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404A -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404A
KR20170118404A KR1020160046133A KR20160046133A KR20170118404A KR 20170118404 A KR20170118404 A KR 20170118404A KR 1020160046133 A KR1020160046133 A KR 1020160046133A KR 20160046133 A KR20160046133 A KR 20160046133A KR 20170118404 A KR20170118404 A KR 20170118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way vehicle
inspection
footrest
safety
safety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원
조재익
김창윤
김한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6004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8404A/ko
Publication of KR2017011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의 고정발판 하부에 내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안전발판을 구비함으로써, 철도차량의 지붕과 검수작업대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 예방 효과가 있으며, 모든 철도차량에 호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광범위한 사용이 가능한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AUTO SAFETY FOOTHOLD FOR A RAILWAY VEHICLE ROOF INSPEC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의 고정발판 하부에 내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안전발판을 구비함으로써, 철도차량의 지붕과 검수작업대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 예방 효과가 있으며, 모든 철도차량에 호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광범위한 사용이 가능한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지붕에는 에어컨을 포함하는 공조장치 및 공기정화장치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의 운행을 위해 전기를 공급받는 집전장치 등이 설치된다.
위와 같이, 철도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장치가 고장이 나거나, 파손시에는 철도차량의 운행에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지속적인 점검과 보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 지붕의 검수를 위해 정비역사에는 철도차량의 높이와 길이에 대응되는 구성의 벽체구조물이 양측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벽체구조물의 상부로 올라간 후, 철도차량의 지붕으로 이동하여 설치된 장치들을 점검 및 보수하게 된다.
상기 벽체구조물은 철도차량의 종류에 호환되게 형성되지만, 다양한 철도차량의 크기와 호환되는 벽체구조물을 모두 설치할 수 없으며, 정비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철도차량의 종류에 호환되지 않은 벽체구조물은 철도차량과 이격이 발생하게 된다.
철도차량의 지붕과 벽체구조물간의 이격은 작업자가 철도차량의 지붕으로 뛰어넘어 이동하게 되며, 이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포함하는 안전사고 문제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지붕검수에 있어서, 철도차량과 검수작업대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여 추락사고 등을 포함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의 이동에 있어 유압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조작자가 직접 원하는 만큼 이동가능하여 모든 철도차량에 호환이 가능한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 뿐만 아니라,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철도차량 지붕의 검수를 위해 형성되며, 기둥을 형성하는 하부구조물과 작업대를 형성하는 철골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구조물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발판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에 구비되는 발판대로서, 상기 고정발판대 하부의 내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전발판대;와 상기 안전발판대의 인입 및 인출을 조절하고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 일측에 형성되는 조작대;와 상기 조작대의 작동에 대응되어 상기 안전발판대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유니트;와 상기 유압유니트의 작동에 대응되어 상기 안전발판대를 인입 및 인출 시키며,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 상부구조물의 측면과 상기 안전발판대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조작대는 조이스틱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 내측의 제1고정판에 형성된 제1고정대와 상기 안전발판대 하부의 제2고정판에 형성된 제2고정대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압실린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상기 안전발판대의 인입과 인출 및 하중의 지지를 위한 슬라이딩바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바는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의 상부구조물 측면과 상기 안전발판대 하부 일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상기 안전발판대의 인입 및 인출의 이동경로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철골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상기 안전발판대가 인출되면 경광등이 동작하는 안전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대(20)는 끝단에 철도차량의 인접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를 이용한 철도차량의 지붕검수에 있어서, 철도차량과 검수작업대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여 추락사고 등을 포함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자동 안전발판대의 이동에 있어 유압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조작자가 직접 원하는 만큼 이동가능하여 모든 철도차량에 호환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철도차량 뿐만 아니라,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가 인입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가 인출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가 인입 및 인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를 개략적으로 나태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에 안전장치가 포함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가 인입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가 인출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가 인입 및 인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를 개략적으로 나태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에 안전장치가 포함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안전발판대를 이용한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는 철도차량의 지붕에서의 안전한 작업을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안전발판대를 이용한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는 기둥을 형성하는 하부구조물과, 작업대를 형성하는 철골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구조물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발판대(10)를 포함하는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발판대(10) 하부에 내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전발판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발판대(20)는 유압유니트(40)의 작동에 의해 유압으로 인입 및 인출되며, 조작자가 조이스틱 형태로 형성된 조작대(30)를 이용하여 조작하게 된다.
