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150A - 이동가능한 기계실을 가진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기계실을 가진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150A
KR20170096150A KR1020177019709A KR20177019709A KR20170096150A KR 20170096150 A KR20170096150 A KR 20170096150A KR 1020177019709 A KR1020177019709 A KR 1020177019709A KR 20177019709 A KR20177019709 A KR 20177019709A KR 20170096150 A KR20170096150 A KR 2017009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platform
elevator
lifting
fixed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스칼 블레지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9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5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the elevat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원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엘리베이터 캐브 (4),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 (4) 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8), 및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를 따라서 리프팅될 수 있는 기계 플랫폼 (20)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 유닛 (8)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에 고정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을 리프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50) 각각은 지지 요소 (51), 상기 지지 요소 (51) 를 따라 이동하는 스트랜드 잭 (53), 및 상기 지지 요소 (51) 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52)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 (51) 는 상기 앵커 (52) 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랜드 잭 (53) 은 상기 스트랜드 잭 (53) 이 상기 지지 요소 (51) 를 따라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이동가능한 기계실을 가진 엘리베이터 {ELEVATOR HAVING A MOVABLE MACHINE ROOM}
본원은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 이동가능한 기계 플랫폼 (machine platform) 에 고정된 구동 유닛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빌딩에 통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빌딩은 이 빌딩의 여러 층 (floors) 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캐브 (cab) 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캐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서 구동 유닛에 의해 이동된다. 고층 빌딩에서, 빌딩의 하부 구역에는 기능성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반면, 빌딩의 상부 구역에는 아직 건설 중이다. 이러한 경우에, 특별한 소위 공동 성장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는, 빌딩의 건설 기간 동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계실이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하부 일시적인 사용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다음의 상부 사용 위치로 이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계실은 그에 따라서 이동가능한 기계 플랫폼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이 기계 플랫폼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변위되는 동안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이동가능한 기계 플랫폼은 또한 다른 엘리베이터 구성품들을 수용 또는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빌딩 부분의 단부에서 기계 플랫폼 위에 적어도 하나의 단부 루프가 위치된다. 단부 루프 위에서, 엘리베이터 캐브가 이미 기계 플랫폼 아래에서 작동하는 동안, 즉 이동될 수 있는 동안 빌딩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음의 더 높은 주행 구역이 완성되자마자,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들과 같은 필요한 엘리베이터 구성품들이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기계 플랫폼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의 더 높은 주행 구역이 준비되면, 이러한 더 높은 주행 구역 또는 빌딩의 대응 부분이 엘리베이터 캐브에 접근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기계 플랫폼이 이동될 수 있다. 빌딩이 하부에서 상부로 구성되기 때문에, 기계 플랫폼은 통상적으로 하부 일시적인 사용 위치로부터 상부 선택적으로 일시적인 사용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가능한 기계 플랫폼은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측벽상에 또는 샤프트의 벽의 리세스들에 지지체들 또는 받침대들 (rests) 과 같은 고정 디바이스들에 의해 지지 또는 고정된다.
통상적으로 기계 플랫폼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체인 호이스트에 의해서 리프팅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의 체인 호이스트는 기계 플랫폼 위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기계 플랫폼 위에 체인 호이스트를 설치하는 것은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동 플랫폼에 의해 기계 플랫폼 바로 위에 연속되는 가이드 레일들의 설치는, 체인 호이스트의 체인이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서 수평 엘리베이터 샤프트 단면내에서 대략 중심에 배열되기 때문에 어렵게 된다. 더욱이, 체인의 감아올리기에 의해 기계 플랫폼의 가능한 최대로 상승시키기 위해, 기계 플랫폼과 체인 호이스트의 설치 장소 사이에 최소 거리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서, 본원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품들의 간략화되고 공간 절약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엘리베이터 캐브,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및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서 리프팅될 수 있는 기계 플랫폼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상기 기계 플랫폼을 리프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각각은 지지 요소, 상기 지지 요소를 따라 이동하는 스트랜드 잭, 및 상기 지지 요소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앵커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랜드 잭이 상기 지지 요소를 따라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스트랜드 잭이 배열된다.
이러한 공지된 스트랜드 잭은 2 개의 클램핑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클램핑 디바이스들 중 제 1 클램핑 디바이스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에 또는 기계 플랫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 디바이스들 중 제 2 클램핑 디바이스는 제 2 클램핑 디바이스와 제 1 클램핑 디바이스의 거리가 변하는 방식으로 지지 요소의 종방향 연장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배열된다.
제 1 클램핑 디바이스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리프팅 디바이스의 지지 요소를 클램핑한다. 이에 따라서, 제 1 클램핑 디바이스, 즉 리프팅 디바이스 그 자체는 지지 요소상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기계 플랫폼은 선택적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기계 플랫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디바이스와 독립적으로 현가되거나 고정된다.
