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219B1 - 석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석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219B1
KR101124219B1 KR1020100063911A KR20100063911A KR101124219B1 KR 101124219 B1 KR101124219 B1 KR 101124219B1 KR 1020100063911 A KR1020100063911 A KR 1020100063911A KR 20100063911 A KR20100063911 A KR 20100063911A KR 101124219 B1 KR101124219 B1 KR 10112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container
hole
suctio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454A (ko
Inventor
최남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석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석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석건설
Priority to KR1020100063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2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여, 석면의 제거에 따른 작업능률 및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석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석면 제거장치는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세워진 측벽으로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업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재에 통공(114)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통공(114)의 둘레에 돌출턱(116)이 구부러지게 연장된 컨테이너(110); 상기 컨테이너(110)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다리(220)가 구성된 프레임(200); 상기 컨테이너(110)의 돌출턱(116) 바깥둘레에 감싸지도록 설치되어진 롤부(312)와 상기 롤부(312)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공(114)의 내부로 진입시켜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장부(314)가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314)의 끝단을 단속시킴에 따라 상기 연장부(314)의 내부에 수집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거롤(310); 및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110)의 작업공(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글러브(512)가 형성되어 제거된 석면을 수집 밀봉시켜 상기 수거롤(310)으로 수집되도록 하는 수거팩(42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석면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SBESTOS}
본 발명은 석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여, 석면의 제거에 따른 작업능률 및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석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면[石綿, asbestos]이란 섬유모양을 갖는 광물성 규산염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며, 보건학적으로 가장 문제되는 석면은 백석면(chrysotile), 청석면(crocidolite) 및 갈석면(amosite) 등 3종류이며 이 밖에도 안소필라이트(Anthophylite), 트레모라이트(Tremolite), 악티노라이트(Actinolite)등의 석면이 있다.
이들 석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전체 사용량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백석면이다.
석면함유물질(Asbestos Containing Material, ACM)이란 순수한 석면만으로 제조되거나 석면에 다른 섬유물질이나 비섬유질을 혼합한 물질로서, 중량비로 1% 이상의 석면을 함유한 물질이다.
우리가 생활하는 일상생활 공간에서 석면의 심각성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석면을 사용했던 이유는 천연으로 생산되는 광물 중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고,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방음, 흡음효과가 다른 물질에 비해 뛰어난 천연섬유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까지 모든 종류의 석면으로 약 3,000여 가지의 제품이 생산되었다.
이것들은 토스터, 드라이, 다리미판 등의 전자제품과 슬레이트, 천장 및 벽면 내장재인 석면보드, 방열, 또는 방화에 사용되는 석면 압축판, 석면 시멘트판,일반 석면판 등의 건축용과 아울러 석면사, 석면포, 석면장갑, 석면테이프 등을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하거나 볼 수 있는 것들이다.
이들 건축자재는 오늘날 백석면 사용의 약 90%를 차지하며, 마찰재가 나머지 7%를 차지하고, 3%는 플라스틱과 기타 물질에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석면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모든 건축용 자재 예컨데, 밀보드 ?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 ?내화재?보온재 ?단열재 ?전기절연재 ?전해막용재(電解膜用材),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대단히 넓고 광범위하다.
그런데, 이러한 석면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석면 분진을 장기간 호흡기를 통해 흡수하게 되면, 석면폐(폐선유증), 폐암악성중피종(肺癌惡性中皮腫)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러한 석면의 종류 중 청석면(Crocidolite)이 가장 위험하며, 다음으로 갈석면(Amosite), 그 다음으로 백석면(Chrysotile)으로, 석면은 대단히 미세한 섬유로 단섬유(單纖維)의 굵기가 10만분의 3미리로 머리털의 5000분의 1에 지나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단섬유 몇 개가 모여야만 겨우 현미경에 보일정도이며 이것이 호흡과정에서 흡입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악성중피종은 그로씨트라이트 즉 청석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흉막(胸膜)과 복막(腹膜)의 중피(中皮)에 발생하는 악성종암(惡性腫癌)인 것이다.
따라서,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자 중에는 석면폐에 걸리거나 폐암, 악성중피종으로 사망하는 예가 많고, 그에 따라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실정을 인지하고는 있지만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추진에 따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그 역기능인 환경문제는 고려의 대상에서 다소 벗어나 있었음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위주 정책의 결과 그 부산물의 각종의 폐기물과 오염물질의 증가는 이제 더 이상 미뤄질 수 없는 절박한 시점에 도달되어 있다.
