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397B1 -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397B1
KR100776397B1 KR1020070064707A KR20070064707A KR100776397B1 KR 100776397 B1 KR100776397 B1 KR 100776397B1 KR 1020070064707 A KR1020070064707 A KR 1020070064707A KR 20070064707 A KR20070064707 A KR 20070064707A KR 100776397 B1 KR100776397 B1 KR 10077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finishing material
plate
packaging bag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건설 filed Critical (주)아이엠건설
Priority to KR102007006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of previously fixed floor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천정 또는 바닥에 시공된 석면 마감재(천정재, 바닥재)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함과 아울러 제거 작업시 석면이 비산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는,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가 끼워지는 포크 삽입부를 갖는 바닥판(110), 상기 바닥판 상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포장백 거치틀로 이루어져 지게차에 의해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판의 둘레부에 연장 형성되는 발판(130)과; 상기 발판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난간(14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보강바에 연결바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천장에서 철거된 판상의 석면 마감재를 받치는 받침판(150)과; 상단 입구측이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포장백 거치틀의 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상기 받침판에 낙하되는 상기 석면 마감재가 담기는 석면 마감판 포장백(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석면, 바닥 마감재, 제거, 브러쉬

Description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SBESTO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미분제거수단을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를 지붕 슬래트 철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에 적용된 커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설명>
10 : 차대 프레임, 20 : 마감 스커트
30 : 스팀분사수단, 40 : 브러쉬
50 : 진공흡입기, 60 : 포집가이드
70 : 절단수단, 80 : 습윤제 분무수단,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바닥판
120 : 포장백 거치틀, 130 : 발판
140 : 난간, 150 : 받침판
200 : 포장백,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석면을 철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 천정과 바닥에 시공되는 석면 마감재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석면 미분이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이란 섬유모양을 갖는 광물성 규산염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며, 보건학적으로 가장 문제시 되는 석면은 백석면(chrysotile), 청석면(crocidolite) 및 갈석면(amosite) 등 3종류이며 이 밖에도 안소필라이트(Anthophylite), 트레모라이트(Tremolite), 악티노라이트(Actinolite)등의 석면이 있다.
이들 석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전체 사용량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백석면이다.
석면함유물질(Asbestos Containing Material, ACM)이란 순수한 석면만으로 제조되거나 석면에 다른 섬유물질이나 비섬유질을 혼합한 물질로서, 중량비로 1% 이상의 석면을 함유한 물질이다.
우리가 생활하는 일상생활 공간에서 석면의 심각성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석면을 사용했던 이유는 천연으로 생산되는 광물 중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고,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방음, 흡음효과가 다른 물질에 비해 뛰어난 천연섬유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까지 모든 종류의 석면으로 약 3,000여 가지의 제품이 생산되었다. 이것들은 토스터, 드라이, 다리미판 등의 전자제품과 슬레이트, 천장 및 벽면 내장재인 석면보드, 방열, 또는 방화에 사용되는 석면 압축판, 석면 시멘트판, 일반 석면판 등의 건축용과 아울러 석면사, 석면포, 석면장갑, 석면테이프 등을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하거나 볼 수 있는 것들이다. 이들 건축자재는 오늘날 백석면 사용의 약 90%를 차지한다. 마찰재가 나머지 7%를 차지하고, 3%는 플라스틱과 기타 물질에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석면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모든 건축용 자재 예컨데, 밀보드 ·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 ·내화재·보온재 ·단열재 ·전기절연재 ·전해막용재(電解膜用材), 브레이크라이 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대단히 넓고 광범위하다.
