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814A -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814A
KR20120132814A KR1020110051171A KR20110051171A KR20120132814A KR 20120132814 A KR20120132814 A KR 20120132814A KR 1020110051171 A KR1020110051171 A KR 1020110051171A KR 20110051171 A KR20110051171 A KR 20110051171A KR 20120132814 A KR20120132814 A KR 20120132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anchor
cylinder
dril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하
허광학
Original Assignee
대명지이씨(주)
허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지이씨(주), 허광학 filed Critical 대명지이씨(주)
Priority to KR102011005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2814A/ko
Publication of KR2012013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앙카와 상기 앙카에 결합되는 현가지지대를 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 영역 바닥면에 대해 구름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천장을 향해 승강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실린더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승강기와, 상기 승강실린더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햄머드릴을 갖는 천장시공유닛;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천장에 전선 또는 덕트 등의 지지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인건비를 포함한 시공비용을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Ceiling anchor construction device}
본 발명은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전선 또는 덕트 등의 지지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앙카 지지체로서 앙카 및 현가지지대의 천장 시공을 신속 및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작업 인원과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장 천장에는 배선이나 덕트 등이 천장 앙카 지지체에 의해 천장에 지지된다.
이러한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미리 정해진 천장면 시공 위치에 드릴을 이용하여 소정의 폭 간격과 길이 간격을 두고 앙카(anchor) 시공을 위한 홀(Hole)을 천공한다. 그런 다음, 천공된 홀에 앙카를 삽입 시공하여 고정하고, 이 앙카에 달대볼트 등의 현가지지대를 결합하여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렇게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폭 간격 양측의 달대볼트 하부에 앵글(angle)을 수평으로 결합한 후, 앵글 상에 트레이를 적재 고정하여 전선이나 덕트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트레이 상에 전선 또는 덕트를 적재한 후 고정하는 방법으로 천장 배선 또는 천장 덕트의 설치 시공이 이루어진다.
도 12는 종래 천장 앙카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배선 시공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천장 앙카 지지체를 시공하는 과정은 천장에 앙카(161)를 시공하는 단계(S101)와, 앙카(161)에 현가지지대(165)를 설치하는 단계(S102)로 이루어진다.
천장에 앙카(161)를 시공하는 단계(S101)에서는 시공 작업자가 햄머드릴 및 앙카(161)와 현가지지대(165) 등의 장비와 자재를 소지하고 승강리프트에 탑승한 다음, 승강리프트를 상승시켜서 천장에 인접한 위치로 상승하여 햄머드릴로 천장에 홀을 형성하고 앙카(161)를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리프트는 다른 작업자가 바닥면에서 승강 조작한다.
이러한 천장 앙카(161) 시공과정은 또 다른 작업자가 천장 아래 바닥면에서 레이저빔을 천장으로 쏘아 앙카(161) 시공 위치를 표시하면, 승강리프트에 탑승한 시공 작업자가 해당 천장 위치에 앙카(161)를 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천장 일 영역에 앙카(161)를 시공한 후, 다른 천장 앙카 시공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안전기준을 준수하기 위해서 반드시 승강리프트를 하강 시킨 후, 다음 시공 영역으로 승강리프트를 이동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 천장 앙카(161)를 시공해야 한다.
그리고, 앙카(161)에 현가지지대(165)를 설치하는 단계는 승강리프트에 탑승한 작업자가 천장에 설치된 앙카(161)에 달대볼트 등의 현가지지대(165)를 결합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리프트는 다른 작업자에 의해 현가지지대(165) 설치 위치로 승강 조작된다. 또한, 이 현가지지대(165)의 설치 과정 역시, 다음 위치의 현가지지대(165) 설치 시공을 위해서는 안전 기준에 준하여 승강리프트를 하강 시킨 후, 다음 영역으로 승강리프트를 이동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 현가지지대(165)를 설치 시공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이 완료되면, 천장 배선 시공(또는 덕트 시공)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천장 배선 시공 과정은 시공되어 있는 천장 앙카 지지체의 현가지지대(165) 하부에 앵글을 설치하는 단계(S111)와, 앵글 상에 트레이를 설치하는 단계(S112)와, 트레이 상에 전선케이블(또는 덕트)을 적재 고정하는 단계(S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천장 앙카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배선 시공 과정 중 천장 앙카 지지체를 시공 과정에 있어서는, 천장의 다수 영역에 앙카 및 현가지지대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승강리프트를 이동할 때, 안전 기준 준수를 위해 반드시 승강리프트를 하강시킨 상태로 이동해야 한다.
