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847B1 -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847B1
KR101256847B1 KR1020120047403A KR20120047403A KR101256847B1 KR 101256847 B1 KR101256847 B1 KR 101256847B1 KR 1020120047403 A KR1020120047403 A KR 1020120047403A KR 20120047403 A KR20120047403 A KR 20120047403A KR 101256847 B1 KR101256847 B1 KR 10125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late body
upper plate
pallet
lin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을숙
손영옥
Original Assignee
손영옥
진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옥, 진을숙 filed Critical 손영옥
Priority to KR102012004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41Single levers, e.g. paralle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with wheels for moving around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팔레트와 같은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하고 더 나아가 상기 팔레트를 단구간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팔레트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기 팔레트의 저면에 접하게 되는 상판체(10); 상기 상판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판체(20); 고정링크(20')가 상기 받침판체(20)와 일체가 되도록 상기 받침판체(20)에 설치되는 링크기구(30); 일단이 상기 링크기구(30)의 유동링크(35)에 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판체(10)에 핀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판체(10)에 대하여 제1고정점을 중심으로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암(40); 일단이 제2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끔 상기 상판체(1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기구(30)의 고정링크(2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작동레버(L)를 이용하여 상기 제2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버받이홈(51)이 마련되는 회전블럭(50); 상기 유동링크(35)에 설치되며 지면에 접하게 되는 휠(9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Lifter For Palette Of Cargo}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 내부에서 짐을 싣고 있는 팔레트를 단구간 사이에서 리프링하여 옮겨 놓기 위한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적재함 차량(cargo vehicle)이 물류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품수송용 냉동탑차가 도시된 형태로 많이 사용된다.
팔레트(P, palette)는 통상 지게차(100)를 이용하여 차량의 적재함(102)에 적재된다. 그러나 적재함(102)의 길이가 긴 경우 지게차(100)를 이용하여 적재함(102)의 깊숙한 곳까지 짐을 적재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지게차(100)가 적재함(102)의 입구(102a) 근처에 짐을 올려놓으면 이를 리프팅하여 적재함의 깊숙한 곳까지 팔레트를 운반하고, 하역시에도 깊숙이 적재된 짐을 적재함의 입구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기계적 장비가 사용된다.
팔레트를 짧은 구간 사이에서 운반하기 위한 종래의 리프팅 장치는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짐을 옮겨놓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레일이라는 제한을 받기 때문에 차체가 옆으로 기울어 있는 경우 사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특허출원 제10-2009-0076326호는 전동기구에 의해 기동하는 파렛트 운반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부피와 중량이 커지고 전동기구를 포함함으로써 단가가 상승하여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짐이 실린 팔레트를 용이하게 단구간 사이에서 리프팅하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팔레트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동식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어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이러한 경량화에 비해 큰 작용력을 발휘할 수 있는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또는 팔레트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한 쌍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팔레트와 같은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하고 더 나아가 상기 팔레트를 단구간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팔레트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저면에 접하게 되는 상판체; 상기 상판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판체; 고정링크가 상기 받침판체와 일체가 되도록 상기 받침판체에 설치되는 링크기구; 일단이 상기 링크기구의 유동링크에 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판체에 핀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판체에 대하여 제1고정점을 중심으로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암; 일단이 제2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끔 상기 상판체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기구의 고정링크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작동레버를 끼워 상기 결합핀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버받이홈이 마련되는 회전블럭; 상기 유동링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에 접하게 되는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받침판체에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링크기구와 작동암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블럭은 가장 앞쪽에 설치된 링크기구에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판체와 상기 링크기구의 고정링크 사이에는 상기 상판체의 상판에 밀착 고정되는 보강판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보강판에는 상기 링크기구의 동작구간중 특정 지점에서 상기 링크기구의 고정핀과 결합되는 핀베어링이 안착될 수 있는 베어링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휠은 상기 유동링크의 연장방향을 따라 2곳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블럭이 회전 작동하여 상기 고정링크와 유동링크의 거리가 최대로 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블럭이 임의로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상판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블럭의 모서리와 저촉되면서 탄성적으로 유동하게 되는 절곡된 형태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동레버만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부품이 연속 설치되는 구조로서 제품의 제작성이 좋고 부품을 소형 경량화함으로써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구조의 팔레트 리프팅 장치가 제공된다.
