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822B1 - 천장패널 철거장치 - Google Patents

천장패널 철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822B1
KR101662822B1 KR1020150170714A KR20150170714A KR101662822B1 KR 101662822 B1 KR101662822 B1 KR 101662822B1 KR 1020150170714 A KR1020150170714 A KR 1020150170714A KR 20150170714 A KR20150170714 A KR 20150170714A KR 101662822 B1 KR101662822 B1 KR 101662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rushing
ceiling
pi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훈
정구인
Original Assignee
(주)가디언
남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디언, 남동훈 filed Critical (주)가디언
Priority to KR102015017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천장 패널을 천장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파쇄하여 폐기시킬 수 있으며, 철거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천장패널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장 프레임에 고정된 천장 패널을 철거하는 장치로,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승강 왕복 운동하여 패널을 깨뜨리는 패널파쇄수단과, 상기 패널파쇄수단을 감싸도록 설치된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패널분리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패널 철거장치{removing equipment for ceiling panels}
본 발명은 천장패널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천장 패널을 천장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및 파쇄하여 폐기시킬 수 있으며, 철거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천장패널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내/외장재가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내/외장재 중에는 천장에 시공되는 천장 패널이 있다.
통상적으로 천장 패널은 석면을 주재로 한 것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석면의 위험성이 알려지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즉, 석면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건축용 자재인, 밀보드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 내화재, 보온재, 단열재, 전기절연재, 전해막용재,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대단히 넓고 광범위하다.
그러나 석면 분진을 장기간 호흡기를 통해 흡수하게 되면 석면폐(폐선유증), 폐암악성중피종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석면은 대단히 미세한 섬유로 단섬유의 굵기가 10만분의 3미리로 머리털의 5000분의 1에 지나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단섬유 몇 개가 모여야만 겨우 현미경에 보일정도이며 이것이 호흡과정에서 흡입되고, 흡입된 석면은 석면폐를 유발하거나, 폐암, 악성중피종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천장용 미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석면 패널을 수거하고 있으며, 이러한 석면 패널을 비롯한 다양한 천장 패널을 철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천장 패널 철거 장치의 예로는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가 끼워지는 포크 삽입부를 갖는 바닥판; 바닥판 상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포장백 거치틀로 이루어져 지게차에 의해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판의 둘레부에 연장 형성되는 발판; 발판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난간; 베이스 프레임의 보강바에 연결바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천장에서 철거된 판상의 석면 마감재를 받치는 받침판; 상단 입구측이 개방된 형태이며 베이스 프레임의 포장백 거치틀의 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받침판에 낙하되는 석면 마감재가 담기는 석면 마감판 포장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건물의 실내 천장에 시공된 석면 마감재를 철거할 때 석면 분진이 비산되지 않게 밀폐하고 작업자를 석면 분진으로부터 보호하며 습식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석면 마감재 철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측 테두리는 실내 천장에 밀착되는 작업 공간부 건물의 실내 바닥으로부터 작업 공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작업 공간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작업 공간부 내부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외부의 작업자가 손을 끼워 작업 공간부 내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장갑 작업 공간부 내측에 설치되어 작업 공간부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및 작업 공간부의 다른 측면에 설치되고, 석면 마감재를 작업 공간부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크기로 개방된 마감재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이며,
특허문헌 3은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의 기둥과, 다수의 기둥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보를 구비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양측에 결합하며 보에 걸치는 작업판과, 지지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기둥 사이에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가새와, 지지대와 가새의 외부에 설치되며 비산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막을 구비하는 석면 비산 방지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천장 패널 철거 장치들 중 특허문헌 1은 천장패널을 천장으로부터 분리할 수는 있으나, 이를 다시 파쇄하여 폐기 처리하여야 하므로 천장 패널의 철거에 많은 절차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특허문헌 2는 작업자가 일일이 철거되는 천장 패널을 수작업으로 파쇄하여 분리해야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특허문헌 3은 작업자가 직접 비산방지막의 내부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석면이나, 분진에 노출되는 위험성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6397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3199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631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자동으로 천장 패널을 천장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파쇄하여 폐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거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천장패널 철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는 천장 프레임에 고정된 천장 패널을 철거하는 장치로,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승강 왕복 운동하여 패널을 깨뜨리는 패널파쇄수단과, 상기 패널파쇄수단을 감싸도록 설치된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패널분리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분리기의 하부에는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패널 조각을 분쇄하는 패널분쇄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널파쇄수단은,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바; 상기 승강바에 설치되어 승강바의 승강에 의해 패널을 가격하여 패널을 깨뜨리는 파쇄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분쇄기는 상기 