기계 플랫폼의 상승은,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른 지지 요소의 이동 및 그로 인한 지지 요소상에 고정된 기계 플랫폼의 이동에 의해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된 지지 요소를 따른 기계 플랫폼의 이동에 의해 유효하게 될 수 있다. 기계 플랫폼을 상승시키기 위해, 지지 요소상에 제 2 클램핑 디바이스를 고정하고 제 1 클램핑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 2 클램핑 디바이스를 후속 변위시킴으로써, 기계 플랫폼이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에서 상승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2 클램핑 디바이스는 지지 요소상에 배열되거나 지지 요소를 따라서 변위되어야 한다. 그 후에, 제 2 클램핑 디바이스는 지지 요소상에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클램핑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클램핑 디바이스의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기계 플랫폼이 상승될 수 있기 전에, 제 2 클램핑 디바이스는 이에 따라서 지지 요소상에 그리고 그 후에 지지 요소로부터 해제된 제 1 클램핑 디바이스상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프팅 이동이 달성된 후에, 제 1 클램핑 디바이스는 지지 요소상에 고정될 수 있고, 그 후 제 2 클램핑 디바이스는 지지 요소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더욱이, 추가의 리프팅 이동은 전술한 시컨스에 따라서 실행될 수 있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기계 플랫폼은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하강될 수 있다.
지지 요소를 따른 스트랜드 잭의 상기 이동은 지지 요소에 대하여 스트랜드 잭의 상대 이동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예를 들어, 지지 요소 또는 스트랜드 잭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리프팅 디바이스의 작동으로 인한 리프팅 이동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스트랜드 잭에 의한 지지 요소의 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리프팅 디바이스의 작동으로 인한 리프팅 이동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지지 요소를 따른 스트랜드 잭의 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원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가 계속되는 샤프트의 일부분에서 지지 요소가 기계 플랫폼 위에 주로 배열된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즉, 기계 플랫폼은 리프팅 디바이스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현가된다. 스트랜드 잭 및 앵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될 구성품들 중 제 1 구성품은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트랜드 잭 및 앵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될 리프팅 디바이스의 구성품들 중 제 2 구성품은 기계 플랫폼 위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될 것이다. 이에 따라서, 스트랜드 잭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기계 플랫폼 및 이 기계 플랫폼 위의 앵커상에 고정될 수 있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기계 플랫폼 위에 가이드 레일들 및 다른 엘리베이터 구성품들을 설치하는 것은 기계 플랫폼을 리프팅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에 의해서는 어렵다. 이에 따라서, 수단을 구성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연속 설치를 단순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스트랜드 잭 (strand jack)' 이라는 명칭은 리프팅 디바이스의 지지 요소가 스트랜드로서 구성되어야 한다는 영향에 대한 본 개시의 범위내에서 제한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리프팅 디바이스의 이러한 지지 요소는 와이어 케이블로서, 즉 개별적인 스트랜드의 비틀림 (twisting) 으로서 구성되거나, 스트랜드로서, 즉 개별적인 와이어의 비틀림으로서 구성되거나, 스트랜드 잭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다른 지지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개량은 기계 플랫폼을 리프팅하기 위한 제 2 리프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리프팅 디바이스에 의해, 리프팅 디바이스들 둘 다를 주로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와 다른 리프팅 디바이스 둘 다를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하는 것은 기계 플랫폼 위에서의 작업이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에 의해 가능한 악영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기계 플랫폼의 리프팅의 결과로서, 지지 요소가 한편으로 고정되는 기계 플랫폼과 지지 요소가 다른 한편으로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품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기 때문에 지지 요소의 로딩된 부분이 단축된다. 이에 따라서, 기계 플랫폼의 리프팅 동안 인장 응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의 부분이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의 부분의 인장 응력은 그에 따라서 지지 요소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서만 발생할 수 있다. 지지 요소 그 자체는 리프팅될 기계 플랫폼의 높은 질량으로 인해 비교적 강하게 구성되며, 엘리베이터 캐브의 질량은 리프팅 기간 동안 가능하다면 또한 현가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추가 개량에서, 스트랜드 잭은 기계 플랫폼에 고정된다. 스트랜드 잭이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되면, 기계 플랫폼이 이러한 현가된 지지 요소를 올라타기 때문에, 리프팅 디바이스의 지지 요소는 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실질적으로 제 위치에 남게 된다. 지지 요소를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위에는, 지지 요소의 상기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부분의 장착을 위한 공간 요건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지지 요소의 이러한 언로딩된 부분은, 예를 들어 가능한 최상부 위치에 위치된 엘리베이터 캐브 다음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된 상기 스트랜드 잭은, 상기 스트랜드 잭 바로 아래에 배열된 상기 지지 요소의 부분이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의 수직 돌출부 외부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될 수 있거나, 상기 기계 플랫폼은 상기 지지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편향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편향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상기 기계 플랫폼 아래에 배열된 상기 지지 요소의 부분이 엘리베이터 캐브의 주행 경로 (travel path) 외부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편향기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가 이미 작동중인 기계 플랫폼 아래에 배열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품들과는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스트랜드 잭의 바로 아래에 배열된 인장 