그런데, 이러한 석면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석면 분진을 장기간 호흡기를 통해 흡수하게 되면 석면폐(폐선유증), 폐암악성중피종(肺癌惡性中皮腫)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러한 석면의 종류 중 청석면(Crocidolite)이 가장 위험하며, 다음으로 갈석면(Amosite), 그 다음으로 백석면(Chrysotile) 이다. 석면은 대단히 미세한 섬유로 단섬유(單纖維)의 굵기가 10만분의 3미리로 머리털의 5000분의 1에 지나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단섬유 몇 개가 모여야만 겨우 현미경에 보일정도이며 이것이 호흡과정에서 흡입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악성중피종은 그로씨트라이트 즉 청석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흉막(胸膜)과 복막(腹膜)의 중피(中皮)에 발생하는 악성종암(惡性腫癌)인 것이다.
따라서,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자 중에는 석면폐에 걸리거나 폐암, 악성중피종으로 사망하는 예가 많고, 그에 따라는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실정을 인지하고는 있지만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추진에 따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그 역기능인 환경문제는 고려의 대상에서 다소 벗어나 있었음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위주 정책의 결과 그 부산물의 각종의 폐기물과 오염물질의 증가는 이제 더 이상 미뤄질 수 없는 절박한 시점에 도달되어 있다.
특히, 각종 건축, 토목공사의 건설산업폐기물은 매우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 바, 이는 도시와 지방 건축물의 노후화 및 기능저하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의 활성화 및 구조물의 해체에 주로 기인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철거시 석면에 의한 문제점들에 의해 석면을 먼저 철거하며, 종래 기술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는 시공 위치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천정재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천정재를 천정에 고정하는 피스를 풀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발판에 올라서 목을 젖힌 상태에서 천정재를 받치고 직접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피스를 풀어 천정재를 제거하며, 제거된 천정재를 바닥에 내려놓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천정에 시공된 천정재를 제거한다. 따라서, 천정재를 철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천정재를 따라 발판에서 이동하고 철거시 천정재를 손으로 받치고 있으며 제거된 천정재를 바닥에 내려놓아야 함에 따라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또한, 천정재의 철거시 석면 미분이 비산됨에 따라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바닥재 철거는 대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석면 바닥 마감재를 바닥면에서 뜯어 제거하고, 상기 바닥면에 고착된 슬러지(석면 찌꺼기)를 긁어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론, 이와 같은 공정시 석면의 비산물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하여 석면 제거 이전에 준비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바닥재 제거 방법에 따르면 작업자가 건축물 내에서 직접 수작업으로 석면 슬러지를 제거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작업자가 오랫동안 석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석면에 의한 피해가 극심하고 작업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천정과 바닥에 시공된 석면 마감재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함과 아울러 제거 작업시 석면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는, 내부에 석면 마감재 포장백이 수용되며 지게차에 의해 이동하거나 자체 엔진을 통해 이동하는 포장백 거치틀과; 상기 포장백 거치틀을 통해 상기 포장백 거치틀 주위의 비산물을 흡입 제거하는 미분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는, 지게차(A)에 의해 석면 마감재(본 실시예는 천정에 시공된 석면 마감재를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석면 마감재를 천정재(4)로 칭함)의 철거 지역을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베이스 프레임(100)에 교체 가능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철거된 천정재(4)가 담기는 포장백(200)을 기본 구성으로 하며, 이하 천정재(4)를 제거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자체 구동방식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지게차(A)에 의해 이동하며 포장백(200)이 거치되는 것으로, 지게차(A)의 한 쌍의 포크(A-1)가 끼워지는 포크 삽입부(111)를 갖는 바닥판(110), 다수의 각관 또는 원형관이 육면체의 테두리를 따라 짜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포장백(200)이 거치되며 상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포장백(200)을 고정하는 후크(121)가 구비된 포장백 거치틀(120)로 구성된다. 즉, 포장백 거치틀(120) 내부에 포장백(200)을 수납하고 포장백(200)의 개구된 상단부(상단부에 결합된 고리(210)일 수 있음)를 후크(121)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철거된 천정재(4)를 포장백(200)에 담도록 하는 것이다.
