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348A -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348A
KR20200118348A KR1020190087652A KR20190087652A KR20200118348A KR 20200118348 A KR20200118348 A KR 20200118348A KR 1020190087652 A KR1020190087652 A KR 1020190087652A KR 20190087652 A KR20190087652 A KR 20190087652A KR 20200118348 A KR20200118348 A KR 2020011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using
rack
assembly
mobil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동성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오에이 filed Critical (주)동성오에이
Priority to KR102019008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8348A/ko
Publication of KR2020011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5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intersects swiv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4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siliently, by means of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빌랙용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모빌랙용 대차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휠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휠어셈블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공사 및 레일설치공사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모빌랙의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신속하게 모빌랙을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Carriage Assembly of Mobile Rack}
본 발명은 모빌랙에 사용되는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Mobile-rack)이라 함은 기존 물품 수납 공간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고정식 수납장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수납장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모빌랙의 활용으로 수납의 고밀도 및 고효율성이 이루어지고, 물품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 등 가장 효율적인 물품 보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공간절약, 환경개선, 사무능률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거에는 모빌랙이 주로 책, 서류와 같은 문서류를 보관하기 위한 서가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유통, 제조업을 막론하고 다양한 산업현장에 설치됨으로써 물류의 보관, 입출고, 나아가 재고관리를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물류산업의 자동화 구축과 함께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빌랙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핸들조작에 의해 랙을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들식 모빌랙과, 전원의 인가에 의해 전동으로 랙을 이동시키는 전동식 모빌랙으로 종류를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핸들식이든, 전동식이든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모빌랙은 기본적으로,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다수의 랙을 포함하게 되고, 상기 다수의 랙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랙본체와, 상기 랙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랙본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를 구비한 대차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 통상적인 모빌랙의 경우, 랙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대차의 구성으로 인하여, 반드시 모빌랙이 설치될 장소의 바닥공사를 시행하고 바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을 설치해야만 하므로, 모빌랙의 설치를 위한 시공비용 및 자재비용 등이 크게 상승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모빌랙의 대차는 다양한 구성들이 개시되어 있긴 하지만, 모두 하우징에 바퀴가 고정 지지됨으로써 하우징에 대하여 바퀴의 상대적인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통점이 있으며, 이렇게 바퀴의 위치가 고정되어 수평조절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랙본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는 바닥을 고르게 하여 평탄화하는 바닥공사를 시행하고 바퀴의 이동을 위한 레일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따라서 이러한 바닥공사 및 레일설치로 인하여 모빌랙의 전체적인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357877호 :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등록특허 제10-1704981호 : 모빌랙용 대차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의 굴곡에 따라 휠어셈블리의 상하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면서 자동으로 수평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공사 및 레일설치를 하지 않더라도 랙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모빌랙의 랙본체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하우징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휠어셈블리와, 상기 한쌍의 휠어셈블리가 지면의 굴곡에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한쌍의 휠어셈블리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휠어셈블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상판을 관통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휠어셈블리와 하우징의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우징을 관통한 상기 지지로드에 나사 체결되는 조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어셈블리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탄성 지지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가 개방된 휠프레임과, 상기 휠프레임의 양쪽 측판에 장착되는 휠베어링과, 상기 휠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축과, 상기 휠축에 결합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쪽 측판에는 수직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휠어셈블리는 휠프레임의 양쪽 측판에 구비되어 탄성적인 승강 동작시 상기 가이드장공을 따라 안내되는 승강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더는, 상기 휠프레임의 측판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장공을 관통하는 몸체부와, 가이드장공을 관통한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측판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랙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어셈블리로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호간에 연결빔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대차와, 상기 복수의 대차 각각의 휠축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축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팅축과 휠축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에 의하면,
바닥의 굴곡에 대응하여 휠어셈블리의 상하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면서 자동으로 수평조절이 이루어지므로, 바닥공사 및 레일설치를 하지 않더라도 랙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설치장소의 바닥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바닥공사가 필요하지 않음과 함께 레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모빌랙의 설치에 있어 비용상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닥공사 및 레일설치에 따른 공사 비용과 자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함께, 바닥의 레일로 인한 통행의 불편함까지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용 대차를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모빌랙용 대차의 구성을 분해하여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모빌랙용 대차를 폭방향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모빌랙용 대차를 길이방향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용 대차어셈블리를 일 예시한 도면,
