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941B1 -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 Google Patents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941B1
KR101673941B1 KR1020160021930A KR20160021930A KR101673941B1 KR 101673941 B1 KR101673941 B1 KR 101673941B1 KR 1020160021930 A KR1020160021930 A KR 1020160021930A KR 20160021930 A KR20160021930 A KR 20160021930A KR 101673941 B1 KR101673941 B1 KR 101673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wire rope
driving
inspection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이에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이에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이에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2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철도차량의 검수 작업장에서 철도차량의 좌우 측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주행구동부에 의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구비된 승강구동부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 되며, 상기 승강부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만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비된 작업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철도차량 검수 작업장의 형태에 따라 편리하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mobile roof working platform apparatus capable of driving individually}
본 발명은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부품의 하역 작업과 함께 철도차량의 작업 위치로의 이동이 자유롭고 철도차량의 상부는 물론 측면 작업도 가능하며, 작업장의 상부 측 채광을 방해하지 않아 보다 밝고 쾌적한 공간에서 더욱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철도차량에 대한 검사, 유지보수 및 청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에 입고된 철도차량의 검사 및 유지보수는 철도차량에 상응하는 길이로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식 상부 작업대에서 이루어진다.
즉, 철도차량이 작업장에 입고되면 고정식 상부 작업대 위로 작업자가 올라가 철도차량에 대한 검사는 물론 유지보수 및 청소를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철도차량 길이에 달하는 장거리의 고정식 상부 작업대를 도보로 왕복 이동하면서 청소 및 부품 교체, 검사, 유지보수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부품 교체시 중량의 부품을 들고 부품 교체, 검사, 유지보수를 수행하거나 청소할 때 무거운 물통을 직접 들고다니면서 청소 작업을 수행해야만 됨은 물론 고정식 상부 작업대가 작업장 상부로부터의 채광을 방해함에 따라 어두운 공간을 따라 조명등까지 설치 또는 휴대해야만 되므로 작업이 힘들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으로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철도차량의 상부 측에서만 작업이 가능하고 측면에서의 작업은 불가능하므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 공수의 증가에 따른 경제성 및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83432호(2013년07월02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철도차량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 이동 및 승강 되는 한 쌍의 작업대가 상부에 구비된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후 이동시 한 쌍의 작업대가 반드시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이동식 상부 작업대가 설치되어 운영되어야 할 철도차량 검수 작업장의 형태 및 운용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한 쌍의 작업대가 반드시 함께 구동되는 구조로 인하여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부분의 일측에서만 작업이 요구되어 수행되는 경우에는 다른 부분에서는 요구되는 작업이 전혀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며 작업자의 수도 늘어나 인건비를 비롯한 제반비용도 상승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83432호(2013년07월02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철도차량 검수 작업장의 형태에 따라 편리하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철도차량의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동시에 작업이 개별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수도 줄일 수 있어 인건비를 비롯한 제반비용도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철도차량의 검수 작업장에서 철도차량의 좌우 측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주행구동부에 의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구비된 승강구동부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 되며, 상기 승강부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만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비된 작업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플랫폼은,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을 이루는 발판과, 상기 발판으로부터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진시 철도차량까지 확장되는 가동발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난간과, 상기 난간으로부터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진시 철도차량을 향해 확장되는 가동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상기 주행대차에 구비되되 상기 주행대차의 주행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호이스트 레일과, 상기 호이스트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 되며 동력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호이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철도차량의 검수 작업장에서 철도차량의 좌우 측의 상부에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주행레일;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의 일측에 각각 구비된 주행구동부에 의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각각 구비된 승강구동부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승강부; 및, 상기 한 쌍의 승강부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 되며, 상기 승강부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만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작업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철도차량 검수 작업장의 형태에 따라 편리하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부분의 일측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다른 부분에서도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등 철도차량의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동시에 작업이 개별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수도 줄일 수 있어 인건비를 비롯한 제반비용도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작업 플랫폼의 가동발판의 전후진 이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작업 플랫폼의 가동난간의 전후진 이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1)의 검수 작업장에서 철도차량(1)의 좌우 측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는 주행레일(10)과, 주행레일(10)의 일측에 구비된 주행구동부(110)에 의해 주행레일(1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주행대차(100)와, 주행대차(100)에 구비된 승강구동부(120)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200)와, 승강부(2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승강부(20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 되며 승강부(200)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만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도어(310)가 개방되도록 구비된 작업 플랫폼(3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작업 플랫폼(300)이 철도차량(1)의 좌우 측 중 어느 하나에서 철도차량(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및 승강 되도록 함으로써, 전후 이동 및 승강시 한 쌍의 작업 플랫폼(300)이 반드시 함께 움직이게 작업 플랫폼(300)이 철도차량(1)의 좌우 양측에 반드시 한 쌍으로 마련될 필요가 없게 되어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철도차량 검수 작업장의 형태에 따라 편리하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200)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 즉 작업 플랫폼(300)이 철도차량 검수 작업장의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에서만 진입도어(310)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플랫폼(300)이 철도차량 검수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범위 이상 이격 되어 있을 때에는 진입도어(310)의 개방으로 작업자가 작업 플랫폼(30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철도차량(1)의 검사, 유지보수 및 청소 등의 작업이 보다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주행레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1)의 검수 작업장에서 철도차량(1)의 좌우 측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철도차량(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나란한 한 쌍 중 어느 일측에는 주행대차(100)에 연결되어 주행대차(100)의 이동시 주행대차(100)와 함께 이동되며 주행대차(100)의 전후 이동을 구동하는 주행구동부(110)가 구비된다.
