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799A -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799A
KR20210060799A KR1020190148243A KR20190148243A KR20210060799A KR 20210060799 A KR20210060799 A KR 20210060799A KR 1020190148243 A KR1020190148243 A KR 1020190148243A KR 20190148243 A KR20190148243 A KR 20190148243A KR 20210060799 A KR20210060799 A KR 20210060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spection line
fixed
rotating
rail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김문석
Original Assignee
김수연
김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연, 김문석 filed Critical 김수연
Priority to KR102019014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799A/ko
Publication of KR2021006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는, 철도검수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레이트를 철도검수선을 따라 평행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 플레이트와 롤러를 연결하고, 힌지-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링크부 및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레이트가 목표 지점에 위치되면 철도검수선에 접촉되어 플레이트의 평행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MOVING SAFETY PLATE FOR INSPECTION REPAIR LINE}
본 발명은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검수선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철도차량의 길이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차량)의 검수는 검사와 수선의 약칭으로 차량을 검사하여 정비하고 수선하는 행위를 뜻한다. 차량이 영업을 마치고 검수차고에 입고하면 검수를 받게 되며, 검수방법에는 정기검수와 일상검수 및 임시검수가 있다.
검수차고는 차량기지 내에 있어서 차량의 검수를 실시하기 위해 지은 걸물로서 여기에는 차량의 모든 부품과 장치를 검수하기 위한 설비와 장비들을 갖추고 있다.
철도검수선(검수선)은 차량을 검수하기 위해 부설한 측선이다. 검수선의 유효길이는 검수가 진행되는 차량 중 길이가 가장 긴 차량의 길이로 하고, 모든 유효길이에 검수피트를 설치하여 차량의 하부를 검수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 후단은 작업자에 의해 청소 및 검수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철도검수선 안전플레이트에 올라가 청소 및 검수를 진행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철도검수선 안전플레이트는 검수선에 고정된 형태로 길이가 다른 차량의 검수가 진행될 경우에는 철도검수선 안전플레이트를 검수선에서 분리하고 유효길이에 맞춰 재 조립한 후 청소 및 검수를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83432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가 개시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3941에는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현재 공개되거나 등록된 선행문헌들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고, 체적이 크며, 구동 원리가 복잡하여 작업 인력 및 시간이 많이 요구되고, 작업을 위한 공간도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고, 체적이 작으며, 구동 원리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철도검수선 안전플레이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1.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83432 (2013.7.2) 2.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3941 (2016.11.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체적이 작으며, 구동 원리가 간단하여 조작이 용이한 철도검수선 안전플레이트를 구현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는 철도검수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철도검수선을 따라 평행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롤러를 연결하고, 힌지-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링크부;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목표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철도검수선에 접촉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평행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핸들 조작을 통해 링크 운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동하여 링크 운동하는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연동부가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측면에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보조 링크바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동 링크바;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상기 핸들;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 링크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기 보조 링크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일측면에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동 링크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향에 위치하는 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핸들은 상하 방향의 조정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링크부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철도검수선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 또는 상기 철도검수선에 고정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직선 운동 또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판; 및 상기 플레이크와 고정판을 연결하는 고정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기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기둥; 및 상기 회전기둥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하면은 상기 고정판과 접하는 일부와, 상기 철도검수선과 접하는 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을 보강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제1 고정점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제2 고정점에 고정되는 제1 스프링;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고정점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제3 고정점에 고정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점, 상기 제2 고정점, 상기 제3 고정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은 상기 제1 고정점을 꼭지각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목표 지점보다 높게 위치되면, 상기 고정기둥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상기 회전부를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목표 지점보다 높게 위치되면, 상기 고정기둥을 중심으로 직선 운동하는 상기 회전부를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철도검수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길이와 상관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간단한 핸들 조작으로 안전플레이트의 상하 이동 또는 평행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 인원 및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탄성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지지부가 회전하여 안전플레이트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방해물을 피하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플레이트를 원하는 위치까지 정지하지 않고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힌지-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안전플레이트를 상하 이동 또는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가 철도검수선 상에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의 링크부 중 구동부의 구성 및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의 링크부 중 연동부의 구성 및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의 지지부의 구성 및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탄성부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범위 한정 구성(돌출핀-플랜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의 플레이트가 하강된 상태(핸들에 힘이 가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의 플레이트가 상승된 상태(자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 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가 철도검수선(100) 상에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는 크게 플레이트(10), 복수의 롤러(20), 링크부 및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철도검수선(100)은 차량이 접촉하여 이동하는 철로(1100)와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가 접촉하여 이동하는 연결부재(1200), 철로(1100)와 연결부재(1200)를 고정하여 연결하는 고정부재(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0)는 철로(1100) 간 이격거리보다 좁고 연결부재(1200) 간 이격거리보다 넓은 폭을 갖는 사각형태일 수 있다.