패널분리기의 하부에 설치된 분쇄덕트; 상기 분쇄덕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쇄날; 및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분리기의 상부에는 천장에 밀착되어 패널을 분리할 때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링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승강프레임하부의 일측에 스크류너트가 고정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스크류너트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회전함에 의해 이동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의 일측에는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분진배출수단과, 파쇄되는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가라앉히는 분수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바의 파쇄핀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핀고정홀이 형성되고, 각 핀삽입홀에는 파쇄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는 패널분리기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패널분리기가 천장에 밀착된 상태에서 패널파쇄수단이 작동함에 의해 천장패널이 부서져 배출덕트를 통해 자동으로 배출됨에 의해 천장패널을 철거할 때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가지 않아도 됨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천장패널을 패널분쇄기로 다시 분쇄하여 포장이 용이하게 함에 따라 분리된 천장패널을 폐기 처리하는 과정을 단순화시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분진배출호스 및 분수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분진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에서 패널분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에서 패널파쇄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가 사용 상태로 신장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패널분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이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천장 패널을 천장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파쇄하여 폐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거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는 천장 프레임에 고정된 천장 패널을 철거하는 장치로, 승강수단(30)에 의해 지지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프레임(11)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승강 왕복 운동하여 패널을 깨뜨리는 패널파쇄수단(12)과, 상기 패널파쇄수단을 감싸도록 설치된 배출덕트(13)를 포함하는 패널분리기(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패널분리기(10)는 천장프레임에 고정된 천장패널을 깨뜨려 천장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수단으로,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1)의 상단에 패널파쇄수단(12)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11)은 승강수단(3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1)은 지지프레임(10f)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게 지지되고, 지지프레임(10f)의 하부에는 승강수단과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바퀴(10w)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바퀴(10w)는 고하중의 장치에 설치되어 장치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될 수 있고, 제동수단을 구비하여, 천장패널 철거장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이동바퀴가 구르지 않게 한 상태에서 천장패널 철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바퀴(10w)는 전동바퀴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일정 속도로 구동시켜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철거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패널파쇄수단(12)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캠(12c)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m);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바(12e); 상기 승강바에 설치되어 승강바의 승강에 의해 패널을 가격하여 패널을 깨뜨리는 파쇄핀(12p)을 포함한다.
상기 편심캠(12c)은 구동수단(12m)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편심된 부분이 승강바(12e)와 만남에 의해 승강바가 상하 운동을 반복하게 한다.
상기 승강바(12e)는 긴 막대 형상을 이루고, 상부에 다수의 파쇄핀(12p)이 설치되어 있어, 승강하면 파쇄핀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여 천장패널을 가격하여 천장패널을 깨뜨려 천장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파쇄핀(12p)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승강바(12e)의 상부에는 가이드바(12g)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바(12g)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파쇄핀(12p)과 대응되도록 핀가이드홀(12t)이 형성되고, 양단은 승강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바(12e)의 각 파쇄핀(12p)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핀고정홀(12h)이 형성되고, 각 핀삽입홀에는 파쇄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2s)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스프링(12s)을 설치하여 파쇄핀(12p)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파쇄핀(12p)이 천장프레임에 접촉되었을 때 스프링이 수축되어 파쇄핀이 핀고정홀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천장프레임 또는 파쇄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30)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f)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하로 관통하여 스크류너트(31h)가 고정된 이동판(31);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스크류너트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회전함에 의해 이동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류축(32);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3)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승강수단(30)은 상기 구동수단(33)이 구동되면 스크류축(32)이 회전하고, 스크류축에 끼워진 이동판이 스크류축에 형성된 나선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고, 이에 따라 승강프레임(11)이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패널분리기(10)가 승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천장패널 철거장치에 의해 천장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천장패널은 넓은 조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폐기 처리하기 위해 포장할 때, 포대에 넣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패널분리기(10)에 의해 분리된 천장패널을 작은 조각으로 깨뜨려야 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패널분리기(10)에 의해 분리된 천장패널을 보다 작게 부수기 위한 패널분쇄기(2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분쇄기(20)는 상기 패널분리기의 하부에 설치된 분쇄덕트(21); 상기 분쇄덕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쇄날(22);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3)을 포함한다.