주행대차(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형의 최 외곽의 틀을 형성하며 주행레일(10)의 하부에 구비된 외곽 프레임(101)과, 외곽 프레임(101)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 프레임(103)과, 외곽 프레임(101)의 상부에 설치되며 주행레일(10) 상에서 주행대차(100)의 수평 전후 이송을 구동하는 주행구동부(110)와, 내부 프레임(103)의 상부에 설치되며 승강부(200)의 수직 승강 이송을 구동하는 승강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주행구동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설치된 한 쌍의 주행레일(1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동력에 의해 복수 개의 후술할 주행롤러(113)가 주행레일(10)을 따라 구름 접촉하면서 주행대차(100)가 왕복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주행구동모터(111)와, 주행레일(1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 개의 주행롤러(113)를 갖는 롤러 조립체(11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주행구동모터(111)의 구동에 의해 복수 개의 주행롤러(113)가 주행레일(10)을 따라 구름 접촉하면서 주행대차(100)가 주행레일(10) 상에서 철도차량(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하여 주행대차(100)의 하부에 구비된 작업 플랫폼(300)이 철도차량(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작업이 수행될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대차(100)의 상부에 구비된 승강구동모터(121)와, 승강구동모터(121)의 회전축에 일측이 연결되어 승강구동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윈치(125)와, 전동윈치(125)에 감겨 승강구동모터(121)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이 이뤄지는 와이어로프(127)와, 전동윈치(125)의 타측에 연결 설치되어 승강구동모터(121)의 회전 구동력을 저장하고 회전 구동력을 높여주는 풀리(129)와, 내부 프레임(103)에 고정설치되고 와이어로프(127)가 끼워져 와이어로프(127)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회전되어 와이어로프(127)의 당김과 풀림을 지지하며 와이어로프(127)의 당김 또는 풀림이 주행대차(100)에 대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뤄지도록 변경하는 고정 도르래(1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승강구동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전동윈치(125)에 감겨 있던 와이어로프(127)가 수직방향으로 당김 또는 풀림 되면서 하단에 작업 플랫폼(300)이 구비된 승강부(200)가 주행대차(100)에 대해 수직으로 승강 되도록 함으로써, 승강구동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작업 플랫폼(300)이 주행대차(100)에 대해 수직으로 승강 되도록 하여 철도차량(1)의 측면 하부나 측면 중간 또는 상부 측 등에서의 작업이 자유자재로 이뤄지도록 작업 플랫폼(300)이 철도차량(1)의 높이에 따라 작업이 수행될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대차(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주행대차(10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게 마련된 제1 관체(210)와, 제1 관체(210)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와이어로프(127)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는 제2 관체(220)와, 제2 관체(220)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와이어로프(127)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는 제3 관체(230)와, 제3 관체(230)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와이어로프(127)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며 와이어로프(127)가 끼워져 통과되는 관체 도르래(241)가 설치된 제4 관체(240)와, 제1 관체(210) 및 제2 관체(220)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1 케이블 덕트(215)와, 제2 관체(220) 및 제3 관체(230)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2 케이블 덕트(225)와, 제3 관체(230) 및 제4 관체(240)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3 케이블 덕트(23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승강부(200)가 어느 하나의 관 부재가 다른 하나의 관 부재 속에 끼워져 절첩식으로 신축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승강구동부(120)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로프(127)가 전동윈치(125)에 감기게 되어 당겨지게 되면 제4 관체(240)가 점점 상승 되면서 작업 플랫폼(300)도 상승하며 제3 관체(230) 및 제2 관체(220)도 점차 상승하게 되고, 승강구동부(120)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로프(127)가 전동윈치(125)에서 풀리게 되면 제4 관체(240)가 점점 하강 되면서 작업 플랫폼(300)도 하강하며 제3 관체(230) 및 제2 관체(220)도 점차 하강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플랫폼(300)의 승강이 후술할 제어부(700)나 리미트 스위치를 통한 제어에 의해 정밀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승강부(200)에 의한 작업 플랫폼(300)의 승강 동작이 유연하고 부드럽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3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1)에 배향된 위치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진입도어(310)와,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을 이루는 발판(320)과, 발판(320)으로부터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진시 철도차량(1)까지 확장되는 가동발판(330)과, 발판(320)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난간(360)과, 난간(360)으로부터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진시 철도차량(1)을 향해 확장되는 가동난간(370)과, 철도차량(1)에 대향 된 위치에 구비되어 가동발판(330)의 전개시 작업자가 철도차량(1) 측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작업도어(38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동발판(330)의 전개에 의해 작업자가 철도차량(1)에 접근하는 바닥공간이 확장되도록 할 수 있고, 가동난간(370)의 전개에 의해 작업자가 철도차량(1)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에 추락 등의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복에 구비된 후크와 같은 안전 보호구를 가동난간(370) 측에 걸어두고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안전규정 등이 확실히 준수되도록 할 수 있다.
