여 밀폐되도록 설명하였지만, 물탱크(410)와 포집통(330)을 연통하여 밀폐되도록 구성한 후 포집펌프(360)와 포집필터(320)를 포집하우징(310)에서 이탈시켜 물을 포집하우징(310)에 저장할 경우 많은 량의 물을 저장하여 습식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 포집수단(300')은 포집하우징(310')과 포집필터(320'), 흡입구(340'), 포집호스(350') 및 포집펌프(360')로 구성된다.
포집하우징(310')은 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며, 내부에 포집공간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포집필터(320')는 포집하우징(310')의 포집공간부(312')에 구비되어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해 구비된다.
흡입구(340')는 연마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구비되며, 포집호스(350')는 흡입구(340')와 포집공간부(312')를 연결하여 흡입구(340')로 흡입된 분진을 포집필터(320')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포집펌프(360')는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분진이 흡입구(340')와 포집호스(350')를 통해 포집공간부(312')로 이동되도록 포집하우징(310')에 구비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의, 물분사수단(400')은 물탱크(410')와 분사노즐(420'), 마개(430'), 연결밸브(440') 및 분사호스(450')로 구성된다.
물탱크(410')는 물이 저장되되, 하단부에 배출구(414')가 형성되고, 분사노즐(420')은 연마하우징(210)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마개(430')는 물탱크(410')의 배출구(414')를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연결밸브(440')는 마개(430')가 분리된 배출구(414')에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분사호스(450')는 일단부가 분사노즐(4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탱크(410')에 연결된 연결밸브(440')에 연결되어 물을 이동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물분사수단(4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물이 저장된 물탱크(410')에서 마개(430')를 분리하여 배출구(414')를 개방시킨 후, 연결밸브(440')를 설치하고, 일단부가 분사노즐(420')에 연결된 분사호스(450')의 타단부를 연결밸브(440')에 연결시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물탱크(410')는 상단부가 포집공간부(312')와 연통되도록 포집공간부(312')의 하측에 위치되어 필터링된 분진이 물속으로 떨어져 포집된다.
다시 말해, 물탱크(410')는 포집수단(300')의 포집통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기능 폴리싱장치(10)는 건식과 습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물분사수단(400)에 의해 물을 분사하여 마찰열과 분진을 최소화시키고, 포집수단(300)에 의해 발생된 분진을 포집할 수 있어 건식의 장점과 습식의 장점을 모두 가지게 된다.
10 : 폴리싱장치 100 : 몸체프레임
110 : 수평프레임 120 : 수직프레임
130 : 손잡이프레임 140 : 이동바퀴
150 : 지렛대부 200 : 연마수단
210 : 연마하우징 220 : 연마헤드
230 : 연마구동부 240 : 변압부
300 : 포집수단 310 : 포집하우징
320 : 포집필터 330 : 포집통
340 : 흡입구 350 : 포집호스
360 : 포집펌프 370 : 가이드부
400 : 물분사수단 410 : 물탱크
420 : 분사노즐 430 : 분사호스
440 : 개폐밸브 500 : 조작부
600 : 제어부

Claims (11)

  1.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손잡이를 갖는 손잡이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다수의 연마패드가 회전됨에 따라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수단;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수단;
    상기 연마수단을 포집수단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상기 연마수단을 물분사수단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마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 전단부에 구비되는 연마하우징;
    상기 연마하우징에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다수의 연마패드를 갖는 연마헤드; 및
    상기 연마헤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연마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마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내부에 포집공간부를 갖는 포집하우징;
    상기 포집하우징의 포집공간부에 구비되어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한 포집필터;
    상기 연마하우징에 구비되어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포집공간부를 연결하여 흡입구로 흡입된 분진을 포집공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집호스; 및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분진이 상기 흡입구와 포집호스를 통해 포집공간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포집하우징에 구비되는 포집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분사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기 위한 물탱크;
    상기 연마하우징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
    상기 물탱크와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물을 이동되기 위해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물탱크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분사호스; 및
    상기 분사호스의 일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분사호스가 개방되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분사호스와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폴리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필터는,
    상기 포집하우징의 포집공간부에 구비되어 분진을 1차 필터링하기 위한 제1포집필터; 및
    상기 제1포집필터에 의해 1차 필터링 된 공기를 2차 필터링하는 제2포집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폴리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집필터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분진을 1차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포집망; 및
    상기 포집망의 내측에 구비되어 포집망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포집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폴리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연마하우징에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포집호스는,
    각 흡입구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1포집호스; 및
    일단이 상기 다수의 제1포집호스와 연통되며, 타단부는 상기 포집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포집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포집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폴리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구동부의 전원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받고,
    상기 포집펌프의 전원은 상기 연마구동부로 인가된 전원으로부터 인가받되, 상기 연마구동부와 포집펌프 사이에 변압부가 더 구비되어 연마구동부의 전원을 감압시켜 포집펌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폴리싱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필터는 포집하우징의 포집공간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와 포집통은 포집공간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포집통은 포집공간부와만 연통되도록 밀폐되며, 상기 포집하우징에 개폐도어가 더 구비되어 포집통을 포집공간부에 수납 또는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폴리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 후단부에 지렛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렛대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렛대;
    상기 지렛대의 하측 회전을 제한하며,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하단스토퍼; 및
    상기 지렛대의 상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상단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스토퍼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지렛대를 하측으로 누르면 이동바퀴를 기준으로 몸체프레임의 전단부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마수단을 연마대산물과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폴리싱장치.
  11.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손잡이를 갖는 손잡이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다수의 연마패드가 회전됨에 따라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수단;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수단;
    상기 연마수단을 포집수단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상기 연마수단을 물분사수단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마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 전단부에 구비되는 연마하우징;
    상기 연마하우징에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다수의 연마패드를 갖는 연마헤드; 및
    상기 연마헤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연마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마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내부에 포집공간부를 갖는 포집하우징;
    상기 포집하우징의 포집공간부에 구비되어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한 포집필터;
    상기 연마하우징에 구비되어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포집공간부를 연결하여 흡입구로 흡입된 분진을 포집공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집호스; 및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분진이 상기 흡입구와 포집호스를 통해 포집공간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포집하우징에 구비되는 포집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분사수단은,
    물이 저장되되, 하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연마하우징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
    상기 물탱크의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마개;
    상기 마개가 분리된 배출구에 구비되는 연결밸브; 및
    일단부가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탱크에 연결된 연결밸브에 연결되어 물을 이동되기 위한 분사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는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포집공간부 하측에 위치되어 필터링된 분진이 물속으로 떨어져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폴리싱장치.
KR1020140050589A 2014-04-28 2014-04-28 다기능 폴리싱장치 Active KR101435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589A KR101435166B1 (ko) 2014-04-28 2014-04-28 다기능 폴리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589A KR101435166B1 (ko) 2014-04-28 2014-04-28 다기능 폴리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166B1 true KR101435166B1 (ko) 2014-08-29