한쌍의 리프팅 장치를 팔레트 밑에 균형을 맞춰 끼운 상태에서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회전블럭을 뒤로 젖히거나 앞으로 밀게 되며, 링크기구가 동작하여 고정링크와 유동링크가 평행을 이루며 상하로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되고, 따라서 상판체의 제1,2고정점 사이에서 링크기구의 높이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상판체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팔레트를 리프트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 리프팅 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 리프팅 장치의 측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 리프팅 장치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레트 리프팅 장치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팔레트 리프팅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 내지 6을 주로 참조하되 필요에 따라 다른 도면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리프팅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P)와 같은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하고 더 나아가 상기 팔레트(P)를 단구간 사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프팅 장치는 한 쌍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체가 팔레트(P)의 저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적재함 바닥에 마련되는 좁은 레일에 끼워져야 하므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길며 납작한 형태를 가진다. 리프팅 장치는 또한 적재함 바닥에 마련되어 있는 레일에 끼워져 구름운동해야 하므로 그 레일의 폭보다 좁아야 한다.
단면이 대략 디귿자 형태를 가진 상판체(10)는 팔레트(P)의 저면에 접하게 되는 판재이다. 상판체(10)는 팔레트(P)의 길이에 준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폭이 좁은 평판(11)과, 평판(11)의 양측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부착된 상측판(12)으로 구성된다. 상판체(10)의 전방이 되는 곳에는 헤드부(13)가 설치되며, 헤드부(13)에는 작동레버(L)를 끼우기 위한 레버인입공(14)이 마련된다. 헤드부(13)는 후술되는 회전블럭(52)의 동작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판(1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골조의 형태를 갖는 받침판체(20)가 상판체(10)의 저면에 상대적 유동이 가능하게끔 설치된다. 받침판체(20)는 상판체(10) 내부에 안착되는 폭을 가지며 상판체(10)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다. 받침판체(20)는 다수의 구멍(26)이 타공되어 있는 횡판(21)과 횡판(2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측판(22)을 포함한다.
링크기구(30)는 그의 고정링크(20')가 받침판체(20)와 일체가 되도록 받침판체(20) 상에 설치된다. 즉 받침판체(20)가 링크기구(30)를 구성하는 고정링크(20')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는 것이다. 고정링크(20')의 고정핀(33)은 받침판체의 받침측판(22) 상에 설치된다. 이하의 링크기구(30)의 상세한 사항은 도 3과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링크기구(30)는 4절링크로서 고정링크(20')의 양측 고정핀(33)을 중심으로 유동링크(35)가 평행운동을 하는 구조를 가진다. 고정링크(20')와 유동링크(35)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링크(31,32) 역시 서로 평행하게 기동된다. 유동링크(35)와 연결링크(31,32)는 각각 유동링크 연결핀(34)에 의해 핀결합되며, 제1고정핀(42)과 받침판체(20)는 제1고정핀설치대(43)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작동암(40)은 일단이 링크기구의 유동링크(35), 특히 유동링크의 연장부(35a)에 링크연결핀(41)을 통해 핀결합되고, 타단이 상판체(10)에 제1고정핀(42)을 통해 핀결합된다. 이로써, 작동암(40)은 타단이 상판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고정핀(42)을 중심으로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블럭(50)은 일단이 제2고정핀(5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끔 상판체(10)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링크기구(30)의 고정링크(20')에 연결된다. 회전블럭(50)은 사용자가 작동레버(L)를 끼워 제2고정핀(5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버받이홈(51)을 마련하고 있다. 회전블럭(50)의 타단은 연결대(70)를 통해 받침판체(20)에 연결되며, 연결대(70)의 양단은 각각 연결핀(53,71)에 의해 힌지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판체(10)에는 두 개의 고정점이 마련되고 있는데, 제1고정점은 작동암(40)의 타단과 힌지연결되는 제1고정핀(42)이며, 제2고정점은 회전블럭(50)과 힌지연결되는 제2고정핀(52)이다. 링크기구(30)는 제1,2고정점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지의 관절운동에 의해 상판체(10)와 받침판체(10)의 슬라이딩 운동에 관여한다. 이들의 작동원리는 후술된다.
고정링크(20')와 평행을 이루며 동작하는 유동링크(35)에는 휠축(91)을 매개로 하여 휠(90)이 설치된다. 휠(90)은 지면에 닿는 부분으로서 미끄럼방지를 위해 널링으로 표면처리되거나 우레탄 코팅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판체(20)에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링크기구(30)와 작동암(40)이 동일한 구조과 기능을 갖도록 설치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총 4쌍의 링크기구(30)와 작동암(40)이 설치되고 있다.