이에 의해, 승강리프트 승강 시간 및 시공 영역으로의 이동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장에 앙카 시공을 위해 드릴로 홀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비산물에 의해 작업자의 안면 부상 등이 우려되고, 작업장에 콘크리트 비산물이 그대로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장에 앙카 및 현가지지대를 시공하는 작업자와 승강리프트를 조작하는 작업자 및 안전 감시자가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인력증가에 따른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천장 시공 작업자의 경우, 체력소모를 고려하여 적어도 2인 이상의 시공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 상승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 전선 또는 덕트 등의 지지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콘크리트 비산물을 용이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인건비를 포함한 시공비용을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천장에 앙카와 상기 앙카에 결합되는 현가지지대를 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공 영역 바닥면에 대해 구름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천장을 향해 승강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실린더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승강기와, 상기 승강실린더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햄머드릴을 갖는 천장시공유닛;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햄머드릴의 둘레 영역을 둘러싸는 비산물받이와, 본체 내에 설치되어 비산물받이로 수령되는 비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기와, 상기 비산물받이로 수령된 비산물을 상기 흡입기로 안내하는 비산물흡입호스를 갖는 비산물제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산물받이는 상향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이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절첩되는 주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천장에 인접한 위치로 상승한 햄머드릴을 상향 가압하는 드릴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드릴가압수단은 본체의 외측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핸들과, 상기 본체 내에서 실린더승강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압핸들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하는 승강지지체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는 기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구름롤러와, 상기 구름롤러의 구름이동을 허용 및 정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를 갖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승강실린더는 다단 실린더 결합체로 마련되며, 실린더승강기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실린더를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유닛은 본체에 마련되며, 실린더승강기의 승강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조작부와, 햄머드릴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릴구동조작부와, 흡입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흡입기구동조작부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전선 또는 덕트 등의 지지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콘크리트 비산물을 용이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인건비를 포함한 시공비용을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의 간략한 정단면도,
도 3 내지 도 10은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를 이용한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도 3 내지 도 10의 시공 과정을 전체적으로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12는 종래 천장 앙카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배선 시공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1)는 시공 영역 바닥면에 대해 구름 이동하는 본체(10)와, 본체(10)로부터 천장을 향해 승강하여 천장에 앙카(61) 및 현가지지대(65)를 시공하는 천장시공유닛(20)과, 천장시공유닛(20)에 의한 앙카(61) 시공 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가루 등의 비산물을 제거하는 비산물제거유닛(30)과, 장치(1)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기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하우징(11)과, 본체하우징(11)의 구름 이동을 위한 복수의 구름롤러(13)와, 본체하우징(11)의 정지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15)를 가지고 있다.
본체하우징(11)의 내부에는 후술할 천장시공유닛(20)의 실린더승강기(22)와 비산물제거유닛(30)의 흡입기(33)가 수용 설치되며, 본체하우징(11)의 외측에는 후술할 천장시공유닛(20)의 햄머드릴(23)을 상향 가압하기 위한 가압핸들(2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하우징(11)의 일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의 기기 점검 및 수리를 위한 개패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구름롤러(13)는 본체하우징(11)의 하부 둘레단부 영역에 등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레이크(15)는 구름롤러(13)에 인접한 영역에 모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하우징(11) 하부 적어도 일영역에 단일 부품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브레이크(15)는 회동에 의해 바닥면에 접하거나 이격되어 본체하우징(11)의 임의 유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브레이크(15)가 바닥면에 접하여 본체하우징(11)의 유동을 제한하면 본체하우징(11)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후술할 천장시공유닛(20)의 햄머드릴(23) 구동 시 진동에 의한 본체(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천장시공유닛(20)은 본체하우징(11)으로부터 천장을 향해 승강하는 승강실린더(21)와, 승강실린더(21)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승강기(22)와, 승강실린더(21)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햄머드릴(23)과, 햄머드릴(23)을 상향 가압하는 드릴(51)가압수단(25)을 포함한다.