응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의 부분이 엘리베이터 캐브 위에 수직하지 않게 엘리베이터 캐브의 수직 돌출부 외부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스트랜드 잭을 배열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성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지지 요소의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부분을 장착할 수 있는 다른 가능성을 구성한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평형추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플랫폼의 편향기는 또한 리프팅 디바이스의 지지 요소가 평형추와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랜드 잭 바로 아래에 배열된 인장 응력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의 부분이 평형추의 수직 돌출부 외부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평형추의 존재하에서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된 스트랜드 잭은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리프팅 디바이스의 앵커는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될 수 있다. 앵커가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되면, 리프팅 디바이스의 지지 요소는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지지 요소의 언로딩된 부분이 이미 작동에 들어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역안으로 돌출하지 않고, 즉 기계 플랫폼 아래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서,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충분히 높은 부분을 이용할 수 있다면, 지지 요소의 언로딩된 부분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된 스트랜드 잭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개량은, 상기 기계 플랫폼을 리프팅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는 리프팅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플랫폼은 상기 기계 플랫폼 위에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배열되며, 상기 스트랜드 잭 및 상기 앵커를 포함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될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의 구성품들 중 제 2 구성품은 상기 리프팅 플랫폼상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서, 스트랜드 잭이 기계 플랫폼에 고정되면 리프팅 디바이스의 앵커가 리프팅 플랫폼상에 고정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리프팅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품이 고정되는 이러한 리프팅 플랫폼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가능한 일시적인 샤프트 천정 (ceiling) 이 비교적 낮은 내하중 용량 (load-bearing capacity) 만을 가져도 됨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전체 기계 플랫폼, 이 기계 플랫폼상에 고정된 구동 유닛 및 엘리베이터 캐브는 이러한 가능한 일시적인 샤프트 천정에 현가될 수 없다. 이를 위해, 기계 플랫폼, 구동 유닛 또는 엘리베이터는 고정가능한 리프팅 플랫폼상에서 상승될 수 있다. 기계 플랫폼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되면, 리프팅 플랫폼 자체가 예를 들어 일시적인 샤프트 천정에 현가 및 리프팅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개량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랫폼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측벽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리프팅 플랫폼에 고정된 상기 스트랜드 잭 또는 상기 리프팅 플랫폼상에 고정된 상기 앵커에 의해 상기 지지 요소가 상기 리프팅 플랫폼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 요소는 측벽상의 상기 지지 요소의 고정 지점으로부터 700 mm, 바람직하게는 500 mm 의 최대 수평 거리 (A) 로 이격된다. 리프팅 플랫폼상에 현가된 하중의 레버 효과가 낮기 때문에 리프팅 플랫폼은 덜 안정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개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의 스트랜드 잭은 유압 기능적 원리 (hydraulic functional principle) 에 기초한다. 즉, 제 1 클램핑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 2 클램핑 디바이스의 상기 변위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액체가 사용될 수 있다. 액체를 사용하면, 액체 자체는 높은 힘의 전달 동안에 매우 압축되지 않고 그리하여 간단한 제어가능성 (controllability) 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리프팅 디바이스의 유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개량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된 2 개의 가이드 레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를 안내하고 상기 기계 플랫폼을 안내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기계 플랫폼상에 작용하는 상기 구동 유닛의 중력 중심이 레일 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기계 플랫폼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 축은 2 개의 상기 가이드 레일들 사이에 가장 짧은 가능한 직선 연결이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의 앵커(들)은 상기 기계 플랫폼이 실질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상기 기계 플랫폼상의 레일 축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서, 스트랜드 잭(들) 또는 앵커(들)의 위치결정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기계 플랫폼의 이러한 달성가능한 균형으로 인해서, 가이드 레일들의 가이드 트랙들이 상당한 횡방향 힘을 실질적으로 수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들은 이제 단지 엘리베이터 캐브의 안내를 보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가이드 레일들이 덜 안정적이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의 단순화가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개량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의 지지 요소는 10 mm ~ 30 mm, 바람직하게는 15 mm ~ 20 mm 의 직경을 가진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의 지지 요소는 와이어 케이블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의 필요한 내하중 용량을 보장할 수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기계 플랫폼에 고정된 스트랜드 잭과 연관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실시될 인장 응력에 의해 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의 부분의 장착은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이동가능한 기계 플랫폼이 하부 일시적인 사용 위치에 있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이동가능한 기계 플랫폼을 상부 사용 위치로 상승시킨 후에 도 1 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 은 리프팅 디바이스의 지지 요소를 도시한다.