받침판체(20)에 설치된 각각의 링크기구(30)는 고정링크(20')를 공유하게 되며, 따라서 각 링크기구(30)는 하나의 회전블럭(50)을 작동시킴으로써 동시에 함께 기동하게끔 되어 있다. 회전블럭(50)은 가장 앞쪽에 설치된(도 4의 도면상 맨 좌측) 링크기구(30)에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판체(10)와 링크기구(30), 특히 고정링크(20') 사이에는 상판체(10)의 상판(11)에 밀착 고정되는 보강판(60)이 설치될 수 있다. 결국 상판(11)에 가해지는 중력하중은 보강판(60), 링크기구(30) 및 휠(90)을 순차적으로 거쳐 지면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보강판(60)에는 링크기구(30)의 동작구간중 특정 지점에서 링크기구의 고정핀베어링(33a)이 안착될 수 있는 베어링안착홈(61)이 마련될 수 있다. 보강판(60)은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두께의 판재로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레버(L)를 시종 일정한 힘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판체(10)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베어링안착홈(61)은 상판체(10)가 최대로 들려진 상태에서 고정핀베어링(33a)이 찰칵하고 끼워지게 함으로써 들려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의 일부 확대도를 보면, 보강판(60)은 베어링안착홈(61)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 즉 도면상 오른쪽 끝이 두껍게 되어 있는데 이는 고정핀베어링(33a)이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고정핀베어링(33a)은 보강판(60)위에서 구름운동을 하게끔 롤러부시 등을 매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동링크(35)는 단지 유동핀(34)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서 작동암(40)이 설치된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휠(90)은 유동링크(35)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가 설치되고 있다. 하나의 유동링크(35)에 2개의 휠(90)이 설치됨으로써 그만큼 하중을 여러 곳으로 분산할 수 있게 된다. 휠(90)은 직경보다 길이가 기다란 원통 형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블럭(50)이 회전 작동하여 고정링크(20')와 유동링크(35)의 거리가 최대로 된 상태, 즉 상판체(10)가 최대한 상승한 상태에서 회전블럭(50)이 임의로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베어링안착홈(61)도 풀림방지수단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다만 이에 더하여 상판체(10)의 전방에 회전블럭(50)과 선택적으로 저촉될 수 있는 판스프링(81)이 설치되고 있다. 판스프링(81)은 상판체(10)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전방고정대(80)의 내면에 고정된다. 회전블럭(50)의 선단 모서리(55)는 판스프링(81)의 절곡부(82)와 선택적으로 저촉되게 된다. 탄성을 극복하고 회전블럭(50)을 젖히게 되면 판스프링(81)이 회전블럭(50)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 힘을 주어야만 회전블럭(50)이 원위치되면서 링크기구(30)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판체(10)의 저면에는 상판체(10)의 연장방향을 따라 2곳 이상에 댐핑블럭(100)이 설치된다. 댐핑블럭(100)은 상판체(10)의 최저 높이를 결정짓는 것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다. 댐핑블럭(100)은 댐퍼(101)와, 댐퍼(101)를 고정시키기 위한 댐퍼볼트(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리프팅 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7(a)는 상판체가 가장 낮게 위치하는 상태이다. 통상 한 쌍의 리프링 장치는 이 상태에서 팔레트의 저부 공간에 인입되게 된다(도 1 참조). 물론 헤드부(13)가 팔레트 밖에 머물 정도로 인입되어야 할 것이다.
작동레버(L, 도 6 참조)를 레버받이홈(51)에 끼워 뒤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회전블럭(50)이 제2고정핀(5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중간과정이 도 7(b)에 도시되며 회전블럭(5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판체(10)가 팔레트의 저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결대(70)는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따라서 고정링크(20')인 받침판체(20) 역시 우측으로 밀리게 된다. 그런데 유동링크(35)는 작동암(40)을 매개로 하여 고정판체(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정링크(20')와 함께 밀리지 않게 되며, 불가피하게 4절링크의 관절운동을 하면서 고정링크(20')로부터 멀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결링크(31,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직립되게 되고 결국 상판체(10)는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유동링크(35)에 설치된 휠(90)은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유동링크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마찰력을 줄어준다.
작동레버(L)를 완전히 젖혀 도 7(c)의 상태가 되면, 링크기구의 고정핀베어링(33a)이 베어링안착홈(61)에 안착되게 되며(이 부분은 도 6 참조), 이와 함께 회전블럭(50)의 모서리(55)가 판스프링(81)에 찰칵하고 걸리게 된다. 물론 이 상태는 팔레트를 들어 올린 상태가 될 것이다.