승강실린더(21)는 다단 실린더 결합체로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다단 승강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상단부에 햄머드릴(23)이 결합되는 햄머드릴결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승강기(22)는 본체하우징(11) 내에 설치되어 제어유닛(40)의 조작에 의해 승강실린더(21)를 다단 승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 형태의 실린더승강기(22)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실린더(21)의 구조는 유공압에 의한 승강 구조 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후술할 가압핸들(26)의 회전운동을 수직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래크(28)와 피니언(29) 등을 이용한 승강 구조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햄머드릴(23)은 승강실린더(21) 상단에 형성된 햄머드릴결합부(21a)에 결합되어 있다. 이 햄머드릴(23)의 선단부에는 일반적인 앙카(61) 시공에 이용되는 햄머드릴(23)과 마찬가지로 천장면에 앙카홀(H)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51)과, 천장면에 형성된 앙카홀(H)에 앙카(61)를 시공하기 위한 앙카펀치(53)와, 천장면에 결합된 앙카(61)에 너트(63)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공구(55)와, 앙카(61)에 체결된 너트(63)에 현가지지대(65)를 결합하기 위한 현가지지대체결공구(57)를 선택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는 공구결합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햄머드릴(23)은 제어유닛(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유닛(40)의 조작에 의해 그 구동이 온/오프된다.
드릴가압수단(25)은 본체하우징(11)의 외측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핸들(26)과, 가압핸들(26)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본체하우징(11) 내에 실린더승강기(22)를 소폭 승강하도록 지지하는 승강지지체(27)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핸들(26)은 일 방향 회전시 햄머드릴(23)을 천장면으로 상향 가압하고, 타 방향 회전시 햄머드릴(23)을 천장면으로부터 하향 이격시킨다. 이러한 가압핸들(26)의 회전 조작에 의한 햄머드릴(23)의 상향 가압 및 하향 이격을 위한 구조는 실린더승강기(22)를 본체하우징(11) 내에서 소폭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가압핸들(26)의 회전 조작시 실린더승강기(22)가 소폭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승강실린더(21)와 햄머드릴(23)이 전체적으로 소폭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하우징(11) 내에 실린더승강기(22)를 소폭 승강하도록 지지하는 승강지지체(27)를 마련하고, 이 승강지지체(27)와 가압핸들(26) 간에 래크(28)와 피니언(29) 등의 부품을 이용하여 가압핸들(26)의 정역 회전 조작시 실린더승강기(22)와 승강실린더(21) 및 햄머드릴(23)이 소폭 승강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햄머드릴(23)의 가압 승강 구간은 래크(28)의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비산물제거유닛(30)은 승강실린더(21) 상단에서 햄머드릴(23) 및 그 둘레 영역을 둘러싸는 비산물받이(31)와, 본체하우징(11) 내에 설치되어 비산물받이(31)로 수령되는 콘크리트 등의 비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기(33)와, 비산물받이(31)로 수령되는 비산물을 흡입기(33)로 안내하는 비산물흡입호스(35)로 구성될 수 있다.
비산물받이(31)는 상향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천장면을 향하는 외력이 전달되면 둘레면이 상하 방향으로 절첩되는 주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비산물받이(31)는 둘레면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그 상단부가 햄머드릴(23)에 드릴(51)을 결합했을 때, 적어도 드릴(51)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이 이상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비산물받이(31)의 하부에는 비산물흡입호스(35)가 연결되는 비산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기(33)는 본체하우징(11) 내에 설치되어 제어유닛(40)의 조작에 의한 그 구동이 온/오프(ON/OFF)된다. 이 흡입기(33)는 전원공급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것으로서, 그 흡입구가 비산물흡입호스(35)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비산물흡입호스(35)를 통해 흡입된 비산물을 저장하는 비산물저장부가 마련될 수 있다. 비산물저장부에 수령되는 비산물은 작업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 흡입기(33)는 구동이 온(ON)되면 비산물받이(31)에 수령되는 비산물을 비산물흡입호스(35)를 통해 흡입한다.