도 4 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 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 은 기계 플랫폼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도 7 은 리프팅 플랫폼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된 도 6 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 는 빌딩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이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캐브 (4), 기계 플랫폼 (20) 및 이 기계 플랫폼 (20) 을 리프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캐브 (4) 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8) 은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캐브 (4) 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내의 가이드 레일들 (10.1, 10.2) 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작동에 필요한 다른 엘리베이터 구성품들은 기계 플랫폼 (20) 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플랫폼 (20) 은 도시되지 않은 고정 디바이스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측벽들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고정 디바이스는 연장가능한 받침부들 및/또는 지지체들로 형성된다.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는 지지 요소 (51, 51'), 스트랜드 잭 (53, 53') 및 지지 요소 (51, 51') 를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52, 52') 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에 따라 도시된 앵커 (52, 52') 및 그에 따라서 또한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지지 요소 (51) 는 기계 플랫폼 (20) 에 고정된다.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스트랜드 잭 (53, 53')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의 기계 플랫폼 (20) 위에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앵커 (52, 52') 와 스트랜드 잭 (53, 53') 사이에서,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지지 요소 (51, 51') 는, 기계 플랫폼 (20) 이 지지 요소 (51, 51') 의 이러한 부분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현가될 수 있기 때문에, 인장 응력에 의해 로딩될 수 있다. 인장 응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 (51, 51') 의 부분 (51.1, 51.1') 은 스트랜드 잭 (53, 53') 위에 위치된다.
리프팅 플랫폼 (30) 은 이 리프팅 플랫폼 (30) 상에 스트랜드 잭 (53, 53') 이 고정될 수 있는 기계 플랫폼 (2)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플랫폼 (30) 은, 예를 들어 기계 플랫폼 (20) 자체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되면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내부에서 리프팅될 수 있다. 기계 플랫폼 (20) 바로 아래에서, 엘리베이터 캐브 (4) 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하부 구역 (2u) 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영역 (2u) 에서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캐브 (4) 는 엘리베이터 승객을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 은 하부 일시적인 사용 위치 (P1) 에 배열된 기계 플랫폼 (20) 을 나타내며, 이러한 하부 일시적인 사용 위치 (P1) 위에 실질적으로 배열된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구역 (2u+) 은 이미 완성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이 영역 (2u+) 에 배열된 고정 및 정렬된 가이드 레일들 (10.1, 10.2) 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현가 지점 (52, 52') 으로 구성된 기계 플랫폼 (20) 의 앵커에 현가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에 의해, 기계 플랫폼 (20) 또는 전체 기계 챔버는 엘리베이터 캐브 (4) 와 함께 상승될 수 있고 상부 사용 위치 (P2) 로 이동될 수 있다. 상부 사용 위치 (P2) 는 다음의 높은 주행 구역 (2u+) 이 빌딩내에서 서비스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결정된다. 하부 일시적인 사용 위치 (P1) 에서 기계 플랫폼 (20) 의 배열로 인해서 기계 플랫폼 (20) 과 스트랜드 잭 (53, 53') 사이의 수직 거리가 비교적 크게 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트랜드 잭 (53, 53') 위의 인장 응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 (51, 51') 의 부분 (51.1, 51.1') 은 비교적 짧다.
기계 플랫폼 (20) 이 저온 사용 위치 (P1) 위에 배열된 상부 사용 위치 (P2) 로 이동되기 전에, 엘리베이터 캐브 (4) 는 점선으로 도시된 현가 수단 (45) 에 의해, 예를 들어 지지 로드들에 의해 기계 플랫폼 (20) 상에서 현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구동 유닛 (8) 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 는 이동가능한 기계 플랫폼 (20) 을 상부 사용 위치 (P2) 로 상승시킨 후에 도 1 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도시한다. 이러한 상부 사용 위치 (P2) 에 도달하자마자, 기계 플랫폼 (20) 의 고정 디바이스는 연장되고, 기계 플랫폼 (20) 은 고정 디바이스상에 내려 놓여지고 이 고정 디바이스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캐브 (4) 에 대한 구동 유닛 (8) 의 재결합이 완료된 후, 엘리베이터 캐브 (4) 를 기계 플랫폼 (20) 상에 현가시키는 현가 수단 (45) 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연장된 주행 구역 (2u+) 에 대하여 짧은 시간내에 이용가능하다.