도 6은 대차와 대차 사이의 커넥팅축 연결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바닥상태에 따른 모빌랙용 대차어셈블리의 작용을 각각 일 예시한 도면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대차어셈블리를 이용한 모빌랙의 직진가이드를 위한 구성을 각각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10, 이하, “대차”로 약칭함.)의 구성 및 작용이 일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10)는 하우징(100)과, 휠어셈블리(200)와, 탄성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좌우 폭에 비하여 전후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후술할 휠어셈블리(2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면서 하부는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하우징(100)의 상판(111)에는 로드공(113)이 형성되는데, 상기 로드공(113)은 후술한 탄성지지부(300)의 지지로드(31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양쪽 측판(112)에는 역U 자 형상으로 절개된 축유동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유동홀(114)은 후술할 휠어셈블리(200)의 휠축(230)이 측판(112)과 간섭되지 않고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의 양쪽 측판(112)에는 수직으로 가이드장공(1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축유동홀(114)의 양쪽 위치에서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장공(115)에는 후술할 휠어셈블리(200)의 승강가이더(25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휠어셈블리(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하우징(100)에 고정되지 않고 승강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후술할 탄성지지부(300)에 지지됨으로써 하우징(100)에 대한 상하방향의 상대적인 위치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휠어셈블리(200)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하우징(100)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휠어셈블리(200)는 도 2 및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휠프레임(210)과, 휠베어링(220)과, 휠축(230)과, 바퀴(240)와, 승강가이더(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휠프레임(21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판(211)이 후술할 탄성지지부(300)에 탄성 지지되면서 하부는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휠베어링(220)은 휠프레임(210)의 양쪽 측판(212)에 장착되고, 상기 휠축(230)은 휠베어링(2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바퀴(240)는 휠축(230)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휠축(23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휠축(230)은 전술한 하우징(100)의 축유동홀(114)을 통해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축유동홀(114)을 따라 간섭없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240)에는 구름 운동시 바닥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2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호커버(241)는 일 예로서 우레탄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더(250)는 휠프레임(210)의 양쪽 측판(212)에 구비되며, 휠어셈블리(200)의 탄성적인 승강 동작시 전술한 하우징(100)의 가이드장공(115)을 따라 안내되면서 휠어셈블리(200)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승강가이더(250)는 휠프레임(210)의 측판(212)에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장공(115)을 관통하는 몸체부(251)와, 가이드장공(115)을 관통한 몸체부(251)의 끝단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측판(112)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헤드부(2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승강가이더(250)는 전술한 것처럼 축유동홀(114)의 양쪽 위치에서 한쌍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장공(115)에 대응하여, 휠프레임(210)의 양쪽 측판(212) 각각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지지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에 대하여 휠어셈블리(20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지지부(300)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휠어셈블리(200)가 상호 독립적으로 승강되도록 한쌍의 휠어셈블리(200)를 각각 탄성지지한다.
즉, 한쌍의 탄성지지부(300)는 바퀴(240)가 이동하는 바닥의 굴곡 등에 따라 한쌍의 휠어셈블리(2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되면서 하우징(100)에 대한 상대적인 상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쌍의 휠어셈블리(200)를 하우징(100)에 탄성적으로 각각 지지시키며, 이렇게 한쌍의 휠어셈블리(200)가 한쌍의 탄성지지부(300)에 각각 탄성 지지되어 상하 위치가 독립적으로 가변됨으로써, 하우징(100)은 자동으로 수평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바닥의 굴곡과 관계없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탄성지지부(300)는 도 2 및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지지로드(310)와, 탄성체(320)와, 조절편(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로드(310)는 휠어셈블리(20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00)의 상판(111)을 관통한다.
즉, 지지로드(310)는 휠프레임(210)의 상판(211)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하우징(100)의 로드공(113)을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지지로드(310)의 상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조절편(33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20)는 휠어셈블리(200)와 하우징(100)의 상판(111) 사이에 설치되며, 휠어셈블리(200)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즉, 탄성체(320)는 상기 지지로드(310)에 의해 내측이 관통되면서 휠프레임(210)의 상판(211)과 하우징(100)의 상판(111)에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체(320)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절편(330)은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하우징(100)의 상판(111)을 관통한 상기 지지로드(310)에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조절편(330)은 지지로드(310)에 나사 체결이 가능한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편(330)은 지지로드(310)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휠어셈블리(200)의 탄성적인 승강동작 범위 및 탄성체(320)의 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조절편(330)의 체결깊이를 증가시킬수록 하우징(100)에 대한 휠어셈블리(200)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승되면서 탄성체(320)가 압축되므로, 휠어셈블리(200)에 인가되는 탄성력은 커지면서 휠어셈블리(200)의 승강동작 범위는 축소되고, 체결깊이를 감소시킬 수록 반대로 탄성력은 작아지면서 승강동작 범위는 확대된다.
따라서, 굴곡 정도 등 바닥상태나 가해지는 하중 등을 고려하여 상기 조절편(330)의 체결깊이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대차(1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대차(10)는 복수 개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자동수평조절식 대차어셈블리(1, 이하, “대차어셈블리”라 약칭함.)를 구성한다.
