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475Y1 -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475Y1
KR200418475Y1 KR2020060005706U KR20060005706U KR200418475Y1 KR 200418475 Y1 KR200418475 Y1 KR 200418475Y1 KR 2020060005706 U KR2020060005706 U KR 2020060005706U KR 20060005706 U KR20060005706 U KR 20060005706U KR 200418475 Y1 KR200418475 Y1 KR 200418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upper frame
floor
tra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용
Original Assignee
하람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람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람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5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Abstract

본 고안은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시간 동안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 및 이송이 용이하게 구성되며, 작업이 편리하도록 선로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로보다 높게 위치한 승강장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한 작업대에 있어서, 일단에 장착된 제1바퀴가 선로에 안착되며 타단에 장착된 제2바퀴가 승강장 바닥에 접하도록 중간이 절곡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승강장 바닥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의 바닥 쪽으로 선회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 테두리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안내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승강장 바닥으로 선회하였을 때에 상기 승강장의 바닥과 대응하는 면에 한 개 이상 장착된 제3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선로, 승강장, 작업대, 바퀴, 프레임, 선회, 전동윈치

Description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Working Station for Platform Repair and Inspe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승강장 점검 및 보수작업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업대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작업대를 선로에서 철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힌지결합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연결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작업대에 전동윈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사다리 7 : 바닥
100 : 작업대 110 : 하부 프레임
115, 117, 127 : 바퀴 120 : 상부 프레임
130 : 힌지 140 : 안내대
150 : 연결관 160 : 전동윈치
본 고안은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시간 동안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 및 이송이 용이하게 구성되며, 작업이 편리하도록 선로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지하철 또는 전철 등과 같은 선로에는 승객이 차량에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승강장이 선로보다 높게 설치되고, 차량이 선로를 따라 주행하다가 승강장에 멈추면, 승객은 승강장을 통해 차량에 승하차한다.
이와 같은 승강장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지나가지 않은 시간에 신속하게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점검 및 보수작업 중에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해 오면 방해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작업도구 및 장비들을 선로에서 철수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승강장 점검 및 보수작업은 작업 진행이 어려운 관계로 일반적으로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야간에 작업이 이루어지지만, 야간에도 청소차량 및 선 로 보수차량 등 다양한 차량이 승강장을 지나가기 때문에 야간에도 작업 진행이 원활하지 못하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이 진행하지 않는 시간동안에 많은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승강장 점검 및 보수작업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해 사다리(1)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사다리(1)의 하단을 승강장에 가까운 선로(3)에 지지하고, 사다리(1)의 상단을 승강장 천장(5)에 지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사다리(1)를 타고 올라가 승강장을 점검 및 보수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사다리(1)에 올라가 작업함에 있어서, 사다리(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지 않아, 자칫 추락의 위험이 있다.
또한 사다리(1)는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작업장소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1)에서 내려온 후에 사다리(1)를 들고 이동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는 승강장 점검 및 보수용 대차가 개발되었다. 대차는 한 쌍의 선로에 안착되어 굴러가는 4개 이상의 바퀴를 갖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대차에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는 있으나,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해 오면, 대차는 승강장을 이탈하여 선로 교차지점까지 이동하여 차량이 진행할 수 있도록 피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어 비효율적이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 안된 것으로서, 지하철 승강장을 점검 및 보수함에 있어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작업할 수 있는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는 안정적인 구조를 갖고 있으면서도 선로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대에 위치한 상태로 점검 및 보수지점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진입할 시에 선로에서 작업대를 용이하게 철수하여 차량이 진행함에 있어 방해하거나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로보다 높게 위치한 승강장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한 작업대에 있어서, 일단에 장착된 제1바퀴가 선로에 안착되며 타단에 장착된 제2바퀴가 승강장 바닥에 접하도록 중간이 절곡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승강장 바닥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의 바닥 쪽으로 선회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 테두리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안내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승강장 바닥으로 선회하였을 때에 상기 승강장의 바닥과 대응하는 면에 한 개 이상 장착된 제3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은 다수 개의 수직 빔과 수평 빔들이 연결된 다면체 구조이며, 상기 수직 빔은 그 중간이 절단된 상태로 연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상호 연결되거나 분리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절단되어 상호 마주하는 상기 수직 빔을 감싸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각각의 수직 빔을 관통해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승강장 바닥에 위치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 바닥으로 선회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은 직육면체 구조로서, 상기 안내대 3개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 3모서리에 경첩으로 연결되되, 상기 승강장과 대응하지 않는 쪽의 3모서리에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에는 사다리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에는 전동윈치가 고정되고, 상기 전동윈치에서 연장된 와이어는 상부 프레임의 상부 쪽으로 진행한 후, 상부에 설치된 도르래를 감싼 다음, 하부 프레임 쪽으로 연장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업대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작업대를 선로에서 철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힌지결합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의 연결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는, 승강장의 바닥(7)에 일단이 수평하게 위치하고 타단은 선로(3)에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중간부가 수직하게 절곡된 하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110)에 일측이 힌지(130) 결합되어 승강장 쪽으로 선회하는 상부 프레임(120) 및,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양단과 상부 프레임(120)의 측면에 장착된 다수 개의 바퀴(115, 117, 127)들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보이듯이, 하부 프레임(110)은 중간부가 절곡된 한 쌍의 절곡 빔(111)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다수 개의 연결 빔(113)이 상기 두 절곡 빔(111)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 빔(111)의 양단에는 제1, 제2 바퀴(115, 117)가 각각 장착되는데, 선로(3) 쪽에 위치한 절곡 빔(111)의 일단에 장착된 제1 바퀴(115)는 선로(3)에 안착되어 선로(3)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바퀴(115)가 선로(3)에 안착된 상태에서, 절곡 빔(111)의 타단에 장착된 제2 바퀴(117)는 승강장 바닥(7)과 접하여 굴러가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부 프레임(110)에 있어서, 절곡 빔(111)의 수평부에 상부 프레임(120)이 연결된다.