천정재(4)를 제거하는 작업은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천정재(4)를 천정 프레임(미도시)에 고정한 피스를 제거하여 낱장의 천정재(4)를 천정에서 철거한 후 포장백(200)에 담아 밀봉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러한 작업이 빠른 시간에 진행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발판(130)과 난간(140)이 갖추어진다. 발판(130)과 난간(14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판(110)의 양측에만 대칭으로 갖추어진 것 으로 한정되지 않고 바닥판(110)의 사방 둘레부 중 일측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가 피스를 풀어 천정재(4)를 제거할 때 천정에서 제거된 천정재(4)를 작업자가 잡고 다른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바닥에 놓을 필요가 없도록 받침판(150)이 구비된다. 받침판(150)은 원형, 사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연결바(151)를 통해 포장백 거치틀(120)에 설치된다. 여기서, 받침판(150)에 놓여진 천정재(4)를 포장백(200)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연결바(151)는 받침판(150)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어 받침판(150)이 포장백 거치틀(12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연결바(151)는 포장백 거치틀(12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바(151)의 연결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바(151)를 힌지 결합하여 각도를 조절한 후 핀으로 고정하는 타입 등이 가능할 것이다.
포장백(200)은 천정재(4)를 담아 밀봉할 수 있는 모든 낭(囊) 형태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대 등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천정재(4)의 제거시 천정재(4)의 미분이 비산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천정재(4)의 미분이 비산되지 않도록 미분제거기(300)가 더 갖추어진다. 미분제거기(300)는 천정재(4)의 철거 중 발생되는 미분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도록 강제로 흡입하여 집진하는 것으로 포장백 거치틀(120)을 이용하여 미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도 3에서처럼, 구체적으로 포장백 거치틀(12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각관(122,123,124) 또는 원형관으로 구성되고, 상단측 각관(123)에는 내부와 연통하 는 다수의 흡입구(310)(원형, 사각형 등)가 구비되며 일측(바람직하게 하단측 각관(124))에는 진공흡입기(320)와 호스(330)를 통해 연결된다. 즉, 진공흡입기(320)를 가동하면 흡입력에 의해 주위의 미분이 흡입구(310)를 통해 각관(122,123,124)을 경유한 후 진공흡입기(320) 내부에 모이게 된다.
포장백 거치틀(120)을 구성하는 각관(122,123,124)은 내부에 미분이 쌓일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관(122,123,124)의 결합구조는 예를 들어, 구멍을 천공하여 끼움식으로 결합하거나 각관(122,123,124)에 돌출된 이음부를 가공한 후 상기 이음부를 커플러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방법을 설명한다.
(S10) 철거장치 연결 및 거치. 천정재(4)(건물 실내 천정재, 지붕 슬래트를 말함)의 철거 지역에서 지게차(A)의 포크(A-1)를 포크 삽입부(111)에 끼워 받침판(150)이 천정재(4) 하부에 근접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을 상승시킨다.
(S20) 작업자 탑승 및 철거. 작업자는 발판(130)에 올라타서 베이스 프레임(100)과 함께 이동하게 되며, 철거하려는 천정재(4)의 경로를 따라 지게차(A)를 주행하면서 천정재(4)를 철거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판(150)을 천정재(4)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지게차(A)를 운행하고, 발판(130)에 서 있는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천정재(4)를 천정에서 제거하면 천정재(4)는 받침판(150)의 지지를 받는다. 이어서, 다음 천정재(4)로 이동하여 상술한 것처럼 천정재(4)를 제거하여 받침판(150)에 올려놓는다. 받침판(150)에 일정 수량의 천정재(4)가 모아지면 이를 포장백(200)에 투입한다. 물론, 일정 수량의 천정재(4)를 모아 한 번의 작업으로 포장백(200)에 수납하지 않고 천정재(4)를 한 장씩 포장백(200)에 수납할 수도 있다.