비산물흡입호스(35)는 플렉시블한 호스로 마련되며, 그 길이는 승강실린더(21)의 최대 상승 구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 비산물흡입호스(35)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비산물받이(31)의 비산물배출구와 흡입기(33)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어유닛(40)은 천장시공유닛(20)의 실린더승강기(22)의 승강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조작부(41)와, 햄머드릴(23)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릴(51)구동조작부(43)와, 비산물제거유닛(30)의 흡입기(33)의 구동을 제어하는 흡입기구동조작부(4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조작부(41)와 드릴(51)구동조작부(43) 및 흡입기구동조작부(45)는 본체하우징(11)에 각종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1)를 이용한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시공 위치로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1)를 이동시킨 후 브레이크(15)를 이용하여 장치(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승강실린더(21)는 도 1과 같이, 하강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햄머드릴(23)의 공구결합부(24)에 드릴(51)을 결합한다. 이때, 드릴(51)은 천장면의 재질에 대응하는 드릴(51)로서 콘크리트 천장면일 경우, 콘크리트용 드릴(51)을 이용한다.
드릴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시공 위치 바닥면에서 본체하우징(11)에 마련된 제어유닛(40)의 승강조작부(41)를 조작하여 실린더승강기(22)를 도 2와 같이, 상승 구동시켜서 햄머드릴(23)에 결합된 드릴(51)이 도 3과 같이, 천장면에 인접하도록 승강실린더(21)를 상승시킨다. 이때, 천장면의 앙카(61) 시공위치는 작업자가 작업장 바닥면에서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햄머드릴(23)이 천장면으로 상승되면, 작업자는 제어유닛(40)의 흡입기구동조작부(45) 및 드릴(51)구동조작부(43)를 조작하여 흡입기(33)와 햄머드릴(23)을 구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드릴(51)가압수단(25)의 가압핸들(26)을 서서히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 4와 같이, 드릴(51)이 천장면에 앙카(61) 시공을 위한 앙카홀(H)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비산물받이(31)는 그 상단부가 드릴(51) 둘레 영역의 천장면 하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드릴(51) 회전에 의해 천장면에 앙카홀(H)이 형성될 때 발생하는 콘크리트 등의 비산물은 비산물받이(31) 내부로 수령되면서 비산물흡입호스(35)를 통해 흡입기(33)로 흡입된다.
한편, 천장면에 앙카홀(H)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제어유닛(40)의 흡입기구동조작부(45)와 드릴(51)구동조작부(43)를 조작하여 흡입기(33)와 햄머드릴(23)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제어유닛(40)의 승강조작부(41)를 조작하여 실린더승강기(22)를 하강 구동시켜서 햄머드릴(23)이 하강하도록 승강실린더(21)를 하강시킨다.
햄머드릴(23)이 하강하면, 작업자는 햄머드릴(23)의 공구결합부(24)에 앙카펀치(53)와, 앙카볼트 또는 세트앙카(이하 '앙카'로 통칭함)를 결합한 후, 다시 제어유닛(40)의 승강조작부(41)를 조작하여 실린더승강기(22)를 상승 구동시켜서 도 5와 같이, 햄머드릴(23)에 결합된 앙카(61)가 천장면에 형성된 앙카홀(H)에 삽입되도록 승강실린더(21)를 상승시킨다.
천장면에 형성된 앙카홀(H)에 앙카(61)가 삽입되면, 작업자는 제어유닛(40)의 드릴(51)구동조작부(43)를 조작하여 햄머드릴(23)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햄머드릴(23)의 구동에 의해 도 6과 같이, 앙카펀치(53)가 앙카(61)를 타격하여 앙카홀(H) 내부에 앙카볼트 또는 세트 앙카(61)가 강력하게 고정된다.
앙카(61)의 시공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어유닛(40)의 드릴(51)구동조작부(43)를 조작하여 햄머드릴(23)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제어유닛(40)의 승강조작부(41)를 조작하여 실린더승강기(22)를 하강 구동시켜서 햄머드릴(23)이 하강하도록 승강실린더(21)를 하강시킨다.