상부 프레임(120)은 수직 빔(121V)과 수평 빔(121H)들이 연결된 직육면체의 구조로서, 상부 프레임(120)의 측면에는 사다리(123)가 용접되어 작업자가 사다리(123)를 타고 상부로 올라갈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20)의 측면에는 브레이싱 부재(125)가 고정되어 상부 프레임(120)을 보강한다.
이와 같은 직육면체 구조의 상부 프레임(120)은 하부 프레임(110)과 힌지(130) 결합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의 절곡 빔(111) 중에서 승강장 바닥(7)에 위치한 일단에 상부 프레임(120)이 힌지(130)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10)이 힌지(130) 결합됨에 따라 힌지(130)를 중심으로 상부 프레임(120)이 승강장 바닥(7) 쪽으로 선회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120)이 승강장 쪽으로 선회하였을 때에, 승강장 바닥(7)과 마주하는 상부 프레임(120)의 일측면에는 다수 개의 제3 바퀴(127)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20)이 승강장 바닥(7)쪽으로 선회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20)은 제3 바퀴(127)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부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발판(129)이 고정되어, 작업자가 상부 프레임(120)의 발판(129)에 위치하여 작업 가능하다. 또한 상부 프레임(1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20)이 상단 4모서리 중에서 3모서리에 해당하는 수평 빔(121H)에는 안내대(140)가 경첩(141)으로 상부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안내대(140)는 필요에 따라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로 수직하게 위하여 상부 프레임(120)의 상면에 위치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대부분 승강장의 천장(5)을 점검 및 보수하는 것으로서, 안내대(140)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장 천장(5)과 접하지 않는 다른 수평 빔(121H)에 장착된다. 안내대(140)가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방향을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걸쇠(도면에 도시 안 됨.) 등으로 안내대(140)끼리 연결하여 안내대(140)가 하부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20)의 중간은 둘로 분리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직육면체 구조의 상부 프레임(120)에 있어서, 4개의 수직 빔(121V)의 길이 중간이 절단된 상태로 연결관(150)에 의해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20)이 둘로 분리되게 구성한 이유는 작업대(100)를 이동할 시에 용이하게 분리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관(150)의 상하단에는 각각 관통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51)에 대응하여 절단된 수직 빔(121V)의 중간에는 상기 관통공(151)에 대응하여 암나사공(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관(150)의 안쪽에 수직 빔(121V)을 위치하고, 볼트(153)를 상기 관통공(151)에 삽입하여 암나사공(122)에 체결하면 둘로 분리된 상부 프레임(120)은 하나로 조립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대(100)에 부가적인 장치로서, 도 7에 보이듯이, 중량의 부자재를 들어올릴 수 있게 전동윈치(160)를 상부 프레임(120)의 하단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20)의 외측에 도르래(163)를 고정하고, 전동윈치(160)에서 풀린 와이어(161)가 도르래(163)를 감싸 부자재를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65는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 환용 도르래이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의 설치 및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100)를 선로(3)에 설치한다. 이때 하부 프레임(110)의 제1 바퀴(115)가 선로(3)에 안착되고, 제2 바퀴(117)가 승강장 바닥(7)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상부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10)에 세워져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작업대(100)를 이용하여 승강장을 점검 및 보수하거나 장비를 설치할 경우에, 작업자는 중량의 부자재들을 상부 프레임(120)에 올려놓고 선로(3)를 따라 작업대(100)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한다. 만약, 승강장의 천장(5)을 점검 및 보수, 또는 장비를 설치할 경우에는 3개의 안내대(140)를 상부로 선회하여 세우고, 걸쇠 등으로 안내대(140)를 연결하여 안내대(140)가 하부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막는다. 작업자는 상부 프레임(120)의 사다리(123)를 이용하여 발판(129)에 위치한 안전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장의 천장(5)을 점검 및 보수 그리고 설치작업을 한다.