특히, 각종 건축, 토목공사의 건설산업폐기물은 매우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 바, 이는 도시와 지방 건축물의 노후화 및 기능저하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의 활성화 및 구조물의 해체에 주로 기인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철거시 석면에 의한 문제점들에 의해 석면을 먼저 철거하며, 종래 기술에 따른 석면 철거는 시공 위치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천정재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천정재를 천정에 고정하는 피스를 풀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발판에 올라서 목을 젖힌 상태에서 천정재를 받치고 직접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피스를 풀어 천정재를 제거하며, 제거된 천정재를 바닥에 내려놓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천정에 시공된 천정재를 제거한다. 따라서, 천정재를 철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천정재를 따라 발판에서 이동하고 철거시 천정재를 손으로 받치고 있으며 제거된 천정재를 바닥에 내려놓아야 함에 따라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또한, 천정재의 철거시 석면 미분이 비산됨에 따라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바닥재 철거는 대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석면 바닥 마감재를 바닥면에서 뜯어 제거하고, 상기 바닥면에 고착된 슬러지(석면 찌꺼기)를 긁어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론, 이와 같은 공정시 석면의 비산물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하여 석면 제거 이전에 준비작업을 수행한다.
즉, 석면을 제거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작업복 및 방진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장에는 비닐시트로 밀폐시키고, 이와 더불어 작업하고자하는 일부분을 비닐시트로 밀폐시킨 후 석면제거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 에는 비닐시트로 제거된 석면을 밀봉시켜 폐기하게 된다.
이러한 석면제거작업은 건물의 내부에서 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공장과 같은 공간이 넓은 경우에는 지게차와 같은 특수장비 또는 이동되는 작업대를 이용하여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석면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 건축물 가령, 사무실로 주로 사용되는 빌딩이면서 저층의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와 같은 이송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지게차와 같은 특수차량이 투입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석면제거작업에서는 작업자들이 비닐시트로 작업공간을 밀폐시킨 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의 곤란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작업자가 건축물 내에서 직접 수작업으로 석면 슬러지를 제거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작업자가 오랫동안 석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석면에 의한 피해가 극심하고 작업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공이 형성된 작업컨테이너와 상기 작업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거된 석면을 수집하는 수집부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작업의 용이성을 가지는 석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를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석면 제거작업에서 비닐시트로 작업부분을 밀폐시키고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비닐시트와 함께 폐기처분에 따른 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다른 작업부분에서 비닐시트를 설치해야되는 번거로움으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작업능률을 극대화하는 석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하단에 복수의 캐스터를 구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석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의 어느 일측과 연통되도록 하는 흡입기를 더 구성하여 석면 제거작업시 발생하는 분진 등을 흡입함에 따른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석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와 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수단을 구성하여 천정뿐만 아니라 측벽의 석면제거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사용의 한계성을 극대화하는 석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면 제거장치는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세워진 측벽으로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업공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재에 통공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통공의 둘레에 돌출턱이 구부러지게 연장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다리가 구성된 프레임 상기 컨테이너의 돌출턱 바깥둘레에 감싸지도록 설치되어진 롤부와 상기 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공의 내부로 진입시켜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장부가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의 끝단을 단속시킴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수집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거롤;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작업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글러브가 형성되어 제거된 석면을 수집 밀봉시켜 상기 수거롤로 수집되도록 하는 수거팩; 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어느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공과; 상기 흡입공에 일단이 연결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끝단에 마련되는 흡입기로 구성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통해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마련되며 어느 일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기의 흡입압력이 상기 통공에 미쳐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분진을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벽면에는 석면 또는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고 제거가 용이하도록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면서 회동되어 다방면의 위치에 된 석면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다리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다리는 작업장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측벽 상면을 따라 팩킹이 설치되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공이 형성된 작업컨테이너와 상기 작업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거된 석면을 수집하는 수집부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작업의 용이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를 반영구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석면 