도 5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어셈블리(1)가 일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 일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어셈블리는 이동랙의 랙본체(2)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대차(1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대차(1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대차(10)의 갯수는 대차어셈블리(1)의 상부에 결합되는 랙본체(2)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채택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5에는 일 예로서 3개의 대차(10)가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대차(1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가 되며, 연결빔(20)을 통해 상호간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물론, 복수의 대차(10)에는 상기 연결빔(20) 외에 대차(10) 상호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비틀림 등이 방지되도록 다양한 구조의 보강대(2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배치 결합된 복수의 대차(10) 각각의 휠축(230)은 커넥팅축(30)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즉, 상기 커넥팅축(30)은 복수의 대차(10) 각각의 휠축(230)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일측 대차(10)의 휠축(230)에 인가된 회전력을 나머지 대차(10)의 휠축(2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대차(10)는 바닥의 굴곡에 따라 휠어셈블리(200)가 탄성적으로 승강되면서 상하 위치가 가변되는 구성이므로, 복수의 대차(10) 각각의 휠축(230) 또한 해당 바퀴(240)가 지나가는 바닥상태에 따라 상호간에 상하 위치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휠축(230) 상호간의 위치변경에도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팅축(30)과 복수의 대차(10) 각각의 휠축(230)은 유니버설 조인트(40)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대차(10) 및 대차어셈블리(1)는 모빌랙이 설치되는 바닥이 고르지 않고 굴곡이 있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휠어셈블리(200)가 탄성적으로 승강되면서 랙본체(2)의 수평이 자동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랙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일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대차어셈블리(1)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바닥을 지나가는 경우, 휠어셈블리(200)는 하우징(100)에 가해지는 하중과 탄성체(320)의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 위치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핸들 또는 모터(도면 미도시)로부터 휠축(230)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바퀴(240)가 구름 운동을 하면서 평평한 바닥을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대차어셈블리(1)가 굴곡이 있는 바닥을 지나가는 경우, 먼저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바닥의 돌출부(a)를 지나가는 경우, 휠어셈블리(200)가 돌출부(a)를 통과할 때 탄성체(320)를 압축시키면서 탄성적으로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대차어셈블리(1) 및 이에 결합된 랙본체(2)는 돌출부(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자동으로 수평조절이 이루어져 여전히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9에 일 예시된 것처럼, 바닥의 오목부(b)를 지나가는 경우, 휠어셈블리(200)가 오목부(b)를 통과할 때는 탄성체(320)가 신장되면서 휠어셈블리(200)가 탄성적으로 하강되며, 그에 따라 대차어셈블리(1) 및 이에 결합된 랙본체(2)는 오목부(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자동으로 수평조절이 이루어져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0에 일 예시된 것처럼, 복수의 대차 각각의 휠축(230)은 유니버설 조인트(40)를 통해 커넥팅축(3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돌출부(a)나 오목부(b)로 인하여 복수의 대차(10) 각각의 휠어셈블리(200)가 위와 같은 탄성적인 승강 동작을 하더라도, 인가된 회전력이 복수의 대차(10) 각각으로 용이하게 전달되어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대차(10) 및 대차어셈블리(1)는 모빌랙이 설치되는 바닥이 고르지 않고 굴곡이 있더라도 이동랙의 수평이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차어셈블리(1)가 적용된 모빌랙은 종래와 같이 설치장소의 바닥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바닥공사가 필요하지 않음과 함께 레일을 또한 굳이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모빌랙의 설치에 있어 비용면과 시간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닥공사 및 레일설치에 따른 공사 비용과 자재 비용, 설치작업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더불어 바닥에 설치된 레일로 인하여 발생하는 통행의 불편함까지 일거에 해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종래와 같은 레일이 바닥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 이동랙의 직진 이동이 담보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대차어셈블리(1)를 이용한 모빌랙의 경우에는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을 대신하여 이동랙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차어셈블리(1)를 이용한 모빌랙은 일 예로서 도 11에 일 예시된 것처럼, 고정랙(F.R)의 상단에 고정되면서 이동랙(M.R)의 상부를 지나도록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진레일(3)과, 이동랙(M.R)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직진레일(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랙(M.R)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직진가이더(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랙(F.R)은 바닥에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는 랙을 의미하고, 이동랙(M.R)은 랙본체(2)의 하부에 본 발명의 대차어셈블리(1)가 결합됨으로써 이동이 가능한 랙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빌랙에 추가되는 상기 직진레일(3)은 종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과 달리 이동랙의 하중을 전혀 받지 않으면서, 오로지 이동랙(M.R)이 대차어셈블리(1)에 의해 이동될 때 이동방향이 틀어지지 않고 직진 이동을 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종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과 비교할 때 대폭 저렴한 비용으로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모빌랙의 다른 예로서는 도 12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직진레일(3)을 고정랙(F.R)의 상단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대신에, 모빌랙이 설치되는 장소의 천정에 브라켓을 사용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직진레일(3)은 종래의 레일처럼 이동랙(M.R)의 하측에서 이동랙(M.R)을 지탱하면서 하중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동랙(M.R)의 상측에서 이동랙(M.R)의 직진 이동만을 가이드하는 것이기 때문에, 천정에 설치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를 적용한 모빌랙의 경우 바닥공사 및 레일 설치공사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모빌랙의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신속하게 모빌랙을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대차 100: 하우징
