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460A - 팔레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팔레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460A
KR20150126460A KR1020140053316A KR20140053316A KR20150126460A KR 20150126460 A KR20150126460 A KR 20150126460A KR 1020140053316 A KR1020140053316 A KR 1020140053316A KR 20140053316 A KR20140053316 A KR 20140053316A KR 20150126460 A KR20150126460 A KR 20150126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change
ball
plunger
l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407B1 (ko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박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수 filed Critical 박창수
Priority to KR102014005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0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25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rigid mechanical lifting mechanisms, e.g. levers, cam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탑차 등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 내부에서 적재물을 옮길 때 사용하는 팔레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을 볼 플런저로 조합시킨 구조를 채택하여, 프레임과 플레이트 간의 이격현상을 배제함과 더불어 손쉽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성능 향상은 물론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편, 적재물 이송을 위한 팔레트 캐리어의 상승 후 견인 시 체인지 레버의 결속구조를 개선하여, 레버 작동 후 레버를 잡고 견인 시 어떠한 각도 조절에도 레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물 이송 시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팔레트 캐리어의 주행을 위한 구름수단으로 롤러와 핀을 베어링을 매개로 조합시킨 새로운 롤러 지지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종전과 같은 롤러 끼임이나 이탈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등 하중에 적극 대응할 수 있고 롤러 구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팔레트 캐리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팔레트 캐리어{Pallet carrier}
본 발명은 팔레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탑차 등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 내부에서 적재물을 옮길 때 사용하는 팔레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탑차 등과 같은 적재함 차량은 물류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식품수송을 위한 적재함 차량으로는 냉동탑차가 주로 이용된다.
보통 냉동탑차를 이용한 식품 등의 적재물 수송 시 팔레트 위에 적재물을 실은 상태에서 냉동탑차의 적재함에 탑재하여 수송하게 되며, 적재물을 실은 팔레트는 통상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재함에 올려지고 내려지게 된다.
그러나, 적재함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재함의 안쪽까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없기 때문에 적재물을 싣는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게차가 적재함의 입구 근처에 적재물을 올려 놓으면, 적재물을 실어서 적재함의 깊숙한 곳까지 운반할 수 있고, 또 하역 시에도 적재함의 깊숙한 곳에 있는 적재물을 실어서 적재함의 입구까지 운반할 수 있는 팔레트 캐리어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적재물을 쌓은 팔레트가 놓여져 있는 적재함 바닥의 레일홈(조르대)을 따라 팔레트 캐리어를 이동시켜서 팔레트의 저면에 위치시키고, 체인지 레버를 조작하여 팔레트 캐리어의 높이를 높임과 더불어 팔레트를 적재함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린 다음, 체인지 레버를 끌거나 밀면서 팔레트 캐리어를 이동시켜 적재물은 운반하고 있다.
이러한 팔레트 캐리어는 한국공개특허 10-2011-0039597호, 한국공개특허 10-2011-0018719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팔레트 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캐리어 앞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구조로 제작될 수밖에 없는 형상이어서 중량물인 팔레트나 지게차 포크의 저면에 닿아 뭉개지거나 파손이 되어 재구입에 따른 비용이 증가한다.
둘째, 주행 시 롤러의 핀이 회전하면서 볼트가 풀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등 롤러의 구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셋째, 팔레트 캐리어를 손으로 들어 이동 시에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이격 현상이 발생하여 손끼임 문제가 발생하여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고 적재물 운반 시 주행성능이 저하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넷째, 종전의 팔레트 캐리어는 적재물 상차 시 팔레트 캐리어가 대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을 볼 플런저로 조합시킨 구조를 채택하여, 프레임과 플레이트 간의 이격현상을 배제하여 안전 사고를 줄이고 손쉽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성능 향상은 물론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팔레트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레트 캐리어의 주행을 위한 구름수단으로 롤러와 핀을 베어링을 매개로 조합시킨 새로운 롤러 지지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종전과 같은 롤러 샤프트 고정용 볼트의 풀림 현상으로 인한 끼임현상 이탈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등 하중에 적극 대응할 수 있고 롤러 구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팔레트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팔레트 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팔레트 캐리어는 롤러 지지를 위한 다수 개의 체인지 가이드 블럭을 가지면서 바깥쪽에 배치되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과, 다수 개의 롤러를 가지는 안쪽에 배치되는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 간의 높이를 높여주거나 낮춰주는 수단으로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 내측에 장착되는 캠 블럭과 상기 캠 블럭상에 핀 구조로 결합되어 체인지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가능한 캠과 상기 캠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캠 링크로 구성되는 캠 유니트와,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에 있는 체인지 가이드 블럭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플런저 볼을 이용하여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에 있는 양쪽 플레이트 안쪽면의 볼 가이드 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의 높낮이 가변 시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의 움직임을 안내함과 더불어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중앙에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을 배열시키는 볼 플런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볼 플런저는 중앙에 볼트 조인트 홈이 형성되는 원통형 구조의 플런저 몸체와, 상기 플런저 몸체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되고 일부 노출된 부분을 통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의 볼 가이드 홈 내에서 굴러가는 플런저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체인지 가이드 블럭의 고정홈에 고정조립되는 것을 특별하게 제안한다.