(S30) 미분 제거. 이와 같이 천정재(4)를 천정에서 제거하여 포장백(200)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미분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석면의 특성상 미분이 비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분을 포집하기 위하여 미분제거기(300)를 가동한다. 미분제거기(300)가 가동되면 진공흡입기(32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받침판(150) 주변에서 비산되는 미분이 흡입구(310)를 통해 포장백 거치틀(120)의 각관(122,123,124)을 경유하여 진공흡입기(320)에 집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천정재(4)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중에 석면의 미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청정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S40) 천정재 포장. 전술한 공정을 통해 포장백(200)에 천정재(4)가 가득 차면 지게차(A)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0)을 바닥으로 내리고 포장백(200)을 후크(121)에서 분리한 후 개구부를 매듭(별도의 끈 이용)하여 밀봉하고, 밀봉된 포장백(200)을 베이스 프레임(100)에서 하차하며, 새 포장백(200)을 포장백 거치틀(120)에 수납하여 천정재(4)의 제거작업을 계속한다.
지금까지는 천정재(4)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천정재(4)로 한정되지 않고 도 4에서처럼 지붕 슬래트(4)를 철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정면도로, 본 실시예는 포장백 거치틀(120)이 자체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0)이 승강수단(400)을 통해 높이조절판(160) 상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높이조절판(160)은 지게차(A)의 포크(A-1)가 끼워지는 포크 삽입부가 구비되어 지게차(A)(도 2참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승강수단(400)은 유압실린더, 링크 등이 사용 가능하며, 이하, 링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 프레임(100)과 높이조절판(160)의 사이에는 중앙부가 힌지(41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2로드(410,420)가 설치되어 이 제1,2로드(410,420)가 힌지(411)를 매개로 하여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0)의 높이가 조절되며, 이를 위하여 제2로드(420)의 상하단부는 각각 베이스 프레임(100)(바닥판(110))과 높이조절판(160)에 직선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의 높이 조절은 제2로드(420)를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43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유압실린더(430)의 로드(431)가 삽입되도록 가동하면 제2로드(420)의 상하단부가 직선 이동하며, 이 직선운동에 의해 제1,2로드(410,420)가 힌지(411)를 통해 회전하여 펼쳐짐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0)이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로드(431)가 인출되도록 하면 제1,2로드(410,420)가 접혀지면서 베이스 프레임(100)이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0)이 높이 조절될 때 베이스 프레 임(100)에 비틀이 발생되지 않도록 높이조절판(160)의 모서리부에는 가이드봉(161)이 세워지며, 베이스 프레임(100)의 모서리부에는 가이드봉(161)이 관통되는 가이드관(162)이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승강시 함께 승강하는 가이드관(162) 내부를 가이드봉(161)이 관통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1,2의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는 지게차(A)를 통해서 구동하지 않고 소형 지게차에 적용된 구동수단(배터리를 전원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통해 자체적으로 주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시예 3>
도 6 내지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는, 석면 바닥 마감재(이하 '바닥재'라 약칭함)가 깔린 바닥면(1)을 따라 이동하는 차대 프레임(10)과, 차대 프레임(10)의 저부와 바닥면(1) 사이를 밀폐하는 마감 스커트(20)와, 바닥면(1)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열에 의해 바닥면(1)에 붙은 바닥재 슬러지(2)(이하 '슬러지'라 약칭함)의 바닥면(1)에 대한 고착력을 없애는 스팀분사수단(30)과, 스팀분사수단(20)에 의해 열화된 슬러지(2)를 물리적으로 바닥면(1)에 제거하는 브러쉬(40)와, 마감 스커트(20)에 의한 밀폐 공간을 비산하는 비산물을 흡입 제거하는 진공흡입기(50)와, 브러쉬(40)에 의해 바닥면(1)에서 떨어진 슬러지(2)가 모이도록 하는 포집가이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대 프레임(10)은 평평한 판상의 스틸(steel)로서, 이동을 위하여 다수의 바퀴(11) 및 핸들(12)이 구비된다. 차대 프레임(10)은 바퀴(11)에 의해 바닥면(1)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바닥면(1)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바퀴(11)는 미도시된 엔진에 의해 구동하거나 차대 프레임(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면(1)과 마찰된 상태에서 핸들(12)의 조작력에 의해 굴러 차대 프레임(10)을 이동시킨다.