햄머드릴(23)이 하강하면, 공구결합부(24)에서 앙카펀치(53)를 분리하고 공구결합부(24)에 다시 너트체결공구(55)와 너트(63)를 결합한다. 여기서, 너트체결공구(55)는 복스렌치 등의 복스 공구일 수 있다.
그런 다음, 햄머드릴(23)을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상승시켜서 도 7과 같이, 너트(63)가 앙카(61)에 인접하는 위치로 상승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햄머드릴(23)을 구동시키면, 도 8과 같이, 앙카(61)에 너트(63)가 체결된다.
너트(63)의 체결이 완료되면,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햄머드릴(23)을 하강시킨 후, 햄머드릴(23)의 공구결합부(24)에 현가지지대체결공구(57)와 현가지지대(65)를 결합한다. 이때, 현가지지대(65)는 달대볼트(전산볼트)일 수 있다.
그런 다음, 햄머드릴(23)을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상승시켜서 도 9와 같이, 현가지지대(65)의 상단부가 앙카(61)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63)에 인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햄머드릴(23)을 구동시키면, 도 10과 같이, 앙카(61)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63)에 현가지지대(65)가 결합 시공된다.
현가지지대(65)의 시공이 완료되면 햄머드릴(23)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햄머드릴(23)을 전술한 방법으로 하강시키면, 앙카(61)와 현가지지대(65)로 이루어진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작업 대상인 다수의 천장면 앙카 시공 영역에 대응하는 바닥면으로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1)를 이동시켜가면서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과정은 도 11에 간략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앙카홀(H)과 앙카(61) 및 너트(63)를 시공하는 과정(S01)과, 앙카(61)에 현가지지대(65)를 결합하는 과정(S02)로 간략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천장 앙카 지지체의 시공이 완료되면, 천장 배선 시공(또는 덕트 시공)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천장 배선 시공 과정은 시공되어 있는 천장 앙카 지지체의 현가지지대(65) 하부에 앵글과 트레이를 설치하고, 트레이 상에 전선케이블(또는 덕트)을 적재 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천장 배선 시공(또는 덕트 시공) 과정은 작업장 바닥에 승강리프트를 준비하고 승강리프트 상에서 앵글과 트레이 및 천장 배선(또는 덕트)을 상호 결합한 후(S11), 승강리프트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상승한 후 천장 배선(또는 덕트)이 결합된 앵글과 트레이를 현가지지대(65) 하부에 결합하는 과정(S12)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는 작업자가 승강리프트에 탑승하여 승하강 하지 않고, 작업장의 바닥면에서 햄머드릴에 공구와 자제를 교체해 가면서 햄머드릴을 승강시켜서 앙카와 현가지지대를 천장면에 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장의 다수 영역에 앙카 및 현가지지대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만을 이동시켜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천장 앙카 지지체를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천장에 앙카 시공을 위해 드릴로 앙카홀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 등의 비산물을 비산물받이로 수령하여 흡입기로 흡입함으로써, 작업자의 안면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장에 콘크리트 비산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장에 앙카 및 현가지지대를 시공하는 작업자와 승강리프트를 조작하는 작업자 및 안전 감시자가 모두 필요하지 않고, 공구와 자제를 햄머드릴에 교체하고 장치를 조작 및 이동시키는 최소한의 인력만 필요하기 때문에, 인력 및 인건비 절감이 이루어진다.