상기 분쇄덕트(21)는 배출덕트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분쇄날(22)에 의해 작은 조각으로 깨뜨려진 천장패널 조각을 저장 및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저면에는 배출구가 설치되고, 배출구에 포장용 포대 등을 설치하여 분쇄된 천장패널 조각을 포대로 직접 배출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분쇄날(2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의 가장자리에 절단날을 형성한 것으로, 하나의 회전축에 두 개 이상을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분쇄날이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을 서로 인접 배치하여 분쇄날들 사이에 천장패널이 투입되면 분쇄날에 의해 분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분쇄기(20)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11)의 하단에 설치되어 승강프레임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어 패널분리기와의 간격이 유지되고, 분쇄덕트의 높이가 조절되어 분쇄덕트에 저장된 분쇄된 천장패널을 폐기용 포대에 저장할 때 분쇄덕트 하부에 설치된 배출구에 포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는 상기 패널분리기(10)의 상부에 비산방지링(40)을 더 설치하였다.
상기 비산방지링(40)은 천장에 밀착되어 패널을 분리할 때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분리기(10)를 구성하는 배출덕트(13)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천장에 밀착되었을 때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탄성이 우수한 고무나 합성수지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철거장치는 천장패널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되고, 이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비산방지링(40)을 구비하고 있으나,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비산방지링을 천장패널로부터 분리하거나, 천장패널이 천장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덕트(13)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는 배출덕트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가 됨에 따라 분진이 비산된다.
이에 따라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덕트(13)의 측벽에는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분진배출수단(5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진배출수단(50)은 먼지가 많은 공간에 설치되어 먼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양한 장치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진배출호스를 배출덕트의 일측에 설치하고, 분진배출호스의 하단에 집진설비 등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13)의 일측에는 파쇄되는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가라앉히는 분수수단(60)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분수수단(60)은 배출덕트(13)의 내부에 미세한 입자상의 물을 분사하여 날리는 분진을 가라앉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수수단의 바람직한 예는, 펌프에 의해 급수호스로 공급되는 물을 분사노즐을 통과시켜 미세한 물 입자를 덕트 내에 공급하는 것이다.
10: 패널분리기 10f: 지지프레임 10w: 이동바퀴
11: 승강프레임 12: 패널파쇄수단
12m : 구동수단 12e: 승강바 12p: 파쇄핀
12c: 편심캠 12g: 가이드바 12h: 핀고정홀
12s: 스프링 12t: 핀가이드홀
13: 배출덕트
20: 패널분쇄기 21: 분쇄덕트 22: 분쇄날
23: 구동수단
30: 승강수단 31: 이동판 32: 스크류축
33: 구동수단
40: 비산방지링 50: 분진배출수단 60: 분수수단

Claims (9)

  1. 천장 프레임에 고정된 천장 패널을 철거하는 장치로,
    승강수단(30)에 의해 지지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프레임(11)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승강 왕복 운동하여 패널을 깨뜨리는 패널파쇄수단(12)과, 상기 패널파쇄수단을 감싸도록 설치된 배출덕트(13)를 포함하는 패널분리기(10); 상기 패널분리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패널 조각을 분쇄하는 패널분쇄기(20); 상기 패널분리기(10)의 상부에는 천장에 밀착되어 패널을 분리할 때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링(40); 상기 배출덕트(13)의 일측에는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분진배출수단(50); 및 상기 배출덕트(13)의 일측에는 파쇄되는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가라앉히는 분수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파쇄수단(12)은,
    편심캠(12c)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m);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바(12e);
    상기 승강바에 설치되어 승강바의 승강에 의해 패널을 가격하여 패널을 깨뜨리는 다수의 파쇄핀(12p);
    상기 승강바(12e)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파쇄핀(12p)이 관통하는 핀가이드홀(12t)이 형성되어 상기 파쇄핀(12p)을 상하 방향으로 일정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바(12g); 및