이때 중량의 부자재를 상부 프레임(120)의 상부로 올려야 할 경우에 와이어(161)에 부자재를 걸고, 전동윈치(160)를 가동하여 부자재를 상부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작업하던 중에,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해 올 경우에,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속하게 안내대(140)를 풀어 상부 프레임(120)의 외측으로 선회시키고, 상부 프레임(120)을 승강장 쪽으로 당긴다. 그러면, 상부 프레임 (120)은 힌지(130)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승강장 쪽으로 선회하게 되고, 상부 프레임(120)은 제3 바퀴(127)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승강장 바닥(7)에 놓여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20)은 승강장 안쪽으로 당겨 이동시키면, 하부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20)을 따라 승강장 바닥(7)으로 올라온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이 승강장 바닥(7)으로 올려진 상태에서도 제2 바퀴(117)는 승강장 바닥(7)에 접해 위치하며, 작업자는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10)을 승강장 안쪽으로 이동시켜 진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차량이 상기 승강장을 지나간 후에는 작업대(100)를 승강장으로 철수시킨 순서의 역순으로 작업대(100)를 선로(3)에 설치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는 하부 프레임의 4개의 바퀴가 승강장 바닥과 선로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정적인 상태의 작업대에 올라가 작업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프레임의 발판에 올라가 작업할 경우에는 추락을 방지하도록 안내대를 설치함으로써, 추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는 중량의 부자재를 작업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의 바퀴가 승강장 바닥과 선로에 안착되어 굴러감으로써, 부자재를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대에 올라간 상태로 이동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는 중량의 부자재를 들 어올릴 수 있는 전동윈치를 장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본 고안의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는 승강장 점검 및 보수작업 시에 차량이 승강장으로 진입해 오면, 승강장 안쪽으로 작업대를 당겨 차량과의 충돌을 피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대의 설치 및 철수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더 길게 가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선로보다 높게 위치한 승강장을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한 작업대에 있어서,
    일단에 장착된 제1바퀴가 선로에 안착되며 타단에 장착된 제2바퀴가 승강장 바닥에 접하도록 중간이 절곡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승강장 바닥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의 바닥 쪽으로 선회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 테두리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안내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승강장 바닥으로 선회하였을 때에 상기 승강장의 바닥과 대응하는 면에 한 개 이상 장착된 제3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다수 개의 수직 빔과 수평 빔들이 연결된 다면체 구조이며, 상기 수직 빔은 그 중간이 절단된 상태로 연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상호 연결되거나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절단되어 상호 마주하는 상기 수직 빔을 감싸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각각의 수직 빔을 관통해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승강장 바닥에 위치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 바닥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직육면체 구조로서, 상기 안내대 3개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 3모서리에 경첩으로 연결되되, 상기 승강장과 대응하지 않는 쪽의 3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에는 사다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에는 전동윈치가 고정되 고, 상기 전동윈치에서 연장된 와이어는 상부 프레임의 상부 쪽으로 진행한 후, 상부에 설치된 도르래를 감싼 다음, 하부 프레임 쪽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KR2020060005706U 2006-03-02 2006-03-02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KR200418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06U KR200418475Y1 (ko) 2006-03-02 2006-03-02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06U KR200418475Y1 (ko) 2006-03-02 2006-03-02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475Y1 true KR200418475Y1 (ko) 2006-06-12

Family

ID=4176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706U KR200418475Y1 (ko) 2006-03-02 2006-03-02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4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218B1 (ko) 2012-03-21 2013-08-16 주식회사 에스더블유비앤씨 데크 탈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218B1 (ko) 2012-03-21 2013-08-16 주식회사 에스더블유비앤씨 데크 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7372B (zh) 具有维护窗的电梯轿厢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20110002632A (ko) 접이식 핸드레일
KR101747707B1 (ko) 자기부상철도 레일 점검 및 보수용 작업차
KR100591111B1 (ko) 스태커 크레인
KR20170118404A (ko)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JP5769961B2 (ja) 構造物の架設方法及び撤去方法
JP6167025B2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KR20160109081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KR200418475Y1 (ko)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KR102262182B1 (ko) 철도차량 점검 작업대
CN108217405B (zh) 作业平台装置
RU2566126C2 (ru)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поточной линии, сборочный прицеп, буксирная тяга, тяжелая машина, установленная на сборочном прицепе, и поточная линия
KR102411789B1 (ko) 레일용 고소작업차의 전도방지 시스템
US5685392A (en) Multiple lift platform with lateral movement
KR101820954B1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JP2007290826A (ja) 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入方法と構成部品搬出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乗客コンベア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出入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2132542B1 (ko) 물류운반용 낙하방지 안전 곤돌라
KR20100128125A (ko) 교량의 이동식 점검시설용 탑승장치
CN111251468A (zh) 搅拌车及其爬梯装置
JP2017071488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102580297B1 (ko) 작업자의 탑승이 가능하고 교축방향의 주행이 가능한교량 시공작업용 주행 대차
KR100932287B1 (ko) 작업대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