10 : 본체 13 : 구름롤러
20 : 천장시공유닛 21 : 승강실린더
22 : 실린더승강기 23 : 햄머드릴
25 : 드릴가압수단 26 : 가압핸들
30 : 비산물제거유닛 31 : 비산물받이
33 : 흡입기 35 : 비산물흡입호스
40 : 제어유닛 41 : 승강조작부
43 : 드릴구동조작부 45 : 흡입기구동조작부
51 : 드릴 53 : 앙카펀치
55 : 너트체결공구 57 : 현가지지대체결공구
61 : 앙카 63 : 너트
65 : 현가지지대

Claims (8)

  1. 천장에 앙카와 상기 앙카에 결합되는 현가지지대를 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공 영역 바닥면에 대해 구름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천장을 향해 승강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실린더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승강기와, 상기 승강실린더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햄머드릴을 갖는 천장시공유닛;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햄머드릴의 둘레 영역을 둘러싸는 비산물받이와,
    본체 내에 설치되어 비산물받이로 수령되는 비산물을 흡입하는 흡입기와,
    상기 비산물받이로 수령된 비산물을 상기 흡입기로 안내하는 비산물흡입호스를 갖는 비산물제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비산물받이는
    상향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이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절첩되는 주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천장에 인접한 위치로 상승한 햄머드릴을 상향 가압하는 드릴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드릴가압수단은
    본체의 외측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핸들과,
    상기 본체 내에서 실린더승강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압핸들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하는 승강지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기기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구름롤러와,
    상기 구름롤러의 구름이동을 허용 및 정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승강실린더는 다단 실린더 결합체로 마련되며,
    실린더승강기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실린더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제어유닛은 본체에 마련되며,
    실린더승강기의 승강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조작부와,
    햄머드릴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릴구동조작부와,
    흡입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흡입기구동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KR1020110051171A 2011-05-30 2011-05-30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KR20120132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71A KR20120132814A (ko) 2011-05-30 2011-05-30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71A KR20120132814A (ko) 2011-05-30 2011-05-30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814A true KR20120132814A (ko) 2012-12-10

Family

ID=4751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171A KR20120132814A (ko) 2011-05-30 2011-05-30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28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54B1 (ko) * 2013-07-22 2014-10-01 유진석 전산볼트 조립체
KR102070412B1 (ko) * 2019-05-24 2020-01-28 허만일 앙카의 시공이 용이한 앙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앙카 시공방법
EP3848166A1 (en) * 2020-01-07 2021-07-14 DaeMyoungGEC Co., Ltd. Construction robot for ceiling
CN113815140A (zh) * 2021-11-02 2021-12-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清市供电公司 室内电力设施安装辅助装置
KR20230042786A (ko) * 2021-09-23 2023-03-30 정성길 천정 천공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54B1 (ko) * 2013-07-22 2014-10-01 유진석 전산볼트 조립체
KR102070412B1 (ko) * 2019-05-24 2020-01-28 허만일 앙카의 시공이 용이한 앙카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앙카 시공방법
EP3848166A1 (en) * 2020-01-07 2021-07-14 DaeMyoungGEC Co., Ltd. Construction robot for ceiling
KR20230042786A (ko) * 2021-09-23 2023-03-30 정성길 천정 천공 장치
CN113815140A (zh) * 2021-11-02 2021-12-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清市供电公司 室内电力设施安装辅助装置
CN113815140B (zh) * 2021-11-02 2024-01-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清市供电公司 室内电力设施安装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2814A (ko)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JP4723983B2 (ja) エレベーターの清掃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清掃方法
WO2011152606A1 (ko) 진공흡착 이동장치
JP4796195B1 (ja) 作業用足場装置
CN106437118A (zh) 一种移动式升降机
KR101815310B1 (ko)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CN201981828U (zh) 一种升降平台式通信塔
KR20110114190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KR101556401B1 (ko) 이동식 집진장치
KR20110003780U (ko) 소방 장비 건조장치
JP2019203249A (ja) 移動式足場装置
JP2015000798A (ja) エレベータ据付用作業床装置
KR20120132901A (ko) 천장 지지체 시공 방법
JP2004183450A (ja) 塔状構造物の解体装置及び塔状構造物の解体方法
CN108657058A (zh) 无人机车载装置
KR101929753B1 (ko) 비계에 설치되는 조립용 케이블 레스 상하이송장치
CN108149912A (zh) 一种室内用自动化脚手架
KR20230000501U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KR101599698B1 (ko) 터널 작업 플랫폼
JP6620992B2 (ja) 建物の解体重機と建物の解体方法
KR20110043120A (ko) 슬라브 거푸집 해체용 하강장치
CN109250416B (zh) 一种智能建筑楼体砖块自动输送装置
CN107187998B (zh) 一种便于维修的电梯
CN108163666B (zh) 无机房电梯的紧急用驱动装置及紧急用驱动方法
KR100336342B1 (ko)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