제거작업에서 비닐시트로 작업부분을 밀폐시키고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비닐시트와 함께 폐기처분에 따른 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다른 작업부분에서 비닐시트를 설치해야되는 번거로움으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작업능률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프레임의 하단에 복수의 캐스터를 구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컨테이너의 어느 일측과 연통되도록 하는 흡입기를 더 구성하여 석면 제거작업시 발생하는 분진 등을 흡입함에 따른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컨테이너와 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수단을 구성하여 천정뿐만 아니라 측벽의 석면제거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사용의 한계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거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회동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부에 흡입연장관을 구성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거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제1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는 컨테이너(110)와, 상기 컨테이너(110)를 지지하는 프레임(210), 및 상기 컨테이너(110)에 마련되어 제거된 석면 또는 이물질을 폐기하는 수거롤(310)로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110)는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세워진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벽에는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업공(112)이 형성되고, 평판부재에는 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작업공(112)에는 작업손이 삽입되도록 하는 글러브(510)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10)의 통공(114)은 수거롤(310)이 위치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통공(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10)의 평판부재에 형성되되 상기 통공(114)의 둘레에는 돌출턱(116)이 구부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측에는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이물질이 흡착됨을 방지하도록 코팅층(118)을 더 도포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위치된 비산 석면 또는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컨테이너(110)를 재활용할 때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10)의 측벽 상면을 따라 작업면의 석면 또는 기타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팩킹(119)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는 흡입공(117)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는 흡입수단(520)이 더 구성되며, 상기 흡입수단(520)은 상기 흡입공(117)에 일단이 연결되는 흡입관(522) 및 상기 흡입관(522)의 타단이 연결되는 흡입기(5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기(524)는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기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부에 흡입연장관을 구성한 분리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110)에는 흡입연장관(530)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흡입연장관(530)은 컨테이너(110)의 내측에 마련되고 어느 일측에 이 경우 상방에 다수의 통공(532)이 형성되고 어느 일단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흡입공(117)과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수단(520)의 흡입기(524)에서 작용하는 압력이 상기 흡입연장관(530)에 전달됨에 따라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기타 이물질이 흡입연장관(530)의 통공(532)을 통해 흡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흡입연장관(530)은 흡입수단(520)에서 작용하는 압력의 손실을 최소화함에 따라 흡입력을 강화시키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200)은 컨테이너(110)가 안착 고정되는 지지대(210), 및 상기 지지대(210)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2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210)와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는 힌지수단(23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힌지수단(230)을 중심으로 상기 컨테이너(110)가 일정각도 회동함에 따라 다방면의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10)를 수평으로 위치시켰을 경우에는 천정 작업이 가능하고, 상기 컨테이너(110)를 수직으로 세웠을 경우에는 측벽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회동시킨 상태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수단(230)은 지지대(210)에서 일단이 고정된 힌지브라켓(232), 및 상기 힌지브라켓(232)를 관통하여 컨테이너(110)에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234)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다리(220)는 작업장의 높이에 따라 절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다리(220)는 내부가 빈 파이프로 구성된 외관(222)과 상기 외관(222)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관(2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관(222) 및 내관(224)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을 단속시키는 단속편(226)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다리(220)의 하단에는 캐스터(240)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거롤(310)은 양단이 개방된 팩의 선단을 말아서 롤부(312)를 형성하고, 상기 롤부(312)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1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롤부(312)를 컨테이너(110)의 돌출턱(116) 바깥둘레에 감싸지도록 설치한 후 연장부(314)를 상기 통공(114)으로 삽입시켜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장부(314)를 형성한 후 상기 연장부(314)를 묶게 되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석면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테이너(110)의 통공(114)에 마련된 수거롤(310)의 연장부(314) 끝단을 단속시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컨테이너(110)를 작업하고자 하는 부분에 밀착되도록 프레임(200)의 다리(220)의 길이를 조정한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110)의 밀봉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컨테이너(110)에 형성된 작업공(112)을 통해 글러브(510)의 내측으로 작업손을 삽입시킨 후 석면제거 작업을 수행한다.
더불어, 흡입수단(520)에서는 흡입기(524)의 작동으로 상기 흡입기(524)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흡입관(522)을 통해 흡입공(117)으로 전달됨에 따라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기타 이물질이 상기 흡입기(524)로 흡입됨에 따라 컨테이너(110)의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하는 작업환경을 개선한다.