상기 조작대(30)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 어느 곳이나, 조작자가 원하는 곳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조작자가 상기 조작대(30)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만큼 상기 안전발판대(20)를 이동시킴으로써, 검수용 작업대와 철도차량 지붕과의 이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대(20)는 조작자가 원하는 만큼 이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철도차량과 호환됨으로, 다양한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의 설치를 배재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발판대(20)는 상기 유압유니트(40)의 작동에 대응되는 유압실린더(50)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된다.
아울러, 상기 유압실린더(50)는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 상부구조물의 측면과 상기 안전발판대(20)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유압실린더(50)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 내측의 제1고정판(11)에 형성된 제1고정대(12)와 상기 안전발판대(20) 하부의 제2고정판(21)에 형성된 제2고정대(22)에 고정되어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인입 및 인출을 돕는다.
또한, 도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발판대(20)는 끝단에 철도차량의 근접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23)가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 센서(23)는 근접용 광센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23)는 철도차량 특성에 맞게 첫 번째 안전발판대(20) 끝단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의 근접 5cm 앞에서 동작하여, 측정된 센서값은 상기 유압실린더(50) 제어하는데 이용한다. 즉, 안전발판대(20)의 끝단에 설치된 센서(23)는 안전발판대(20)가 철도차량의 근접 5cm 앞에서 센서값을 측정한다. 측정된 센서값은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안전발판대(20) 동작 시 안전발판대(20)가 철도차량에 충돌하지 않도록 유압실린더(50)를 제어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전발판대(20)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선택되는 숫자만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 안전발판대를 이용한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는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인입과 인출 및 하중의 지지를 위해 슬라이딩바(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안전발판대(20)대를 인입 또는 인출 시키는 유압실린더(50)외에 다양한 수단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바(60)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의 상부구조물 측면과 상기 안전발판대(20) 하부 일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전발판대(20)의 하중을 지탱해 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실린더(50)에 의한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인입 및 인출을 보조해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입입 및 인출의 이동경로 양측에 고정가이드(70)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이동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가이드(70)는 상부구조물의 철골구조물이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구조물과 다른 철골구조물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안전발판대를 이용한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는 안전장치(80)를 포함한다.
철도차량은 종류와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인출 시, 철도차량과 상기 안전발판대(20)가 충돌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상기 안전발판대(20)가 인출시에는 경광등이 작동하거나, 경고음을 울리는 안전장치(8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안전장치(80)는 상기 조작대(30)를 조작하는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의 고정발판대(10) 상부나 난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철도차량 운전자에게도 인식되게 하기 위해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를 형성하여, 철도차량이 들어오기 전에 인식하여 상기 안전장치(80)의 작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방법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철도차량 지붕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철도차량의 지붕 검수 목적 뿐만 아니라,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장점이 있다.