앵커 (52, 52') 와 스트랜드 잭 (53, 53') 사이의 인장 응력에 의해 로딩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지지 요소 (51, 51') 의 부분은 도 1 과는 반대로 심각하게 단축된다. 이에 따라서, 스트랜드 잭 (53, 53') 위에 인장 응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 (51, 51') 의 부분 (51.1, 51.1') 은 기계 플랫폼 (20) 의 완성된 상승으로 인해 길어진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언로딩된 부분 (51.1, 51.1') 은 선택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프팅 플랫폼 (30) 위에 장착된다. 지지 요소 (51, 51') 는 기계 플랫폼 (20) 의 하중과 기계 플랫폼 (20) 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구성품들의 하중에 따라 치수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강 케이블 또는 유사물로서 구성되는 지지 요소 (51, 51') 는 베어링 높이 (H) 를 가진다. 이 베어링 높이 (H) 는 리프팅 플랫폼 (30) 과 리프팅 플랫폼 (30) 위에 선택적으로 배열될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일시적인 샤프트 천정 사이의 수직 최소 거리에 대응한다.
도 3 은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지지 요소 (51) 를 도시한다. 지지 요소 (51) 는 바람직하게는 강 케이블로서, 즉 개별적인 와이어들의 비틀림으로서 구성되거나 스트랜드로서, 즉 개별적인 와이어들의 비틀림으로서 구성된다. 강 케이블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며, 지지 요소 (51) 의 직경 (D) 은 10 mm ~ 30 mm, 바람직하게는 15 mm ~ 20 mm 이다. 언로딩된 지지 요소 부분이 도 2 에 도시된 리프팅 플랫폼 (30) 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면, 거기에 도시된 베어링 높이 (H) 는 분명하게 1 또는 2 미터 이상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 는 또 다른 실시형태들에 따라서 대안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단면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이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서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캐브 (4) 및 리프팅 디바이스 (50) 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리프팅 디바이스들 (50) 둘 다는 기계 플랫폼 (20) 및 지지 요소 (51) 상에 고정된 스트랜드 잭 (53) 을 포함한다. 지지 요소 (51) 는 도시되지 않은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앵커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된다. 리프팅 디바이스 (50) 에 의해 실시될 리프팅 이동 (B) 동안, 스트랜드 잭 (53) 또는 이 스트랜드 잭 (53) 에 고정된 기계 플랫폼 (20) 은 지지 요소 (51) 를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기계 플랫폼 (20) 아래의 인장 응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지지 요소 (51) 의 부분 (51.1) 은 길어지게 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엘리베이터 캐브 (4) 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내부의 기계 플랫폼 (20) 의 배열과 관련하여 최상부 가능한 위치 (4') 에 도시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샤프트 내부 공간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측벽 (1') 에 의해 한정된다.
도 4 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기계 플랫폼 (20) 은 편향기 (55) 를 가진다. 이러한 편향기 (55) 는 스트랜드 잭 (53) 아래에 주로 배열된다. 기계 플랫폼 (20) 의 편향기 (55) 는 인장 응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언로딩된 부분 (51.1) 을 편향시키는데 사용되어, 지지 요소 (51) 의 이러한 부분 (51.1) 이 엘리베이터 캐브 (4) 의 주행 경로안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지지 요소 (51), 특히 기계 플랫폼 (20) 아래에 배열된 지지 요소 (51) 의 부분 (51.1) 은, 예를 들어 최상부 위치 (4') 에 위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캐브 (4) 와 충돌할 수 없다.
도 5 에 도시된 스트랜드 잭 (53) 은, 이 스트랜드 잭 아래에 배열된 지지 요소 (51) 의 부분 (51.1) 이 엘리베이터 캐브 (4) 의 수직 돌출부 (4") 의 외부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기계 플랫폼 (20) 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서, 기계 플랫폼 (20) 아래에 배열된 지지 요소의 부분 (51.1) 의 구성품은 바람직하게는 최상부 가능한 위치 (4') 에 배열된 엘리베이터 캐브 (4) 의 위에 수직하게 배열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샤프트 내부는 통상적으로 수직 측벽들 (1') 에 의해 한정된다. 가이드 레일 (10.1, 10.2) 은 이들에 대향하는 2 개의 측벽들 (1') 상에 설치되고, 이러한 가이드 벽들 (10.1, 10.2) 은 도 6 에만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 (10.1, 10.2) 은 도시되지 않은 엘리베이터 캐브가 주행 경로를 따라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되거나 설치된 기계 플랫폼 (20) 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슈들 (11.1, 11.2) 은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슈들 (11.1, 11.2) 은, 기계 플랫폼 (20) 이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내부의 변경된 사용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 기계 플랫폼 (20) 의 안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들 (10.1, 10.2) 과 결합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2 개의 가이드 레일들 (10.1, 10.2) 의 직선 연결은 통상적으로 레일 축 (SA) 으로서 지정된다.