그리고 상기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에 있는 롤러는,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롤러 축선을 따라 결합됨과 더불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의 양쪽 플레이트 안쪽면의 핀 홈에 삽입 고정되는 롤러 핀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좋고,
상기 캐리어는, 한쪽 레일홈에서 다른 레일홈으로의 신속한 이송과 캐리어 장비의 보관성을 위하여 그 일측단에 훅 핸들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양측단부에 범퍼용 가이드 롤러가 부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팔레트 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조립되는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을 볼 플런저로 지지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을 중앙에 배열시킬 수 있는 등 이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볼 플런저 사용으로 약간의 힘으로도 분리가 가능하여 베어링 교체 및 수리 정비 시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체인지 레버와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 간의 스톱퍼 블럭 접촉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레버 작동 후 레버를 잡고 견인 시 어떠한 각도 조절(미세한 각도 조절 등)에도 레버가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의 주행은 롤러와 핀을 베어링을 매개로 조합시킨 롤러 지지구조에 전담시키고, 양쪽 플레이트 본체는 별도의 블럭으로 조립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주행 시 롤러의 핀이 회전하여 볼트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롤러 지지를 위한 핀이 플레이트 본체를 관통하지 않아 캐리어가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분해 시 한쪽 면의 볼트 8개만 분해함으로 모든 롤러가 분리되어 분해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넷째,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앞쪽 상면을 평평한 면으로 제작함으로써,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물품을 차량에 적재할 때에 캐리어가 적재품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캐리어 파손의 원인 규명, 즉 분쟁의 주 원인인 팔레트 사용자와 지게차 운전자의 과실 여부 판단 시의 분쟁과 마찰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냉동차의 특성상 신속한 제품의 적재 및 하차를 유도할 수 있다.
다섯째, 캐리어의 앞범퍼와 뒷범퍼에 가이드 롤러를 적용함으로써, 캐리어(조르대)의 틈에 의해 마찰을 최소화하여 차량 및 캐리어의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원활한 주행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에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에서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의 볼 플런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의 볼 플런저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에서 볼 플런저와 볼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내면구조, 즉 롤러를 고정하는 롤러 홈과 볼 플런저가 안착되어 전후 및 상하로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볼 가이드 홈을 나타내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의 정상 주행 상태 및 레버 작동 후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훅 핸들을 이용한 팔레트 캐리어의 보관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상태의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에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에서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 캐리어는 캐리어 본체에 해당하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캐리어 주행을 위한 역할을 하는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은 외측과 내측에서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일체식 팔레트 캐리어를 이루게 된다.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길다란 사각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의 선단부 상면에는 후술하는 틸팅 스톱퍼와 캠 블럭의 설치를 위한 절개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다수 개의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상면은 선단부를 포함하여 전 길이에 걸쳐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돌출부분이 있는 제품에 비하여 캐리어를 이용하여 지게차에 적재품을 적재할 때 이 적재품의 하중이 돌출된 부분에 집중적으로 걸쳐짐에 따라 적재품에 의하여 캐리어 돌출부분이 파손되는 원인을 아예 해소하므로써 캐리어 파손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은 저면에 롤러 안내를 위한 앞쪽의 경사면(29)과 롤러 안착을 위한 뒷쪽의 곡면(30)을 가지는 사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블럭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볼 플런저를 볼 플런저를 장착하기 위한 플런저 홈(3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에는 볼 플런저가 구비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은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상판에 스크류 체결구조로 설치되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선단부에는 캠 유니트(18)의 캠 블럭(15)이 장착되며, 이때의 캠 블럭(15)에는 캠(16)이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양쪽 측단부에 각각 1개씩 총 4개의 범퍼용 가이드 롤러(28)가 설치되며, 이때의 범퍼용 가이드 롤러(28)는 적재함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의 벽면과 접촉하면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에 범퍼용 가이드 롤러(28)를 구비함으로써, 레일홈 내에서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적재함 및 캐리어 간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캐리어의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은 2개의 사각바를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하고, 사각바 사이의 내측에 다수 개의 조인트 블럭(32)을 개재하여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볼트로 연결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길다란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경우, 사각바를 연결해주고 있는 조인트 블럭(32)의 볼트 체결만 해제하면, 양쪽 사각바가 그대로 분리됨과 더불어 그 사이에 설치되어 있던 모든 롤러(12) 또한 그대로 빠지게 되므로, 분해 및 청소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에는 주행을 위한 구름수단으로 다수 개의 롤러(12)가 구비되며, 이때의 롤러(12)는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2개씩 짝을 이루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부호 12a는 이 롤러(12)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 내면에 다수개가 형성된 레버홈이다.