가동발판(3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20)의 하부에 구비된 발판구동부(340)에 의해 확장 및 복귀되어 전후진 되며, 래크(341)와 피니언(343)을 통해 발판구동부(340)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즉, 가동발판(330)의 확장 및 복귀는 래크(341) 및 피니언(343)에 의한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래크(341)는 가동발판(330)에 설치되고, 피니언(343)은 발판(3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래크(341)에 치합되고 모터를 포함하는 발판구동부(340)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가동난간(3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360)의 하부에 구비된 난간구동부(361)에 의해 확장 및 복귀되어 전후진 되며, 난간구동부(361)는 발판구동부(340)와 마찬가지로 래크 및 피니언 전동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난간(370)은 난간구동부(361)에 의해 자동으로 전후진 구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수동 방식으로 전후진 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360)의 일측에는 비상시 작업자가 작업 플랫폼(300)에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로프식 비상사다리(3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를 철도차량(1)의 좌우 측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좌우 양측에 철도차량(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을 이루도록 하되 상호 분리되게 설치하면, 철도차량(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부분의 일측(예컨대, 전방)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다른 부분(예컨대, 후방)에서도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등 철도차량(1)의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동시에 작업이 개별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대차(100)에 구비되되 주행대차(100)의 주행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호이스트 레일(400)과, 호이스트 레일(40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 되며 동력에 의해 호이스트 레일(400)을 따라 주행하는 호이스트(410)를 더 포함한다.
호이스트(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역 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서, 호이스트 레일(400)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 개의 호이스트 롤러를 가지며, 호이스트 롤러는 호이스트 주행모터와 연결되어 호이스트 주행모터의 동력에 의해 호이스트 레일(400)을 따라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호이스트 롤러의 하부 측에는 호이스트 와이어가 권선된 호이스트 드럼(411)이 구비되고, 호이스트 와이어의 단부 측에는 걸고리(413)가 구비되며, 호이스트 드럼(411)은 호이스트 권취모터와 연결되어 호이스트 권취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어 호이스트 와이어의 걸고리(41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120)에 구비된 승강 리미트 스위치(123)와, 발판구동부(340)에 구비된 발판 리미트 스위치(350) 및 발판 차량 접촉센서(351)와, 난간구동부(361)에 구비된 난간 리미트 스위치(363) 및 난간 차량 접촉센서(367)와, 진입도어(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진입도어(310)의 개폐를 단속하는 진입도어 잠금부(315)와, 작업도어(38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작업도어(380)의 개폐를 단속하는 작업도어 잠금부(385)와, 진입도어 잠금부(315) 및 작업도어 잠금부(3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작업 플랫폼(300)의 승강시 진입도어(310) 및 작업도어(3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승강 리미트 스위치(123) 및 진입도어 잠금부(315)에 의해 승강부(200)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 즉 작업 플랫폼(300)이 철도차량 검수 작업장의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에서만 진입도어(310)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진입도어(310)가 잠겨있는 경우에만 작업 플랫폼(300)이 승강 되며, 승강시 또는 승강 정지위치에서 진입도어(310)는 항상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작업 플랫폼(300)의 승강시 작업자가 작업 플랫폼(300)에서 추락할 위험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판 리미트 스위치(350) 및 발판 차량 접촉센서(3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동발판(330)의 완전 전개시 또는 가동발판(330)이 철도차량(1)과 접촉시에만 작업도어(380)가 개방되게 작업도어 잠금부(385)에 의한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철도차량(1) 측으로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더욱 안전하게는, 난간 리미트 스위치(363) 및 난간 차량 접촉센서(36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도 가동발판(330) 뿐만 아니라 가동난간(370)의 완전 전개시 또는 가동난간(370)이 철도차량(1)과 접촉시에만 작업도어(380)가 개방되게 작업도어 잠금부(385)에 의한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발판 리미트 스위치(350) 및 난간 리미트 스위치(363)에 의해 가동발판(330)과 가동난간(370)이 모두 복귀되어 원래의 상태로 접혀진 상태에서만 작업 플랫폼(300)이 승강되고 주행대차(100)가 전후 이송되도록 승강구동부(120) 및 주행구동부(11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가동발판(330) 및 가동난간(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개된 상태에서 승강부(200)가 승강 되거나 주행대차(100)가 전후 이송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가 파손되거나 철도차량(1)과 충돌되는 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에는 발판 차량 접촉센서(351), 난간 차량 접촉센서(367) 및 감지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진입도어 잠금부(315), 작업도어 잠금부(385), 주행구동부(110), 승강구동부(120), 발판구동부(340) 및 난간구동부(361)를 제어하는 제어부(7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1)의 검수 작업장에서 철도차량(1)의 좌우 측의 상부에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주행레일(10)과, 한 쌍의 주행레일(1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된 주행구동부(110)에 의해 주행레일(10)을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주행대차(100)와, 주행대차(100)에 각각 구비된 승강구동부(120)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승강부(200)와, 한 쌍의 