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342B1 -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342B1
KR100336342B1 KR1019990030213A KR19990030213A KR100336342B1 KR 100336342 B1 KR100336342 B1 KR 100336342B1 KR 1019990030213 A KR1019990030213 A KR 1019990030213A KR 19990030213 A KR19990030213 A KR 19990030213A KR 100336342 B1 KR100336342 B1 KR 100336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fixing member
frame
hydraulic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023A (ko
Inventor
전진호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9003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3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 기계실에 설치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반의 승강 운전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작동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 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압 호스로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압 작동 유니트에서 유압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 로드가 구비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반을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와, 상기 유압 실린더와 고정 부재의 일측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고정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의 작동 로드 끝단을 경유하도록 와이어 로프와, 상기 고정 부재의 하단과 프레임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고정 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부재로 구성되어, 상부 기계실에 장착되는 제어반을 보수 작업시 프레임 밖으로 자동으로 양중시킬 수 있으므로써 작업자가 보수 작업을 편리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인접 부품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없애 항상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CONTROL PANEL LIFT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본 발명은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 등과 같은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에 장착되는 제어반을 보수 작업시 프레임 밖으로 자동으로 양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지하철, 오피스텔, 공항 등의 건물에는 승객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 워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 워크를 통칭하여 일명 승객 수송장치(= 시스템) 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승객 수송장치는 전체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승객이 탑승하는 스텝과, 상기 스텝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스텝을 통해 이송되는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난간 및 핸드 레일과, 상기 핸드 레일을 구동시키는 핸드 레일 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승객 수송장치에서 상부 기계실에 장착되는 제어반은 전동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이상 발생시 안전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승객 수송장치를 정지시키는 등의 승객 수송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전기적인 장치로서, 종래의 제어반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계실의 프레임(1a) 내부에 제어반(2)과 오일 펌프(20) 및 전동기(30)가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보수 작업시에는 상기 프레임(1a)의 작업 공간에 들어간 후, 제어반(2)의 도어를 열어서 보수운전을 위한 조작이나, 다른 보수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때에는 보수 작업자가 프레임(1a)의 내부에 들어가서 작업해야 하지만, 오일 펌프(20), 전동기(30) 등이 함께 조립되어 있으므로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불편하고, 승객 수송장치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고급화되면서 제어반(2)의 크기는 비례해서 커지며, 무게 또한 무거워지게 되므로 종래의 협소한 프레임(1a) 내부에 제어반(2)이 장착된 구조에서는 오일 펌프(20)나, 전동기(30) 등과의 간섭이 발생되어 제어반(2)의 도어를 여닫기가 어렵고, 협소한 작업 공간은 보수 작업자가 작업중에 돌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피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스컬레이터 등과 같은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에 장착되는 제어반을 보수 작업시 프레임 밖으로 자동으로 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수 작업을 편리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인접 부품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없앨 수 있는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에 제어반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에 제어반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제어반이 상승 및 하강시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프레임 2; 제어반
3; 유압 작동 유니트 4; 유압 호스
5; 작동 로드 6; 유압 실린더
7; 고정 부재 8; 와이어 로프
9; 승강 부재 10,11,13; 로울러
12; 지지 브라켓 14; 가이드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기계실에 설치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반의 승강 운전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작동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 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압 호스로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압 작동 유니트에서 유압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 로드가 구비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반을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와, 상기 유압 실린더와 고정 부재의 일측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고정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의 작동 로드 끝단을 경유하도록 와이어 로프와, 상기 고정 부재의 하단과 프레임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고정 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에 제어반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제어반이 상승 및 하강시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에 설치된 프레임(1)의 일측에 제어반(2)의 승강 운전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작동 유니트(3)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 내의 일측에는 유압 호스(4)로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압 작동 유니트(3)에서 유압 호스(4)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 로드(5)가 구비된 유압 실린더(6)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는 제어반(2)을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7)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6)와 고정 부재(7)의 일측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6)의 작동을 고정 부재(7)에 전달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6)의 작동 로드(5) 끝단을 경유하도록 와이어 로프(8)의 양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7)의 하단과 프레임(1)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는 유압 실린더(6)의 작동에 의해 고정 부재(7)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부재(9)가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데, 승강 부재(9)의 상단 및 하단 일측은 고정 부재(7)의 하단 및 