이때의 다수 개의 롤러(12)들 중에서 적어도 몇 개는 사각바 상단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이렇게 윗쪽으로 위치되는 롤러(12)들은 일종의 로케이팅 롤러로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상판 저면에 접촉하면서 위치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롤러(12)는 종전과 같이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가 아닌, 하중에 의해서도 사각바 사이에서 안정적인 구름형태를 취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롤러(12)의 내측에는 양편에 베어링이 장착되고, 이렇게 장착되는 베어링의 축선(롤러의 축선)을 따라 롤러 핀(24)이 장착되며, 이때의 롤러 핀(24)의 양단부는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양쪽 플레이트 안쪽면, 즉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몸체를 이루는 사각바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 홈(23)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12)는 프레임측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틀어지거나 이탈되는 일 없이 주행 시 안정적인 구름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적재 시 1ton의 무게를 가정하여 위아래 블럭의 갯수와 주행 롤러 및 위치결정 롤러의 갯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레버 작동 시 및 적재물 운반 시 롤러에 받는 하중을 분산시켜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보다 적은 힘으로도 견인작업을 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기존품의 경우에는 상하 양 롤러는 6개로 구성되는데 1개의 롤러에 받는 하중은 1,000㎏ ÷ 12개 = 83.33㎏ 이 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하 롤러가 14개이므로 1,000㎏ ÷ 32개 = 31.25㎏ 으로서 개당 작용되는 하중이 매우 적어, 롤러의 갯수가 운반성 및 적재 하중분산에 매우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 캐리어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내측에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이 조립되어 하나의 일체식 팔레트 캐리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1)은 볼 플런저(20)를 매개로 하여 조립되어 있으며, 이때의 볼 플런저(20)에 의한 결속부위를 약간의 힘을 주어 해제하는 것만으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으로부터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1)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물론 캠 유니트측 핀 체결부위를 해제한 상태에서), 롤러 내측에 있는 베어링 교체 및 수리 시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A-A 선 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측에 있는 볼 플런저(20)의 플런저 볼(20b)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에 있는 볼 가이드 홈(19) 내에 결속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서, 플런저 볼(20b)을 볼 가이드 홈(19)으로부터 빼내는 것만으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B-B 선 단면도에서는 롤러(12)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롤러(12)의 양단에 있는 롤러 핀(24)은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사각바 내측에 있는 핀 홈(23) 내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종전과 같이 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볼트가 사각바를 관통하면서 나사체결되는 구조가 아닌, 롤러 핀이 핀 홈 내에 단순히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강성 보강 및 롤러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에서 볼 플런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에서 볼 플런저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이다. 이 실시예는 플런저 볼(20b)은 일체로 된 플런저 몸체(20a)에 내장되는 구조이다. 이렇게 할 경우에는 제작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좋은 볼 플런저를 제공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 플런저(20)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 내에서의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해주는 역할은 물론,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위치를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폭 중앙에 오도록 배열시켜서 프레임 간의 간섭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볼 플런저(20)는 플런저 몸체(20a)와 플런저 볼(20b)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의 볼 플런저(20)는 원통형의 플런저 몸체(20a)와 플런저 볼(20b)과 이 플런저 몸체(20a)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을 위한 볼트 조인트 홈(20c)이 형성되어 있어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31a)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플런저 볼(20b)은 플런저 몸체(20a)의 선단부에 장착되면서 자유롭게 회동가능함과 더불어 볼 일부(약 1/3 정도)가 노출되며, 이때의 노출된 부분을 통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볼 가이드 홈(19) 내에서 구를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의 도면대용 사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볼 플런저(20)의 중앙에는 조립용 조인트 홀(20c)을 가공하여 조립시 볼트가 조인트 홀에 밀착되어 사용 상의 잦은 충격에 의해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볼 플런저(20)는 체인지 가이드 블록(10)의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있는 고정홈(31a)에 고정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 플런저(20)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 내에서의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상하 움직임을 안내해주는 역할은 물론,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위치를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폭 중앙에 오도록 배열시켜서 프레임 간의 간섭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볼 플런저(20)는 플런저 몸체(20a)와 플런저 볼(20b)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의 볼 플런저(20)의 플런저 몸체(20a)는 원통형 핀 형태로 되어 있어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 홈(31)에 삽입된 후에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에 체결되는 조인트 나사(35)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 볼(20b)은 플런저 몸체(20a)의 선단부에 장착되면서 자유롭게 회동가능함과 더불어 볼 일부(약 1/3 정도)가 노출되며, 이때의 노출된 부분을 통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볼 가이드 홈(19) 내에서 구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 높낮이 가변 시 상기 볼 플런저(20)의 플런저 볼(20b)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에 있는 볼 가이드 홈(19)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게 되고, 또 양쪽의 플런저 볼(20b)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양쪽 볼 가이드 홈(19) 내에 위치되면서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폭방향 위치를 잡아주게 되므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내측 중앙에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이 배열될 수 있게 된다.