승강부(200)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승강부(20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 되며 승강부(200)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만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도어(310)가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작업 플랫폼(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의 각 구성들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의 각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각각의 리미트 스위치들이나 감지부(500), 제어부(700)는 철도차량(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을 이루도록 하되 상호 분리되게 설치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에 각각 별도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부분의 일측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다른 부분에서도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등 철도차량(1)의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동시에 작업이 개별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수도 줄일 수 있어 인건비를 비롯한 제반비용도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주행레일 100 : 주행대차
110 : 주행구동부 120 : 승강구동부
200 : 승강부 300 : 작업 플랫폼
310 : 진입도어 320 : 발판
330 : 가동발판 360 : 난간
370 : 가동난간 400 : 호이스트 레일
410 : 호이스트

Claims (5)

  1. 철도차량의 검수 작업장에서 철도차량의 좌우 측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의 일측에 구비된 주행구동부에 의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구비된 승강구동부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 되며, 상기 승강부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만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비된 작업 플랫폼;
    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주행대차의 상부에 구비된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윈치와, 상기 전동윈치에 감겨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이 이뤄지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전동윈치의 타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저장하고 회전 구동력을 높여주는 풀리와, 상기 주행대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끼워져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과 풀림을 지지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이 상기 주행대차에 대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뤄지도록 변경하는 고정 도르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주행대차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주행대차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게 마련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는 제2 관체와, 상기 제2 관체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는 제3 관체와, 상기 제3 관체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끼워져 통과되는 관체 도르래가 설치된 제4 관체와, 상기 제1 관체 및 제2 관체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1 케이블 덕트와, 상기 제2 관체 및 제3 관체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2 케이블 덕트와, 상기 제3 관체 및 제4 관체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3 케이블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플랫폼은,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을 이루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된 발판구동부에 의해 상기 발판으로부터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진시 철도차량까지 확장되는 가동발판과,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난간과, 상기 난간의 하부에 구비된 난간구동부에 의해 상기 난간으로부터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진시 철도차량을 향해 확장되는 가동난간과, 철도차량에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발판의 전개시 작업자가 철도차량 측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작업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에 구비된 승강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발판구동부에 구비된 발판 리미트 스위치 및 발판 차량 접촉센서와,
    상기 난간구동부에 구비된 난간 리미트 스위치 및 난간 차량 접촉센서와,
    상기 진입도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입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진입도어 잠금부와,
    상기 작업도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작업도어 잠금부와,
    상기 진입도어 잠금부 및 작업도어 잠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 플랫폼의 승강시 상기 진입도어 및 작업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3. 삭제
  4. 삭제
  5. 철도차량의 검수 작업장에서 철도차량의 좌우 측의 상부에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주행레일;
    상기 한 쌍의 주행레일의 일측에 각각 구비된 주행구동부에 의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에 각각 구비된 승강구동부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승강부; 및
    상기 한 쌍의 승강부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 동작에 따라 승강 되며, 상기 승강부가 하부로 최대 전개된 상태에서만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도어가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작업 플랫폼;