    상기 승강바(12e)의 각 파쇄핀(12p)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핀고정홀(12h)이 형성되고, 각 핀삽입홀에는 파쇄핀을 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파쇄핀(12p)이 천장프레임에 접촉되었을 때 수축되어 파쇄핀이 핀고정홀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게함 따라 천장프레임 또는 파쇄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12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철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쇄기(20)는
    상기 패널분리기의 하부에 설치된 분쇄덕트(21);
    상기 분쇄덕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쇄날(22);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철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지지프레임(10f)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하로 관통하여 스크류너트(31h)가 고정된 이동판(31);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스크류너트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회전함에 의해 이동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류축(32);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철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70714A 2015-12-02 2015-12-02 천장패널 철거장치 KR101662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714A KR101662822B1 (ko) 2015-12-02 2015-12-02 천장패널 철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714A KR101662822B1 (ko) 2015-12-02 2015-12-02 천장패널 철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822B1 true KR101662822B1 (ko) 2016-10-10

Family

ID=5714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714A KR101662822B1 (ko) 2015-12-02 2015-12-02 천장패널 철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8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2103A (en) * 1987-05-05 1988-06-21 American Industrial Contracting, Inc. Device for removing asbestos and the like
JPH0620502B2 (ja) * 1989-09-11 1994-03-23 株式会社ワコーフイット アスベスト処理装置
KR100776397B1 (ko) 2007-06-28 2007-11-16 (주)아이엠건설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KR20090033199A (ko) 2009-02-25 2009-04-01 탁성호 석면 마감재 철거 장치
KR20100072948A (ko) * 2008-12-22 2010-07-01 김성주 석면이 함유된 천정 마감재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263142B1 (ko) 2012-10-09 2013-05-15 구형건설(주)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383136B1 (ko) * 2012-12-10 2014-04-09 (주)신우유비코스 바닥 타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2103A (en) * 1987-05-05 1988-06-21 American Industrial Contracting, Inc. Device for removing asbestos and the like
JPH0620502B2 (ja) * 1989-09-11 1994-03-23 株式会社ワコーフイット アスベスト処理装置
KR100776397B1 (ko) 2007-06-28 2007-11-16 (주)아이엠건설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KR20100072948A (ko) * 2008-12-22 2010-07-01 김성주 석면이 함유된 천정 마감재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090033199A (ko) 2009-02-25 2009-04-01 탁성호 석면 마감재 철거 장치
KR101263142B1 (ko) 2012-10-09 2013-05-15 구형건설(주) 석면 텍스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383136B1 (ko) * 2012-12-10 2014-04-09 (주)신우유비코스 바닥 타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26708A (zh) 一种带有粉尘吸收装置的粉碎机
KR101662822B1 (ko) 천장패널 철거장치
EP2352593A2 (en) Machine for crushing and recovering waste materials from demolition of buildings
CN114130647A (zh) 一种矿区稀土开采后初步选矿设备
KR102083659B1 (ko) 분류골재이동장치
CN211755867U (zh) 一种强度高质量轻建筑材料原材料的粉碎装置
CN112718162A (zh) 一种具有高效除尘功能的建筑垃圾破碎装置
CN210496755U (zh) 一种混凝土石粉破碎系统
CN109126994B (zh) 一种复合式砂石破碎及除尘一体装置
KR101807599B1 (ko) 집진 장치
CN207856985U (zh) 一种建筑垃圾处理设备
CN217253207U (zh) 一种人防防护设备用的角钢切割装置
KR100776397B1 (ko)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CN211966161U (zh) 一种工业设计加工用钢结构加工平台
CN215587470U (zh) 岩棉板生产线用纤维回收系统
CN214234364U (zh) 一种具有高效除尘功能的建筑垃圾破碎装置
CN213674526U (zh) 一种家具设计用切割辅助装置
CN210453085U (zh) 一种用于板材截断锯的分类回收装置
CN208962152U (zh) 具有接料功能的多用打孔机
CN113560326A (zh) 岩棉板生产线用纤维回收系统
CN112138748A (zh) 一种具有入料口防尘功能的旋回破碎机
CN104196075A (zh) 破碎器
CN215973404U (zh) 一种砂浆自动打包机防尘回收结构
CN215140795U (zh) 一种碎石除尘降温装置
CN217830265U (zh) 一种便于分类的建筑垃圾破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