마감 스커트(20)는 차대 프레임(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차대 프레임(10)과 바닥면(1) 사이 공간을 외부와 밀폐함으로써 슬러지(2)의 제거시 비산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스팀분사수단(3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성품으로서 물탱크(31), 물탱크(31)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발생수단(미도시), 상기 스팀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바닥면(1)으로 분사하는 노즐(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팀분사수단(30)에 의하면 스팀의 고온에 의해 바닥면(1)에 바닥재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접착력이 열화되어 약해지게 되고, 아울러, 상기 스팀에 비산물의 비산이 줄어들게 된다.
브러쉬(40)는 차대 프레임(10)의 저부에 구동수단(예컨대 모터)(41)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면(1)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력에 의한 물리적 힘에 의해 열화된 슬러지(2)를 바닥면(1)으로부터 제거한다.
진공흡입기(50)는 차대 프레임(10) 상부에 탑재되면서 차대 프레임(10) 저부와 바닥면(1) 사이에 마감 스커트(20)에 의해 밀폐된 공간(S) 내를 비산하는 이물질을 흡입 제거한다. 진공흡입기(50)는 흡입호스(52)를 통해 공간(S) 내부와 연통 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가능한 것으로, 차대 프레임(10)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탑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프레임을 통해 차대 프레임(10)에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포집가이드(60)는 브러쉬(40)에 의해 바닥면(1)에서 떨어진 슬러지(2)를 한 곳으로 모아 포집이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차대 프레임(10)의 브러쉬(40) 후방측에 서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핸들(12)측에는 브러쉬(40)와 진공흡입기(50)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70)이 갖추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는 바닥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 바닥재를 바닥면(1)에서 제거한 후 바닥면(1)에 잔존하는 슬러지(2)(바닥재가 파손되어 바닥면(1)에 고착된 일부 바닥재)를 제거하는 것으로, 먼저 작업자 또는 장비를 통해 바닥재를 제거한다.
이처럼 전처리 공정을 통해 바닥재를 제거하면 접착력에 의해 바닥면(1)에 슬러지(2)가 잔존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를 통해 슬러지(2)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거한다.
차대 프레임(10)을 바닥면(1)에 셋팅한 상태에서 조작패널(70)의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스팀분사수단(30)과 브러쉬(40) 및 진공흡입기(50)의 구동을 개시하고, 작업자가 핸들(12)을 잡고 밀거나 당기면 차대 프레임(10)이 바퀴(11)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스팀분사수단(30)의 노즐(32)에서 스팀이 바닥면(1)을 향해 분사되어 상기 스팀의 열에 의해 바닥면(1)에 고착된 슬러지(2)가 열화되므로 슬러지(2)의 접착력이 약해지게 된다.
차대 프레임(10)을 전진시키면 브러쉬(40)가 상기 스팀에 의해 열화된 슬러지(2)를 긁으면서 바닥면(1)에서 제거한다.
이때 마감 스커트(20)에 의해 브러쉬(40)에 의한 작업 공간이 밀폐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 내에서 발생되는 가벼운(진공흡입기(5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중량으로서 그 수치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비산물은 진공흡입기(50)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진공흡입기(50)의 흡입력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슬러지(2)는 포집가이드(60)에 의해 차대 프레임(10)의 후방으로 모아져 배출된다. 즉, 슬러지(2)가 흩어지지 않고 일정한 패턴을 따라 모아지기 때문에 슬러지(2)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거하더라도 그 작업이 매우 쉽다.
<실시예 4>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는, 바닥면(1)에 시공된 바닥재(3)의 철거가 용이하도록 절단수단(70)이 더 갖추어진다.