    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주행대차의 상부에 구비된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윈치와, 상기 전동윈치에 감겨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이 이뤄지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전동윈치의 타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저장하고 회전 구동력을 높여주는 풀리와, 상기 주행대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끼워져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과 풀림을 지지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이 상기 주행대차에 대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뤄지도록 변경하는 고정 도르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주행대차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주행대차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게 마련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는 제2 관체와, 상기 제2 관체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는 제3 관체와, 상기 제3 관체의 내부에 상부가 끼워져 상기 와이어로프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끼워져 통과되는 관체 도르래가 설치된 제4 관체와, 상기 제1 관체 및 제2 관체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1 케이블 덕트와, 상기 제2 관체 및 제3 관체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2 케이블 덕트와, 상기 제3 관체 및 제4 관체의 사이에 동력선과 제어선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3 케이블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1020160021930A 2016-02-24 2016-02-24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101673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30A KR101673941B1 (ko) 2016-02-24 2016-02-24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30A KR101673941B1 (ko) 2016-02-24 2016-02-24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41B1 true KR101673941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930A KR101673941B1 (ko) 2016-02-24 2016-02-24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4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39B1 (ko)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사육 시스템
KR101946833B1 (ko)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KR101946828B1 (ko) 2017-09-25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WO2020156543A1 (zh) * 2019-02-03 2020-08-06 北京新联铁集团股份有限公司 轨道交通机车车辆巡检装置及系统
KR20210060799A (ko) 2019-11-19 2021-05-27 김수연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KR102262182B1 (ko) * 2021-03-02 2021-06-08 (주)다성테크놀로지 철도차량 점검 작업대
KR20230099082A (ko) 2021-12-27 2023-07-04 송근상 기본 공구 통합 실습 교육용 작업대
CN116537814A (zh) * 2023-05-12 2023-08-04 石家庄铁道大学 隧道检修作业升降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102A (ko) * 2008-05-22 2009-11-26 방효무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KR100974248B1 (ko) * 2010-04-14 2010-08-05 김지수 대차 도장장치
KR101283432B1 (ko) 2012-11-27 2013-07-08 민선미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102A (ko) * 2008-05-22 2009-11-26 방효무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KR100974248B1 (ko) * 2010-04-14 2010-08-05 김지수 대차 도장장치
KR101283432B1 (ko) 2012-11-27 2013-07-08 민선미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28B1 (ko) 2017-09-25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KR101946839B1 (ko)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사육 시스템
KR101946833B1 (ko)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WO2020156543A1 (zh) * 2019-02-03 2020-08-06 北京新联铁集团股份有限公司 轨道交通机车车辆巡检装置及系统
KR20210060799A (ko) 2019-11-19 2021-05-27 김수연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KR102262182B1 (ko) * 2021-03-02 2021-06-08 (주)다성테크놀로지 철도차량 점검 작업대
KR20230099082A (ko) 2021-12-27 2023-07-04 송근상 기본 공구 통합 실습 교육용 작업대
CN116537814A (zh) * 2023-05-12 2023-08-04 石家庄铁道大学 隧道检修作业升降平台
CN116537814B (zh) * 2023-05-12 2023-11-21 石家庄铁道大学 隧道检修作业升降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101176491B1 (ko) 모노레일 궤도용 선로 작업차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EP3909897A1 (en) Elevator car, elevator and method
JP2007063021A (ja) 保守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の保守のための方法
JP468402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KR1005723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263650B2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CN114829288A (zh) 电梯装置和方法
CN100595124C (zh) 垂直升降机
KR101757193B1 (ko) Lng 운반선 화물창 작업용 리프트 장치
WO2004048245A1 (ja) エレベータ装置
DE102006045499A1 (de) Fahrkorbschürze mit Sicherheitsfunktion
KR101743095B1 (ko) 곤돌라용 승강장치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18813174U (zh) 一种固定式梁底检查车
KR200418475Y1 (ko)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JP6970552B2 (ja) 作業用防護装置
ITBO20090185A1 (it) Piattaforma transelevatrice per interventi di manutenzione sull'imperiale di locomotori posti su due binari affiancati, uno dei quali puo' rimanere elettricamente servito.
JP2900728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US10407934B2 (en) Safety barrier for automated vehicle parking facility
KR20220013146A (ko) 철도차량용 발판장치
JP6340050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用制御盤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