10 : 고정발판대
11 : 제1고정판 12 : 제1고정대
20 : 안전발판대
21 : 제2고정판 22 : 제2고정대
23 : 센서
30 : 조작대
40 : 유압유니트
50 : 유압실린더
60 : 슬라이딩바
70 : 고정가이드
80 : 안전장치

Claims (10)

  1. 철도차량 지붕의 검수를 위해 형성되며, 기둥을 형성하는 하부구조물과 작업대를 형성하는 철골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구조물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발판대(10)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에 구비되는 발판대로서,
    상기 고정발판대(10) 하부의 내외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전발판대(20);와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인입 및 인출을 조절하고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 일측에 형성되는 조작대(30);와
    상기 조작대(30)의 작동에 대응되어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유니트(40);와
    상기 유압유니트(40)의 작동에 대응되어 상기 안전발판대(20)를 인입 및 인출 시키며,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 상부구조물의 측면과 상기 안전발판대(20)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유압실린더(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대(30)는
    조이스틱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50)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 내측의 제1고정판(11)에 형성된 제1고정대(12)와 상기 안전발판대(20) 하부의 제2고정판(21)에 형성된 제2고정대(22)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인입과 인출 및 하중의 지지를 위한 슬라이딩바(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60)는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작업대(100)의 상부구조물 측면과 상기 안전발판대(20) 하부 일면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상기 안전발판대(20)의 인입 및 인출의 이동경로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가이드(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70)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철골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는
    상기 안전발판대(20)가 인출되면 경광등이 동작하는 안전장치(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대(20)는
    끝단에 철도차량의 근접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KR1020160046133A 2016-04-15 2016-04-15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KR20170118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33A KR20170118404A (ko) 2016-04-15 2016-04-15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33A KR20170118404A (ko) 2016-04-15 2016-04-15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04A true KR20170118404A (ko) 2017-10-25

Family

ID=6030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133A KR20170118404A (ko) 2016-04-15 2016-04-15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84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26B1 (ko) * 2019-10-24 2020-03-16 부길종합건설(주) 조립식 공장구조물
KR102126326B1 (ko) * 2020-03-17 2020-07-07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KR102262182B1 (ko) * 2021-03-02 2021-06-08 (주)다성테크놀로지 철도차량 점검 작업대
EP4238849A1 (de) * 2022-03-01 2023-09-06 Penzel Valier AG Arbeitsbühne für arbeiten an einem dachbereich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an einem dachbereich eines elektrifizierten fahrzeugs, sowie unterhaltseinrichtung mit zumindest einer solchen arbeitsbühne
CN116791873A (zh) * 2023-05-11 2023-09-22 陕西建工第三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爬升自动翻板施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26B1 (ko) * 2019-10-24 2020-03-16 부길종합건설(주) 조립식 공장구조물
KR102126326B1 (ko) * 2020-03-17 2020-07-07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KR102262182B1 (ko) * 2021-03-02 2021-06-08 (주)다성테크놀로지 철도차량 점검 작업대
EP4238849A1 (de) * 2022-03-01 2023-09-06 Penzel Valier AG Arbeitsbühne für arbeiten an einem dachbereich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an einem dachbereich eines elektrifizierten fahrzeugs, sowie unterhaltseinrichtung mit zumindest einer solchen arbeitsbühne
EP4238850A1 (de) * 2022-03-01 2023-09-06 Penzel Valier AG Arbeitsbühne für arbeiten an einem dachbereich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an einem dachbereich eines elektrifizierten fahrzeugs, sowie unterhaltseinrichtung mit zumindest einer solchen arbeitsbühne
CN116791873A (zh) * 2023-05-11 2023-09-22 陕西建工第三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爬升自动翻板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404A (ko)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CN101077749B (zh) 电梯底坑维修检查保护系统
US20160325965A1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rrangement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RU2009109006A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облегченным доступом для пассажиров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физически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KR101129077B1 (ko) 철도차량의 지붕 점검을 위한 슬라이딩 발판
KR20170096150A (ko) 이동가능한 기계실을 가진 엘리베이터
KR10154743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CN201808981U (zh) 电梯导轨锁装置
US20180009635A1 (en) System to enable access to travelling cable dead end hitch from inside an elevator car
US9764925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car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KR101771839B1 (ko) 철도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스피닝시스템
EP3530605B1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JP425192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15025397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4022179U (zh) 电梯底坑防撞保护装置
KR20120062061A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
JP4698845B2 (ja) エレベーターの緩衝装置
JP6222864B1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CN204823546U (zh) 用于悬臂式家用电梯安全系统
CN205419385U (zh) 一种建筑施工电梯紧急防坠安全设备
JP2020082777A (ja) 鉄道車両の台車交換設備
CN207390715U (zh) 一种用于货梯的活动护栏组件
JP2019199323A (ja) 緩衝器、及びエレベーター
JP6340050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用制御盤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