즉, 절단수단(70)에 의해 바닥재(3)에 절단선을 형성하여 바닥재(3)의 철거가 용이하도록 한 후 작업자에 의해 바닥재(3)가 철거되면 상술한 실시예 1처럼 바 닥면(1)에 고착된 슬러지(2)를 제거하는 순서로 바닥재(3)를 철거하는 것이다.
도 10과 같이, 절단수단(70)은 다수의 커터(71), 커터(71)들이 결합되며 차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72), 커터(71)를 절첩시키는 액추에이터(73)(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 액추에이터(73)와 커터(71)를 연결하는 연결로드(7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닥재(3)의 절단시에는 커터(71)가 바닥재(3)를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71)를 바닥측으로 내리고, 절단이 완료되면 이동시 커터(71)가 간섭되지 않도록 커터(71)를 차대 프레임(10)측으로 회동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터(71)에 의해 바닥재(3)를 절단할 때 석면이 비산되지 않도록 습윤제 분무수단(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습윤제 분무수단(80)은 액상의 습윤제 탱크(81), 습윤제 탱크(81) 내에 저장된 습윤제를 바닥재(3)를 향해 분무하는 노즐(82)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노즐(82)은 밸브 등의 제어를 통해 분무 작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크게 바닥재(3) 절단 - 슬러지(2) 제거 공정으로 구분된다.
1. 바닥재 절단
장치를 바닥재(3) 철거 장소에 셋팅한 후, 액추에이터(73)를 구동시켜 회전축(71)이 도면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커터(71)가 바닥재(3)에 꽂히도록 한다. 차대 프레임(10)을 이동하게 되면 커터(71)에 의해 바닥재(3)가 절단된다. 이와 같은 절단시 석면이 비산될 수 있지만, 습윤제 분무수단(80)에 의해 분무되는 습윤제에 의해 석면이 비산되지 않고 차대 프레임(10) 저부의 밀폐 공간에 잔류한 상태에서 진공흡입기(50)에 의해 제거된다. 바닥재(3)에 절단선이 형성되면 작업자가 절단선을 따라 바닥재(3)를 바닥면(1)에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바닥재(3)의 절단 공정이 완료되면 후술하는 슬러지 제거 공정시 커터(71)가 간섭되지 않도록 액추에이터(73)를 통해 커터(71)를 바닥면에서 먼 쪽으로 회전시킨다.
2. 슬러지 제거
바닥재(3)를 절단하여 작업자에 의해 철거하면 바닥면(2)에 슬러지(2)가 남게 되며, 이 슬러지(2)는 전술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천정에 시공된 석면 마감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미분의 비산이 방지되어 작업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작업자의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닥재를 철거한 후 바닥면에 잔존하는 슬러지를 스팀에 의한 열화 및 브러쉬에 의한 물리적 힘에 의해 제거하여 한 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슬러지의 제거가 가능하고 작업 시간이 짧아지므로 석면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바닥재를 절단하여 바닥재의 철거가 용이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바닥재의 철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하여 석면에 의한 민원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8)

  1.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가 끼워지는 포크 삽입부를 갖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포장백 거치틀로 이루어져 지게차에 의해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판의 둘레부에 연장 형성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둘레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난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보강바에 연결바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천정과 지붕에서 철거된 판상의 석면 마감재를 받치는 받침판과;
    상단 입구측이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포장백 거치틀의 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상기 받침판에 낙하되는 상기 석면 마감재가 담기는 석면 마감판 포장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 거치틀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와 연통되며 상부를 향해 개방된 다수의 흡입구, 상기 포장백 거치틀 내부의 중공부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강제 흡입력을 통해 상기 흡입구 주변의 미분을 강제 흡입하는 진공흡입기를 포함하는 미분제거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부에 높이조절판을 통해 설치되 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를 지게차에 연결한 후 마감재의 철거장소에 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에 작업자가 탑승한 후 상기 지게차를 통해 상기 마감재를 따라 상기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를 이동하면서 작업자에 의해 철거된 마감재를 상기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에 수용된 포장백에 수납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포장백에 철거된 마감재가 채워지면 상기 지게차를 통해 상기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를 바닥측으로 하강시킨 후 상기 포장백을 묶어 하차하고 새 포장백을 설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마감재 철거방법.