통상의 체인지 레버는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수단으로서, 일정길이의 원통형 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에 구비되어 있는 캠(16)의 레버 홀(33) 내에 착탈식으로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내면구조, 즉 롤러를 고정하는 롤러 홈과 볼 플런저가 안착되어 전후 및 상하로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볼 가이드 홈을 나타내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의 사시도 사진이다.
상기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몸체를 이루는 사각바의 안쪽면에는 볼 가이드 홈(19)이 형성되며, 이때의 볼 가이드 홈(19)을 따라 볼 플런저(20)의 플런저 볼(20b)이 상대적으로(플런저 볼은 가만히 있고 볼 가이드 홈 부분이 움직임에 따라) 타고 다닐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볼 가이드 홈(19)은 윗쪽의 멈춤홈(19a)과 아래쪽의 멈춤홈(19b), 그리고 위아래 멈춤홈(19a,19b)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진 형태의 주행홈(19c)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정상 주행 시의 경우(캐리어 높이를 낮춘 상태)에는 볼 플런저(20)의 플런저 볼(20b)은 윗쪽의 멈춤홈(19a) 내에 위치되어 있게 되고, 레버 작동 후 주행 시의 경우(캐리어 높이를 높인 상태) 플런저 볼(20b)은 아래쪽 멈춤홈(19b) 내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아래 멈춤홈(19a,19b)은 플런저 볼(20b)의 일부 노출된 부분을 전부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멈춤홈 내에 플런저 볼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캐리어의 높이를 높인 상태 및 캐리어의 높이를 낮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멈춤홈 사이를 연결하는 주행홈은 멈춤홈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를 가지고 있어 플런저 볼이 주행하는 데에는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이러한 볼 가이드 홈(19)은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에 있는 볼 플런저(20)의 위치 및 수량에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 및 수량이 구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 간의 높이를 높여주거나 낮춰주는 수단으로 캠 유니트(18)가 마련된다.
즉,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은 도시하지 아니한 막대형의 체인지 레버의 조작에 의해 서로 간의 높이를 높아지게 하거나 낮아지게할 수 있고, 이러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 간의 높낮이 가변동작은 캠 유니트(18)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캠 유니트(18)는 막대형 체인지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캠(16)과 이 캠(16)의 회전동작에 의해 연동되면서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 전체를 아래로 내려주는(상대적으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 전체를 위로 올려주는) 캠 링크(17), 그리고 캠(16)의 지지를 위한 캠 블럭(15)을 포함한다.