제 1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스트랜드 잭 (53) 또는 앵커 (52), 제 2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스트랜드 잭 (53') 또는 앵커 (52') 및 엘리베이터 캐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8) 은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된다. 기계 플랫폼 (20) 상의 구동 유닛 (8) 의 배열은 기계 플랫폼 (20) 의 중력 중심 (SP) 을 레일 축 (SA) 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오직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스트랜드 잭 (5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 (52) 는 중력 중심 (SP) 의 바로 근방에 배열될 수 있다.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된 구성품들 (52, 53, 52', 53') 또는 제 1 또는 제 2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된 구성품 (52, 53) 은 기계 플랫폼이 실질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이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된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된 리프팅 플랫폼 (30) 을 도시한다. 리프팅 플랫폼 (30)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도어 개구부 (T) 의 높이에 배열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될 각각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구성품들 (52, 53, 52', 53') 중 어느 것이 도 6 에 도시된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되는지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될 이러한 구성품들 중 다른 것이 리프팅 플랫폼 (30) 상에 고정된다. 제 1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스트랜드 잭 (53) 이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되면, 제 1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앵커 (52) 는 리프팅 플랫폼 (30) 상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제 2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스트랜드 잭 (53') 이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되면, 제 2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앵커 (52') 는 리프팅 플랫폼 (30) 상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2 개의 리프팅 디바이스들 (50, 50') 을 포함하면, 2 개의 리프팅 디바이스들 (50, 50') 의 스트랜드 잭들 (53, 53') 은 기계 플랫폼 (20) 또는 리프팅 플랫폼 (30) 상에 고정된다. 리프팅 플랫폼 (30) 상에 고정된 스트랜드 잭(들) (53, 53') 또는 앵커(들) (52, 52') 의 위치결정은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된 대응하는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구성품들에 의존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리프팅 디바이스(들) (50, 50') 의 지지 요소는 리프팅 플랫폼 (30) 과 기계 플랫폼 (20)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즉, 리프팅 디바이스들 (50, 50') 중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의 스트랜드 잭 (53, 53') 및 앵커 (52, 52') 는 상하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리프팅 플랫폼 (30)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측벽들 (1') 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60, 60') 에 의해 지지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리프팅 플랫폼 (30) 은 또한 도어 개구부 (T) 의 구역에서 층별 (storey floor) 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요소 (60, 60') 는 예를 들어 연장가능한 받침대들 또는 지지체들로 형성될 수 있고 리프팅 플랫폼 (30) 의 중공 프로파일에서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다. 전방 구역에서, 즉 도어 개구부 (T) 의 구역에서, 이러한 지지 요소들 (60) 은 층별, 즉 도어 개구부 (T) 의 실 (sill) 과 중첩되도록 당겨질 수 있다. 리프팅 플랫폼 (30) 의 후방 구역에서, 이러한 지지 요소들 (60') 은 후방 측벽 (1') 의 틈새들 또는 리세스들안으로 돌출하도록 제어 로드들에 의해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요소들 (60, 60') 은 리프팅 플랫폼 (30) 을 밟지 않고 작동될 수 있다. 물론, 측면 틈새들, 리세스들, 벽 돌출부들 또는 지지 브라켓들도 사용될 수 있고, 도 7 에 도시되지 않은 대응하는 지지 요소들은 그 후 측방향으로 연장 또는 선회될 것이다.