한편, 작업이 완료되면 컨테이너(110)의 작업공간에 수집된 석면 등을 수거롤(310)에 수집시키고, 수집이 완료되면 외부에서 작업자는 연장부(314)의 선단을 묶어후 절단하여 폐기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컨테이너(110)의 작업공(112)에 마련된 글러브(510)가 착탈식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글러브(510)를 탈착시켜 상기 수거롤(310)에 수거시켜 폐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으로 개방된 연장부(314)를 일정길이만큼 노출되도록 잡아당기면 롤부(312)가 풀어지면서 일정길이의 연장부(314)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314)의 끝단을 단속하여 다음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는 컨테이너(110)와, 상기 컨테이너(1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0) 및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안착되는 수거팩(4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110)는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세워진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벽에는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업공(112)이 형성되고, 평판부재에는 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작업공(112)에는 작업손이 삽입되도록 하는 글러브(51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측에는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이물질이 흡착됨을 방지하도록 코팅층(118)을 더 도포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위치된 비산 석면 또는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컨테이너(110)를 재활용할 때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10)의 측벽 상면을 따라 작업면의 석면 또는 기타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팩킹(119)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는 흡입공(117)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는 흡입수단(520)이 더 구성되며, 상기 흡입수단(520)은 상기 흡입공(117)에 일단이 연결되는 흡입관(522) 및 상기 흡입관(522)의 타단이 연결되는 흡입기(524)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제1실시 예에 서술된 바와 같으므로 이후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프레임(200)은 지지대(210)와 복수의 다리(2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210)에는 작업환경에 따라 컨테이너(110)를 일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수단(230)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다리(22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수거팩(410)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110)에 마련되는 글러브(510)가 삽입되도록 상기 글러브(5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컨테이너(110)를 설치한 후 석면제거 작업을 수행한 후 제거된 석면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된 수거팩(410)에 수집됨에 따라 상기 수거팩(410)을 밀봉 폐기하며, 다음 작업을 위해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수거팩(410)을 마련하면 되는 것이다.

(제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는 컨테이너(110)와, 상기 컨테이너(1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0)과,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거롤(310), 및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거팩(4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업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공(112)에는 글러브(510)가 마련되며, 평판부재에 형성된 통공(114)과 상기 통공(114)의 둘레에는 돌출턱(116)이 구부러지게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는 흡입수단(520)이 연결되도록 흡입공(117)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코팅층(118)이 형성되며, 개방부의 끝단에는 팩킹(119)이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컨테이너(110)의 구성은 제1실시 예에서 상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프레임(200)은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방에 마련되는 복수의 다리(220) 및 상기 다리(220)의 하단에 마련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캐스터(240)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제1 및 제2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거롤(310)은 양단이 개방된 팩의 선단을 말아서 롤부(312)를 형성하고, 상기 롤부(312)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14)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 예에서 상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거팩(410)은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제2실시 예에 상술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제1실시 예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는 내부에 수집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110)와, 컨테이너(1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0) 및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거팩(4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110)는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세워진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벽에는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업공(112)이 형성되고, 평판부재에는 통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 흡입수단(520)이 연결되는 흡입공(117)이 형성되며 내부면에는 석면 또는 기타 이물질의 흡착을 방지하도록 코팅층(118)이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110)의 측벽 상면을 따라 작업면의 석면 또는 기타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팩킹(119) 설치된다.
이러한 컨테이너(110)의 구성은 제2실시 예에서 상술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프레임(200)은 컨테이너(110)를 지지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방에 마련되는 복수의 다리(220) 및 상기 다리(220)의 하단에 마련되는 캐스터(2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 예에 상술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거팩(410)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면에 마련되며, 상기 컨테이너(110)에 형성된 작업공(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412)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412)에는 글러브(510)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수거팩(410)을 위치시킨 후 석면제거 작업을 실시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수거팩(410)으로 제거된 석면을 밀봉시켜 폐기하면 되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글러브(510)로 함께 폐기함이 바람직하다.