플레이트(10)는 철도검수선(100), 즉 철로(1100) 또는 연결부재(1200)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롤러(20)에 의해 평행이동 할 수 있다.
플레이트(10)는 강성을 보강하고, 후술할 핸들(33)의 체결을 위한 보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대의 개수 및 배치는 플레이트(10)의 크기나 핸들(33)의 고정위치에 따라 변경 적용할 수 있다.
롤러(20)는 플레이트(10)의 하측에 복수 개 배치되어 플레이트(10)가 철도검수선(100), 즉 연결부재(1200)를 따라 평행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롤러(20)가 플레이트(10)의 각 모퉁이 하측에 총 4개 배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형태로 본 발명은 롤러(20)의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플레이트(1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롤러(20)의 개수는 변경 적용될 수 있으나, 플레이트(10)가 안정적으로 평행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에는 동일한 개수의 롤러(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의 링크부 중 구동부(30)의 구성 및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의 링크부 중 연동부(40)의 구성 및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링크부는 플레이트(10)와 롤러(20)를 연결하고, 힌지-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링크부는 구동원리에 따라 핸들(33) 조작을 통해 링크 운동하는 구동부(30)와 구동부(30)에 연동하여 링크 운동하는 연동부(40)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부(30)와 연동부(40)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프레임(70)은 구동부(30)와 연동부(40)의 일 단부, 즉 플레이트(10)와 체결되지 않은 부분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결 프레임(70)은 좌측의 연결부재(12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동부(30), 즉 후술할 구동 링크바(31)의 양 단부 중 플레이트(10)에 체결되지 않는 일 단부와 연동부(40), 즉 후술할 연동 링크바의 양 단부 중 플레이트(10)에 체결되지 않는 일 단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바와, 우측의 연결부재(12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동부(30), 즉 구동 링크바(31)의 양 단부 중 플레이트(10)에 체결되지 않는 일 단부와 연동부(40), 즉 연동 링크바의 양 단부 중 플레이트(10)에 체결되지 않는 일 단부를 연결하는 다른 하나의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70)에 의해 구동부(30)와 연동부(40)는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링크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30)는 구동 링크바(31), 보조 링크바(32), 핸들(3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링크바(31)는 일측면에 롤러(20)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단부가 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보조 링크바(3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보조 링크바(32)는 일단부가 구동 링크바(3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가 핸들(33)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핸들(33)은 힌지부를 매개로 플레이트(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플레이트(10)의 중앙에 가로 방향으로 놓인 보강대에 핸들(33)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핸들(33)의 상하 이동에 의해 구동부(30)가 링크 운동할 수 있는 위치라면 본 발명은 핸들(33)의 체결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핸들(33)은 작업자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보조 링크바(32)의 타단부를 상하 이동시키고, 보조 링크바(32)의 일단부, 즉 보조 힌지바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7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한 쌍의 구동부(30)와 한 쌍의 연동부(40)로 구성된 링크부를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링크부의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링크부는 한 쌍 이상의 구동부(30)와 한 쌍 이상의 연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의 플레이트(10)가 하강된 상태(핸들(33)에 힘이 가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의 플레이트(10)가 상승된 상태(핸들(33)의 자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링크부의 구동 원리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1과 같이, 작업자가 힘을 가해 핸들(33)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보조 링크바(32)의 일단부는 핸들(33)과 함께 하강하고 보조 링크바(32)의 타단부는 연결 프레임(7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링크바(31)는 롤러(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전방으로 이동된 연결 프레임(70)에 의해 구동 링크바(31)의 타단부가 하강하면 구동 링크바(31)의 일단부는 상승하여 구동 링크바(31)의 경사각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플레이트(10)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구동 링크바(31)에 체결된 롤러(20)는 연결부재(1200)와 접촉하고 후술할 지지부의 회전부(60)는 연결부재(1200)와 이격되어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는 평행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2와 같이, 핸들(33)을 누르던 힘을 줄어들거나 핸들(33)이 자유상태가 되면, 보조 링크바(32)의 일단부는 핸들(33)과 함께 상승하고 보조 링크바(32)의 타단부는 연결 프레임(70)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후방으로 이동된 연결 프레임(70)에 의해 구동 링크바(31)의 타단부가 상승하면 구동 링크바(31)의 일단부는 하강하여 구동 링크바(31)의 경사각이 작아지고 결과적으로는 플레이트(10)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구동 링크바(31)에 체결된 롤러(20)는 연결부재(1200)와 이격되고 후술할 지지부의 회전부(60)는 연결부재(1200)와 접촉하여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는 평행이동 불가능한 상태, 즉 정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동부(40)는 일측면에 롤러(20)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단부가 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연결 프레임(7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동 링크바(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부(40)는 연결 프레임(70)에 의해 구동부(30)와 연동되며, 연동 링크바(40)와 구동 링크바(31)는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핸들(33)의 하강으로 연결 프레임(7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연동 링크바(40)의 타단부가 하강하고 연동 링크바(40)의 일단부가 상승하여 연동 링크바(40)의 경사각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플레이트(10)가 상승할 수 있다.