Family

ID=5175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589A Active KR101435166B1 (ko) 2014-04-28 2014-04-28 다기능 폴리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1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982B1 (ko) * 2015-08-17 2015-10-20 주식회사 세민기공 멀티폴리싱장치
CN108838807A (zh) * 2018-05-02 2018-11-20 芜湖杰诺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磨削屑的阀体打磨机
KR102034997B1 (ko) 2019-07-08 2019-10-21 박서연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CN111604743A (zh) * 2020-05-26 2020-09-01 福建兴翼机械有限公司 一种三头丙烷研磨机
KR20210006096A (ko) 2019-07-08 2021-01-18 박서연 안전기능이 추가된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CN116061062A (zh) * 2023-02-21 2023-05-05 永康市锦龙工具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电动抛光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322A (ko) * 2006-03-02 2007-09-06 김춘동 연마장치
KR100771667B1 (ko) 2006-05-10 2007-11-01 김일동 이동식 포집기
KR101057978B1 (ko) 2011-06-03 2011-08-19 한빛테크원 (주) 습건식 전환형 도로 분진 흡입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322A (ko) * 2006-03-02 2007-09-06 김춘동 연마장치
KR100771667B1 (ko) 2006-05-10 2007-11-01 김일동 이동식 포집기
KR101057978B1 (ko) 2011-06-03 2011-08-19 한빛테크원 (주) 습건식 전환형 도로 분진 흡입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982B1 (ko) * 2015-08-17 2015-10-20 주식회사 세민기공 멀티폴리싱장치
WO2017030298A1 (ko) * 2015-08-17 2017-02-23 주식회사 세민기공 멀티폴리싱장치
CN108838807A (zh) * 2018-05-02 2018-11-20 芜湖杰诺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磨削屑的阀体打磨机
CN108838807B (zh) * 2018-05-02 2020-09-15 芜湖杰诺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磨削屑的阀体打磨机
KR102034997B1 (ko) 2019-07-08 2019-10-21 박서연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KR20210006096A (ko) 2019-07-08 2021-01-18 박서연 안전기능이 추가된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CN111604743A (zh) * 2020-05-26 2020-09-01 福建兴翼机械有限公司 一种三头丙烷研磨机
CN116061062A (zh) * 2023-02-21 2023-05-05 永康市锦龙工具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电动抛光机
CN116061062B (zh) * 2023-02-21 2023-08-11 永康市锦龙工具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电动抛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166B1 (ko) 다기능 폴리싱장치
KR101231932B1 (ko) 로봇 청소기
KR101581871B1 (ko) 휴대형 사이클론 집진 연마장치
CA2464222A1 (en) A portable cleaning machine
US11291343B2 (en)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EP1506840B1 (en) Power tool and debris extraction system therefor
KR101102060B1 (ko) 샌드 블라스터 시스템
CN113243846A (zh) 表面清洁设备及其控制方法
CN101340840A (zh) 地面清洁设备
KR20150125223A (ko) 청소기
KR20200024552A (ko) 청소차필터 자동세척 분진포집장치
KR101584486B1 (ko) 강재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방법
JPH0731569A (ja) 床面清掃機
US20160120385A1 (en) Surface maintenance vehicle with an integrated water trap for trapping residual waste
KR101253385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009156B1 (ko) 워터 젯을 이용한 차선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GB2286665A (en) Dust extraction arrangement
CN212757793U (zh) 一种无尘生产线铁磁粉末清除装置
KR20180025794A (ko) 진공청소부 분리형 복합 청소기
KR101129373B1 (ko) 비산먼지가 없는 철판 및 콘크리트의 친환경적인 표면 처리장치 및 표면 처리공법
CN210099699U (zh) 一种可吸尘抛光机
CN104723221A (zh) 一种带有吸尘器的切割机
KR102709217B1 (ko) 카페트 세탁 장치
KR100718814B1 (ko) 집진기능을 갖는 수동식 샌딩기
CN111236130A (zh) 一种小型残雪清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