리프팅 플랫폼 (30) 상의 앵커 (52, 52') 에 의해 또는 스트랜드 잭 (53, 53') 에 의해 고정된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지지 요소는 측벽 (1') 상의 지지 요소 (60') 의 고정 지점으로부터 수평 거리 (A) 를 가진다. 이 수평 거리 (A) 는 고려되는 앵커 (52, 52') 또는 고려되는 스트랜드 잭 (53, 53') 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지지 요소 (60)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수평 거리 (A) 는 최대 700 mm 이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이 수평 거리 (A) 는 최대 500 mm 이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엘리베이터 캐브 (4),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 (4) 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8),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를 따라서 리프팅될 수 있는 기계 플랫폼 (machine platform; 20) 으로서, 상기 구동 유닛 (8)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되는, 상기 기계 플랫폼 (20), 및 상기 기계 플랫폼 (20) 을 리프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디바이스 (50) 각각은 지지 요소 (51), 상기 지지 요소 (51) 를 따라 이동하는 스트랜드 잭 (53), 및 상기 지지 요소 (51) 를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52)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 (51) 는 상기 앵커 (52) 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랜드 잭 (53) 은 상기 스트랜드 잭 (53) 이 상기 지지 요소 (51) 를 따라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며,
    상기 스트랜드 잭 (53)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되고,
    상기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된 상기 스트랜드 잭 (53) 은 상기 스트랜드 잭 (53) 바로 아래에 배열된 상기 지지 요소 (51) 의 부분 (51.1) 이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 (4) 의 수직 돌출부 (4") 외부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상기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되거나,
    상기 기계 플랫폼 (20) 은 상기 지지 요소 (51) 를 안내하기 위한 편향기 (55, 55') 를 가지고, 상기 편향기 (55, 55') 는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내의 상기 기계 플랫폼 (20) 아래에 배열된 상기 지지 요소 (51) 의 부분이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 (4) 의 주행 경로 (travel path) 외부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을 리프팅하기 위한 제 2 리프팅 디바이스 (50', 51', 52', 53')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앵커 (52) 는 상기 기계 플랫폼 (20) 상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을 리프팅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될 수 있는 리프팅 플랫폼 (30) 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플랫폼 (30)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위에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배열되며,
    상기 스트랜드 잭 (53) 및 상기 앵커 (52) 를 포함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될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구성품들 중 제 2 구성품은 상기 리프팅 플랫폼 (30) 상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랫폼 (30) 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의 측벽 (1') 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60) 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리프팅 플랫폼 (30) 에 고정된 상기 스트랜드 잭 (53) 또는 상기 리프팅 플랫폼 (30) 상에 고정된 상기 앵커 (52) 에 의해 상기 지지 요소 (51) 가 상기 리프팅 플랫폼 (30) 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 요소 (51) 는 측벽 (1') 상의 상기 지지 요소 (60) 의 고정 지점으로부터 700 mm, 바람직하게는 500 mm 의 최대 수평 거리 (A) 로 이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상기 스트랜드 잭 (53) 은 유압 기능적 원리 (hydraulic functional principle) 에 기초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2) 에 고정된 2 개의 가이드 레일들 (10.1, 10.2)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들 (10.1, 10.2) 은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 (4) 를 안내하고 상기 기계 플랫폼 (20) 을 안내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구동 유닛 (8)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에 작용하는 상기 구동 유닛 (8) 의 중력 중심 (SP) 이 레일 축 (SA) 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기계 플랫폼 (20) 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 축 (SA) 은 2 개의 상기 가이드 레일들 (10.1, 10.2) 사이에 가장 짧은 가능한 직선 연결이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50) 의 상기 스트랜드 잭(들) (53) 또는 앵커(들) (52) 은 상기 기계 플랫폼 (20) 이 실질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상기 기계 플랫폼 (20) 상의 레일 축 (SA) 으로부터 이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지지 요소 (51, 51') 는 10 mm ~ 30 mm, 바람직하게는 15 mm ~ 20 mm 의 직경을 가진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 (50, 50') 의 상기 지지 요소 (51, 51') 는 와이어 케이블로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KR1020177019709A 2014-12-16 2015-12-14 이동가능한 기계실을 가진 엘리베이터 KR201700961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8086.2 2014-12-16
EP14198086 2014-12-16
PCT/EP2015/079548 WO2016096694A1 (de) 2014-12-16 2015-12-14 Aufzugssystem mit einem verschiebbaren maschinenra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150A true KR20170096150A (ko) 2017-08-23

Family

ID=5229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709A KR20170096150A (ko) 2014-12-16 2015-12-14 이동가능한 기계실을 가진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46305B2 (ko)
EP (1) EP3233708A1 (ko)
KR (1) KR20170096150A (ko)
CN (1) CN107428503B (ko)
AU (1) AU2015366478B2 (ko)
BR (1) BR112017011016A2 (ko)
CA (1) CA2969603A1 (ko)
MX (1) MX2017007923A (ko)
PH (1) PH12017501014A1 (ko)
SG (1) SG11201704946XA (ko)
WO (1) WO2016096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3838B2 (en) * 2013-07-10 2019-01-22 Inventio Ag Fall prevention device for a platform
WO2016096694A1 (de) * 2014-12-16 2016-06-23 Inventio Ag Aufzugssystem mit einem verschiebbaren maschinenraum