핸들(33)의 상승으로 연결 프레임(7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연동 링크바(40)의 타단부가 상승하고 연동 링크바(40)의 일단부가 하강하여 연동 링크바(40)의 경사각이 작아지고 결과적으로 플레이트(10)가 하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간단한 핸들(33) 조작만으로 링크부를 링크 운동시켜 롤러(20)와 지지부의 회전부(60)와 연결부재(1200) 간 접촉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를 평행이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지지부는 플레이트(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레이트(10)가 목표 지점에 위치되면 철도검수선(100), 즉 연결부재(1200)에 접촉되어 플레이트(10)의 평행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의 지지부의 구성 및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회전부(6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고정부(5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탄성부(80)의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는 플레이트(10)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50)와, 고정부(50)에 직선 운동 또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부(60)와, 회전부(60)와 고정부(50)를 연결하는 탄성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50)는 플레이트(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판(52)과 플레이트(10)와 고정판(52)을 연결하는 고정기둥(5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52)은 연결부재(1200)와 평행한 제1 평면과 제1 평면과 직교하는 제2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면은 회전부(60)의 반대방향, 즉 하측으로 절곡되며 연결부재(1200)의 측면과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50)는 탄성부(80)가 체결되는 제2 체결핀(P2) 및 제3 체결핀(P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핀(P2) 및 제3 체결핀(P3)은 제1 평면에 배치되되 제1 평면의 외곽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부(60)는 고정기둥(51)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기둥(61)과 회전기둥(61)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전판(6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60)는 탄성부(80)가 체결되는 제1 체결핀(P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체결핀(P1)은 회전판(6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62)의 하면은 고정부(50)의 고정판(52)과 접하는 일부와, 철도검수선(100), 즉 연결부재(1200)와 접하는 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검수 중 지지부는 플레이트(10)의 하중과 함께 작업자의 체중도 지지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 플레이트(10)의 하중과 작업자의 체중이 집중되는 곳은 고정판(52)과 접하는 회전판(62)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60)는 회전기둥(61)의 외측면과 회전판(62)의 상면에 고정되어 회전판(62), 특히 회전판(62)의 일부를 보강하는 보강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60)의 높이, 즉 플레이트(10)의 하면에서 회전판(62)의 하면까지의 거리는 회전부(60)의 직선 이동 가능 범위, 즉 플레이트(10)의 하면에서 고정판(52)의 상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0)가 하강하여 회전판(62)이 연결부재(1200)와 접착하는 상태를 제외하고, 회전부(60)는 고정기둥(5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또는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지지부의 구성 및 치수관계에 의해, 회전부(60)는 링크부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되고, 회전부(6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부(60)와 연결부재(1200)가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가 철도검수선(100)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 또는 고정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탄성부(80)는 일단부가 회전판(62)의 제1 고정점, 즉 제1 체결핀(P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고정판(52)의 제2 고정점, 즉 제2 체결핀(P2)에 고정되는 제1 스프링(81)과 일단부가 제1 고정점, 즉 제1 체결핀(P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고정판(52)의 제3 고정점, 즉 제3 체결핀(P3)에 고정되는 제2 스프링(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고정점, 제2 고정점, 제3 고정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은 제1 고정점을 꼭지각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고, 제1 및 제2 스프링(82)은 동일한 스프링일 수 있다.
회전부(60)는 탄성부(80)에 의해 직선 및 회전 운동 후에 원위치로 복귀 될 수 있다.
회전 운동 후의 회전부(60)의 원위치란, 제1 고정점, 제2 고정점, 제3 고정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이 제1 고정점을 꼭지각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이 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직선 운동 후의 회전부(60)의 원위치란 회전판(62)의 하면이 연결부재(1200)와 접촉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철도검수선(100)의 고정부재(1300)는 회전부(6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로(1100)검수선(100) 무빙 안전플레이트(10)(100)는 핸들(33)의 하강 상태에서 회전부(60)가 고정기둥(5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의 이동 중에 회전부(60)는 고정부재(1300)와의 직접 충동하지 않고 스쳐 지날 수 있으며, 탄성부(8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탄성부(80)는 회전 또는 직선 운동 후의 회전부(60)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가 지속적으로 평행 이동하고, 정지 시에도 지지부가 안정적으로 플레이트(10)의 하중과 작업자의 몸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100)는 회전부(60)의 회전범위를 한정하는 회전범위 한정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범위 한정 구성의 일 실시형태로 돌출핀(P4)과 플랜지(64)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0)는 하면에 지지부 "?향으?* 돌출된 돌출핀(P4)을 포함할 수 있고, 돌출핀(P4)은 지지부가 체결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60)는 회전기둥(61)의 일 단, 즉 회전판(62)의 반대편 단에 회전기둥(6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64)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랜지(64)는 돌출핀(P4)이 삽입되는 단절 부분을 포함 수 있다.