프레임(1)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승강 부재(9)의 상단 및 하단 타측에는 각각 고정 부재(7)의 하단 및 프레임(1) 내부의 바닥면과 면접촉되어 슬라이딩되도록 로울러(10)(11)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7)의 하단 타측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12)의 끝단에는 로울러(13)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6)와 대향되는 프레임(1)에는 상기 제어반(2)이 고정된 고정 부재(7)의 승강시 지지 브라켓(12)의 로울러(13)와 면접촉되어 고정 부재(7)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1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에 설치된 프레임(1) 내부의 고정 부재(7) 상부에 제어반(2)이 도 3b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보수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제어반(2)을 상기 프레임(1)의 밖으로 양중시키고자 할 때에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작동 유니트(3)가 작동하여 유압 호스(4)를 통해 유압 실린더(6)에 유압을 공급함에 따라 유압 실린더(6)의 작동 로드(5)가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 로드(5)의 끝단을 경유하는 와이어 로프(8)에 동력이 전달되어 와이어 로프(8)가 상승하면서 고정 부재(7)를 상부로 끌어 올림에 따라 승강부재(9)가 상승하므로 상기 제어반(2)을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 밖으로 양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반(2)의 보수 작업이 완료되어 제어반(2)을 프레임(1) 내부에 안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유압 작동 유니트(3)의 작동에 의해 유압 실린더(6)의 작동 로드(5)가 하강함과 동시에, 와이어 로프(8)가 하강하면서 고정 부재(7)를 하부로 끌어 올림에 따라 승강 부재(9)가 하강하므로 제어반(2)을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6)와 승강 부재(9)의 조합은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의 협소한 내부 공간을 감안하여 유압 실린더(6)의 이송 행정에 비해 승강 부재(9)의 이송 행정이 2배가 되는 구조를 적용하므로써 유압 실린더(6)를 포함한 전체 제어반 양중장치를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부재(9)와 고정 부재(7)의 연결 구조는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서 파손시 고정 부재(7)만을 교환하면 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6)와 대향되는 프레임(1)에는 상기 제어반(2)이 고정된 고정 부재(7)의 승강시 지지 브라켓(12)의 로울러(13)와 면접촉되어 고정 부재(7)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1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어반(2)의 상승 및 하강 이동시 고정 부재(7)에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이나 틀어짐을 방지하여 항상 안정된 상태로 제어반(2)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유압 작동 유니트(3)가 아닌 에어 펌프를 이용한 공기압 등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유압 작동 유니트(3)를 승객 수송장치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 부재(7)의 하부에 유압 실린더(6)를 설치하여 유압 실린더(6)의 이송력을 직접 전달할 수도 있으며, 유압 실린더(6)에서 고정 부재(7)로 운동을 전달하는 와이어 로프(8)를 고정 부재(7)의 측면이 아닌 중앙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와이어 로프(8)를 고정 부재(7)의 측면이 아닌 승강 부재(9)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등과 같은 승객 수송장치의 상부 기계실에 장착되는 제어반을 보수 작업시 프레임 밖으로 자동으로 양중시킬 수 있으므로써 작업자가 보수 작업을 편리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인접 부품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없애 항상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상부 기계실에 설치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반의 승강 운전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작동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 내의 일측에 설치되며 유압 호스로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압 작동 유니트에서 유압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 로드가 구비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반을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와, 상기 유압 실린더와 고정 부재의 일측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을 고정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의 작동 로드 끝단을 경유하도록 와이어 로프와, 상기 고정 부재의 하단과 프레임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고정 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의 상단 및 하단 일측은 고정 부재의 하단 및 프레임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승강 부재의 상단 및 하단 타측에는 각각 고정 부재의 하단 및 프레임 내부의 바닥면과 면접촉되어 슬라이딩되도록 로울러가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와 대향되는 프레임에는 제어반이 고정된 고정 부재의 승강시 고정 부재의 하단 타측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의 로울러와 면접촉되어 고정 부재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의 이송 행정이 유압 실린더의 이송 행정의 2배가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KR1019990030213A 1999-07-24 1999-07-24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KR100336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213A KR100336342B1 (ko) 1999-07-24 1999-07-24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213A KR100336342B1 (ko) 1999-07-24 1999-07-24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023A KR20010011023A (ko) 2001-02-15
KR100336342B1 true KR100336342B1 (ko) 2002-05-13

Family

ID=1960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213A KR100336342B1 (ko) 1999-07-24 1999-07-24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0585S1 (en) 2015-05-04 2016-11-01 Razor Usa Llc Skateboard
JP1593302S (ko) 2016-09-02 2017-12-18
KR102382816B1 (ko) * 2020-08-21 2022-04-06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리프팅 장치
KR102575708B1 (ko) * 2021-08-10 2023-09-07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023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JP43538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336342B1 (ko)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KR101007540B1 (ko) 건설공사용 리프트의 비상안전장치
CN211594700U (zh) 一种升降设备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JP432343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29753B1 (ko) 비계에 설치되는 조립용 케이블 레스 상하이송장치
KR100500133B1 (ko) 차량정비 도크용 리프트
KR20020078342A (ko)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용 카
KR102382816B1 (ko)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리프팅 장치
CN217676202U (zh) 一种安全型升降货梯
CN110626923A (zh) 一种升降设备
CN108657058A (zh) 无人机车载装置
EP0924156B1 (en) Elevator with onboard driving means
CN215479030U (zh) 一种倾斜钢丝绳导向带逃生装置的风机塔筒升降机
SU1765092A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KR200218126Y1 (ko) 천정기중기용 비상리미트스위치의 자동 복구 장치
KR100350372B1 (ko) 이동보도의 플로어 자동 개폐장치
SU1766829A1 (ru) Кабельный кран
JP3613834B2 (ja) 自動倉庫用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4359374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作業用昇降阻止装置
KR100312770B1 (ko) 운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