상기 캠 블럭(15)은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선단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캠 블럭(15)의 내측에 캠(16)이 위치됨과 더불어 이때의 캠(16)의 후단부 윗쪽은 핀에 의해 캠 블럭(15)측에 고정되어 핀을 중심으로 위아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캠(16)에는 수직관통홀 구조의 레버 홀(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 홀(33)에는 통상의 원통형 막대로 된 체인지 레버의 끝단이 끼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 링크(17)는 한 쌍의 나란한 링크바 형태로서, 선단부는 캠(16)의 선단부 아래쪽에 핀 구조로 연결되는 동시에 후단부는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선단부에 역시 핀 구조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체인지 레버의 젖힘 조작에 의해 캠(16)이 후단 핀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캠 링크(17)도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이때의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 전체가 약간 뒤로 밀리면서 아래로 내려오게 되므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 간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캐리어의 정상 주행 상태 및 레버 작동 후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캐리어의 높이를 낮춘 상태로 정상 주행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의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은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게 되고, 볼 플런저(20)의 플런저 볼은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에 있는 볼 가이드 홈(19)의 아래쪽 멈춤홈 내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레버 작동 후 주행 상태, 즉 캐리어의 높이를 높인 상태로 주행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먼저, 적재함의 바닥에 있는 레일홈을 따라 높이를 낮춘 상태의 캐리어를 이동시켜 팔레트의 저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인지 레버(도시하지 않음)의 레버 핀을 캠 유니트(18)의 캠(16)에 있는 레버 홀(33) 내에 끼운 다음, 체인지 레버를 앞쪽으로 젖히게 되면, 캠(16)의 회전 및 캠 링크(17)의 연동에 의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은 볼 플런저(20)와 볼 가이드 홈(19)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면서(체인지 가이드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되면서) 체인지의 높이가 높혀지게 된다.
이때의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은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을 빠져나와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게 되고, 볼 플런저(20)의 플런저 볼은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에 있는 볼 가이드 홈(19)의 윗쪽 멈춤홈 내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이렇게 캐리어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에 받쳐져 있는 적재물을 포함하는 팔레트 전체가 적재함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체인지 레버를 끌면서 적재물을 실은 팔레트를 적재함의 깊숙한 곳까지 운반할 수 있게 되고, 또 하역 시에도 적재함의 깊숙한 곳에 있는 적재물을 실은 팔레트를 적재함의 입구까지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훅 핸들을 이용한 팔레트 캐리어의 보관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상태의 사진이다. 캐리어 앞쪽에 형성된 훅 핸들(34)을 손으로 잡고 한쪽 레일홈에서 다른 레일홈으로 이송 시 매우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며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협소한 탑차 내에 작은 공간, 즉 탑차의 모서리 부위에 걸이체(36)를 설치하고 이 걸이체(36)에 본 발명의 훅 핸들(34)을 이용하여 세로 상태로 길게 늘어뜨려 걸어둘 수 있게 되어 본 캐리어 장비의 보관성이 좋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을 볼 플런저로 조합시킨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프레임과 플레이트 간의 이격현상을 없앨 수 있고 손쉽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으며 주행성능 향상은 물론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팔레트 캐리어 윗면에는 상호와 연락처 등을 조각하여 제품 홍보를 할 수 있으며 제조 일련번호를 측면에 타각하여 도난이나 분실의 경우에 신뢰성을 보장하는 부가적 효과도 있도록 하고 있다.
10 : 체인지 가이드 블럭 11 :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
12 : 롤러 13 :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
15 : 캠 블럭 16 : 캠
17 : 캠 링크 18 : 캠 유니트
19 : 볼 가이드 홈 20 : 볼 플런저
20a : 플런저 몸체 20b : 플런저 볼
20c : 볼트 조인트 홈 23 : 핀 홈
24 : 롤러 핀 26 : 라운드면
28 : 범퍼용 가이드 롤러 29 : 경사면
30 : 곡면 31a : 고정홈
32 : 조인트 블럭 33 : 레버 홀
34 : 훅 핸들 35 : 조인트 나사
36 : 걸이체

Claims (5)

  1. 롤러 지지를 위한 다수 개의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을 가지면서 바깥쪽에 배치되는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
    다수 개의 롤러(12)를 가지는 안쪽에 배치되는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선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 간의 높이를 높여주거나 낮춰주는 수단으로서,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선단부 내측에 장착되는 캠 블럭(15)과 상기 캠 블럭(15)상에 핀 구조로 결합되어 체인지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가능한 캠(16)과 상기 캠(16)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선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캠 링크(17)로 구성되는 캠 유니트(18);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에 있는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플런저 볼을 이용하여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에 있는 양쪽 플레이트 안쪽면의 볼 가이드 홈(19)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과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높낮이 가변 시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움직임을 안내함과 더불어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내측 중앙에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을 배열시키는 볼 플런저(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 플런저(20)는 중앙에 볼트 조인트 홈(20c)이 형성되는 원통형 구조의 플런저 몸체(20a)와, 상기 플런저 몸체(20a)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되고 일부 노출된 부분을 통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볼 가이드 홈(19) 내에서 굴러가는 플런저 볼(20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체인지 가이드 블럭(10)의 고정홈(31a)에 고정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캐리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에 있는 롤러(12)는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롤러 축선을 따라 결합됨과 더불어 로케이팅 가이드 프레임(13)의 양쪽 플레이트 안쪽면의 핀 홈(23)에 삽입 고정되는 롤러 핀(24)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캐리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한쪽 레일홈에서 다른 레일홈으로의 신속한 이송과 캐리어 장비의 보관성을 위하여 그 일측단에 훅 핸들(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캐리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인지 가이드 프레임(11)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양측단부에 범퍼용 가이드 롤러(28)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캐리어.