  8. 삭제
KR1020070064707A 2007-06-28 2007-06-28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KR10077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07A KR100776397B1 (ko) 2007-06-28 2007-06-28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07A KR100776397B1 (ko) 2007-06-28 2007-06-28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397B1 true KR100776397B1 (ko) 2007-11-16

Family

ID=3907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707A KR100776397B1 (ko) 2007-06-28 2007-06-28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3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965A (zh) * 2016-05-11 2016-09-07 张帆 一种建筑灌浆装置
CN105952178A (zh) * 2016-05-11 2016-09-21 义乌市摩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散热型缝隙灌浆装置
KR101662822B1 (ko) 2015-12-02 2016-10-10 (주)가디언 천장패널 철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380A (ja) * 1987-12-01 1989-06-09 Morita Tokushu Kiko Co Ltd 石綿回収装置
JPH0285465A (ja) * 1988-09-21 1990-03-26 Kunibagumi:Kk アスベスト部分撤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380A (ja) * 1987-12-01 1989-06-09 Morita Tokushu Kiko Co Ltd 石綿回収装置
JPH0285465A (ja) * 1988-09-21 1990-03-26 Kunibagumi:Kk アスベスト部分撤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822B1 (ko) 2015-12-02 2016-10-10 (주)가디언 천장패널 철거장치
CN105926965A (zh) * 2016-05-11 2016-09-07 张帆 一种建筑灌浆装置
CN105952178A (zh) * 2016-05-11 2016-09-21 义乌市摩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散热型缝隙灌浆装置
CN105926965B (zh) * 2016-05-11 2017-11-03 王如军 一种建筑灌浆装置
CN105952178B (zh) * 2016-05-11 2018-01-16 温岭市锦鹏日用品有限公司 一种建筑用散热型缝隙灌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2711C (en) Asbestos removal method and system
JP5431653B2 (ja) 加工装置
KR100776397B1 (ko)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JP5138196B2 (ja) アスベスト除去方法
Croteau et al. The effect of local exhaust ventilation controls on dust exposures during concrete cutting and grinding activities
JP2008038576A (ja) アスベスト等の無塵埃剥離撤去装置。
JP5623713B2 (ja) Pcbに汚染された建物の解体方法
JP5432303B2 (ja) 加工装置
KR101026200B1 (ko) 석면 제거장치
JPH0351481A (ja) 吹付けアスベスト層の除去方法とその装置
US20110312261A1 (en) Portable dust collection system
KR101731179B1 (ko) 보양비닐용 다목적 캐리어
JP2004144392A (ja) 煙突解体工法
JP2004036158A (ja) 構造物解体方法
US20230059623A1 (en) Device and system for covering a cutting gap that is able to be created by a power tool, and method for extracting dust from a working area of a power tool
KR101124219B1 (ko) 석면 제거장치
KR102129163B1 (ko) 비산석면 포집 및 해체장비를 이용한 석면 텍스 철거공법
KR20040006204A (ko) 석면 함유 건축재의 석면제거공법
KR100833980B1 (ko) 석면함유마감제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면함유마감제제거공법
KR101124222B1 (ko) 석면 제거장치
KR20090113655A (ko) 천장 국소부위의 석면 제거장치
US5302004A (en) Method of removing asbestos from a building
JP2007231705A (ja) 作業者空間隔離式アスベスト等有害物質除去工法
CN212919957U (zh) 一种室内建筑用具有降尘结构的地砖分割装置
CN210436397U (zh) 一种地砖用防扬尘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