113: 로드공 115: 가이드장공
200: 휠어셈블리 210: 휠프레임
220: 휠베어링 230: 휠축
240: 바퀴 250: 승강가이더
300: 탄성지지부 310: 지지로드
320: 탄성체 330: 조절편
20: 연결빔 30: 커넥팅축
40: 유니버설 조인트

Claims (6)

  1. 모빌랙의 랙본체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하우징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휠어셈블리;
    상기 한쌍의 휠어셈블리가 지면의 굴곡에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한쌍의 휠어셈블리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휠어셈블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상판을 관통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휠어셈블리와 하우징의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우징을 관통한 상기 지지로드에 나사 체결되는 조절편을 포함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어셈블리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탄성 지지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가 개방된 휠프레임과, 상기 휠프레임의 양쪽 측판에 장착되는 휠베어링과, 상기 휠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축과, 상기 휠축에 결합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쪽 측판에는 수직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휠어셈블리는 휠프레임의 양쪽 측판에 구비되어 탄성적인 승강 동작시 상기 가이드장공을 따라 안내되는 승강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더는,
    상기 휠프레임의 측판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장공을 관통하는 몸체부와, 가이드장공을 관통한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측판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대차를 이용하면서 랙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어셈블리로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호간에 연결빔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의 대차;
    상기 복수의 대차 각각의 휠축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축;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팅축과 휠축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어셈블리.
KR1020190087652A 2019-07-19 2019-07-19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KR20200118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52A KR20200118348A (ko) 2019-07-19 2019-07-19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52A KR20200118348A (ko) 2019-07-19 2019-07-19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931A Division KR102004234B1 (ko) 2019-04-03 2019-04-03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48A true KR20200118348A (ko) 2020-10-15

Family

ID=7288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52A KR20200118348A (ko) 2019-07-19 2019-07-19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83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694B1 (ko) * 2022-12-05 2023-11-16 이영화 성형몰드 작업용 청소도유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877B1 (ko) 2012-06-11 2014-02-06 피아산업 주식회사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KR101704981B1 (ko) 2016-09-30 2017-02-09 (주)대원모빌랙 모빌랙용 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877B1 (ko) 2012-06-11 2014-02-06 피아산업 주식회사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KR101704981B1 (ko) 2016-09-30 2017-02-09 (주)대원모빌랙 모빌랙용 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694B1 (ko) * 2022-12-05 2023-11-16 이영화 성형몰드 작업용 청소도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902B2 (en) Apparatus for elevating and positioning a work platform
US10576798B2 (en) Articulated hitch coupler
US20140219759A1 (en) Mast assembly with improved operator visibility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CN104528609A (zh) 一种桥式作业平台
JP2008081301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104640790A (zh) 具有可枢转的格段的装置
EP2465811A1 (en) Stacker crane
KR20200118348A (ko)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US20080226432A1 (en) Storage and Retrieval Unit and Method For Longitudinal Positioning on a Shelf in a Commissioning System
KR102004234B1 (ko)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어셈블리
AU2017318205B2 (en) Industrial truck and drive wheel bearing device for industrial trucks
KR10126127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렬 지그
KR102077657B1 (ko) 자재이송장치
CN208674816U (zh) 一种配电柜用组合式母线槽
CN104528607B (zh) 一种桥式作业平台的平台总成
US10703562B2 (en) Storage and retrieval unit
US20240124284A1 (en) Apparatus for operating the fork holder supports of a forklift
CN211472154U (zh) 一种直梁式多向等距变位伸缩装置
CN209411717U (zh) 一种便于货架维修的倾倒装置
KR101256847B1 (ko)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KR102540048B1 (ko) 차량 아우트리거 받침판의 보관기구
CN213863127U (zh) 一种汽车用前地板运输料架
CN220434776U (zh) 支撑机构
KR102586221B1 (ko) 셀프로더
CN209795532U (zh) 一种控制柜周转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