KR1020140053316A 2014-05-02 2014-05-02 팔레트 캐리어 KR10159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16A KR101598407B1 (ko) 2014-05-02 2014-05-02 팔레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16A KR101598407B1 (ko) 2014-05-02 2014-05-02 팔레트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60A true KR20150126460A (ko) 2015-11-12
KR101598407B1 KR101598407B1 (ko) 2016-02-29

Family

ID=5460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316A KR101598407B1 (ko) 2014-05-02 2014-05-02 팔레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4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4125A (zh) * 2019-05-17 2019-07-26 广西派莱特科技有限公司 一种厚度可变的叉齿托盘
KR102147613B1 (ko) * 2019-12-31 2020-08-24 박연수 옥내 gis 기재 설치용 운반장치
CN112789230A (zh) * 2019-09-10 2021-05-11 朴英洙 货物移送用结构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309B1 (ko) 2022-01-28 2022-12-13 서용덕 화물 상하차용 캐리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002A (ja) * 2001-04-16 2002-10-23 Nippon Light Metal Co Ltd 床上貨物運搬装置
JP2002347505A (ja) * 2001-05-30 2002-12-04 Nippon Light Metal Co Ltd 床上貨物運搬装置
KR20110018719A (ko) * 2009-08-18 2011-02-24 진을숙 팔렛트 운반장치
KR101256847B1 (ko) * 2012-05-04 2013-04-23 손영옥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002A (ja) * 2001-04-16 2002-10-23 Nippon Light Metal Co Ltd 床上貨物運搬装置
JP2002347505A (ja) * 2001-05-30 2002-12-04 Nippon Light Metal Co Ltd 床上貨物運搬装置
KR20110018719A (ko) * 2009-08-18 2011-02-24 진을숙 팔렛트 운반장치
KR101256847B1 (ko) * 2012-05-04 2013-04-23 손영옥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4125A (zh) * 2019-05-17 2019-07-26 广西派莱特科技有限公司 一种厚度可变的叉齿托盘
CN110054125B (zh) * 2019-05-17 2024-02-13 广西派莱特科技有限公司 一种厚度可变的叉齿托盘
CN112789230A (zh) * 2019-09-10 2021-05-11 朴英洙 货物移送用结构体
KR20210134570A (ko) * 2019-09-10 2021-11-10 박영수 화물 이송용 구조체
KR102147613B1 (ko) * 2019-12-31 2020-08-24 박연수 옥내 gis 기재 설치용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407B1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2429C (en) Trailer-train trailer with carrying frame for a material transport cart
KR101598407B1 (ko) 팔레트 캐리어
US11440752B2 (en) Vehicle loading system
US9505331B2 (en) Automotive vehicle container handling system
NL2008775A (en)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assembly of an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a platform.
CN111891622B (zh) 钩拉存取装置及立体仓库
US9616794B2 (en) Frame assembly of moveable stowage device and its application as a transport vehicle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US10112519B2 (en) Sliding loading lif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EP2018342B1 (en) Battery change table and reach truck equipped with a battery change table
CN116653744A (zh) 一种便于装卸货物的半挂车
KR101049977B1 (ko)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US8220613B2 (en) Stackable carri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carrier assemblies
CN212047514U (zh) 一种便于装卸的推车
CN212047513U (zh) 一种中转车
CN111409680A (zh) 中转车
KR102543730B1 (ko) 화물 이송용 구조체
KR101433579B1 (ko) 기계식 주차설비
CN219314080U (zh) 一种高适应性极速装车系统
KR101720208B1 (ko)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KR200435635Y1 (ko) 이사레일
CN113879738B (zh) 一种用于立体仓库的多功能送料装置
JP7393063B1 (ja) 被牽引車両の可搬式案内装置
FI124491B (fi) Kuljetusväline, joka käsittää kuormankäsittelylaitteen
AU2010246497B2 (en) A docking system for a roll back tra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5