EP3388379A1 (en) * 2017-04-10 2018-10-17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EP3412618B1 (en) * 2017-06-09 2020-12-30 KONE Corporation Method
CN110589669A (zh) * 2019-10-10 2019-12-20 奥帝亚电梯有限公司 一种用于升降机的搁机机架
EP3816088B1 (en) 2019-10-31 2023-07-12 KONE Corporation A self-climbing elevator arrangement for use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EP3816086B1 (en) * 2019-10-31 2023-05-10 KONE Corporation A self-climbing elevator machine room for use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EP3838828B1 (en) * 2019-12-19 2023-02-08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WO2021144154A1 (de) * 2020-01-17 2021-07-22 Inventio Ag Mobile transpor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s montagerahmens in einen schacht
WO2021186493A1 (ja) 2020-03-16 2021-09-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CN113620147A (zh) 2020-05-09 2021-11-09 奥的斯电梯公司 在建筑物的建造过程中使用的跃升电梯系统和跃升方法
US11834296B2 (en) 2020-12-19 2023-12-05 Paul J. Scherzer Machine room-less elevator construction
DE102023102305A1 (de) 2023-01-31 2024-04-11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Hebe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wegen einer Maschinenplattform oder einer Aufzuganlagen-Maschinenraum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9101A (en) * 1968-01-10 1970-07-07 Otis Elevator Co Construction elevator system
JPH0829904B2 (ja) 1990-03-15 1996-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US5553686A (en) * 1994-12-13 1996-09-10 Otis Elevator Company Installation of elevator rails in a hoistway
US7635049B2 (en) * 2002-12-02 2009-12-22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EP1735231B1 (en) * 2004-02-20 2013-05-01 Otis Elevator Company Installation assembly for use with elevator systems
DE102006050900A1 (de) * 2006-10-28 2008-04-30 Ed. Züblin Ag Transportabl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richtung von Offshore-Windenergieanlagen
US8291568B2 (en) * 2008-11-28 2012-10-23 Kone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FI20090085L (fi) * 2009-03-06 2010-09-30 Kone Corp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FI20090357A (fi) * 2009-09-28 2011-03-29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FI122066B (fi) * 2009-12-31 2011-08-15 Kone Corp Menetelmä hissin valmistamisessa
FI20100223A0 (fi) * 2010-05-28 2010-05-28 Kone Corp Menetelmä ja hissijärjestely
FI125115B (fi) * 2010-12-31 2015-06-15 Kone Corp Menetelmä ja hissijärjestely
WO2012168992A1 (ja) * 2011-06-06 2012-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FI20116190L (fi) * 2011-11-28 2013-05-29 Kone Corp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EP2636629B1 (en) * 2012-03-06 2015-05-06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n elevator arrangement
US9388020B2 (en) * 2012-03-06 2016-07-12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n elevator arrangement
CN105026298B (zh) * 2013-03-04 2017-04-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改造方法
US9222277B2 (en) * 2013-03-12 2015-12-29 Konecranes Plc Scissors lift assembly for jacking tower
US10183838B2 (en) * 2013-07-10 2019-01-22 Inventio Ag Fall prevention device for a platform
CN106660748A (zh) * 2014-09-01 2017-05-10 通力股份公司 用于安装电梯的方法和装置
WO2016096694A1 (de) * 2014-12-16 2016-06-23 Inventio Ag Aufzugssystem mit einem verschiebbaren maschinenra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11016A2 (pt) 2018-01-09
US20170327348A1 (en) 2017-11-16
WO2016096694A1 (de) 2016-06-23
SG11201704946XA (en) 2017-07-28
CA2969603A1 (en) 2016-06-23
PH12017501014A1 (en) 2017-11-27
US10246305B2 (en) 2019-04-02
CN107428503A (zh) 2017-12-01
AU2015366478B2 (en) 2018-12-13
MX2017007923A (es) 2017-09-27
EP3233708A1 (de) 2017-10-25
CN107428503B (zh) 2019-10-01
AU2015366478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6150A (ko) 이동가능한 기계실을 가진 엘리베이터
US9193567B2 (en) Method in the manufacture of an elevator
KR102151293B1 (ko) 리프트의 설치 방법
US20130284543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US20120023863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JP6813123B2 (ja) 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技術の適用方法
CN102414111A (zh) 在单个井道内包括多个轿厢的电梯系统
US8407876B2 (en) Modernization method for elevator installations
JP6112954B2 (ja) 油圧式エレベータをロープ式エレベータへとリニューアルする方法
JP201006487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2381609B (zh) 电梯卷扬机安装方法
CN103420239B (zh) 双层电梯的检查装置
JP5278360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2008285260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据え付け工法
JP721336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1195308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KR20180101486A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6002042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CN105293249B (zh) 电梯装置
JP2015013713A (ja) コンペンチェー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103058036A (zh) 双层电梯
JP201300663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5811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056735A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油圧式エレベータから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2023037484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