따라서, 회전범위 한정 구성은 회전부(60)가 자유상태이되 플레이트(10)가 목표 높이 이하에 위치될 때, 플랜지(64)가 돌출핀(P4)에 닿아 소정각도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회전부(60)의 회전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64)와 플레이트(10)의 하면 간의 이격거리는 돌출핀(P4)의 높이보다 좁을 수 있다.
반면, 도 11과 같이 플레이트(10)가 목표 높이에 위치될 때, 탄성부(80)가 회전부(60)를 하강시켜 회전판(62)과 연결부재(1200)가 접촉하도록 하며, 이때 플랜지(64)와 플레이트(10)의 하면 간 이격거리는 돌출핀(P4)의 높이보다 넓어져 회전부(60)는 회전각도의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철도검수선
1100: 철로
1200: 연결부재
1300: 고정부재
100: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10: 플레이트
20: 롤러
30: 구동부
40: 연동부(연동 링크바)
50: 고정부
60: 회전부
70: 연결 프레임
80: 탄성부
31: 구동 링크바
32: 보조 링크바
33: 핸들
51: 고정기둥
52: 고정판
61: 회전기둥
62: 회전판
63: 보강대
64: 플랜지
81: 제1 스프링
82: 제2 스프링
P1: 제1 체결핀
P2: 제2 체결핀
P3: 제3 체결핀
P4: 돌출핀

Claims (15)

  1. 철도검수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철도검수선을 따라 평행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롤러를 연결하고, 힌지-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링크부;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목표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철도검수선에 접촉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평행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핸들 조작을 통해 링크 운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동하여 링크 운동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연동부가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면에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보조 링크바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동 링크바;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상기 핸들;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 링크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기 보조 링크바;를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일측면에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동 링크바;를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향에 위치하는 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핸들은 상하 방향의 조정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링크부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철도검수선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 또는 상기 철도검수선에 고정된 상태로 전환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직선 운동 또는 회전 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판; 및
    상기 플레이트와 고정판을 연결하는 고정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기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기둥; 및
    상기 회전기둥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하면은 상기 고정판과 접하는 일부와, 상기 철도검수선과 접하는 타부를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을 보강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제1 고정점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제2 고정점에 고정되는 제1 스프링;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고정점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제3 고정점에 고정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점, 상기 제2 고정점, 상기 제3 고정점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은 상기 제1 고정점을 꼭지각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인,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목표 지점보다 높게 위치되면, 상기 고정기둥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상기 회전부를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목표 지점보다 높게 위치되면, 상기 고정기둥을 중심으로 직선 운동하는 상기 회전부를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KR1020190148243A 2019-11-19 2019-11-19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KR20210060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43A KR20210060799A (ko) 2019-11-19 2019-11-19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43A KR20210060799A (ko) 2019-11-19 2019-11-19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99A true KR20210060799A (ko) 2021-05-27

Family

ID=7613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243A KR20210060799A (ko) 2019-11-19 2019-11-19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79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32B1 (ko) 2012-11-27 2013-07-08 민선미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101673941B1 (ko) 2016-02-24 2016-11-08 주식회사 노이에로코리아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32B1 (ko) 2012-11-27 2013-07-08 민선미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101673941B1 (ko) 2016-02-24 2016-11-08 주식회사 노이에로코리아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3720B2 (ja)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US10253854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JP5827289B2 (ja) 貨物用ラック
JP5983752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582889B1 (ko) 이동식 작업대
US202400254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steering a heavy load
CN110002160B (zh) 一种移动式烟箱入库用多方位扫码装置
CN201573964U (zh) 传送带支架
CN209567747U (zh) 一种安全性高的升降式运料装置
JP2016130150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20210060799A (ko) 철도검수선 무빙 안전플레이트
CA2969126C (en) Tire uniformity testing system
KR10126127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렬 지그
CN109128806A (zh) 一种悬挂空轨转向架电机齿轮箱组装装置
JP2016130151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RU2274506C2 (ru) Формов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талей из листового металла вытягиванием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инструмента или формы
KR101201023B1 (ko)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JP6223390B2 (ja) 貨物用ラック
CN114247669B (zh) 板件清洁机器人
KR20200118348A (ko)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CN217667435U (zh) 一种铰接座焊接定位装置
CN209078786U (zh) 机器人平衡结构
CN220643855U (zh) 一种钢箱梁u肋检测装置
JP3213551U (ja) 遊技機運搬用台車
JP3404506B2 (ja) 家具の支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