이 과정에 있어서 작동레버(L)는 45°의 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상판체(10)는 13 ~ 20mm 정도에서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작동레버(L)와 회전블럭(50)간의 지레작용에 의해 큰 힘으로 팔레트를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며, 휠(90)을 이용함으로써 팔레트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위에 설명된 각각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조합될 수 있으며, 이들 조합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 상판체 11 : 상판
12 : 상측판 13 : 헤드부
20 : 받침판체 20' : 고정링크
21 : 횡판 22 : 받침측판
30 : 링크기구 31,32 : 연결링크
33 : 고정핀 34 : 유동링크 연결핀
35 : 유동링크 40 : 작동암
42 ,52 : 제1,2고정핀 50 : 회전블럭
51 : 레버받이홈 60 : 보강판
61 : 베어링안착홈 70 : 연결대
81 : 판스프링 90 : 휠
100 : 댐핑블럭
L ; 작동레버 P ; 팔레트

Claims (3)

  1. 한 쌍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팔레트와 같은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하고 더 나아가 상기 팔레트를 단구간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팔레트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저면에 접하게 되는 상판체(10); 상기 상판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판체(20); 고정링크(20')가 상기 받침판체(20)와 일체가 되도록 상기 받침판체(20)에 설치되는 링크기구(30); 일단이 상기 링크기구(30)의 유동링크(35)에 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판체(10)에 핀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판체(10)에 대하여 제1고정점을 중심으로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암(40); 일단이 제2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끔 상기 상판체(1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기구(30)의 고정링크(2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작동레버(L)를 이용하여 상기 제2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버받이홈(51)이 마련되는 회전블럭(50); 상기 유동링크(35)에 설치되며 지면에 접하게 되는 휠(90)을 포함하되;
    상기 휠(90)은 직경보다 길이가 기다란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유동링크(35)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체(20)는 상기 상판체(10) 내부에 안착되는 폭과 상기 상판체(10)와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횡판(21)과 상기 횡판(2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측판(22)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체(20)에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링크기구(30)와 작동암(40)이 반복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블럭(50)은 가장 앞쪽에 설치된 링크기구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체(10)와 상기 링크기구의 고정링크(20') 사이에는 상기 상판체(10)의 상판(11)에 밀착 고정되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의 보강판(60)이 설치되되;
    상기 보강판(60)에는 상기 링크기구의 고정핀(33)과 결합되는 핀베어링(33a)이 안착될 수 있는 베어링안착홈(61)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판(60)은 상기 베어링안착홈(61)을 기준으로 일측 단부가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럭(50)이 회전 작동하여 상기 상판체(10)가 최대로 들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블럭(50)이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상판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블럭(50)의 모서리(55)와 저촉되면서 탄성적으로 유동하게 되는 절곡된 형태의 판스프링(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KR1020120047403A 2012-05-04 2012-05-04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KR10125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03A KR101256847B1 (ko) 2012-05-04 2012-05-04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03A KR101256847B1 (ko) 2012-05-04 2012-05-04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847B1 true KR101256847B1 (ko) 2013-04-23

Family

ID=4844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403A KR101256847B1 (ko) 2012-05-04 2012-05-04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60A (ko) * 2014-05-02 2015-11-12 박창수 팔레트 캐리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028A (ja) * 2001-07-30 2003-02-13 Tosho Butsuryu Kk 貨物自動車の荷室への荷物搬送用キャリア
JP2003306070A (ja) * 2002-04-12 2003-10-28 Techno Hagihara:Kk 積荷運搬トロリー
KR100457586B1 (ko) * 2002-11-28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028A (ja) * 2001-07-30 2003-02-13 Tosho Butsuryu Kk 貨物自動車の荷室への荷物搬送用キャリア
JP2003306070A (ja) * 2002-04-12 2003-10-28 Techno Hagihara:Kk 積荷運搬トロリー
KR100457586B1 (ko) * 2002-11-28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460A (ko) * 2014-05-02 2015-11-12 박창수 팔레트 캐리어
KR101598407B1 (ko) 2014-05-02 2016-02-29 박창수 팔레트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2390B1 (en) Pallet
US8567795B2 (en) Lower frame for a product holder, holder and operating procedure
US8162190B2 (en) Ergonomic lift mechanism for a truck box
RU2547024C2 (ru)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вилоч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JP5827289B2 (ja) 貨物用ラック
KR101000243B1 (ko) 도크 레벨러
US2007004811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ving and lifting objects with a lifting fork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KR200439624Y1 (ko) 가스탱크 운반대차
US20030197351A1 (en) Work assist accessory for pallet trucks and pallet trucks including work assist features
KR101256847B1 (ko)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KR20160092223A (ko) 리프트 장치
CN102923616A (zh) 装载机自装卸作业机构
JP6123103B2 (ja) 車輪のキャンバ変更による持ち上げ効果を用いてパレットを持ち上げ移動させるための、手動操作の転動装置
CN109501843A (zh) 用于搬运周转箱的搬运车
KR101313077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US10112517B1 (en) Vehicle rack
KR200460971Y1 (ko) 손수레
US11383962B2 (en) Industrial truck with stand-on platform
JP6223390B2 (ja) 貨物用ラック
WO2012150222A1 (fr) Dispositif de manutention
KR20100066048A (ko) 이송대차
KR20110010970U (ko) 이동형 파렛트
KR20090000250U (ko) 무게 중심 축을 개량한 수직 적재식 손수레
KR101313076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