(제5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제1실시 예 내지 제4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 예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는 컨테이너(110)와, 상기 컨테이너(1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0)과,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수거롤(310), 및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거팩(4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110)는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세워진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벽에는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업공(112)이 형성되고, 평판부재에는 통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110)의 통공(114)은 수거롤(310)이 위치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통공(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10)의 평판부재에 형성되되 상기 통공(114)의 둘레에는 돌출턱(116)이 구부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110)의 어느 일측에는 흡입수단(520)과 연결되는 흡입공(117)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코팅층(118), 및 컨테이너(110)의 측벽 상면을 따라 팩킹(119)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 예에서 상술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프레임(200)은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하방에 마련되는 복수의 다리(220) 및 상기 다리(220)의 하단에 마련되는 캐스터(240)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 예에 상술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거롤(310)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평판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둘레에 구부러지게 연장된 돌출턱(116)에 지지되는 롤부(312) 및 상기 롤부(312)에서 연장되고 통공(114)에 삽입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연장부(314)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 예에서 상술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거팩(410)은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면에 마련되며, 상기 컨테이너(110)에 형성된 작업공(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412)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412)에는 글러브(510)가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컨테이너 112 : 작업공
114 : 통공 116 : 외벽
117 : 흡입공 118 : 코팅층
119 : 팩킹 200 : 프레임
210 : 지지대 220 : 다리
222 : 외관 224 : 내관
226 : 단속편 230 : 힌지수단
232 : 힌지브라켓 234 : 힌지
240 : 캐스터 310 : 수거롤
312 : 롤부 314 : 연장부
410 : 수거팩 510 : 글러브
520 : 흡입수단 534 : 흡입기

Claims (8)

  1.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세워진 측벽으로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한 쌍의 작업손이 투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업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재에 통공(114)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통공(114)의 둘레에 돌출턱(116)이 구부러지게 연장된 컨테이너(110);
    상기 컨테이너(110)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다리(220)가 구성된 프레임(200);
    상기 컨테이너(110)의 돌출턱(116) 바깥둘레에 감싸지도록 설치되어진 롤부(312)와 상기 롤부(312)에서 연장되어 상기 통공(114)의 내부로 진입시켜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장부(314)가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314)의 끝단을 단속시킴에 따라 상기 연장부(314)의 내부에 수집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거롤(310); 및
    상기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컨테이너(110)의 작업공(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글러브(512)가 형성되어 제거된 석면을 수집 밀봉시켜 상기 수거롤(310)으로 수집되도록 하는 수거팩(42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어느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공;
    상기 흡입공에 일단이 연결되는 흡입관(522);
    상기 흡입관(522)의 끝단에 마련되는 흡입기(524)로 구성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통해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수단(5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마련되며 어느 일측에 다수의 통공(532)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기(524)의 흡입압력이 상기 통공(532)에 미쳐 작업 중 발생하는 비산 석면 또는 분진을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연장관(5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벽면에는 석면 또는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고 제거가 용이하도록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200)에 지지되면서 회동되어 다방면의 위치에 된 석면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수단(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의 다리(220)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캐스터(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의 다리(220)는 작업장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측벽 상면을 따라 팩킹이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KR1020100063911A 2010-07-02 2010-07-02 석면 제거장치 KR10112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911A KR101124219B1 (ko) 2010-07-02 2010-07-02 석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911A KR101124219B1 (ko) 2010-07-02 2010-07-02 석면 제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778A Division KR101026200B1 (ko) 2008-06-09 2008-06-09 석면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54A KR20100086454A (ko) 2010-07-30
KR101124219B1 true KR101124219B1 (ko) 2012-03-27

Family

ID=4264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911A KR101124219B1 (ko) 2010-07-02 2010-07-02 석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225A (ko) * 2014-11-11 2016-05-19 최옥선 전자제품 분진제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5220A1 (en) 2000-03-31 2001-11-29 Leonard Bloom Pollution containment apparatus for making a penetration in a ceiling or wall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JP2008012427A (ja) 2006-07-05 2008-01-24 Ntt Facilities Inc 建材撤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5220A1 (en) 2000-03-31 2001-11-29 Leonard Bloom Pollution containment apparatus for making a penetration in a ceiling or wall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JP2008012427A (ja) 2006-07-05 2008-01-24 Ntt Facilities Inc 建材撤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225A (ko) * 2014-11-11 2016-05-19 최옥선 전자제품 분진제거기
KR101643053B1 (ko) * 2014-11-11 2016-07-26 최옥선 전자제품 분진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54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74664A (ja) 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KR101026200B1 (ko) 석면 제거장치
KR101124219B1 (ko) 석면 제거장치
KR101124222B1 (ko) 석면 제거장치
KR101124221B1 (ko) 석면 제거장치
JP5432303B2 (ja) 加工装置
JP5623713B2 (ja) Pcbに汚染された建物の解体方法
KR100886774B1 (ko) 석면해체방법 및 해체장치
KR101168034B1 (ko) 석면시료 채취기
KR100776397B1 (ko) 석면 마감재 철거장치 및 방법
KR100992907B1 (ko) 석면 부재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08029942A (ja) アスベスト回収方法及びアスベスト回収装置
KR101731179B1 (ko) 보양비닐용 다목적 캐리어
KR101662793B1 (ko) 석면함유건축자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식 보양틀
KR20160150066A (ko) 석면 작업용 비산방지 시트
KR100923314B1 (ko) 석면 해체 장치
KR20090113655A (ko) 천장 국소부위의 석면 제거장치
KR102019608B1 (ko) 석면천장마감재 수거장치
KR101939897B1 (ko) 비산먼지 제거액 및 비닐보양제를 이용한 석면 철거 공법
KR101066607B1 (ko) 비닐수지 부착형 방진복을 갖는 석면해체장치
JPH038978A (ja) 吹付アスベストの乾式除去装置
JP2011137349A (ja) 開口端付きグローブボックス
KR20110124736A (ko) 텍스 석면의 비산 방지를 위한 시트
CN213647907U (zh) 木屑收集装置
JP4745856B2 (ja) 壁面カバ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覆材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